최균선
http://www.zoglo.net/blog/cuijunshan 블로그홈 | 로그인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홈 > 전체

전체 [ 912 ]

172    1970년대 (자작시) 넋두리 한마당 댓글:  조회:12355  추천:0  2012-08-09
                                 1970년대(자작시)                                     넋두리 한마당                                사랑의 맹세                                                짧았던가                            깊었던가                                첫사랑의 단꿈은                                    산산히 깨여졌어라                                               달을 두고 하던 맹세                            풀잎에 이슬일줄을                                련련하던 순정도                                    저 하늘에 뜬구름일줄                          실망은 눈물에 절어들고                            분노가 서리발치던들                                탓해서는 무엇하랴                                    어리석음만 짓씹으리                          사랑은 내삶의 주제                            그러나 전부는 아니여니                                갈라면 가렴아, 아예                                    아픈 바줄 풀어주리라                                                         1970년 8월 2일                    사나이여 사나이다우라                          사나이여,                        사나이다우라                        행여 망석중이로                        되지 말어라, 빈다                          삶에, 또 사랑에도                        내 사나이다웠노라고                        떳떳이 말할수 있도록                        사나이여, 사나이다우라                          불행에 고통을 볶아먹어도                        사나이답게 씹어삼켰노라고                        너를지켜 생활을 사랑하며                        살아도 죽어도 사나이다우라                                            1970년  9월 15일                           가난을 짓씹으며                       내 전생에 무슨 악연이 있어                     가난아, 이리 지지리 못났냐                     소금한근을, 기름반병조차                     살돈도 없이 째진것이더냐                       모두가 팍팍한 살림이여도                     나처럼은 궁상이 아니여라                     까래대신 가마짝 펴고누워                     얼핏꾸는 꿈도 먼지투성이                       가난이 일컬어 청빈이더냐?                     소처럼 사시절을 일하건만                      빈석마 돌리는 당나귀처럼                      어이 가난만 돌려야 하냐?                                       1970년 10월 30일                              사랑이여, 자유여                        사랑, 나직히 외워만봐도                      설설끓는 가슴을 울리는,                      긴여운 잦아들새도 없이                      모든 소중한것 안겨주는,                        사랑이 인생의 주제라면                      사랑이 없이는 못산다면                      내 자유 또한 사랑처럼                      버릴수 없는 소중한것이,                        향기로운 사랑의 꽃다발                      뛰는 가슴에 받아안아도                      활짝 열린 자유의 대문                        순간이나마 닫을수 없노라                              1970년 12월 12일                                        만가                        열일곱 꽃나이에 멋도 모르고                      동량골 막치기에 시집을 와서                      서덜밭 김매기에 꽃나이 찌들며                      화전농의 안해로 살아온 어머니여                                           조금 살만해져 버덕농사 3년만에                     《천지개벽》들이닥쳐 남편을 잃고                      눈물도 썩는 설음의 한생을 살다가                      드디어 이렇게 총총히 가시는구려                        70성상 인생의 갈피갈피마다                      피눈물로 적시던 어머니시여!                      함박눈 쏟아지는 눈길을 가시니                      황혼빛 서러워 해가 졌는가요?                                            눈덮힌 벌판에서 헤매지 마시고                      인제 그 일욕심도 다 접으시고                      아버님곁에 고이 잠드시옵소서                      한많고 고달팠던 세상을 베시고…                             1970년 12월 13일 ( 어머니 장례날)                                  한밤의 궁상                         남들은 어찌 사는지 몰라도                       나는 두얼굴로 살아갑니다                       낮에는 입술이 웃는 얼굴로                       밤에는 량피간 패인 얼굴로                         어두워야 어둠속에서 나는                       감히 나의 얼굴을 찾습니다                       졸음도 조으는 깊은 밤에야                       슬픈 나를 찾는 인생입니다                         꿈에도 긴장을 다스리는 시국                       코고는 소리만이 나의 밤노래                       아지랑이 같은 내젊은 희망에                       미소할줄도 모르는 목숨입니다                         일에지쳐 육신은 노그라져도                       공상은 힘없는 날개 퍼덕이고                       한숨에 탄식에 절망을 덧실은                       내 인생의 쪽배, 물이새는 배                         어데로 갈가? 떠나가는 내게는                       부는 순풍도 역풍도 따로 없고                       돛대도 없이 부러진 삿대도 없이                       물결따라 흔들리는 일엽편줍니다                                             이리갈가? 저리갈가? 안개속이라                       얼마나 왔는지, 얼마나 흘러갈지                       바람처럼 정처없이 떠도는 구름처럼                       흐르는 넋이여니 흔적인들 있으랴!                         내게도 원래는 희망의 쌍돛대도                       어엿차 저어보던 놋대도 있은것을                       운명의 암초에 산산이 쪼각날제                       아, 나는 모든것 놓쳐버렸습니다.                         나는 파경노(破镜奴)이던가                       옛꿈은 물거품으로 일렁여도                                     필부의 시린 가슴에 심장만은                       살아서 이렇게 세차게 뛰나니…                             1971년 1월 16일                                                         오, 동지여, 동지!                        동지!누구나 입가에, 귀전에                      걸고다니는 흔하디 흔한 호칭                      누구나 다 습관처럼 번지건만                      내게는 금구가 된 부름이여라.                        《아바이동지》라는 말은 있어도                       나를 아는 사람은 나를 뜨겁게                       ×××동지라고 불러주지 않는다                       동무와 동지는 그렇게도 달라라,                         끼리끼리 합치고 파렬된 시대에                       내게는 “동지”란 말 소중하여라                       동지, 이보다 더 숭엄한 호칭이,                       이보다 가슴치는 부름 또 있으랴,                        동지라 부를 때 느껴질 뜨거움을.                      동지라 불러줄 때 솟구는 그 힘을                      신뢰와 뭉치는 힘의 상징이기도 한                    “동지!” 그 위력을 나는 잘모른다.                        허투루 동무란 부름은 가끔 들어도                      동지가 없음으로 하여 나는 외롭고                      동지라 믿을이가 없어 나는 괴롭다                      나를 동지라 불러줄 사람아, 오시라                        오오, 동지여,《혁명동지여!》                      투쟁시대의 믿음찬 부름이여!                      숭엄하던 그 호칭을 끝끝내는                       한번 불러보지도 못하고말가?                        동지여, 동지!외워보다 내가                      죽을지도 모르는 그 부름이여!                      혼자서라도 불러, 불러보아도                       대답이 없는 그리운 호칭이여!                                                               1971년 2월 23일                                       사람이 그립다                        사람이 그립다. 아아, 나에게는,                       낮에 마주치는것, 사람들이여도                       무리를 떨어져 고독을 호곡하는                       여윈 승냥이같이 앙증맞은 나!                        여럿이 사래긴 밭을 기여가도                      밭머리에 허술한 허수아비같이                      무딘 호미날은 풀을 찍어가도                      속으로는 내마음의 터밭만 맨다                        개보름쇠듯 쇠는 설명절같은때                      더더구나 사람, 사람이 그립다                      형제들은 천애이역에, 친척들은                      초한지계인 계급계선 지키기에,                                           내집구들에 가마목도 따스하고                      내가슴에 높뛰는 심장도 붉건만                      이 실락원에는 라르라만 살아서                      참지못한 웨침ㅡ아, 사람이 그립다.                                            1971년 2월 13일 (음력설)                                                               안해에게 쓰는 시                          말은 적고 눈물만 헤픈 안해야                        나없는 잠간새 많이도 울었구나                        내가 누군지 알고도 맺은 인연에                        이제와서 속상했으면 어리석구려                          사방천지 몰려드는 기시속에서                        저주맞은 라르라같은 내존재에                        스스로도 그만 화병에 미칠듯이,                        그러나 나도 상처깊은 양이라오                          사랑이란 인간의 본성을 비추는                        거짓없는 하나의 거울이라 할제                                              내게서 온갖 결함만 비추련다면                        당신도 눈뜨고 속히운 천사인가?                          모올래 자주 우시는 그 사연이                        필연에 대한 자유의 추구라면                        엉성한 사랑의 그믈 찢으리다.                        그대의 눈물이 가슴은 울리지만,                          지금 같은 비상시국 내 처지에                        사랑에서 안식을 찾으려하였던                        내가 되우나 어리석었는지 몰라                        그러는 나도 내가 넘 불쌍하구려                          사랑이란 사랑하며 배우는것인줄                        당신과 살면서 차차 알게 되였소                        안해여, 그만 그 눈물을 거두시지                        눈물이 우리 사랑나무에 단비냐?                          안해여, 불러보면 정겨운 그 여음                        채사라질새도 없이 내가슴 복판에                        아름다운 모닥불을 활활 지펴주고                        나를 거듭나게 한줄 당신은 모르지                          안해여!혼자있을 때에도 이렇게                        조용히 외워보면 봄이오는 남산                        진달래 반겨웃듯 내마음 꽃피고                        다시 새겨보면 고마움에 눈물겹소                          밥짓고 빨래고 내정염을 불태워서,                        애엄마가 되시고 화풀이대상이라서,                        아니, 아니여, 그래서만이 아니라오                        먼먼 인생길 혼자는 못갈 나이기에!                          울지마시라, 오늘을 울어도 아픈데                        묵은 눈물도 우려내는것은 유감천만                        사랑나무는 아픔을 먹고 커간다지만                        짜거운 눈물속에서 시들가 저어되요.                                              1971년 3월 3일                                                 아버지가 된다는것   새 생명이 태여나는것, 그것은 울밑에 당콩심어 당콩이 열리고 호박꽃 피여 애호박이 열리듯이 지극히 당연한 생명의 섭리이다.   아들이 자라 아버지로 되여지고 손자가 다시 아버지로 되는일은 자연스럽고 범상한일, 그렇건만 내게는 아버지란 호칭뿐 아니여라   아버지란 인간기사가 되였다는것, 씨뿌리면 씨뿌린대로 거두겠다는 농부의 마음처럼 안되는 자식농사 이제부터 애모쁘게 지어야 하거늘   싸리긁에 싸리난다고 고아대는데 나처럼 못난새끼오리가 되여질지 나처럼 소궁둥이에 지탑군 될런지 그래서 더욱 막연한 내심사로구나   아버지이면 그저 아버지이시던가? 진실로 아버지다워야 아버지이지 하기에 세상에 아버지들은 많아도 손색없는 아버지는 많지를 않다네,   애비가 영웅이면 아들도 호걸인가 오직 변화만이 절대의 진리인것도  드러내놓고 말못하는 엄혹한 시대 내게는 아버지된것도 또 비애여라                                         1971년 2월 23일                                                                      갓서른                            갓서른, 어느덧 속절없이                          인생의 반고개에 올라보니                          걸어온길 묘망한 꿈길같고                          걸어갈길 운무속 소로길요                            갓서른은 이제 반생반사인데                          내 인생려정에 이 리정비는                          고개의 길 내리막을 알림인가                          숨은 아니차도 다리는 떨릴건가                            나그네의 길에 희망봉은 있으되                          바이알수 없어라, 오리무중임에                          행불행 겹쳐들 꼬불꼬불 오솔길                          굽이굽이 몇굽이나 돌아야 할지                            세월은 아쉬움싣고 저만치 갔건만                          내가 걸어온 발자국은 흔적도 없네                          세월아, 네 가도 희망은 남겨두시라                          비난수하는 내마음 설워 못보리라.                            나그네야, 네 가는 머나먼 길에는                          행운은 멀고 해는 서산에 지리라                          찾음을 꼬드기는 없을《无》만이                          너를 기다려 동분서주하게 하리라                            갓서른은 서러운 나이 아니건만                          왕성한 시절 생활의 열매 열리고                          그리고 차차차 무르익어 달콤함을                          고생많던 너에게 던져주길 바랴냐?                            아니오, 아닌것을, 정녕 없구나                          나에겐 저 먼 앞에도 이 뒤에도                          그리고 상하좌우에도 없구나야,                          갓서른, 아쉽고 아쉬운 설흔이여!                                       1971년 12월 30일                                산촌의 여름밤에                           개골개골…개애ㅡ골 꼬르륵                         합창을 하느라 장밤울어싸도                         선창도 없느냐? 중구난방에                         도무지 곡조가 맞지 않는구나                            여름밤 자지러진 늬들 울음은                         내게는 듣그러운 소야곡인데                         고달픈 꿈도 하품에 지쳤냐?                         나의 잠동무 명상아, 이리 온,                           오는듯 가버린 풋살구 내청춘                         별이 총총한 밤하늘에 걸리누나                         농부의 신세면 소박하기나 할걸                         허망궁리에 허황함만 안고자냐?                           별하나 둘, 셋…삼키고 뱉노라면                         우멍눈에 눈물이 찔끔 나올듯이                         그러나 한사코 울지는 않겠노라                         사나이라면 굳세여야 한다기로…                                                                                                              1972년 7월 11일                                                                   고총에 쓰노라   삭풍만 설렁 스쳐가는 산허리에 외로운 무덤하나 살풍경 그렸네. 한때는 알뜰한 손길 보듬었을가 지금은 마른잡초만 엉성하구려   죽어서 고이 묻힐때는 효자현손들 눈물로 봉분을 흠뿍이 적셨으련만 지금은 차디찬 망각의 비바람속에 두번다시 버리운 넋이 되여졌는가!   묻자오니, 누우셨는가? 잠드셨는가? 평생을 선행해 적덕하신 분이던가? 일세영달하여 부귀공명 누렸는가? 악명높아 천고저주를 맞은이신가?   앞뒤로 비문을 읽어도 알수 없어라 영화로웠던들, 루루평생 민초였던들 옛그날 가고 흥망성쇠 있는듯 만듯 인생일사에 모든것이 부질없음이여!   애석하구나, 잡초만 묵은 흙무지로 쓸쓸한 갈바람에 락엽만 날리누나 임자잃은 무덤이여, 쓸쓸한 고총이여, 누구에겐들 북망산풍경이 다를가만…                 1972년 11월 5일                                    희망아, 가지마!!!                          오, 내게 희망이란 무엇인가?                        무주공산 오솔길에 반딧불이?                        나그네의 휘청이는 먼 밤길에                        동화같은 농가집 창문에 등불?                                               쫓아가면 도망칠 얄미운 그림자?                        체념하면 제좋아 감겨드는 유혹?                        가난한자 주은 한쪼각 굳은빵처럼                        나에게는 희망이 인생의 찐빵이다.                          빵처럼 청춘의 가슴을 부풀게 하고                        보이지 않는 손으로 비틀기도 하고                        호을호을 아지랑이 같기도한 희망…                        오, 그래도 희망아, 내게서 떠나지마!                                                                                                    1972년 12월 17일                                                             내 비료를 줏노라                          푸름한 새벽이면 새벽마다에                        나 젊은아바이가 비료를 줏다                        굵은 새끼로 허리 찔끈 동이고                        개털모자 나귀귀처럼 펄럭이며                          내게는 모범사원 인연이 없어도                        줏노라, 마을의 골목골목을 기웃,                        지짐이떡같은 마른소똥도 줏고                        둥글둥글 언돼지똥도 주어담고…                          엽전인듯 한알한알 주어담는 나를                        친구들 껄렁하다 비웃기도 하리라                        새벽단잠을 똥덩이에 뺏기는 꼴을,                        그러나《사상》도 줏는줄 모르지?                          비료는 증산의 확실한 보증이라고                        량식은 귀중한 사회물질재부라고                        그것은 사회주의혁명의 토대라고                        보기에 루추한 행동은 고상하다고                          아니, 나는 그런 고상한것을 모른다                        알고싶지 않거니와 인연이 없기에,                        내 비료철학은 더많이 더많이 모아                        한공이라도 더 올리려는것뿐이니라                          자의식과 목적의지의 옳은 판단에                        나는 새벽같이 새벽을 마중나가며                       《비료산》을 쌓는 잔재미를 줏는다                        제멋에 산다는 싱거운 오기도 아녀                          룡정의 골목골목 변소마다 쳤을라니                        언인분수레 몰며도 가슴은 높일라니                        시내친구의 찬눈길도 피하지 않거니                        마을서 줏는 비료쯤은 웃으며 줏노라                                                    1978년 2월 8일                                                  통곡하라                           통곡하라, 통곡해도 뼈저리게,                         참회하라, 스스로를 잃어버린                         너의 그 모든것들을 뒤번지며                         참으로 절통하옵거든 통곡하라                           원래도 하찮던 너의 명예라도                         아초 세우지 못한 존엄이라도                         산산이 깨여져버린 꿈일지라도                         황소의 영각같이 으앙-통곡하라                           평범하나 진실을 살라려했다면                         찾을것,굽히지말것, 싸울것을!                         생명의 왕성기도 그렇게 병들어                         인생의 오솔길에 마냥 헤매는 너                           실락원의 실락자여, 너, 라르라여                         나날의 퇴적ㅡ생활의 두엄무지에                         주저앉아 통곡하니 늦어버렸구나                         가슴을 후비듯이 처절히 서러워도,                                                  벗어든 발 강을 건너기 두려우랴                         이제 잿물에 세번 삼긴들 어떠랴                         쓴맛도 습관되면 쓴줄을 모르나니                         차렷!눈들어 멀리보며 앞으로갓!                                                                                 1973년 2.26                                           기다리자!                          오늘이 못견디게 괴롭더라도                        기다리자 ! 참고이기는 인내가,                        운명과 씨름하는 인고의 한이,                        나로서 살아가는 기술아니냐?                          나무밑에 앉아 토끼를 기다림도                        태공의 곧은 낚시질도 아니여라                        게으름없이 노량 자기를 준비할제                        야박한 운명신도 널보고는 있으리                          때는 와서 기회님이 너를 부를 때                        가라지같이 속없는 너의 존재라면                        너 스스로를 탓하며 무릎을 치리라                        스스로 돕는자를 하늘도 돕는다거늘                                                       1972년 7월 5일                                                                                  비내리는 두렁길                           비가 내리누나, 나무얼레빗에                         빗살같은 비 줄줄이 내리누나                         맨발에 삽자루를 지팽이 삼고                         미끄러운 논둑길을 휘뚱-휘뚱                          《푸름한 새벽에 해지는 저녁에                         논물을 보살피며 다니던 논둑이                         얼마더냐 》신나도 나는 무감동,                         노래의 주인공이 내가 아니기에…                           내가 알고 내가 해놓는 일이란                         이른 봄에 이 논판을 갈아엎고                         저 논답에 써레놓고 번지치고                         쪽지게로 모단이나 지어나르고…                           내 얼굴에서 떨어지는 물방울                         비물인지 눈물인지도 잘모른다                         논코마다 떨어지는 저 논물처럼                         뚤렁-뚤렁 눈물방울 떨어질라나                           비내리는 허허 논벌에 뻗어나간                         가로세로 얽힌 가르마 논둑길은                          갈래갈래 나의 인생길 같은건가                         내가 걷는가, 내혼이 걷는거냐?                           어정어정, 건정건정, 주춤-주춤                         이길로 갈가 저 내둑으로 갈가?                         사는게 이리도 멋없이 힘들어도                         한가할세라 늘 분주스런 나그네                           앞에 오는 비는 비가 아니더냐?                         뒤에 내리는 비물은 비물아니냐?                         비내리는데 아무도 없는 논둑길                         혼자 헤매도는 나는 누구이신가?                           작달비 억수로 내려야 쉬는 날은                         두세곳 논도랑에 고기채발을 놓고                         도롱이에 삿갓쓰고 부른듯이 간다                         미꾸라지야, 부디 많이만 내려다오                                                        1972년 9월 18                   아들아,   한번 나직히 불러를 보아도 봄눈녹듯 만시름이 풀어지고 망울진 일백꽃이 피여나듯이 기쁨이 절로 웃음으로 터진다.   아들아, 다시 소리쳐 부르면 장강 굽이치는 세찬 물결처럼 내가슴에서 인고의 한과 감내 줄기차게 흘러서 넘치는구나   귀염둥이, 보배둥이, 사랑둥이 얼싸춤이 더덩실 절로 나누나 금돌, 은돌로 쌓은 사랑의 탑 너는야, 내희망의 샛별이란다.   농부의 아들로 태여난 너이지만 나의 분신, 나의 넋, 나의 일체 오로지 너 하나를 위한 촉망으로 살리라, 아무리 고달파도 억차게.   처녀지에 심은 첫사랑의 씨앗이 단열매로 맺혔거니 잘 자라거라 미루어 축복하는 간절한 마음에 부성애가 강물처럼 굽이치누나                             1973년 2월 10일 (음력 1월 14일)                                    용기야, 함께 가자!                            청춘은 말이 없고                          사랑도 막 시들어                          황혼빛 설운 그림자                          끌면서 홀로바장이다                            노래도 편을 가르는때                          몰래 남몰래 외워보는                          서글픈 노래 내게 있다                          노래아닌 인생의 하소연,                            오늘도 걷는다마는                          정처없는 이 발길                          사나이 가슴속에                          눈물이 어렸다…                            서리서리 정한도 즈려밟고                          방울방울 눈물도 삼키면서                          어둠의 저 끝, 새벽을 향해                          용기야, 떨지말고 그냥가자,                                             1973년 2월 26일                          샘물가에서   아동공정 찾아 더덜털 50리 도보길 길섶 반가운 샘물에 갈한목 잠근다. 용용 애쓰며 솟아 쬐끔 고인 샘물을 어제밤 노루사슴네가 달게 마셨을가 ?   작은 땅구멍으로 샘솟는 정갈한 샘물 욕심이 만약 더 깊게, 넓게 파헤치면 지하수되여 콸콸 용솟으련만, 그때는 샘물이 아니라 실개울이 되여 흐르리   옳거니와, 사람의 감정의 왕국에서도 묵은 옛 감정을 꼬치꼬치 파헤친다면 더더욱 증대되는 정서의 흐린 흐름은 숲을 가르고 조약돌 굴리며 고패치리   바라건대는, 다치지 말지어다. 기쁘게 알맞춤솟아 차분히 찰찰히 넘치는것을, 아서라, 어지러운 뭇손길들아, 멈춰라! 샘물은 제멋대로 솟아서 맑기만한데이   우리 어이 알리, 지심깊은 곳 그 어디서 암층도 뚫고 실개천이루는 미쁜 마음을, 다욕이여, 이만하면 언제건 기껏마시고 거울도 되여 먼지손 씻을수도 있는것을,   그대여, 저같이 용솟는 내사랑의 샘터에 아직도 무엇이 모자라 그리도 불만인가? 밤낮으로 식을줄 모르는 정열의 불가마 너무 뜨거워서 분에 넘친다는 불평인가?   바가지에 물이 차면 흐르지 않더이까? 샘물도 솟아서 고여서 넘치면 흐르나니 예전에 흘러버린 그 샘마저 되돌리려나? 굳어진 과거는 깨보아야 부서질뿐이거늘 샘물은 흐려놓아도 이제 금방 다시 흙감탱이 갈앉히고 맑은거울 하나로 네얼굴, 내얼굴 두얼굴을 비출것인데 정감도 흐렸다 맑아지는 샘물같아야…                         1973년 5월 12일                                    과거사 못잊게소                             하도나 못생긴 내 인생살이여서                           어스름 깃든 강기슭 버들숲에서                           내청춘이 절로도 넘 불쌍해져서                           울었소, 소리쳤소, 가슴터지도록                             남들은 모르나니 내령혼의 아픔을,                           세월의 숫돌에 갈리면 닳아버릴가                           참으로 가슴이 찢기는듯 괴롭건만                           운다고 발버둥친다고 누가알리요                             말마소, 내게도 잊고싶은 과거날에                           꿈결같은 푸른 희망이 푸득거렸소                           청춘의 정열도 설설설 끓어번져서                           자기다운 인생설계에 밤도 새웠소                             해는 예이제 동산에 솟아오르기에                           래일에 대한 희망의 실날 이어가오                           사나이눈물은 눈에 난 물이 아니라                           방울방울이 심장서 흘러나온 피라오.                                                             1973년  (양력설)                                       내감정의 건반은                                늘 함께 있어서 권태롭기보다는                             보고싶어 그리운것이 더 나으리                             이렇듯 잠간의 리별은 서로에게                             애틋하던 정을 찾아주기도 하리                               화려한 새것도 오래가면 색바래고                             노상 먹으면 이밥도 물내난다하듯                             꿈같은 향락도 곧 시들해지오리라                             습관처럼 되여진 부부사랑도 같제,                               떨어져서 사는 그 얼마 동안만은                             지나간 모든것 새삼스레 소중하리                             슴슴한 애정극도 재연하면 각별해                             또 다른 느낌이 반성을 불러오리다                               그리움의 저 너머에서 좋았었던                             가지가지 일들이 노여움을 씻고                             함께 하였던 사소한 불평불만도                             인륜지락임을 깨친듯이 알리오리                               있는대로 들어내여 빈헛간처럼                             마음의 골방을 다 비우지 말고                             먼지낀 감정의 건반위 두드리며                             추억의 노래를 연주해 보시라예,                               때로는 폭포처럼 쏟아지던 정열                             때로는 잔잔한 호수같이 깊으리                             부부란 만나서 함께 울고웃으며                             결말없는 산문시를 지어야겠지요                               잘있소, 잘가세요, 인사도 덤덤히                             손한번 휙 젓고 그렇게 떠나와서                             여기 공사장숙소 찬구들에 누우니                             내아들과 당신 내곁에 따뜻하구려                                            1973년 5월 20일                                                                   장인강에 흘려버린 시조가락                           뉘라서 반고만이 천재개벽 했다더냐                         상전이 벽해됨도 우리 손에 달렸거니                         강물을 척 가로막아 인공호수 만드노라.                           인중이 승천이라 못해낼일 없는고야                         높아가는 언제우에 천군만마 비등하네                         장인강 생명수되여 평강벌을 적시리라                           산과물 다스리니 우공이산 따로있냐                         장인골 골어귀에 만년대계 일어선다                         오호라 상전벽해가 여기서 시작되네                           열혈의 청년들이 땀을 쏟는 저수공정                         그대로 렬화속에 금강들이 모였도다                         그언제 다시 온다면 감구지회 깊으리라                                                                                                               1973년 6월 10                                   농가의 점경                             어슬녘, 하지쳐버린 발길로                           더털털 일밭에서 돌아오면                           불밝은 창가에 고운아가놈                           반가워라 고사리손 흔들고                             땀흘리며 사는 보람이신가                           꽃밥통에 수북한 이밥내음                           배부름의 인간상정 부르고                           토장국에 피곤도 싹풀어져.                             이런 장면에 행복할게라고                           얼추 쓴 이글 전원목가라고                           유감이여, 전원목가는 애초                           농부님네 몫이 아니였거늘…                             모내기 성수난다는 노래가락                           신나는지 싱거운지 나는몰라                           터밭오이처럼 자라는 내아들                           안개낀 장래에 담배만 풀-풀…                                                                 1973년 10월 7일                                        설날의 헌시                           어찌 명절을 맞을때만이랴                         혈친들이여, 천애이역으로                         사랑찬 말로 축복을 보냄이                         종지부없는 헌시를 엮어감이                           어찌타 떨어져 살아서만이랴                         한핏줄은 숙명처럼 끈끈한것                         그리움의 여울목 세찬물결에                         붓을 적셔서 헌시를 쓰는것이,                           아니노라, 나날이 또 시시로                         씨알마냥 사랑을 무르익히고                         다함이 없는 혈육의정때문에                         눈물도 글썽, 이리도 헤퍼서…                           세월은 무정,무정하게 흘러도                         사람은 모르는 그새 늙어가도                         한어머니 젖을 먹고자란 우리                         하루도 잊으면 가슴비는 우리                           형제는 수족같다고 하였거늘                         형제애 어찌 린색할수 있으랴                         형제자매여, 정나미도는 부름                         내가슴에 정찬노래를 새기거늘                           혈육들이여, 이러한 우리 사랑을                         자랑하라, 가슴속 깊이 간직하고                         인생의 망망고해를 언제나 함께                         어엿차, 한결같이 노를 저어가자.                                            1974년 12월 30 일                                        말파리야, 달려라                            《북국의 풍광 천리에 얼음얼고                          만리에 눈날리네…》를 떠올리며                            만주, 천리설원에 달리는 말파리                          흩날리는 눈가루는 꽃보라인가                          락조도 은빛으로 부서지누나                          달려라, 고동마, 내마음 급하다                            그 옛날 말갈인의 채찍소리에                          천년 동토대가 가슴헤쳤던가?                          들뛰는 철혈 고구려무사들의                          말발굽에 채운을 휘감았을가                            어스름 재촉하는 황혼속에서                          력사도 속절없이 저믈었으리                          사연 많은 흑토지대여, 너는                          흰옷의 개척민들을 기억하냐?                            남이랴, 북이랴 아득한 만주벌                          가도가도 망망한 빙설의 천리길                          그젯날 망국의 서러운 무리들이                          찍은 발자국 눈물겨워 생각난다.                                  1975년 1월 18일  (북안ㅡ 극동)                     나는 바보인가   때때로 스스로에 우문이 있어 “나는 타고난 바보이였던가? ” 짓밟힌 자존이 항변하는 우답 “아닐걸, 못생긴 새끼오리일뿐”   우문우답에 앙금처럼 갈앉는 정한ㅡ 나더러 선택은 자유라고 하지마라 노새는 자유선택을 알고 태여났냐? 그러나 나는 재수없는 노새 아니다.   인간에게 참을수 없는 슬픔이 있다면 소외당한 시대의 페물이 되는 일이리 우연히 이 세상에 길손으로 왔건만은 왜들 모두 필연의 출생이라 탓하는가                              1975년 2월 26일                                     산향의 소야곡                             구름을 헤치며 달리는 둥근달아래                          록파만경 잔물결이는 문전옥답에서                          우썩우썩 벼포기들이 아지차는소리                          촐랑촐랑 논코의 물소리도 청량하다                            밤바람 스쳐가는 저 논답마다에서                          소곤소곤 벼포기 속삭이는 소리에                          개구리합창단도 귀들을 기울이는듯                          푸른 달빛만 고요를 보듬고있어라                            노닥노닥기운 덧저고리같던 논판                          네모번듯 원전화의 논을 만들때에                          언땅도 녹여내던 우리네 구슬땀이                          이 밤의 서정을 이어가는게 아니랴                            땀으로 걸구어온 논벌이 말한다                          하얗게 피여나는 벼꽃이 노래한다                          농부일생 무한이여 그 수고로움을                            땅이 보증선다. 하늘님이 알고있다.                            밤은 깊어서 깊어지고 별빛 고요해                          삼라만상도 쥐나라에 잠들어버리고                          농가의 처마끝에 새벽이 걸리는데                          나의 이 소야곡은 잠기를 몰라하네                                                      1975년 8월 15일                                 록음이여, 방초여                            농부가 쉬는 날은 예이제                          강가나 산밖에 더 있으랴                          나는 누가 부르기나 한듯                          허위허위 늪더기를 오른다                               아들놈 돌멩이처럼 붙안고                          초개덕이 오솔길 굽이잣아                          모아산기슭 잔솔밭 찾아서                          두다리 퍼더버리고 앉는다                            가쁜숨 몰아낼새도 없이 후ㅡ                          담배연기 굴뚝처럼 뿜어내고                          산하ㅡ넓은 세전벌 굽어보니                          벌판가득 무르녹는 록음이여!                            여기엔 철없는 환상도 없고                          여기엔 시들한 절망도 없고                          공연히 목대세운 파벌싸움도                          피를 부르는 무단투쟁도 없다.                            오직 한창인 대자연의 잔치와                          성숙을 재촉하는 정열이 있다.                          마른가슴 푸른빛으로 물들고                          일만가지 욕망이 푸덕거리는…                            그렇다, 나는 예서 참되고 참된                          인성을 되찾아보고 재확인한다                          오, 푸르싱싱한 대자연의 정화여!                          흐드러진 록음방초여! 승화시여!                                                                                                    1976년  6월 10일                                        통운이 트도다                            체념에도 리유가 없으랴만                          기다림은 인생의 예술인듯,                          끈진자는 운명도 알아준듯                          통운이 튼다. 내게, 드디어!                            사람은 옛인연 없지 못할것이,                          우연히 만나 성심껏 천거하니                          서에서 조력하고 동에서 응하네                          ㅡ지성인인 김시룡아바이 고맙수다.                                                   뒤몰리기만 하던 못난새끼오리가                          히야! 탈태환골해 백조가 될라시네                          새봄깃든 강산에 채운이 비꼈네                          바야흐로 두나래펴고 훨훨 날으리                            남아 서른다섯, 잃어버린 반생이여!                          늦게나마도 소원성취하게 되였으니                          운명의 신을 원망할가, 껴안을건가?                          생활을 저 끝까지 옹호하며 살리라                            세월이 하좋아져 시세를 잘 타거늘                          내 꿈에도 바라던 교편을 잡으리라                          아, 운명은 얄궂으냐? 공정한거냐?                          그동안 나와 롱담이랑을 하였더냐?                                                          1977년 2월 15일                                       영예의 교단에 올라                            동란의 10년, 쑥밭이 되여버린                          교육의 동산에 새봄은 좋아라                          드디어 영예의 교단에 오르나니                          민반교원이면 어떠랴, 가슴벅차!                            오랜세월 지탑잡던 투박한 손에                          숙망의 분필한대 비스듬 잡아쥐고                          칠판에 내이름 석자를 정히 쓴다                          드믈긴 하지만 지극히 평범한ㅡ                            그리고 각별하게 고른 내 첫마디가                          《학생동무들, 오늘부터 저와 함께                          묵어있던 교육의 터밭을 갈아봅시다                          -굴레벗었던 들말들이 씨-익 웃는다.                            동무들, 아는것이 힘이겠지요? 너무도                          많이 들어서 익숙해진 시들한 표정들…                          그러나 인생을 준비하는 학생동무들은                          평생 좌우명으로 삼아야 할것입니다. 》                            그리고 밤새워 쓴 서툰 교안을 펼쳤다                          나의 교육의 첫아침은 이렇게 시작된다                          나의 후반생의 전환점인 영성중학교여!                          백발성성하도록 이 교단에서 살아가리라                                                1977년 3월 1일
171    그들은 짐승조차 못되였다 댓글:  조회:3109  추천:1  2012-08-06
                              수천년의 문명사에 국한해서도 인간이 인간에 대해  저지른 만행을 기록한다면 길고 참혹한 씨나리오일것이다. 전쟁은 인간의 야만성과 잔인함을 가장 잘 보여주는 도살장이다. 방화, 략탈, 살인, 강간, 고문…특히 일제가 중국을 침략했던 시기의 남경대학살은 인종배타성, 인간의 폭력성, 잔인성, 광기 등을 극단으로 보여준 인류의 최대치욕으로서 인간에 대해 근본적인 회의를 불러왔다. 8년항전기간 중국군민의 상망자수는 무려 3천5백만명에 달한다. 특히 일본군의 남경대학살같은 현대인간비극은 생각만해도 몸서리쳐질 일이다. 일본군 수뇌부는 전쟁에 지쳐가는 병사들에게 위안대상을 찾기에 골몰했다. 중국군의 거센 저항기세를 꺾을 희생양을 찾아 중국인에게 본보기를 보이려고 남경진입전 치밀한 학살계획을 세웠다. 일본군은 조직적인 군사작전을 치르듯 6주동안 남경의 열세곳에서 대학살을 감행했다. 당시 남경침공전에 주력이였던 일본군 제6사 사단장 고꾸 도시오와 제16사 사단장 긴도우곤 아사코가 지휘하는 부대는 인류문명사상 가장 무시무시한 인간도살극을 연출했는데 30만의 무고한 중국생령들이 도륙당했다. 남녀로소 무차별 살륙의 광란이였다. 중국계 미국인 력사가이며 작가인 아이리스 장(張純如, (녀)1968년 3월 28일~ 2004년 11월 9일은 베스트셀러 에서 죽은 사람들이 손을 잡으면 남경에서 항주까지 222㎞를 이을수 있고 흘린 피의 량은 1200t에 달한다"면서 "시체는 기차 2500량을 가득 채울수 있고 시체를 포개놓는다면 74층 빌딩높이에 달할것"이라고 적었다. 남경은 그렇게 참혹한 인간지옥으로 변했다. 남경을 점령한 일본군은 중국인을 죽이는것으로 무료함을 달랬다고 한다. 이런 야차들이 세상에 또 있을가? 일본군은 투항한 중국군포로뿐만 아니라 젊은남자들을 색출하여 성밖에서 기관총으로 학살하였는데 적게는 수십명, 많게는 만여명이나 되는 포로와 남자들은 일본군의 총검술훈련용이나 목베기시합의 희생물이 되기도 했다. 적지 않은 중국인들은 총알을 아끼려는 일본군이 산채로 파묻거나 란도질했다. 어깨로부터 비스듬이 내려베여 심장을 다치지 않게 한다는 기모도리라는 검술로 심장을 꺼내먹었다는 사실도 드러난바 있다. 일본종군특파원 오마다 유끼오는 다음과 기록했다. "첫 번째줄에 서있던 포로들의 목이 잘렸다. 두번째줄에 서있던 포로들은 자신들의 목이 잘리기전에 앞줄에 서있던 포로들의 잘린 몸통을 강물에 던져넣어야 했다. 살륙은 아침부터 밤까지 계속되였지만 이런 방식으로는 2천명밖에 처리할수 없었다. 그 다음날 이런 처형방식에 싫증난 일본군은 포로들을 한줄로 세우고 기관총을 란사했다. 포로들은 본능적으로 강으로 뛰여들었지만 강건너편에 도달한 사람은 없었다…" 남경경의 한 광장에서는 천여명의 사람들이 몇줄로 구분되여 세워졌다. 군중 가운데는 녀자들과 어린아이도 끼여있었다. 일본군은 군중에게 석유를 쏟은뒤 바로 기관총을 란사했다. 총탄이 사람들의 몸을 꿰뚫을 때 석유에 불이 붙었다. 아비규환의 지옥같은 광경, 그러나 일본군들은 자신들이 연출한 장면을 보며 웃고 즐겼다. 제 2 차 세계대전후 발견한 남경대학살에 참가한 일본군인의 일기에서는 "심심하던중 중국인을 죽이는것으로 무료함을 달랜다"면서 "산채로 묻어버리거나 장작불로 태워죽이고 몽둥이로 때려죽이기도 한다"고 적혀있었다. 인간사냥이 극에 달하면서 일본군은 녀자들에게도 마수를 뻗쳤다.남경대학살에서 이뤄진 강간은 더욱 잔혹했다. '집단륜간', '선간후살'(先奸后杀)….일본군은 녀성을 성노리개로 삼는것에 그치지 않고 강간후 참혹하게 살해했다. 그 대상은 열살도 안된 어린이부터 60·70대 로파까지 그 대상을 가리지 않았다. 일본군은 수녀와 비구니를 포함하여 남경의 녀성들을 보이는대로 릉욕했다. 성스럽다는 일본군은 선간후살(先奸后杀)에 임신부,태아까지 살해하는 인성을 완전 상실한 만행을 너털웃음속에서 자행했다. 일본군법은 강간을 금지하긴 했지만 고급장교들을 비롯하여 누구나 강간을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일본군은 임신중인 녀자도 강간했는바 강간뒤 임신부의 배를 갈라 태아를 꺼내 함께 죽여버리는 만행도 서슴치 않았다. 일본군병사인 아즈마 시로는 "중국녀자들을 옷을 벗겨 구경한뒤 '오늘은 내가 목욕 하는 날이다'라 웨치며 륜간했다, 륜간뒤 우리는 그 녀자들을 죽여버렸다, 시체는 말을 할수 없으니까"라고 당시 상황을 회고했다. 남경시내 곳곳엔 사지가 절단된 시체와 더불어 다리를 벌린채 죽은 녀자시체가 쌓였다. 일본군은 살해한 녀성의 성기를 도리거나 그 속에 막대기를 쑤셔넣기도 했다. 일본군에 의해 가슴이 도려나가고 성기가 잘려나간 녀성이 숨을 멈출때까지 고통에 몸부림치자, 일본군은 박수를 치며 웃어댔다. 중국 는 한 생존자의 목격담을 실으면서, "죽은 녀시체의 열중 여덟은 배에 칼을 맞고 죽어있었다, 녀자들은 가슴이 잘려져 떨어져 나왔고 그렇지 않은 시체는 총검에 숱해 찔려 가슴의 형체를 알아볼수 없었다, 한 녀자는 고기덩어리처럼 변해버린 태아옆에 쓰러져 죽어있었다"고 보도했다. 인간은 선량한가? 악한가? 세인들은 남경대도살 와중에 출현된 악명높은 살인광들을 기억하고있다.  일본군 제6사,16사《편동련대분산영(片桐联队富山营)》소위부관이였던 노다 다케시(野田毅)는 1937년 당시 25세였고 무카이 토시아키(向井敏明)는 같은 부대포병소대장이였는데 당시 26세였다. 두놈은《백인참사경색(百人斩竞赛)》을 하였는데 먼저 100명을 죽이면 승리자인것으로 약속하고 승리자에게는 포도주한병을 장려하기로 하였다. 당시 금방 대학을 졸업한 24세의 나이로 동경심판에 참여하였던 고문빈(高文彬 ㅡ현재 유일하게 생존한 견증자) 은《동경일일신문(东京日日新闻)》에 게재된 보도를 발견했는데 살인과정, 정확한 수자에 사진까지 곁들어있었다. 전쟁당시 일본매체들은 흥미진진하게 잔폭한《백인참》을 무용담으로 보면서 살륙찬가를 엮어댔다. 량지가 있는 사람이라면 차마 다 읽어내려갈수 없는것이였지만《충실》하게 력사기록을 남겼으며 흰종이, 검은 글자사이 사이에 피비린내가 랑자하였다. 보도를 읽은 고문빈은 페가 터지는듯 하였다고 한다. 그는《백인참초기록(百人斩超记录》이라는 제목의 보도를 내보냈는데 문장에는 두살인광의 대화내용도 있다.     노다: 어이, 난말이야 105명을 베여버렸어, 당신은?     무카이: 나는 106개야,     두소위는 하하하 웃었다. 결과적으로 누가 먼저 백을 베였는가를 묻지 않았다.     “빅은 유희로 치자구, 다시 150명을 베기내기를 하는게 어떤가? ” 두사람은 의견일치를 본후 11일부터 150명베기 시합을 시작하기로 약정했다. (하략) 당시 일본에서는 신문심사제도가 아주 엄했는데 종군기자들의 보도와 사진이 당당하게 일본신문들에 게재된것은 무엇을 설명하는가? 바로 일본군 특유의 “무용전” 으로서 모두 일컬어 “무사도정신”과 열광적인 군국주의사상을 선양,고취한것이다. 기실 “무용전”의 뒤에 피와 잔폭성을 쉽게 보아낼수 있다. 그러나 일본군국주의자들이 전 민족을 선동하며 미쳐날뛰던 년대에 이런 보도들은 “인심을 흥분시키는 영웅 사적”으로 되였으며 “백사람베기경쟁”은 노다와 무카이같은 살인악마들은 일본땅에 가가호호에서 다 아는 “영웅”이 되여졌다. 그러나 죄는 지은데로 가는법이 아니던가? 태평양전쟁이 폭발하여 비률빈에 주둔했던 이 악명높은 부태는 미군상륙부대에 의해 620명이 겨우 목숨을 부지한 나머지 모조리 18층지옥에 떨어졌다. 동경심판과정에 중국대표단에서는 또 다른 살인마귀를 발견했는데 일군제6사단 대위중대장이였던 다나카 키쯔란 놈이였는데 남경 중화문에서 수서문구간에서 300여 명의 중국군포로와 평민들의 목을 베여버린 이리도 아닌 극악무도한 악마였다. 포로 되였다가 귀국하여 도꾜부근의 기옥현에서 난전을 하던중 체포된 놈이다. 1947년 12월 18일 남경군사법정에서는 이 세악귀들에게 사형판결을 내리였다. 죄악이 하늘에 사무친 놈들에 대한 징벌은 공정하지만 우스운것은 그자들이 철증같은 사실앞에도 시종 자기들의 죄행을 승인하지 않았다는것이다. 그런 증거와 그자들의 승인자체가 중요한것이 아니다. 그들이 왜 승인하지 않았을가? 저들이 저지른 만행을 승인하면 엄벌이 두려웠을게다. 징벌을 두려워한것은 개목숨이 아까웠다는 얘기다. 다른 생명을 놀음처럼 해칠때 생명이 누구에게나 귀중한것을 생각못했는가? 결국 약자에게 강폭한 자들이 거개 그러하듯 자신들이 더없이 비겁하고 비렬하며 너절한 생령들이였다는것을 자인한것이다. 우화대의 사형장에서 최후의 담배를 피우는 장면 이 력사기록으로 남아있다. 타들어가는 담배대를 보며 과연 무엇을 생각했고 무엇에 초조해했을가? 모르긴해도 담배대가 무한히 길기만 바랬을것이다. 당시 중국을 대표하여 원동국제군사법정의 법관으로 출정한 매녀오(梅汝璈)는 법정에서 이렇게 말하였다.“ 나는 복수주의자가 아니기에 일본군국주의가 우리에게 진 혈채를 일본인민들의 몸에 기록할 뜻이 없다. 그러나 나는 과거의 고난을 잊는다 면 가능하게 미래에 재화를 불러올수도 있다는것을 확신한다. ” (북경일보 ㅡ2012년 7월  17일부) 그의 말은 정확하며 원경성이 있다. 그러나 군국주의자들이란 누구누구들인가? 일본천황인가? 도죠 히떼끼인가? 노다 다케시인가?고꾸 도시오인가? 당시 일본인민이라는 개념의 외연과 내포는 어찌되는가? 여기서 “인민”이란 개념은 모호해진다. 노다나 토시아키같은 자들은 하늘에서 떨어졌는가? 원래는 선량한 청년들이였는데 침략전쟁이 악마가 되라고 핍박하였고 할수 없이 군도로 학살유희를 벌렸는가? 그러나 일본군국주의 유령부스러기들은 아직도 ‘신화같은 조작’이라고 당나발을 불며 피로 씌여진 력사사실을 극력 부정하고있다. 하긴 인간은커녕 짐승도 아니였던 자신들의 만행을 기억한다는것은 힘든 일이 아닐수 없다. 황야의 승냥이들이 얼마나 많은 양을 잡아먹었는지 알수 없듯이 말이다. 그리고 더 슬픈 일은 많은 중국사람들이 내혈육이 아니고 아득히 흘러간 세월의 언덕너머에서 벌어진 일이라는데서 기꺼이 망각하고있다는 사실이다. 잊을것이 따로있다. 이런 망각은 고통을 잊게 하는 령약이 아니라 민족혼의 상실과 무위무능을 말해줄뿐이다. 우리 민족은? 강도는 칼을 쥐지 않는 부처님에게 탄복하는 일이 없다. 인두껍을 쓴 야만들은 꿈도 살륙하는 꿈으로 장식할것이다. 일제침략군이 격세유전의 만행을 저지른것은 그 자들의 죄악이고 사람들이 잘사는 나라인것만 알고있는 아이러니는 력사의 수치이고 비애일뿐이다. 피로 기록된 력사는 망각의 이끼로 덮혀지지 않는다. 지금 일본정부의 작태는 어떠한가? 더 악착한 승냥이로 되려고 발톱질을 하고있지 아니한가?                             2012년 7월 27일 (수정고)    
170    (1960년대 자작시) 땅에 묻어 곰팡낀 잠꼬대 댓글:  조회:9566  추천:3  2012-07-30
                           땅에 묻어서 곰팡낀 잠꼬대                                        밀림의 일기                             열여덟살, 덤벙대는 애숭이가                          둥글이 등에앉아 화집령넘고                          고동하 유서깊은 물결거슬러                          밀림아, 내 네품에 들어섰노라                            백두의 천고밀림 책에서 읽으며                          꿈길에도 찾아오던 너 림해여                          항일전의 밀영지는 어디쯤이냐                          일제가 략탈한 흔적만 어수선타                            내 모르고 왔던들 무슨 대수랴                          이제 막사를 짓고 저목장 넓히고                          갈래갈래 파리길 가로세로 빼고                          하는 일, 일마다 벅차도 해내리라                            다시 산을내려 화집령초지에서                          맨발로 소먹이 새초를 베여묶고                          만두한쪼각이라도 더얻어먹을가                          화식칸에 화부도 마다하지 않고                            다시 전설의 게굴라즈령을 넘어                          독립군들 일본군족친 천수동에서                          전화줄거두고 레루장도 메나르며                          나는 어섯눈을 떳다, 인생고에…                            햇내기 채벌군으로 첫톱을 걸어서                          한대, 한그루 거목들을 베여넘기고                          짓누르는 목도채 허리펼수 없어도                          한바곤, 또 한차 목재를 메여싣고                            살을 에이는 눈보라, 눈보라속에서                          저목장에《문티》를 쌓아올리면서                          목재라 사지판의 진실을 읽으면서                          나의 참인생은 이렇게 시작되였다                            밤, 토비굴같은 썰렁한 막사에서                          호롱불 밝혀놓고 시줄도 엮다가                          노그라진 목도군의 꿈도 시리여                          밀림의 긴긴 밤이 코를 골고있다.                                                                                        1960 년 12월 28일                                                                             하산도야 (下山倒)                                 쌰산또ㅡ오ㅡ쌰ㅡ산ㅡ또ㅡ오ㅡ오ㅡ                               넘어간다ㅡ너ㅡ머ㅡ어ㅡ간ㅡ다ㅡ아ㅡ                               채벌군의 규칙이라 웨쳐야 한다기에                               하루 수십백번, 배꺼지게 곱씹는소리                                 시퍼런 도끼날도 탱탱 튕겨나는                               아름드리 쇄스래, 가문비나무에                               무릎꿇고 첫톱날을 걸었을 때                               자랑찬지, 보람찬지 나는 몰랐다                                          한대라도 더 큰놈을 베여제끼려                               제격인 채벌군이 되여본답시고                               맹종에 무지한 열정을 올리며                               쓱ㅡ싹…헝헝, 쓱ㅡ싹…헐씨근…                                 나무들도 당당한 생명인것을                               무차별 찍어내고 베여낼 때에                               목재생산이라고만 생각하였다.                               자연과 략탈의 사이비도 모르고…                                 채벌군은 생산자냐? 파괴자냐?                               저목장에 목재는 산처럼 쌓이고                               밀림은 나날이 엉성해 가는데                               내손엔 목재돈 두툼이 쥐여질가?                                             1961년 2월 3일                                          청송례찬                                 높은산 거친 바위우에                               하늘 찌를듯솟은 락락장송                               백설이 흩날려 만건곤하여도                               보란듯 거연히 선 송백이여                                 장하고나, 너의 그 기백에                               차마 톱을 걸지 못하겠구나                               너를 기리는 마음 약해져서                               내 가슴에 뿌리채 옮겨심었다.                                          1960년 12월 30 일                         (첫번째 고동하림장일기)                                                                                 밤길을 걷다.                                                    최 균 선                                밤길에도 심심산속의 밤길                              가랑잎에 쪽잠도 그리운데                              둥글이야, 너도 맥을 놓냐?                              이랴, 이눔의 소 어서가자                               몇십리나 걸었는지 모르겠구나                             가고가도 숙소는 보이지 않고                             어둠만이 천고의 밀림을 감싼다                             안내할 이도, 길물을 이도 없다                               남이랴 북이랴 무작정 걷는길                             그냥 갈가? 서성이는 내발길                             길아니면 가지말라 하더라만                             지금 내가 갈길이 어드메냐?                               밤길을 걸어야 할 내운명이라면                             동서남북풍처럼 그렇게 가리라                             숙명으로 이어진 나의 길이라면                             새벽이 내게 손짓하리라 믿으며…                               안내자가 없다. 나혼자 걷는다.                             산몸뚱이가 걷는게 아니다.                             산정신만이 나가는게 아니다.                             나를 앞으로 떠미는 무엇이 있다.                                                                                                                                                     1961년.11. 6                                                                         사랑의 노을                                           최 균 선                              동산에 고운아침노을은                            이내나 정열의 색채라오                            그대여, 창문을 여시라                             눈부신 황금빛 내사랑                            아름차게 받아안으시라.                              서산에 물든 저녁노을은                            불타는 내정열의 화염이라                            그대여, 창문을 닫지마시라                            평생을 다함이없을 내사랑                            꿈자리 따뜻이 덥혀주리라.                                                                  1962년 5월 4일                                       청명날 소감                             쾌청한 날, 하늘은 맑은데                           안굽에 찰개논갈다 지쳐서                           몇이는 양지쪽에 오구작작                           마라초연기로 허기를 달랜다                             때에 묘지서 들려오는 넋두리                         《애고ㅡ먹을것두 못먹구시리                           입을것도 몬닙고 고생고생하다                           이렇게 먼저갔으니 난 어쩌우ㅡ》                             공연히 기분이 찜찜해지는데                           데설궂은 한 친구가 흉내냈다                          ㅡ애구, 먹을것도 몬입구스리                           입을것두 몬먹구스 난 어찜둥…                             누구도 웃지않고 무덤덤하게                           담배연기만 풀풀 토해올린다                           해는 둥실 중천에 한가로운데                           위주머니는 차차 처지는 느낌                             배고파 배고픈 이야기들에                           먹고파 먹는얘기에 갈앉고                           그누가 어디서 잘먹던얘기                           비린 비위만 돋구어 싱겁다                             해마다 이 논을갈아 벼심고                          가을마다 낟알산은 더높은데                           어이해 대식품에 매달렸던가                           위험한 발상 스톱, 자 갈아보세                             위여위여 쨔 ! 황소는 등이휘고                           농부들 풍년을 바라 힘을 빼고                           남의둥지에 알낳은 뻐구기소리                           밭갈이 재촉, 뻑꾹, 뻑뻑꾸ㅡ욱                                                               1962년 4월 5일                                둘이만 있으면                             세상은 저리 넓어있어도                           둘이만 있으면 좁아지고                           세상은 시끌벅적하여도                           둘이만 있으면 진공상태                             몸과 마음 하나로 엉키여                           순간도 소중한 그런 사랑                           세월이 가도 늙지 않으리                           둘이하는 사랑은 하나여!                                    1962년 8월 5일 (그대에게 주는 편지)                                                                                      그리워                                                                  사랑하는 마음 재가 되여도                              말한마디 건네도 못보고                                  멀리서 바라보기만 했소                            하늘가 저 멀리                              정처없는 쪼각구름에                                  시든장미같은 그리움 실었소                            아, 어느날 그대의 창가에                              굵은 비방울 휘뿌리면                                  시작도 못해본 내사랑이                            이리도 아파서                              그리움의 눈물이 되여                                  쏟아지는줄 알아주오                                            1982년 9월 11일 (님에게준 시)                                              밀림의 고뇌                      날씨 하도 포양하여 꽁무니에 도끼차고 숲속에 가다                   겨우내 베여내고 실어내여 엉성해진 숲, 마음도 썰렁,                    태고연하던 밀림의 침묵 여기서 깨여지니 처절한가                    새봄이 웅덩이라 골짜기라 휘저으며 적설을 녹이니                    여기저기 드러난 파괴와 아픔이 아수라장 되였구나                    흥심도 없이 내가 베여넘긴 나무는 실려가 없고…                     끈끈한 습기속에 탈진한듯 수림은 미동도 없는데                   오직 절망적인 하소연과 적막과 공허만 한숨겹다.                   목재생산이란게 무어냐? 허울은 좋지만 저보아라                   리기에 눈먼 우둔한 파괴가 아니던가? (아차, 실언)                   알수 없구나, 생산과 파괴의 오묘한 경제학적원리를                   이제 3십년이 지나 심심백두밀림도 결딴나리니…                  (아서라, 내같은 하층인이 알게 뭐냐, 잘들 해봐라.)                     씁쓸한 허구픔을 앞세우고 더 깊이 멀리 들어가니                   들어갈수록 태고적에 우수가 무겁게 숨을 고른다                   생각하는 략탈자들의 침해를 받지 않고 아직은                   순수의 그것대로 남아있는 밀림의 내연성이,                   고목들의 침묵과 사색하는듯 그 자태 처연하다                   울울한 밀림이야말로 대자연의 유일한 걸작이고                   발길닿지 않은 산이야말로 불후의 기념비인데…                     용케도 살아남은 나무들은 무엇을 기다리는듯                   그리도 완고하게 그리도 금욕적으로 침묵하며                   세월과 더불어 번성의 힘을 키우고 있을가?                   그러나 미풍에도 바르르 떠는 사시나무들은                   마침내 닥쳐올  종말을 예감하며 말이 없는가                   수선떠는 오지랖도 서글퍼서 슬며시 비켜서누나                     도끼에 밑둥이 찍히고 톱날에 허리가 동강나고                   그리고 산지사방으로 끌려가서 오리오리 찢기리                   저들의 운명을 알기에 가문비나무는 눈물을 흘리고                   저 봇나무는 늘 창백한 모습으로 서있는게 아니랴!                   그래서 더 빽빽히 어깨를 겯고 더 키돋움을 하며                   애목들을 품어주는 밀림의 웅숭깊은 넋을 기리노라                   밀림아, 청송, 홍송, 가문비 쇄스래 박달나무야, 늬들                   오래오랜 침묵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나는 모르노라                                               1963년 2월 29일   두번째로 고동하림장에서                                       종달이야, 나 좀보자                    논갈이에 거품문 소를 세워놓고                  잔디푸른 둔덕에 마라초 태울제                  푸른 하늘에 종달이 푸른 노래                  바람든 총각의 가슴을 헤집누나                    볼수도, 잡을수도 없는 봄천사                  하늘가 어디쯤에서 우짖느냐                  종달새야, 잠간만 날좀 보렴,                  자유의 네노래 부러워, 부러워…                    너는 알지 못하는 내벗이다                  나의 사랑, 나의 희망이요                  나의 령혼의 메아리이거늘                  자유의 노래를 네나 불러다오                                                              1964년 4월 19일     벼이삭 설레이는 소리   문열면 반가운 벼바다기슭 내집 마당가에 닿아있구나 창턱까지 밀려와 밀려드는 벼이삭설레는 반가운소리   이 밤에도 나를 불러내누나 ㅡ풍년이 들었어요, 올해도 듣기만해도 배불러지는 소리 공연히 잠못이루는 이 한밤   황금이삭 술렁술렁 술렁대네 여름내 주고받고도 다하지 못한 그 무슨 사연이 있길래 이리도 보채며 나를 불러내는것이냐?   뼈 쩡쩡 저리는 찬물에 맨발로 랭상모판 고루고 벼씨뿌릴 때 허리휘도록 모짐을 지고갈 때 참으로 말못하고 고달팠니라   넓은들 넘쳐나도록 한가득이 넘실거리는 벼파도 황금물결… 그 어데를 보아도, 둘러보아도 땀으로 가꾼 보람이 화답하는듯,   내사 혼자 차지한 몫이기나 한듯 두렁길을 건정건정 서성거리며 공구량도 여량도 다 바치고나면 올해는 네댓마대 민식을 탈라나   낟알의 무게도 일일이 가늠하며 부푸는 기대감을 이리저리 굴린다 벼농사 뼈농사라 배불리는 생각뿐 포식의 느긋함을 앞당기는 마음뿐   이밤, 종시 잠못드는 내 가슴에 세워지는 계산식이 위험천만해도 알뜰히 세워져 허무하게 무너져도 어쩌랴, 농부의 진실한 소망인것을…                   1964년 9월 15일                 가자, 새언덕으로!   강산도 변한다는 10년세월 내리 한밤중에만 쓴 일기ㅡ나의 잠꼬대 잊어버리기 위해 잊지 않으려고 무둑이 쌓인 내과거를 불사른다.   이제 곧 풍운이 휘몰아칠게라고 폭풍에 여기 향촌도 뒤번질게라고 쉬쉬…인심이 뒤숭숭해진 기분에 나 겁쟁이 지레 자기를 태워버린다   한장, 한장, 한책, 한책 찢어발기며 사연은 많아도 시멋없고 구름같은 애달픈 기억들이 연기처럼 타래친다 이제 나 10년 세월을 잃어가고있다.   이링공 디링공하야 살아는 왔어도 이렇다저렇다 할 아무것도 없어서 허무하고 허황하고 맹랑할바에는 차라리 훌훌 불살라버려야 하겠지   하면 너 어이 흐느끼냐? 친구야, 운명이 그대를 희롱할 작정인데 락심은 말자, 락심은 바보라는데 더구나 울지말아야지, 비겁한걸   그래도 그냥 흐느끼냐? 청승맞게 생활의 바다엔 썰물도 있거니와 밀물도 있거늘 변화에 맡기거라 자위를 하고나니 역시 아Q정신   생활은 끝까지 옹호해야 한다면 나서 곧 주어진 운명행진곡인데 10년세월이 공백으로 남더라도 재무지 날려버리고 새언덕으로!                 1966년 4월 10일                까치야, 왔니?   눈내리는 첫아침, 너는 왔구나. 부른듯이 눈내리면 네가 얼어죽는다고 엄마는 내어린시절을 속였는데   날찾는듯 반가워 창문을 연다 산너머 님의소식 물고왔니? 이나무 찾아서 깍깍 깍깍 저가지에 깍깍 희소식 토하니?   찾아오는 반가운 나그네도 날아드는 님의소식도 없는 나의집ㅡ라르라의 실락원에 뜻아닌 비보는 천만 아니지?   까치야, 예로부터 너를 일러 소식조라 멋좋게 니르더라만 이아침 네 잦은울음소리에 함박눈만 무덤덤 내리는구나 령너머 마을에도 갔더랬니? 그리운님께 내소식 전했니? 오늘도 일자의 무소식이라 세번 울고가는 네가 미웁구나.                                                              1968년 설날에                                                  민들레야                             올해도 수양버들 휘늘어진                           해란강반에 봄빛은 무르녹아                           길섶에, 논도랑둑 곳곳에                           제권리를 찾아 피여난 민들레                             노란꽃 황금빛 꽃송이마다                           아침이슬 머금고 수집은듯                           다소곳이 반겨웃는 민들레                           내고향 산천의 귀여운 딸                             일찍피는 앉은뱅이 꽃보다                           늦어 피는 네모습 어여뻐라                           보는이마다 눈길이 달라도                           내가슴에 애틋한 정 넘쳐라                             여리고 왜소하고 볼품없어도                           백화의 가족성원인지 몰라도                           꽃나비 꿀벌이 찾는지 몰라도                           탐화봉접 없다고 서러워마라                             종달새 아름다운 깃을 펄럭이며                           아침 저 푸른 하늘에 날아올라                           봄을 사랑하는 너의 그 마음을                           지종지종 노래하는지 어이알리                             민들레야, 내님의 고운별명도                           민들레란다, 너처럼 순결하여,                           5월의 전야를 수놓아가는 너                           봄대지의 어엿한 딸이여라.                                                      무심한 소발굽에 짓밟히여도                           나물캐는 아낙들이 도려내도                           봄마다 다시 돋는 굴강한 너                           흰옷입은 녀인들의 넋이여라                                                                                                 1967년 5월 9                                                                시인이여, 되다가 만…                             오, 시인이여, 되다가만                           너만이 배척당하는구나                           시끌한 사회에, 사람들속에                           설자리가 한곳도 없는ㅡ                             너, 시인이냐? 라르라여!                           너에게서 형제들도 벗들도                           그리고 네 목숨이던 애인도                           모두가 등돌리고 가버렸다.                             고독한 너의 령혼속에는                           눈물젖은 심장이 남아도                           그나마 찌들린 심장이라                           섣부른 붓마저 꺾어버렸지                             패기에 넘치던 그 시절에는                           향토의 시인이 되리라던 너                           생활의 풍랑에 격조도 높여                           사랑을, 인생을 읊는다더니                             너의 그 불타오르던 시인의                           정열은 어디에서 쓰러졌냐?                           저 황혼빛 저조의 골짜기에서                           침묵도 갈곳몰라 방황하느냐?                             아니다!되다가만 시인이지만                           죽지않노라, 이렇게는 못죽어                           생각하고 또 고민하기 위하여                           침묵의 명상속에서 흐느낄뿐                             살아갈것이다. 지지리 못나게도                           끈끈한 삶의 의욕을 불태우며                           언젠가는 붓을 높이 꼬나들고                           진실을 위하여 쓰고 쓸것이다.                             시인이여, 되다가 말았지만도                           너의 고동치는 심장을 위하여                           너의 태여나지 못한, 너만의                           한많은 노래만은 죽이지 말아라!                                                                                                    1969년 5월 15일                                       개살구, 호박꽃 해님                                 개살구도 그냥 살구라구요                               시금털털 어른들은 등돌려도                               뒤동산에 꽃피여 열매맺으니                               개구쟁이들 마구 따더랍니다.                                 호박꽃도 피는 꽃이라구요                               봄마다 울밑에 소담스레 피여                               수수해도 꿀벌은 향기를 따라                               꿀을 빚습디다. 생활의 꿀도요                                 호박꽃, 개살구, 저하늘 해님                               더불어 하나로 엉킬수 없어도                               하냥 따사로워 만물을 보듬으매                               개살구 열리고 호박꽃도 피구요                                 야산에 흔해빠진 개살구같다고                               개밥에 도토리신세 보기싫다고                               오래도 내내 저어하고 망서리며                               애끓이지 마시고 오세요, 내곁에,                                 호박넝클이 뻗어갈제 뉘가 알리요                               울바자에 줄당콩 오롱조롱 열리듯                               아들딸을 낳아기르며 우리멋대로                               한백년 살자구요, 나의 호박꽃님!                                                  1969년 6월 12일         부리단의 당나귀   세상에 이런 사람 많더라 생활에, 또 자기하는 일에 전혀 결단성없이 주저주저 그도 좋고 저도 좋고 다좋은,   이런 사람을 두고 스콜라철학자 부리단이 말한 당나귀같다 하리 선택할줄몰라 굶어죽은 나귀처럼 사람도 쓰디쓴 참패를 당하거늘…   두어라. 이렇게 말하는 자신도 저 아둔한 당나귀같지 아니한가 가슴아파도 스스로를 조소하는 내가 바로 그 당나귀가 되리라                     1969년 9월 18일                                           사랑의 고개길                                                           오르며 허위허위 20리                               내리며 굽이굽이 20리                               모아산넘는 고개의 길                               내반생에 쭈욱 뻗어있다                                 청청 푸른 소나무숲속에                               다복솔도 다복록 정겨워                               님과 함께 슬슬 오르나니                               에덴동산의 꽃밭길이런가                                 한그루 로송아래에 살폿이                               두몸이 하나로 붙어앉으니                               말한마디에 감탄표 두개여                             《송림아! 하냥 좋구나 ! 》                                                             유달리 말을 고르지 않는다                               한마디가 열마디로 통하거늘                               고운얼굴 살뜰히 읽어가며                               넌지시 꼬옥 손을 잡아본다.                                 밭일에 마디굵어진 손에서                               인생의 미더운 길동무임을                               다시한번 느끼고 확인하며                               송림의 사랑 심장에 새긴다.                                       1969년 9월 10일                                            그대여, 바라건대는                              꽃가마에 꽃너울쓰고 나풀                            색시가 시집을 온다하시고                            백마타고 장가를 간다하며                            인생의 대사를 니르더라만                            내게는 수사법도 못되더라                              손잡이뜨락또르도 자격미달                                                      그래서 우리는 두발로 탈탈                            고개의 길을 걸어서 내렸다                            아무렴, 걸으라는 두발인데                            호호백발 되도록 걸읍시다                                                       첫날각시 흙을 밟지 않는다건만                                                     먼지이는 길 각시걸음 집어치고                            걸음걸음 코신발로 순정을 재이며                            자국자국 송백으로 충정을 새기며                            손에 손잡고 걷고걷는 신혼길이여!                              그럼요, 서두를 필요가 없겠지요                            정다운 까만눈으로 건네는 대답,                            그대여, 견디시라, 세상에 끝까지                            울퉁불퉁한 길이란 없을것이외다                            서러운 신혼길 이리 볼품없지만,                              자, 드디어 우리는 함께 걷는구려                            희망봉이 우리행복의 정상이라면                            사랑의 고개길은 오르는 길일가?                            부풀던 가슴에 정열도 차차 식어                           《무덤》이라 후회할 내리막일가?                              아니, 아닌것을, 적어도 우리만은…                            어렵게 시작한 동반자의 길이거늘                            내리는 고개길은 내리걸어야겠지만                            굽이굽이 멀고 험난할 사랑의 길엔                            내내 치닫는 올리막길만 펼쳐지리                                                1969년 10월 26일      
169    추측, 예측, 억측, 망측 댓글:  조회:11629  추천:2  2012-07-25
                          추측, 예측, 억측,망측                                 최 진 언        예전에 우리 농촌에서는 방귀소리를 듣고 곧 똥을 쌌다하거나 뉘집의 그릇깨지는 소리에도 가정대란이 터졌을게라고 만사를 추측하기 좋아하는 사람에게 “바루 점치개나 된샹!”하고 퉁에다 비아냥까지 덧얹어준다. 추측도 사유방식의 일종이니까 그 자체는 빈축을 살 리유가 없다. 허나 경은 좋아도 입삐뚤이 중이 념불하면 딴판이 된다.     촌사람들이 추측한대야 떠도는 염문의 내막이나 결과이고 예측한대야 날씨거나 당해 총산량이나, 민식분배량이나 한공에 얼마 될거라는 일상사로서 크게 빗나갔대야 닭좇던 개 울쳐다보는격도 아닌 뻥치기정도여서 유론이란 감투를 쓸 건덕지도 없었다. 허지만 공공언론이라면 문제는 달라진다. 제좋은 추측을 앞세워 판단착오가 되여 공중여론을 오도하고 혼란을 조성한다면 엄중한 책임을 추궁받기때문이다.     추측은 무엇을 미루어 생각함이나 미루어 생각되는것을 이르는 말로서 류사어로 짐작(斟酌), 추량 (推量) , 측량 (測量)등이 있다. 추측ㅡ하면《골드바흐의 추측》이 떠오르는데 추측도 잘 했거니와 그것을 풀어내여《천의정리(Chen's Theorem)》로 명명된 진경윤의 장거같은 과학상의 추측은 필수적이고 지극히 유용하다는 설명이 되겠다.     예측이란 앞으로 있을 일을 미리 헤아려 짐작함을 이르는 말로서 추측과 비슷한데 류사어로 예기(豫期) , 예료(豫料) , 예탁(豫度) 이 있다. (새 우리말 사전) 복합어로 경제예측(经济豫測),규범적예측수법(規范的豫測手法),수요예측(需要豫測)예측력(豫測力),경기예측(景氣豫測)등이 있다.    추측은 추측이로되 근거가 없이 제멋대로 추측함, 또는 그런 추측을 이르는 말인 억측도 있는데 류사어로 억료 (臆料) , 억탁 (臆度) 있다. 그리고 추측, 예측과 맥이 통하는 단어로 멀리 바라봄 , 미리 내다보다의 뜻인 전망이란 단어도 있는데 류사어로 조람(眺览) ,조망(眺望) 이 있다. 측(测)자가 붙은 단어로 관측도 있는데 기상, 천문 등의 자연현상을 관찰하여 그 움직임을 측정함. 어떤 사정이나 형편따위를 살펴보고 헤아려 그 장래를 추측함을 이르는 말이다. 그러나 례하여 남의 집일을 관측한다는식 의 표현을 한다면 그건 심히 어설픈 표현이다. 보지 못하는 관측이란 없으니까 말이다.     동서방의 “전문가”의 분석이니,연구결과니 하는 예언들이 매체에 꽤 자주 뜨는데 그 감수가 별로이다. 지난일이지만 미군의 이라크침략전 당시 해당 “전문가”분들이 전황(战况)이나 결과에 대해 식후한담식으로 담소하는 화면들을 보면 근원적으로 추측일뿐, 현지파악에 근거한 전망이 아니였다. 시간과 돌발사태는 그들의 전문성에 힘을 실어주지 않았다. 하긴 침략이 력사발전규률에 따라 발발한것이라 말할수 없는 어경에서 지상담병밖에 더 나올것이 있으랴, 강폭한자의 힘의 론리로 력사의 한페지를 기록했지만 빗나간 추측을 두고 본인들은 스스로 참괴했을것이다.     특히《특정국가》의 관련내용을 다룬 한국의 기사들은 거개 추측에 매달리다보니 내용이 오리무중이라는 느낌을 앞세우게 된다. 사사건건 추측을 내돌리다가 시간이 좀 지나서 오보니, 사실무근이니 뒷북을 치는데 장파한뒤 갓쓰기라할가. 하긴 수박의 줄무늬로 익었는지 달달한지 알턱이 있으랴, 대저, 추측이라해도 어림짐작인 소경의 막대질이 아니고 엄밀한 추리를 거친것이여야 쓸모가 있다.    하나의 지구촌이 되여진 때라 국내보도여도 추측만 란무하면 매체의 신뢰도가 바닥나고 독자들은 여러가지로 불편할것이다. 그리하여 사실확인이 제대로 되지 않은 추측성기사가 범람한다고 질타하는 지성인들이 있던데 추리에 신명난 “전문가”들이나 추측기사문 집필자들은 이마에 손을 얹고 한번 성찰해볼 필요가 있지 않을가싶다.     국민들을 오도하고 오판하게 하는 기사보도의 후과와 책임은 결코 가볍지 않다. “오보”라는 말로 정정하지만 이미 엎지른 물인데야, 더구나 전파를 통해 전세계에 흘려진뒤임에랴. 이류의 기사문들은 때에 따라서 한두항목이 생략되기도 하지만 거개《…할듯,》《…(으)ㄹ전망》,《…(으)ㄹ 것으로 예상된다.》,《…(으)ㄹ 것으로 내다 보고 있다.》로 되고있다.《…(으)ㄴ/는것으로 밝혀졌다. …드러났다.…나타났다》식으로 써야만 하는데 “어찌될 전망. 무엇에 힘을 입고있다”는 식의 상투적표현에서 보도내용의 신빙성은 독자의 마음속에서 곧 도망가고만다,    기사문(记事文)이란 자연이나 인간사회의 모든 사실, 현상의 발생원인, 성질, 상황, 사회영향성 등을 제때에 정확하고 분명하게 표현하는 글로서 사람들의 알고싶어하는 욕망을 확실하게 만족시켜 주는 실용문이다. 보도기사: 소식은 신속성과 정확성을 생명으로 하는데 보도내용이 “六何원칙” 따라 씌여지지 못하면 부실해지고 오보가 되기마련이다. 요즘도 모종 사건에 잡다한 추측들이 디스코를 추고있는데 역시나…       기사만큼은 “이렇다”에 초점을 맞추어야지 매양 “그럴것이다.” 라는 식으로 써갈기면 매우 곤란(곤난)하다. 한술 더 뜨는 사람도 있어 “노을 보고 해가 지는 것을 알수 있듯이…통일이…”어쩌고 하더라만 그게 비유인지 기흥법인지 력사발전의 징표로는 어방없는 표현이다.  마치 “선생은 병나지 않으면 건강하겠구료” 하는 돌팔이의사의 진단처럼 그 말을 “세계급”수준으로 떠밀어올린대도 “망언일것이다.”     모종 문제에 대하여 그 신문사의 견해를 밝히는 글이든, 특정된 문제에 대해 필자의 립장과 론지를 밝히는 론설문이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부문에 걸치는 해설기사이든 그 내용의 서술에 객관성이 있어야 함은 상식이다. 추측성기사 일체를 두절시킬수 없는 일이지만 문제는 그 추측(예측)의 과학성과 결과이다. 그리고 추측은 꼭 나쁜 면에로만 하려들면 그 저의가 빤히 들여다보여서 어떨꿍의 변종의 저질 심태로밖에 안된다. 이것은 인간의 렬근성중에서 가장 비렬한 품성이다.     추측,예측에는 추리가 선행한다. 추리는 직접추리, 간접추리로 나뉘고 간접추리는 다시 연역추리와 귀납추리로 나뉜다. 생략추리이든, 수학추리이든, 복합추리이든 사물발전의 객관규률, 합리성,실제성, 현실성, 가능성 등을 전제로 가언적판단이든 선언적판단이든 하되 정확성을 도모해야 한다. 즉 사실에 매달려야 하는게 기자사업이다.제좋은 욕심대로 해석하면 아전인수격인것이 빤히 들여다 보이고…그런 추측은 변상적인 기대심으로도 되기에 하는 말이다.    로신의 말처럼 “팔굽을 보고 곧 하얀 어깨를 생각하고 곧 라체를 떠올리고 곧 생식기에 미치고 곧 성교를 그려보고 잡교를 련상하고 사생아를 생각해내는…”그런 상상의 비약은 신문글에서는 금물이다. 왜 추측성보도가 람발될가? 급공근리로부터 명리를 탐했거나 정당하지 않은 기대탓이거나 어떤 어두운 야망과 목적이 작간하는 탓이 아닐지…암튼 기사문은 추리소설이 아니며 기자는 예언가로는 부적격이다.     물론 3단론같은 추리를 했으리라고 생각한다. 례컨대 “모든 행성은 구형이다. (대전제) /지구는 행성이다(소전제) / 결론: 지구는 구형이다는 정확하되 사회현상, 력사발전은 짜맞추기 어렵거니와 “사람이 죽으면 보이지 않는다, /모모가 보이지 않는다./ 모모가 죽었다.” 는식의 엉터리추리는 더구나 정확한 결론이 나올리 만무하여 세상을 웃기고만다. 직언판단이든, 선언판단이든, 가언판단이든 독자들을 오도하지 말아야 최저로 유익한 기사문이 된다는것에 설명이 필요할것인가? 독자의 분석력과 판단력이 흔히 기자보다 더 앞설수도 있을것이니 하는 말이다.    끝으로 망측이란 단어가 있는데 (언행이나 생김새가)사리(事理)에 맞지 않고 어이가 없어서 차마 보거나 듣기가 어렵다는 뜻이다, 추측이나 예측과는 의미불통일지 모르나 추측의 도를 넘어 즉흥적으로 억측하는 기사문도 “망측”의 범위에 넣을수  있을것같다. 오지랖이 넓지만 글쟁이로서 싸가지(싹수)없는 그런 추측에 매달리는 문풍은 전망이 암담할듯싶어서 그 리페를 절구질해볼뿐이다.                                                   2012년 7월 27일   
168    옛그날의 뇌까림들 (자작시) 댓글:  조회:3105  추천:0  2012-07-19
                             옛그날의 뇌까림들 (자작시)                                     바다여                                                가슴에 정한이 엉킬때면                           달려가 안기는 동해바다                           만경창파 내가슴 열어주고                           사랑도 파도처럼 마중오네                             희망의 하얀 돛폭이                           한가득 바람을 풍기며                            머나먼 꿈의 항구찾아                           격랑을 헤치며 달려라                                      1962년 3월 10일                                    (조선 라진앞바다에서)                                                님의 모습                                   한생을 두고 그리고                                     또 칠하고 새기여도                                 다 못그린 그림 한폭                                    내게 있습니다.                                   아롱다롱한 색칠로                                     단숨에 그릴 모습이면                                 마음을 갈아 대리석에                                     새겨도 넣었으련만                                   나날이 시시로 그리여도                                     볼수록 새로운 그 모습                                 새기고 덧칠해 보아도                                     못다그린 님의 초상화                                   내게 신비로운 붓이 있다한들                                     화가의 솜씨가 있었던들                                 어쩌리까? 그 무궁한 색조를                                     평생에 미완성일 님의 모습                                         1965년 7월 7일                                            외로워서                                            꽃바람                                      갈곳몰라서                                  이리불가 저리놀가                               산들거리다가 호을호을                            간지런 입김으로 속삭이네                        《방종하시라》나비를 홀리는데                       님은 가시여 외로워 눈물겨웁구나                    봄이 오는 저 언덕에 혼자 헤매이노니                 내 애수는 보슬비에 젖어 그리움만 촉촉해              아아, 어쩌면 외로움과 그리움은 쌍둥이자맨가            한여름 무성하던 계절 땡볕에 꽃나무 꿈도 시들고          나비춤도 시들한데 내 그리움만 지는 꽃아래 흐믈흐믈                                     1969년 5월 어느 날                                             갈림길에서                                꿈도 익는 가을의 숲속길에                              락엽은 묵은 얘기를 썩이는데                              나홀로 어느 길로 갈가                              갈라진 오솔길에서 바장이다                                저끝 먼 먼 굽이에는                              가시덤불 엉성하고                              이쪽 사잇길 바라보니                              어서오라 유혹이 꼬드긴다.                                욕망은 두길위에 달리건만                              동시에 갈수 없는 갈림길                              저기로 갈가 여기로 갈가                                           허궁 뜬 내발길 곤혹에 서성이다                                저 길은 수많은 발자국에                              풀도 누워 걸챌것 없는데                              나는 뭇짐승도 저어하던                              가시덤불길 헤치며 가리로다.                                        1975년 8월 9일                                      침묵하는 사나이                                   침묵을 침묵시키는                                 사나이 가슴속에서                                 인고의 시계추가                                 기다림의 발걸음 재인다                                                                 아픈 속박의 바줄에 묶여                                 고개숙이고 침묵하는 사나이                                 가슴속에 충정의 분동이                                 진실의 천평을 누른다.                                   저기 처마끝에서                                 참새떼 아침회의 하는데                                 사나이 마음의 창문에는                                 침묵의 자물쇠 녹이쓰네                                          1975년 6월 10일                                               백두봉에 메아리                                           1.  내 마음의 웅좌                                       구름을 삼키고 안개를 토하며                                       창천을 떠받는구나 전설의 용장                                       풍진을 헤치며 백발을 날리는                                       백두산, 내마음의 웅좌여                                         천년적설은 은빛갑옷이런가                                       백길폭포는 일장검이런가                                       천리수해에 격랑을 솟구는                                       너는 배달겨레의 넋이여라                                         거룩하도다, 세기와 더불어                                       일월성진으로 빛나는 성산                                       단군님의 그 얼을 지켜선                                       고구려의 무사님 방불하다.                                         허리에 흰구름 휘감고 선                                       그 모습 거룩하고 숭엄해라                                       만리푸른 창공을 향하여                                       력사의 감탄표를 찍었구나                                     2.  천지의 서정                                                                  하늘이 푸르러                                 이리도 명경같으냐                                 만고의 공과 죄를                                 너에게서 읽고있노라                                   경건히 옷깃여미고                                 무릎꿇어 엎드리니                                 흰구름 입가에 걸리고                                 가슴속에 산정기 흘러드네                                                                            3.   폭포례찬                                                            아슬한 단애를 날아내리여                                 산하에 메아리치는 폭포수                                 성산을 기리는 찬가런가                                 쿵쿵 내가슴도 울린다                                   구슬구슬 부서지여도                                 기꺼이 쏟아져내리여                                 다시 모이고 합쳐서                                 격랑을 일구는 민족혼이여!   4. 온천시상   무정한들 무심할수 있으랴, 망각의 바위에 이끼 푸르러도 천길지심속 뜨거운 숨결이 단군님의 호흡이 아니던가   충혼들이 붉은피 휘뿌리며 내나라 내 민족을 웨치던 그 충정이 정열로 끓어오르나니 내마음에도 더운피 사품치누나                                        5. 축원                                                           맑은 성수로 갈한목 추기고                               구름을 찢어서 땀들인후에                                   산하ㅡ천리를 굽어보니                                       고구려무사들 대지를 주름잡네                               하늘가 기슭에 내가 선듯                                 력사의 먼 지평선에                                   산맥으로 굽이치는 백두의 정기                                       노을속에 오히려 푸르러 푸들치네                                   오늘은 백두봉을 딛고섰다만                                     태백산 봉이봉이 징검돌삼고                                         3천리 금수강산 주름잡으며                                             통일의 광장에 달려가리라                                             1980년 7월 23일                                              (백두산에 올라서)                                           녹쓸은 보습날에                              한때는 너도 날카로우매                            번쩍이는 은빛날로                            풍년이랑을 지어나가며                            처녀지의 희망을 갈았으리라                              지금은 넙적무투름 무디여                            볼품없는 쇠덩이–너 보습날아                            한생을 희열로 옥토를 갈더니                            물러나와 담구석에 버리웠구나                              이젠 기계로 밭을 가느니                            한마디 네찬사는 없구나                            너의 빛나던 그 나날도                            녹쓸어가니 눈물겨우리라                                     1987년 5월 7일                                                   명동향 합전촌에서                                                                                풍년낟가리                              흥이로다!풍년탈곡장                            벼단을 받아라 딸냄아                            쏟아지는 낟알폭포에 가락도 흘러                            며늘아기 일맵씨 그대로 춤이로구나                              저어, 마누라 거동 좀보소                            네벌김 부질없다 잔소리하더니                            모자라는 마대는 어쩔셈인구                            웃음주머니만 벌리고 섰구레                              아무렴, 좋다마다 개혁이라                            도거리농사에 통운이 텃거늘                            내밭이라 동이땀 쏟아낸 보람                            황금산이 제아니 솟을손가?                              저보아라. 중천에 웃던 달도                            같이 웃자고 웃어보자고                            황금산 중턱에 사쁜히                            동그마니 내려앉는구려                                       1987년 10월 3일                                             명동향 하마래촌에서                                             나의 손                              밭갈이에 옹이 박힌다고                                논물에 절어 터갈린다고                                    장갑끼고 호미를 놀리여도                                        못나게 거칠기만하던 내손                              농가의 사랑은 개꿈이라며                                시내총각따라 떠나가버린                                    분심이의 뺨을 갈겨놓고                                        아파 눈물씻던 나의 손                              농토에 태줄을 묻은 내운명                                농사군이 싫어 네가 간다면                                    사랑의 페허 나도 떠나리라                                        봇짐을 싸며 떨던 나의 손                              떠돌이 타향길 몇만리던가                                행운은 달에 걸려 비웃는데                                    허공을 그리다가 눈물지으며                                        고향가는 차표 움켜쥐던 나의 손                              남은 반생도 두더지처럼                                가난의 서덜밭을 뚜지며                                    한숨을 비틀어짜면서도                                        희망의 새끼를 꼬던 나의 손                                백두밀림속 고동하림장에서                                 청송홍송 베여넘기던 채벌군                                     엄동에 터갈려 피맺혀도                                         생명줄 푸들치던 나의 손                                                        손안에 내 운명이 있거늘                                 마디굵고 옹이 박혔어도                                     파란많은 인생의 고개길에                                         나를 잡아끌던 미더운 내손!                                              1987년 12월 9일                                  못생긴 과거사                                참으로 못생겼소                              나의 과거사는 ㅡ                              석양이 피같이 타는                              홀로의 강가에서                              참회마저 흐느끼오                                맹종이 주는 열광에                              저마다 미쳐버린 그시절                              허위와 악을 분칠하며                              자족에 벙글거리던 때                              내 령혼은 벌써 죽어있었소.                                내 과거사는 지지리                              엉망으로 못생겼소                              자기를 잃고 방황하면서도                              버리지 못한 버러지목숨                              뼈저린 참회도 우스웠소                                여기, 세월의 뒤쪽에서                              이리도 가슴이 찢길줄이면                              자존, 하나만은 지켰을것을                              이제 다시 쓰지 못할                              하못생긴 이내 과거사라오.                                            1990년 2월 26일              명월은 웃는데                              달이 동동 밝아서 추야장 긴밤이 명랑한데 내 마음의 달빛은 구름속에 싸였더라   달이 웃는 하늘나라서 어머님도 한숨쉬며 못나기도 못난 이놈 불초자를 굽어보실가                                          1992년 추석날밤 일기                                                                                                     나의 옛꿈은                             철없던 그 시절                           내 허황한 꿈은                           외로운 쪼각구름이였지                           ㅡ나는 잔디언덕에                           꿈은 머ㅡ언 하늘가에                             구레나루도 무성할제                           내 눈물젖은 꿈은                           채쓰지 못한 편지였지                           ㅡ나는 짝사랑의 골짜기에                           님은 리별의 플래트홈에                             세월이 흘러 늙어버린 오늘                           내 속절없는 꿈은                           설음의 무덤가였지                           ㅡ어머님은 하늘가 멀리에                           나는 불효의 막바지에                             오, 꾸다가 지쳐버린                           이룰길 없던 나의 꿈은                           놓쳐버린 새벽차였지                           나는 천리 먼 이역땅에                           고향은 구름가는 먼곳에                                                                                                1992년 7월 19일                                                                       사랑의 밭이랑                               엄마의 주름살은                             속절없는 나이테인가요?                             세월이 지어가는                             사랑의 밭이랑입니다.                               인생의 그 봄날에                             엄마는 첫이랑에                             래일을 바라고                             희망을 심었습니다.                               손발이 터갈리도록                             피땀으로 걸구시며                             쉰한번째 이랑을 지어놓고                             잠간 허리쉼하려는차                               맙시사.                             애면글면 키운 새끼가                             인간가라지인줄 알고나서                             자식농사 헛지었음에 한탄성                               절망은 눈물에 절고                             생의 잔광도 피같은데                             엄마는 마음밭에 그냥                             사랑의 이랑만 지어갑니다려.                                   1995년 2월 26일                                                               꽃의 비애                                 봄이라 정깊은 계절                               해볕도 다양하여                               꽃나비의 사랑을 부르며                               뭇꽃들이 웃고있는데                                 오라는 나비님 아니오고                               쉬파리 부른듯 날아와                               순정에 비린 침흘리며                               제멋에 겨워 앵앵거리누나                                 꽃의 덤덤한 웃음에도                               나비는 상사병 앓았건만                               쉬파리 앉았다 날아간                               꽃은 송이송이 슬프더라                                                        1997년 5월 25일                                     시골의 빨래터에서                                                        동구밖 시내가의 빨래터                               하얗게 색바랜 청석우에                               빨래방치 하나 곰팡이 덮고                               호을로 누워있어라                                 아침저녁 빨래 두드리며                               령넘어에 정신팔던 분님이                               몰래 집떠나던 여름 새벽                               그렇게 내버린뒤 소식없구나                                 까르르 웃음을 헹구던                               시골마을 빨래터에                               웃음헤프던 돌이에미도                               나리꽃 새각시도 안보이네                                 골령에 사는 재미 토닥토닥                               보듬어주던 그 서정도                               흘러가는 이 시대에는                               뜬구름같은 풍경이였나                                 해웃는 아침결에도                               횅창 달밝은 밤에도                               장구처럼 가락이 맞던                               시골의 빨래방치소리여                                 가재미 하늘구경하던                               청계천은 마를줄 모르는데                               긴머리 늙은수양버들에                               꾀꼬리 짝잃은 울음 애절쿠나                                   1998년 6월 18 일, 명동향 하마래촌에서          단풍의 정   한여름 해와 더불어 살뜰히 키운 생명혼 아끼던 그 사랑의 빛을 끝내는 불살라야 하는가   피맺힌 애석함을 활활 불살라버리는듯 푸른 잎의 혈서를 쓰는 단풍의 정 내가슴도 태워라           1998년 10월 17일                                      청산유정                                   청산에 술한잔 뿌리고                                 취한몸 로송아래 뉘이니                                 마른바람 가지에 흐늘거리고                                 하늘바다 푸른 물은 고요해라                                                                     흘러가는 쪼각구름 외로워                                 조으는 내 향수를 싣고가는가                                 고향길 달리는 나그네는                                 가랑잎에 쪽잠마저 슬프구나                                   베짱이야 너도 시름겨워 우냐?                                 가는 여름을 네가 운다고                                 시들어 색바랜 내 생명혼에                                 다시 푸름을 찾아줄가부냐                                   황드는 풀잎을 꺽어물고                                 애간장 타는소리 부는데                                 산새도 저만치 홀로앉아                                 령넘어가자고 울어싸누나                                   아, 태줄묻힌 고향산 아니여도                                 휘여휘여 올라보는 유정청산                                 오늘도 내 가슴에                                 백년고독을 새겨주네                                       1999년 10월 3일                                                                소화룡촌에서                                                                꽃잎지는 소리에                           과원의 숲 ㅡ                             물오른 가지마다에                               꿈같은 순정을 걸고                                 이슬과 속삭이더니                                   속절없이 지는구나                          맑은 바람도 아쉬워                          아니놓치를 못하는듯                            꽃지는 그 깊은 사연을                              향기로 싸고 또 감싸서                                언덕에 고이 묻는구나                         지는 꽃 바람탓이더냐                         꽃잎물고 눈물짓는 소녀야                           너는야 잘 모르지                             이강산 락화류수                               흐르는 물의 정한을…                                           1998년 5월  (유신과원에서)                                  슬픈 청계수                                            청산은 아쉬워                         가질랑 말라고                             백바위 덤불로                                 막아나서는데                       록수는 날잡아 보라                         요리조리 소용돌이치며                             주야로 주절주절 떠나는 얘기                                 은모래 금모래 굴림니다그려                       백년의 고독에, 한에 절은                         첩첩청산이 쏟아내는                             깊은 정의 담벽이건만                                 막아선들 떠난길 돌아서랴                       시골에 진솔한 사랑이 있고                         청산에 색바랠줄 모르는                             풋풋한 꿈이 있건만은                                 돈바람에 실려간 아낙들같네                      그 모든 사연들 눈물겨운데                         록수는 망각의 이끼를                             기슭에 무둑히 밀어내며                                 밤낮없이 주절이주절이                       보아라, 새벽하늘                         조을던 별들도 뜀질하고                             구름도 물따라 물따라                                 흘러가지 아니하느냐?                       청산도 그만 지쳐서 말이 없고                         부엉이만 깊은 밤 바위에                             흘러가는 시골의 사랑을                                 울어싸네요. 목쉬도록, 목이쉬게                                                                 1998년 8월 12일                                                                                                  명동 대동골에서                                      민들레 사랑                             바람새 거친 들녘에                             태여난 운명을                                 한번 원망함이 없이                                     봄은 봄마다 피여서                           여린 꿈을 안고                             해님우러러 말없이                                 산향의 사랑을                                     수놓는 민들레                             나비도 벌님도 아니올 때                            흩날리는 금빛사랑에                                아무도 찬사의 눈맞춤을                                    보내지 않음을 알게 될가                                  1999년   4월 25일  룡산 모아툰에서                                    잎새의 사랑                              봄 모올래  움트는                           수집은 그 순정을                           불붙는 여름해와                           파랗게 물들이며                             록색의 생명시를                           이슬비로 적으며                           가슴 가슴들에                           성숙을 보듬더니                             끝내는 못다한 사랑                           허공에 새겨둔채                           지는 시절을 못속여                           노랗게 물드는 잎새                             갈바람 찬서리에                           속절없는 한숨 날리며                           락하의 슬픈 지혜를                           락엽귀근으로 시사하네                             사랑은 색채로가 아니라                           마음으로 받아안으라고                           가을은 조락의 철학으로                           살아가는 의미를 깨치는듯                            날저문 들녘길을 허위허위                          꿈길을가듯 가는 나그네                          서러운 발자국 자국마다에                          축복을 깔아주려는 나무잎새                                       1999년 10월 24일                                              자화상                           잘나도 내얼굴                         못나도 제얼굴                         사람사람 저저히                         제잘난 멋에 사는데                           거울속에 내 얼굴은                         어머님 주신것이래도                         어쩌나 나날이 점점 더                         보기조차 싫어지는것을                           표나게 툭툭 삐여나졌더라면                         독한 사나이멋이라도 날것을,                         모난데도 없고 유하지도 않아                         후덕한 모습도 아니여니                           울며 나올때는 순수했을가                         인생마당에서 딩구는 동안                         세속을 덞어가는 긴 세월에                         때묻어 매끄럽기만 하구려                           60평생 시세를 붙좇으며                         여러얼굴 빚고 빚어오다가                         부끄러운 하많은 사연들만                         이마에 주름살로 굳어졌구려                           넓기나 한 얼굴이였던들                         처사에 막힘없이 빛났을것을,                         태생 낯가죽이나 두꺼웠던들                         한몫을 챙기기나 하였을것을,                           좁은 얼굴 한번 내밀지도 못하고                         이른 봄, 풀도 마른 산비탈에서                         매ㅡ매 울어싸는 새끼면양처럼                         어질어빠진 두눈만 껌벅거렸더라                           내 얼굴이 아닌 제얼굴이                         혼자서도 못마당해져서                         이마살만 찡그려 보아도                         하, 못난놈은 별수 없어라…                                        2000년 2월 26일         세월은 가고   길었던가 또 한해 삼백예순닷새는 눈꽃처럼 날려가고 다시 또 시작되는가   서글픈 나이테 줄줄이 이마우에 둘러지는데 세월령감은 무덤덤히 인생에 점선을 찍고있다   사랑도 아쉬움처럼 훌쩍 떠나버릴제 다하지 못한 정은 한으로 굳어지네   그리운것 옛말로 남고 속상한 마음을 다시 락화류수에 흘리면 여윈 가슴만 텅비고   떠남은 모른체 할수 없고 다가옴도 막을수 없어 엄마처럼 늙은 백양나무 가지마다 한숨을 걸고섰네.   2002년 12월 20일                                                                                             
167    량손에 떡쥔격인데 댓글:  조회:10103  추천:2  2012-07-14
                              량손에 떡쥔격인데…                                        진 언       작금의 지구촌에서 또 한가지 가장 큰 난제로는 금연문제와 연초의 대량생산과 판매이다. 금년 3월 20일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제15기 세계연초와 건강대회에서 세계페건강기금회에서 최신판본의《연초지도》를 발포하였는데 지난 10년간에 5000 만명이 연초사용에 의해 사망되였다…”고 공표하고있다. 과거 10년동안 전지구적으로 흡연자들이 소비한 권연은 43만억가치인데 1000톤의 담배를 생산함으로써 1000명이 죽어나갔고 2011 년 한해만도 600만의 흡연자가 사망했다고 한다. 게다가 담배로인한 직접, 간접의 경제손실도 막중하다고 한다.    5월 31은 “세계무연일(世界无烟日)”이다. 금년도 주제는 “연초업의 흡연공제에 대한 방해에 경각성을 높이자”란다. 중국흡연공제협회, 중화예방의학회. 신탐건강 발전연구중심 등 기구에서 련합으로 세계무연일주제보고를 발포하여 중국연초업계 에서 여덟가지 수단으로 흡연공제를 교란하고 매일 3.2억원을 번다고 폭로하였다. 전문가들은 가급적으로 연초전매국과 연초공사의 정부와 기업분리를 실행해야 한다고 호소하면서 2012년부터 담배갑포장에 명확하고 또렷하게 도형식으로 건강경어(警语) 를 찍어넣어야 한다고 요구하였다.     보고에서는 중국연초기업에서 매일 3.2억원을 벌지만 매년 연초로 인기된 사망인수가 120만에 도달한다고 하였다. 상기한 세집에서는 하루빨리 중국흡연약속기제를 조정하여야 하며《연초업계에서 계속적으로 흡연공제와 공공위생정책을 방해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며 하루빨리 연초공제모식공약(烟草控制框架公约)》요구에 부합되는 국가연초공제규획을 내와야 한다고 하였다.     아래에 연초기업의 8대죄상을 들어가면서 성토하고있다. 1. 연초위해성의 과학적증거를 부정하며 흡연과 간접위해를 약화시키였다. 2. 연초위해성의 과학적증거부족정보 등 언론을 산포하였다. 3. “저초유, 저위해(低焦油、低危害)”와“중식권연(中式卷烟)”사기행각을 벌였다. 4. 담배포장지에 도형상으로 계시하는것을 시종 반대해 왔다. 5. 고급담배로 공무접대를 노려 특별공급담배, 례품담배 생산을 추동하였으며 명표담배소비는 “청,국급향수” 라고 선동하여 최대리윤을 도모하였다. 6. 연초세와 가격을 높이는것을 가로막았다. 7. 변상적광고로 판매와 협찬을 촉진하고 연초소비를 촉진하였다. 8. 청소년들을 유인하여 담배와 접근면서 청소년들의 흡연을 유도하였다.     사실도 진실이고 주장도 합목적이고 통계수자도 믿어야 할것이다. 상술한 문제는 정면적인 문제이다. 그런데 진퇴량난은 2010년 전 지구적으로 가장 큰 6개의 연초기업의 리윤이 코카콜라. 맥도날드, 등 세기업의 총리윤과 맞먹는다는것이다. 매 한명의 흡연자가 대략 6000딸러의 리윤을 연초공사에 바친셈이란다. 이는 또 기뻐할일인가? 생명과 금전교역의 비극이라 해야 하는가? 량손에 떡을 쥔격이다.    우산장수는 장마비가 반가운것이고 양산장수는 가물고 염천이기를 바랄것이 당연하듯 결국 여기 은전삼십냥이 없소가 되고 호미난방, 자가당착에 부딪친 이 마당에 어느 지자가 세계의 중대사인 흡연위해성과 연초생산의 막대한 리윤의 변증관계와 모순통일을 제시하고 해결책을 내리면 나도 고마울듯싶다.     그런데 지금 중국에서는 과학 및 리공계통의 최고학술권위자에게 주는 칭호인 “원사”자격을 담배전문가에게 수여한데 대해 다시 쟁의가 일고있다. 지난 11일부터 북경에서 개최된 원사대회에 작년 12월 “담배원사”로 선출된 사검평(謝劍平)이 불참하면서 론란이 다시 불거졌다. 사검평이 이번 대회에서 “원사증”을 받게 돼있으나 그런 영예를 스스로 포기한듯싶다. 그의 불참은 “담배원사”를 둘러싼 비난을 의식했기때문으로 보인다고 매체들은 전하고있다.     “담배원사”론란은 그가 담배업계의 리익을 대변하는 발언을 함으로써 공정하고 객관적이여야 할 학자의 자세를 져버렸다는 비난을 샀다. 게다가 공공장소, 실내흡연 금지 등 담배전쟁중에 과학권위자집단에 담배업계 출신의 “담배원사”의 존재 리유에 대한 의문이 무성하고있다. “저타르(低焦油) 담배는 그만큼 덜 해롭다” 는 등 담배업계를 편드는 발언을 일삼은 섭검평이 원사로 선출되자 누리꾼들은 “살인원사” 라고 비난하며 재선출이나 자진사퇴를 요구했다. 하지만 섭검평은 자진사퇴나 재선출에 대해 함구하고있다. 물으나마나 호미난방이 아니라면 량손에 쥔떡을 어느것부터 먹어야 하는가? 다른 떡도 차지해야 하겠는데 두손에 쥔떡은 어이해야 하는가? 등 난제에 고민할것이다. 그리고 자승자박에 벙어리 랭가슴앓듯 할것이다.     중국과학원자연과학사연구소 부소장 왕양종(王揚宗)은 섭경평이 자진사퇴하지 않고있는것은 “담배원사” 자리에 걸린 담배업계의 리득관계가 크다는 점을 반영한다면서 그 리유를 간접제시하고있다. 기실 담배원사문제는 그 개인의 명예, 리득에 만 국한되지만 흡연과 금연은 국가차원, 세계적인 자가당착이다. 그래서 한 서방철학자가 인간은 모순투성이라고 론단한것이 아니랴싶다.     개체적으로는 그냥 피우든 금연하든 각자 수요와 의지력에 달린 일이지만 집단적, 국가적, 범세계적인 차원에서의 선택, 결단은 결코. 자유롭지 않으리라. 아무튼 공방형은 시종 인류를 자기모순에 빠지게 하고 량손에 떡을 쥔격의 난제를 비일비재로 안겨주고있다. 많은 일에서 범의 꼬리를 놓으려면 공방형의 윤허가 있어야 하는데 그게 심히 어려운줄로 안다.     누가 고양이목에 방울을 달아줄것인가? 이 떡도 아깝고 저 떡도 애석하니 참으로 딱하기는 딱하도다.                                                                                212년 6월 14
166    아동저수지 만필 댓글:  조회:10070  추천:1  2012-07-14
                                                   아동저수지 만필                                                                                                                           최 균 선                           쾌청한 가을날, 지천명의 고개를 넘어서 한창시절때 소수레로 모래며 자갈을 실어올리던 아동저수지 언제에 올라 산천경개를 바라보니 감개무량함이란 이럴 때 떠오르는것인가 싶었다. 거창한 언제우를 이리저리 거닐다가 슬며시 찾아드는 추억을 잠시 밀어놓고 얼없이 하늘 쳐다보고 머리숙여 록파만경을 굽어보니 푸른 물속에 드넓는 하늘이 통채로 빠져든듯 구름이 자맥질하는것이 하도 보기좋아서《경기(景幾) 엇더하니잇고?》가 저절로 흘러나온다.    청산은 말이 없고 저수지는 고즈넉한데 유흥객들이 야단법석을 굴리며 삼삼오오 몰려오는가 싶더니 어느새 돌뫼 높은 곳에 지은 정자가에 풍악소리 요란하고 잔잔한 물결우에 일옆편주가 한가로이 떠있다. 즐거운 소란을 뒤에 두고 휘적휘적 곁골로 빠져드니 세월이 산을 키우고 산이 세월을 지켰는가! 그 동안 무성하게 우거졌다.     아득히 흘러간 천년풍아(风雅)를 제멋대로 주절거리고 이끼푸른 청석바위에 걸터 앉아 한잔술 마시면서 청산을 돌아보니 산발을 넘나들며 항일에 목숨바친 충혼들의 그 기절(气节)은 어디에 잠들었는고…별을 스쳐온 하늘바람만 로송의 해묵은 침묵을 흔들고있다. 장인골 멀리 구름이 오락가락하는데 산그늘은 구름무게로 휘늘어져 해빛도 비집고들지 못하는 울울한 수림속에 산새소리 더없이 다정타. 시름없는 저 산새들이 청산속 깊은 사연을 해석하는지 어쩌는지 몰라도 가을날의 정취를 읊조리는 그 소리에 귀기울이고 앉으니 또 한번《경기 엇더하니잇가》가 묻어나온다.     설렁8월 그 한철이라도 부지런히 뛰여야겠다고 약속이나 한듯이 풀숲에서 그네를 뛰는 살찐 메뚜기들이 길고 짧은 노래로 차고 더운 계절을 톱질하며 세월의 물레방아도는 래력을 엮어가는지 나는 모른다, 다만 산향의 정채로운 가을동화에 유별난 정서가 차차 마르고있는 가슴에 가득차 오른다. 어이 아니 그럴손가?!     청청 가없이 푸른 하늘에 가을해살이 다함없는 축복처럼 쏟아지고...숲전체만 아니라 단풍잎 하나에서도 연록을 자랑하던 봄과 작열하던 여름, 성숙의 가을, 차디찬 겨울을 지나 흙으로 돌아가는 흥망성쇠의 섭리를 읽을수 있다는것은 시골만이 선물하는 향수가 아닐수 없다. 그리고 대자연의 섭리는 그 자체가 철학이요 자연의 순수 또한 그대로 미학이 아닐수 없으렸다.     다람쥐 채바퀴돌듯 하는 무료한 일상의 반복속에서 몸도 정신도 흐리마리할 때면 갈래도 많은 추억의 오솔길에서 헤매는것도 인간상정이리라. 세월을 거슬러 오르면 어느덧 푸른 꿈이 아지랑이처럼 마실을 오던 그 동년의 언덕에 이르게 되고 뒤이어 아쉬운 어제와 힘겨운 오늘과 묘망한 래일의 시공에 대한 회한을 앞세우면 허무가 부르는듯 내달아온다.     세월에 세월이 밀리는 망각의 저 언덕위에서 무엇인가 회상하고 좋아한다는것은 행복한 정서의 출렁거림이요, 잊혀지지 않을 비감의 기록이 될것이다. 젊은 시절의 추억도 보람으로 수놓아지지 못했지만 흘러간 세월과 인생의 공간에 세워진 오늘 나의 이미지는 모호함과 망연자실과 정한으로 얽히여 쓸쓸한 밤에 떠도는 환각같은데 단풍이 든 추억이나마 인생의 가을에 위안이 되여질가?     세월령감의 옷자락이 휩쓸고 가는 인생의 마당에 유구한 시간성은 나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엄존하는 현실이며 력사성이다. 억겁의 세월속에서도 상대적으로 고색창연한 청산앞에서 나는 작은 돌멩이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허무에 주저앉을수 있으나 정감의 출렁거림이라는 감회속에 과거의 소중함을 애틋하게 껴안고 얼마남지 않은 앞길을 내다보며 자신을 다시 한번 성찰해보는 기회도 많지 않으리라.    그래서 늘 푸르기만한 그 추억의 언덕에서 새롭게 창조될 자기 인간상을 설계할 황금시절은 지나갔지만 그동안 써온 인생의 의미를 보듬어 보느라니 감회롭지 아니한것은 아니다. 비록 보통 역군으로 한수레 또 한수레 자갈과 모래를 실어올려 쌓아올린 언제에 내 구슬땀도 스며있다는 긍지감때문인지 힘겨웠던 나날이 일종 보람으로 펼쳐지며 마음은 가을날의 동화처럼 이채로운 색채로 물든다.     어느새 좁은 골령에 락조가 서둘러 노을을 펼쳐놓는다. 저물기전에 어서 마을로 내려가야지 하면서도 발길을 떼지 못하는것은 고향처럼 정든 고장이여서가 아니다. 젊은시절, 그 얼룩진 생활의 페지들이 자꾸 펼쳐져서이다. 한마리의 밤새가 되여 꿈 에 날아온적도 있었던 아동저수지, 아무리 바라보아도 오늘의 하늘일뿐, 하늘에서 몇십번 비가 내리고 눈꽃이 흩날릴 때 내 머리에는 흰서리가 하얗게 내렸다.     이제 장인골 굽이굽이에 옹기종기하던 농가들이 간곳없듯이 내 추억도 골짜기에 드리우는 석양처럼 미구에 사라지리라. 세월이란 저물녘 산골바람과 같이 담담하게 스쳐가는 법인데 노상 추억에 업힌다는것이 유감에의 참여일지라도 일체가 무화되고 다만 공허한 추억만이 남아도는 이 자리에서 내가 허무의 배역밖에 더 되랴.     설사 고단하기 짝이 없던 한단락의 편력이였다한들 이 곳은 내 인생의 기념비로 솟을것도 아니다. 수많은 열혈의 가슴들에서 흘러내린 땀줄기가 여기 언제속에 스며있는데 내사 공연히 혼자인체 회억하니 우습다. 황차 저수지의 깊은 물에 잠겨버린 개바닥 버들숲과 채파올리지 못한듯싶은 모래들은 이미 다른 지각으로 변했음에랴. 고달픈 일생길을 걸어온 이름없는 나그네에게 한단락의 모진 체험이였지만 곧 잊혀질 그 한장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하며 절로 떠오르는 회심의 미소를 지워버린다.     그런데 무엇이 아쉬워서 이리도 서성거리는는것일가? 나의 발은 저수지 언제를 딛고 산천을 서성이고 있지만 나의 마음은 벌써 떠나고 있는걸가? 이미 물의 집합이 된 저수지야, 네 보드랍고 살찐 가슴우에 비낀 석양은 이리도 정채로운데 마음속에 추억으로 되새기던 동안 나에게 미소처럼 다가온것은 늙음이였구나. 내 다시는 너를 찾아오지 못할것이다. 한단락의 추억은 한페지로 족한것이여늘, 너 혼자 백년이고 천년이고 물안개로 옛이야기를 덮어가려무나. 추억이 아무리 진지하여도 오랜세월 변함없을 네 고즈넉한 가슴만큼은 깊지는 못하리니.     우리네 인생은 너의 가슴에 잔파도 일구는 바람과 같고 네 푸른 물결타고 미역감는 구름과 다를배 없거늘  묻지마라. 청산아, 청춘이 바람이냐고, 만경창파야, 묻지를 마라 인생이 구름이냐고, 무심이 떠가는 저구름도 래일이면 또 다른 구름이 되여 두둥실 떠가는것을…잘나고 싶었던 내 청춘, 그러나 못생긴 내 청춘은 스쳐가는 바람앞에 머물지 못하였고 지지리 못났던 내 인생, 그래서 잘나가고 싶어 뼈물렀던 내 인생도 한쪼각 구름처럼 흘러가거늘…     땅속에서 용용솟아 대해로 가노라고 바위굽 에돌아 해묵은 숲을 헤치며 밤낮으로 달려오다가 속절없이 갇히게 된 장인강아, 묻지를 마라, 바람처럼 세월의 언덕을 스쳐오다가 어느날 홀연 사라질 내 인생을 두고 무엇이 청춘이고 무엇이 인생이라고 구구히 말해야 할가? 청춘은 바람같고 인생은 구름같다는것을…     아동아, 저수지야, 가득차서 흘러넘쳐서 평강벌 가뭄든 논께에 착한 생명수로 되여다오. 사연도 많은 장인골, 골깊은 계곡들이여, 잘 있거라, 물은 옛물이 아니로되 청산은 의구하구나. 세월이 류수같은들 추억이야 늙을소냐, 로옹은 가고 다시 오기 어려워라. 저 구름에 실은 내 만가를 바람아, 너무 서둘러 흘려보내지는 마라.                                          1999년 8 월 22일초고 ㅡ2008년 9월 10일 정리                                                                 2012년 제 3 기 에  
165    꽃지고 잎지는 사연 댓글:  조회:7073  추천:0  2012-07-09
                            꽂지고 잎지는 사연속에                                  최 균 선       봄빛이 한껏 흐드러져 산에산에 개나리 피고 과원에 살구꽃, 배꽃이 화사할 때 환희롭던 가슴이 뒤미처 락화의 애절함으로 가득 메워지는 감각은 지성이 있는 사람이면 아무나 간직할수 있다. 그러나 피는 꽃 저 너머에 지는 꽃의 처연한 서글픔은 감각으로가 아니라 절실한 마음으로만 읽어야 할것이다.     봄도 한철, 꽃도 한철, 열흘 붉은 꽃이 없다고 그처럼 화사하던 꽃잎이 스러지고있다. 열매의 꿈을 기리여 꼭 붙안고있던 가지를 기꺼이 놓아버리는걸가. 꽃은 스스로 사연이 있어 피고 잎이 떨어지는것은 우리가 모르는 리유가 있을것이다. 홀로 존재하고 시간속에 영원히 머무는것이란 없듯이 홀로 움트고 홀로 자라는것이란 없다. 꽃은 어떤 사연에 의하여 피고 어떤 사연에 있어서 지는것은 사실이련만….     봄한철 설레임을 보듬으며 꽃은 지고있다. 분분한 락화…꽃의 사연을 나비가 더 잘알가? 꿀벌이 더 속속들이 읽을가? 결별이 이룩하는 축복에 싸여 지금은 가야 할 때 무성한 록음과 그리고 머지않아 열매맺을 가을을 향하여 꽃은 꽃답게 죽지만 그러나 미련없는 락화에 과연 애절함이 없을것인가?     새잎이 돋아나고 힘차게 줄기가 뻗고 피여서 방글거리고 나비는 화려한 꽃잎을 스치며 희롱하고 꿀벌은 화심을 파고들며 꿀을 빚을 때 꽃은 나비의 날개짓에 더 빨리 지는것일가? 꿀벌에게 아낌없이 내준 그 속살때문에 더 빨리 시들어버리는것일 가?  비로소 어느 아침, 꽃잎이 하롱하롱 지는것을 꽃의 경박함으로 읽어야 하는가? 꽃의 희생을 구구절절 되새기며 열매가 맺히리라는 인과철학을 평온하게 적어가려면 그저 애상적인 상념만으로는 안될것이다.     새 생명을 품은 열매를 위해 자신을 다 바치는 락화의 사연에서 널리 은혜를 베푼다는 이른바 보시(普施)를 배울듯싶다. 사람들에게 보이고자 한껏 화려하게 단장하는 꽃의 마음에서 우리는 인간의 심령의 경계를 그을수도 있지 않을가? 꿀벌이 꽃의 속살을 파고들 때 기쁨도 슬픔도 인내하는 꽃의 지혜를 배울듯싶고 꽃이 시사하는 사연이라면 무작정 잠기게 되는 애상에서 인고의 철학도 배울듯싶다.      꽃은 꼭 피여야 한다면 다시 락화의 계절을 맞아야 하지만 아무도 락화의 한을 제때에 떠나는 말끔하고 쾌적한 정경이라고 마음 가볍게 말하지는 못할것이다. 달도 차면 기울어지기 마련인데 하믈며 여린 꽃들임에랴!밤에 몰래 피여 아침에 수집게 미소하는것은 사람들을 위함인지 아니면 허랑한 나비를 부르는 추파인지 알수 없지만 웃으며 꿀벌을 받아들이는 꽃의 자태에서 거짓없는 참됨을 생각하게 된다,     고운 꽃에는 나비가 날아들고 향기로운 꽃에는 꿀벌이 모여든다. 나비는 고운 날개짓으로 꽃을 희롱하고 꿀벌은 달디단 생활을 빚는다. 나비의 유혹은 눈부시여도 허랑하고 꿀벌의 붕붕거리는 노래는 질박해도 실속이 있다. 노래구절이 또 절로 떠오른다. 녀성은 꽃이라네 생활의 꽃이라네 /한가정 알뜰살뜰 돌보는 꽃이라네 /정다운 안해여 누나여 그대들 없다면/ 생활의 한자리가 비여있으리 /녀성은 꽃이라네 생활의 꽃이라네     어디서 누가 지은것이건 정나미도는 노래요 련상을 불러일으키기에 족한 노래다. 녀자를 처음으로 꽃에 비유한 사람은 천재요, 두번째로 비유한 사람은 둔재요 세번째로 비유한 사람은 용재라고 하더라만 참된 녀인들은 확실히 꽃에 비유해도 어페는 없으렸다.10대후반에서 20대 초반까지는 한창 꽃꿈이 무르익는 싱싱한 꽃이라 하겠고 20대 중반, 전후는  최고로 흐드러져  절정의 향기를 뿜는 꽃이라 할수 있겠고 30세가 넘어가면 꽃으로서는 시들어가는 애수가 깃들지 모르나 성숙의 극치를 보여줌에는 손색이 없는 꽃들이렸다.     대자연속에 꽃들에는  봉선화도 있고  함박꽃도 있고 청순한 나리꽃도 있고 가시많은 장미도 있고 청초한 백합도 있고  진탕에 피여있어도 청순한 련꽃도 있고 수수한 들국화도 있고 설중매화도…한국의 국화라서 좀 그렇지만 줄기에 진딧물이 들어붙는 지저분한 무궁화꽃도 있고 화사하게 피였다가 금방 스러지는 벗꽃도 있다.  꽃같은 녀인들도 저마끔 숙명같은 자기 타잎이 있으리라. 꽃은 향기로 값지고 그리고 알뜰히 살뜰히 맺은 열매로 소중하리라.      그러나 달콤한 열매의 꿈을 기약하고 조용히 지는 락화의 사연을 두고“서풍이 간밤새에 원림을 지나더니 새노란 꽃이파리 온 땅에 떨어졌네”라고 읊었던 왕안석의 애수를 로옹도 느껴지는걸 어이할고? 말마소. 자고로 락화류수는 정많은 사람들의 애간장을 말렸거늘…학교로 출근하며 간밤 바람에 떨어져 흩날린 벗꽃을 일별하노라니 미물도 아닌 꽃은 저렇게 순리대로 피고 지는데 인간들의 몸과 마음도 피고 또 지는 자연의 섭리를 터득하며 살아가고 있는것일가? 실없는 자문끝에 오래전에 뇌까려 보았던 시구를 다시 잠꼬대처럼 중얼거려본다.                             불고가는 바람을                                 탓해서 무엇하랴!                                    꽃은 그래서                                        한자리에 다소곳이 피고                              꽃피고 잎지는 사연                               알아서는 무엇하랴!                                   바람은 그래서                                       오고감이  스스럽다.                               하건만 멋모르는 새들은                                 스러지는 꽃이 서러워                                     락화의 한을                                         바람에 묻는다.                               꽃과 바람은                                 마음 맞지 않는                                     불행한 련인이라고                                         누가 말하는가?!                                                                               2008년 6 월 20        (황도)에서 2012년  10월호                                             
164    하늘에 묻능깁니더 댓글:  조회:10497  추천:1  2012-07-03
                                                   하늘에 묻능깁니더                                                                                                                      진 언    문의 1. 하눌님 오늘 이런 기사를 읽었습니더…그렇게 강하고 그렇게 “아름다운 나라”도 이런 변이 생겨요? 말이 되는 일입니꺼? 손오공이 여래불의 손바닥을 벗어나지 못한다더니 그런 꼴통이 되는격인거요? 하늘의 외면과 축복도 가지가지입니다그려.   미 수도·4개주, 폭풍·폭염 '비상상황' 선포 연합뉴스 | 이재윤 | 입력 2012.07.01 17:11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미국 동부를 강타한 폭풍과 폭염으로 워싱턴DC와 검색하기">메릴랜드, 오하이오, 검색하기">웨스트버지니아, 버지니아 등 동북부 4개 주 정부가 30일 (현지시간)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yonhap_graphics(트위터) CBS 김양수 기자] 문의 2. 하눌님이 정말 계시면 내려다 보이소. 이럴수가 있단말임니껴? 하늘 믿고 천하지대본인 농사를 짓고사는 초민백성들을 와 이렇게 애끓이능교? 이렇게 하구두 하눌답다고 하시능깁니껴? 마소, 마소,  좀 비를 내려주이소, 엥? 땅에서는 민심이 천심이락꼬 하는데이 하모 이래서야 쓰겠슴니더? 사상 초유의 봄 가뭄이 장기화되면서 메마른 농촌 들녘을 바라보는 농심(農心)이 바짝 타들어가고 있다. 이번 주말 검색하기">장마전선이 북상하면서 메마른 대지에 비를 뿌릴 것으로 보이지만 앞선 가뭄으로 농작물 수확량이 30%이상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하략) 문의 3. 하눌님, 인정사정은 아십니까? 보시오. 이 지구의 하늘은 이리도 무심하고 저 지구의 하늘은 유정하게 포옹하는 때가 있는가요? 장마전선은 북상하다가 분계선에서 아, 겁먹고 돌아서 남하하는가요? 하늘님도 힘과 리념의 지배하에 맥살을 못추는건가요? “비는 주되 계선은 안넘음”입니껴? 아닐터인데…                                                             무심하게 푸른 하늘 연합뉴스 | 임병식 | 입력 2012.06.26 16:23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상략)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104년만에 최악의 가뭄이 지속돼 농작물 생육( 생장이겠죠?) 에 비상이 걸렸으며 기상청은 검색하기">장마전선이 북상하더라도 강수량이 예년보다 적을것으로 보고 있다. 2012.6.26   andphotodo@yna.co.kr 문의 4. 가물면 결과적으로 그 피해는 다 같은것입니껴? 어떤 땅엔 축복이 되고 어떤 땅은 하눌님의 저주가 되능겨? 참 알구두 알수 없습네다. 어찌 이렇게 무정할수 있단말입니껴? 하눌님을 열심히 믿고 뼈빠지게 땅을 뚜져 생계를 도모하는 어진 백성들을 저버려서야 하눌님 믿으라는 설교가 설교로 되갓습니껴? 이 기사 좀 읽어보이소. 정말 지독한 가뭄으로 하루에도 수십 개씩 저수지가 말라붙고 있습니다. 모레(30일) 비가 흠뻑 와서 저수지마다 그득그득 물이 찼으면 좋겠습니다. JTV 김 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전북에서 현재 고갈된 저수지는 94곳에 이릅니다. 비다운 비가 내리지 않으면서, 하루에 10곳 이상씩 계속 말라붙고 있습니다. 이처럼 저수지가 말라붙으면서 저수지 아래쪽 농경지는 타들어가고 있습니다. 논 바닥은 저수지 바닥처럼 말라붙고 있고 벼는 점점 시들어가고 있습니다. 벌써 수확을 했어야 할 녹두는 아직 제 키만큼 자라 지도 못하고 있습니다. (하략) ※《가상적인 하느님의 대답》 죄많은 생령들이여, 하늘은 언제나, 누구에게나 공정하니라. 공정한만큼 가물면 어디나 가물어서 저수지도 마르게 되고 논답도 갈라터지니라. 가물에 대비하는 경제력의 차이는 있되 가물은 거기서 거기니라. 말하자면 재해에는 편가르기를 하면 안되는거다 이말이여, 늬들 알아묵었노? 문의 5.  좀 생각해 보이소.무엇때문인겨? 엉? 이게 사실임니껴?   가뭄의 원인이 이 때문?…기상이변 어쩌나! [앵커멘트] 2012-06-28- 12:08 우리나라의 가뭄과 미국의 산불 등 전세계적인 기상이변은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 가스 증가가 원인입니다. 그런데 한반도 주변 이산화탄소 농도가 최근 전 지구 평균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하략) 문의 6.  아래의 기사문을 보고 어떤 생각이 나시는지요? 정말 하눌님이 내린 비라면 참으로 잘한 일입니다. 농사를 망쳐 속탈사람은 기자들이 아니라 그 땅에 사활을 건 농부들입니다. 발등에 불이 떨어져본적이 없는데 얼마나 따가운지, 얼마나 아픈지 알턱이 있나베? 참으로 좋은 일, 농사짓고 살아본 사람들 박수칠 일, 그런데…   김진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긴 기다림 끝에 내린 단비가 메마른 대지를 촉촉히 적십니다. 도로의 가로수들도 생기를 되찾은 듯 그 푸르름을 자랑합니다. 가장 많은 비가 내린 곳은 서울경기와 영서, 충청 등 중부지역 호우주의보까지 내려지면서 시간당 20~30mm의 장대비가 쏟아졌습니다. 장마전선이 북상한 상태에서 북서쪽으로부터 상층 찬 공기가 남하하며 비구름을 더욱 발달시킨 것이 원인입니다.. ( 하략)   보충질의 : 김소월님 시에 이런 귀절이 있지요.《…물맞아 함뿍이 젖은 제비도 /가다가 비에 걸려 오노랍니다》처럼 정말 하늘에서 내리는 비도 “물맞은 제비”처럼 북상하다가 분계선에 걸려 돌아오는 법도 있더이까? 아니라구예? 그라믄 아래 기사를 좀 읽어보이소. 질문 8 여기서 전문가란 가뭄전문가인가요? 장마전문가인가요? 남부의 가뭄은 무슨 동력이 될수 있을가요? 다 같은 가뭄인데 남부농민들은 가물어도 하느님께 감동을 먹으며 북장고를 울리며 상고모 돌릴 일인가요? 말속에 말이 빤히 들여다보이능구먼, 하느님 가라사대, 에라. 이 민둥아, 가물이면 가물이지 무슨 동력이 된다는거여? 그런 기사나부랭이를 보고 다닐 시간이 있으면 옛날 로자님의《도덕경》이나 꺼내서 먼지를 털어내고 읽거라. 중구난방의 기사를 스쳐보면 되는거지. 웨 그리 정색이냐.? 어떤 기사는 “106년만”이라고 고아대더니 이 기사는  “60년만이라네. 그새 해수가 줄었네그려, 46년은 비에 씻겨갔나? …”   北 전문가 "가뭄이 北 개혁동력 될 수도" 매일경제 | 입력 2012.07.01 16:57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연일 이어지고 있는 가뭄이 북한 사회 개혁의 동력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북한전문매체 뉴포커스 30일 보도에 따르면 북한 전역이 60년 만의 가뭄으로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모든 농업 생산력이 자생으로 이뤄지고 있는 북한 주민들의 피해는 상상을 초월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략) 질문 9 하늘님은 알고있겠지요.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류는 대체로 존재의 근원에 대한 사유를 神에서 自然으로, 자연에서 灵魂으로 발전시킨것으로 볼수 있지요. 동양은 서양과는 달리 녀신을 풍요의 신으로 숭배하였는바 녀와씨는 성씨가 风인 녀신으로서 태양신 복희의 안해인데 달(月)을 주관하며 가뭄과 홍수를 주관한다고 합니다. 녀와신더러 지역을 골라가며 비를 주라했는가요? 말하자면 한쪽은 비가 너무와서 걱정이고 한쪽은 가물도록… 웃기는 소리로고, 세상사 황당하게 돌아가는 때가 많듯이 입가진 자마다 제좋은 소리를 하는 판이거늘 가뭄재해와 피해의식은 거기서 거기인즉 그런 기사따위를 정말로 읽을 필요없고 그로써 쓰잘것없는 문장도 짓지도 말라. 땅에 일을 두고 언감생심 알둥말둥한 질문을 들이대며 옥황님을 시끄럽게 굴다니? 필자야, 네 잘 알아묵었능겨?                                  2012년 7월 1일
163    (교육에세이)조선족소학교 1학년 한어교과서에 부쳐 댓글:  조회:10430  추천:2  2012-06-28
                                     조선족소학교 1학년한어교과서에 부쳐                                                                                   최 균 선        매일 손자애의 한어숙제를 거드노라면 아름차기만하다. 한어교원이 아니여서 아름찬것이 아니라 아이의 인지규률에서 그만 억이 막힐 때가 있다. 아마 그래서 거의 교문밖에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아이가 교문을 나서는길로 한어보충수업반으로 발빠르게 돌아치는지것 같다.     1학년교과서에 단계에서 도달해야 할 한자어학습목표는 명확하였다. 年级 册 写字量 合计 识字量 合计 总计 1年级 上 下 106 193 299 117 186 303 602 2年级 上 下 246 226 472 200 156 356 828      곤혹의 첫째로, 저급학년에 식자량이 너무 많고 난도가 너무 크다는 느낌이다. 무릇 어떤 학과이든 애들의 심리특징과 인지능력의 단계성이 충분히 고려되여야 한다. 한어선생님은 학생들이 식자에서 애먹는것이 아니라 배운 한자를 공고히 하고 활용 하는데 있기에 량극분화가 심하다고 한다. 망각의 규률은 어길수 없는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아이들의 잘못이 아니다. 지금 아이들은 거개 총명하고 령리하다. 1학년 1책에 읽고 알아야 할 글자중에 출현빈률이 높지 않거나 근본 나타나지 않는 한자들도 있다. 례하면 “步、虎、狼、蓝、脑、刷、蛇、司 ” 등이다.     아이들이 매일 새 식자. 쓰기 등 임무를 완성하느라고 공고화하여 능력으로 전화시킬 시간이 없다고 한다. 이역시 교원들의 잘못이 아니다. 교과서가 순서점진, 공고 , 운용, 능력발전규률은 제쳐놓고 “돌격나팔”을 부는데 “련장” 인 선생님들이 “전사” 들을 독전하여 맹돌격시키지 않을수 없을것이다.     곤혹의 둘째로 학습밀도가 엄청 크다는것이다. 개학하자마자 한자를 알아야 한다. 제1편의 과문이 “上学了”인데 소학교대문에 금방 들어선 애들이40분 첫시간을 바로 앉아있기도 조련치않은데 한어로 말하고 단어를 배우고 글자를 알아야 하는 등 임무가 과중할것은 당연하다. 물론 한어의 망망대해속에서 성장하고 학전반에서 배우기도 하여 예전 애들과는 기점이 다르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애들의 인지능력의 발전규률은 크게 다르지 않다. 애들이 그림 그리듯 글자를 쓰느라 손맥이 다풀려 안깐힘을 쓴다고 한다. 배움이란 유희가 아니지만 이도 아니 난 애들에게 콩밥부터 먹이는격이 아닌지 왼고개를 젓게 된다.     특히 매일 내주는 숙제지는 공고와 창의성배양을 목적으로 하는지 빈자리에 써넣기에 난제가 푸술하다. 과문을 근거로 하였지만 문장을 새로 꾸며야 하는 문제가 많다. 기성된 한자, 구절도 미처 다 소화하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창조적사유”, “발산사유” 배양이 가당한지 곤혹스럽다. 내가 료해한데 의하면 녀자애들은 거개 밤늦도로 숙제하는데 할아버지, 할머니들 가운데 척척 지도해줄 사람이 많지 않다보니 아이가 혼자 낑낑거리다 훌쩍거리며 숙제를 하며 하다하다 못하면 새벽 5시에 일어나서 숙제를 마저 하느라 눈을 쥐여뜯고 그래서 아침도 못먹이고 학교로 끌고온다고 하였다.     제때에 학습임무를 완성하지 못하면 그것이 루적되여 애들은 매일 심리압력을 받게 되고 그런 심리압력이 낳는것은 당연히 짜증과 싫증, 눈물이고 악성순환일수밖에 없다. 아닌게 아니라 교문밖에서 할아버지, 할머니들의 오가는 말들에서 과중한 학습 부담속에서 동심이 얼마나 구겨지고 있을가를 매일 확증하게 되였다. 그리고 거개 지도할수 없어서 “학원”에 매달릴수밖에 없다는 말이 그저 남의 일같지 않다. 84세의 고령에 혼자 손녀를 돌보는 한 할머니에게 손녀가 한어때문에 애먹는다더니 좀 나아졌는가고 물으니 학원덕분에 많이 나아졌지만 한어학습반에 가지 않겠다고 징징거리는데 그냥 보내는것이 좋을지 조언을 청하였다.     곤혹의 셋째로1학년의 식자량이 너무 많은것이다. 식자량이 가장 적은 과문이 제1과인데 알아야 할 글자가 3개였다. 그에 반하여 가장 많은 과문은 생자 가13개이다. 그런데 그것을 확대하여 새록새록 문제집을 만드는것도 곤혹스럽다. 애들이 익혀야 할 글자와 새로 배우는 글자의 련관성을 고려해서 선재하여야 바람직하고 훈련도 교과서중심이 되여야 할듯싶은데 교과서외에도 “한어련습”, “한어훈련”이 따로 있고 미리 인쇄하여 배포한것인지 모를 련습문제지, 교원이 자체로 만든 시험지가 있어서 대관절 너른마당 쓸기인지 중점돌파인지 아리숭하다. 병음은 조선족애들에게 난점인데 설상가상으로 병음과문에도 식자환절을 끼워넣었다. 밥을 먹으며 물도 마시거나 반찬을 곁들어 먹는것과는 별개의 문제이다. 한화살로 동시에 두마리 토끼를 맞힐수 있을가? 의문이다.     가급적으로 한어장악량을 높이려는 목적에서 출발했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열정은 때론 맹목성이 될수도 있다. 맹목성이 미만한 결과를 낳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급하다고 바늘허리에 실을 매서 쓸수는 없지 않은가? 교수에서 순서점진, 인지규률, 능력발전의 단계성은 어느 시대에도 무시못할 법칙이다.     한어는 왜 배우냐? 농촌식으로 말한다면 잘 써먹기 위한것이다. 하다면 과문선재도 우선 아이들의 년령, 심리특징에 걸맞게 배움의 즐거움부터 심어주고 그 즐거움을 동력으로 일상용어부터 익히게 해야 실용적이다. 생활상, 과당수업상, 학습습관상 등 문제도 어련히 고려했겠고 그것을 체현시키려 한것같기도 하지만 아이들의 생활권에서 탈절된 과문들도 있다고 보아진다. 어떤 글자는 현단계에서는 필요없는만큼 생경하게 문장격식도 장악시키려 서두르지 말았으면 좋겠다. 한 로련한 한어선생님은 식자량을 감소해야 한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례하여 “ 尺、寸、升、勺字。认读字中蓝、脑、刷、司 ”등 글자는 사용률이 적기에 후에 배우게 하는것이 순서적이고 실제적이라 하였다. 부분적인 한자 “舀、辰、凳、仓、稻、隆、窿、姜、卵、仑、乃、帚、雁”등 글자는 고급학년에 가서 배워도 크게 랑패날것같지 않다. 이러한 글자들이 모두 한번 나타나고 더는 나타나지 않을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일상생활에서 경상적으로 쓰이는것들이 아니라는것이 그 근거이다.     소학교한어교과서를 종합고찰해보면 1-2학년에 식자량이 집중되였는데 학습난도가 가장 큰 학년이 1학년이 된다. 소학교단계에서 제일 나이가 어리고 지력상에서 제일 미숙상태의 학년이 1학년일진대 이는 분명 자가당착이 아닐수 없다. 어른도 제한된 시간내에 할일이 태산같으면 지레 손맥이 풀려하고 일욕심이 식는다. 아이들의 학습심리도 마찬가지이다. 시작부터 단맛을 붙여야 하고 재미속에서 차차 기초를 닦아나가 하는것도 이만저만이 아닌데 농촌 사투리로 표현한다면 단판에 “후두를 멕여놓았다.”소수민족으로 말하면 한어는 “외국어”와 같아서 마른나무 꺾듯이 뚝딱 해버릴 그런 언어가 아니라는 말이다.     부대적으로 저급학년 단계에 많이 알게 하는것이 합리하냐? 많이 씌우는게 장땅이냐 하는 등 실천적인 문제가 제기되는데 전직교원이 아닌 필자로서 이렇다 저렇다 말할 처지는 못되나 아이들의 심리특징, 인지능력이 고려되야 하는것만은 분명하다.     상술한 문제들에서도 아름이 벌어지지만 손자놈이 성구해석을 들이댈 때는 정말 두손을 들게 된다. 여덟살짜리 아이에게 납득되도록 해석. 설명, 풀이하는 일이 여간 간단치 않다. 1-2학년에서 알고 읽을줄 알아야 할 글자가 모두 384 개인데 한어성구들을 외우게 하고 빈자리에 알맞게 써넣어 완정한 구절을 만들게 하는 숙제도 내는데는 정말 아연실색이다. 어떤 어른들도 알둥말뚱한 한어성어를 1학년애들이 꼭 외워둬야 하나? 외운들 멋모르고 천자문을 익히던 그런 서당훈장의 작법과 다른게 뭐일가? 1학년 제2책을 대충 번지면서 대체로 줄을 세워보았다.      6과 《四个太阳》에 “满园春色,多姿多彩”,  7과《常说的一句话》에 “完美无缺, 喜闻乐观, 谢天谢地”, 8과《孔融让利》에 “互敬互爱, 互帮互学,尊老爱幼, 尊师爱生”,  9과《一次比一次有进步》에“百发百中, 寸步难行” 이 있다. 더구나 경악한것은 《学字(七)》에 “万紫千红, 鸟语花香, 晴空万里”, 《学字(八)》“ 万众一心, 品德高尚”,《 学字(九)》에“欢天喜地, 一帆风顺”,《学字(十)》에 “心明眼亮,坐立不安”이 있다. 제10과 《司马光》에 “”急中生智, 当机立断 ,舍己为人”, 11과《乌鸦喝水》에“鸦雀无声, 守口如瓶,渴望已久”이 있다.    제12과《聪明的小苗》에 “自高自大, 自以为是, 虚心使人进步, 骄傲使人落后” 등 성어는 내놓고라도 “虚心使人进步, 骄傲使人落后” 라는 철학적명언까지 외우라는것은 너무한것 같다. 제 13과《人造卫星本领大》에는 “星罗棋布, 星光灿然”,14과 《鱼是怎么睡觉的》에 “如鱼得水,鱼米之乡, 鱼水情深 ”, 15. 《会说话的灯》에 “众所周知, 自作聪明” , 제16과《狼来了》에 “狼天虎因, 虎头蛇尾”와 같은 고급스러운 성어에 놀라웠고 제17과《朋友》에 “ 亲朋好友。 良师益友”에서 배운바가 있었고 제18과 《小熊和小鹿》에“言而有信,言行一致”등이 있는데 대응되는 조선말성구를 찾아 조선말로 해석하자면 말이 길어지고 해석에 해석을 얹어야 하고 그렇게 해석한들 애들이 잘 받아물수 없을것은 자명하다. 그래서 통속적으로, 직관적으로 해석하자고 하느라면 “신경질”이 나면서도 지금 아이들은 우리 때보다 너무너무 총명한 세대로 높이 받들려 큰다는 사실에 감동을 꿀꺽 삼키게 된다.     감탄은 감탄이로되 손주놈이 “할아버지, 인조위성이 어떻게 그렇게 빨리 날아갑니까? 어떻게 그렇게 멀리 날아갑니까? 비행기는 점점 높이 뜨는데 왜 인조위성은 꼿꼿하게 올라갑니까? 사람이 그 안에서 밥이랑 먹고 똥이랑 마려우면 어디다 눕니까? ”등등 등등을 련속 들이댈 때 잘 모르겠다고 하면 “할아버지는 부교수라면서 그것도 모름까?” 한다. 설명할길 없는 나의 천박한 지식에 개탄이 나오기전에 해석해도 알길없는 아이들에게 어른들도 잘 설명할수 없는 최첨단의 과학원리에 허망한 호기심부터 달리게 하는 교과서에 두손을 바짝 들고 투항할수밖에 없다. 아무래도 남들이 하는대로 “한어학습반”에 보내야 할것같다. 나로서는 너무 아름차니 말이다.                                              2012년 6월 20일
162    담배와 내 인생 댓글:  조회:10143  추천:3  2012-06-24
                                        담배와 내 인생                                                                                         최 균 선       이른바 “금연”이 현대표어(슬로건? )로 내걸리여 흡연이라면 거리에 나온 쥐를 때려잡으라고 소리치는 군체심리같이 금연운동이 국가적으로도 시행되는 비상시국에 흡연을 잘못 론하면 자칫 시대락오자 취급받을지도 모른다.     어느 건강학학자가 담배에는4000종 이상의 화학물질과 60종 이상의 발암물질이 존재, 폐암 발생 위험이 23배 증가, 일산화탄소 농도가 대기환경 기준의 45배이고 작업장 허용기준의 8배, 다이옥신 농도가 1㎥당 5㎍, 심장병·중풍·호흡기질환 등의 원인 및 악화요인, 흡입후 10초내에 대뇌에 작용하는 중독성물질이며 40- 60㎎ 만으로 성인에게 치사작용, 1개비당 7분의 수명을 단축시키며 전세계적으로 하루 13,000명, 연간 490만명이 사망하며…     개인적으로도 담배의 위해성을 중구난방으로 설파하고있다.…이제 누구나 담배가 해로운것을 알게된 지금도 담배를 못끊는 당신은 진정 용자입니다.~죽어라~. 담배를 끊고 못끊고는 진정 철이 들었나 안들었나의 척도다~ 솔직히 담배... 습관, 겉멋, 자기합리~ 실체는 이뿐이다. 니코틴 중독이니~ 안정이니 스트레스 해소니, 세뇌되고 각인된 허상 이미지다. 담배는 애들때나 피워 본걸로 만족하고 이제 끊어라~ 담배를 끊으면 인생이 바뀐다. 담배를 끊으면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       금연하면 수명을 버는거다. 자존감 없는 사람들은, 담배를 절대로 못끊는다. 계속 피워대는 부류는 어차피 그렇게 막 살다 주위사람들에 민페끼치며 죽을 사람들이다. 존중해줄 일말의 가치도 없다… 피우면 피울수록 병들어가고 세월이 흐르면 흐를수록 삶에 찌들게 되고 피우다 피우다 다 타게 되면 짓밟혀 버려지게 되고 세월이 흐르고 흘러갈때가 다 되면 우리도 버려지니까…한마디로 귀납하면 흡연은 염라국에서 사전에 내보낸 저승사자의 대명사쯤으로 되고 있다…     이렇듯 금연옹호자들은 거개 자기 절실한 체험으로 남들게 충고할것이다. 그리고 나름대로의 도리가 앞서고, 어디까지나 선의적이고…하지만 가령 누군가 “그런데 국가에서는 마치 커피나 홍차같은 '기호식품'인양 담배를 생산하는것을 왜 묵인하며 담배공장에서는 겨끔내기로 담배값을 올리며 많이 팔려고 새 상품개발에 안달하는가? 마약판매자는 가차없이 징벌하는데 마약버금가는 담배생산은 정당한 상업행위로 되고있는가? 라고 들이댄다면 필시 전전긍긍하지 않을수 없을것이다.    이 시대엔 황당한 론리가 많지만 위해성이 있으니 피우지 말라고 충고까지 써내며 그냥 비싸게 팔고싶어하는 상업심리를 도대체 어떻게 분석해야 하는가? 거기에는 필경 국가차원의 경제운행원리같은 복잡한 문제가 선행될것이나 결국 중국고대우화속에 창과 방패를 팔던 사람의 행각과 다를바 없으렸다.     개인적으로 담배를 끊기어려운 리유는 니코틴의 중독성이 아주 강하기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담배를 피우던 사람이 갑자기 금연하면 다음과 같은 금단현상이 생길수 있단다. 우울증, 불면증, 정서불안 및 화를 잘냄, 불안증, 정신집중장애, 심장 박동저하 및 식욕증진과 과체중 등등...하긴 생활에서 증명되고 있는 사실이다.     앞에서 인용한 통계에서 담배한가치에 수명이 7분이 감소된다는 말은 어째 잘 믿어지지 않는다. 나이가66살이라 할 때 열여섯살때부터 피웠다면 반세기 흡연사를 기록하고있다. 얼핏 계산해도 실제수명보다 이미 죽은 세월이 훨씬 많다는 답이 나온다. 더욱 해석불가능한것은 지금 살고있다는 점이다. 이점은 최신전자계산기로 계산해낸 수자로도 해석할 길이 없을것이다.     리론상으로는 얼마든지 가능한 금연방법이 한가지 있다. 기발한 착상도 아니다. 즉 이 지구에서 아예 담배재배를 전면 페지하고 담배처럼 피울수 있고 연기를 삼킬수 있는 물질을 모조리, 깡그리, 죄다,전부 없애고 국가차원의 막강한 소득보다 국민의 생명가치를 최고로 내세우고 연초 연자마저 절멸시키는것이다, 그러면 아무리 피우고 싶어도 피우지 못할것이요 금연하고 싶지않아도 절로 금연할것이다. 그런데 우문우답하는 필자가 보건대 그렇게 할 사람은 아직 세상에 태여나지 않은것같다.     각설하고, 이처럼 우리의 많은 구호들은 잘 실현될수 없기에 요란하게 웨치는 경우가 많다. 오지 않으면 갈일도 없듯이 생산하지 않으면 금연할 일도 없거늘 담배를 피우면서 건강이 근심되면 금연하면 그만이다. 가는 사람 막지 말고 오는 사람 거절하지 말라고 각자의 욕구를 누가 마다할것인가? 이 세상에서 정녕 말려내지 못할것은 자기수요이다. 생리적이든 정신적이든 인생일사는 수요에서 시작되고 불필요에서 멈춘다. 담배가 삶의 내용이나 아니냐? 인생의 동반자냐 아니냐는 각자의 가치취향과 가치기준에서 기인된것이다. 누구나 나름대로 인생을 살고 생활내용은 그에게 주어진 선택권안에서 기획된다.     사회여론이야 여하튼 흡연은 내 생활의 주선률로 되여진지 반세기가 넘었다.   마라초를 말아피우던 그 시절엔 담배연기가 회색인가? 푸른가 하는것은 그리 중요하지 않았다. 한대 두둑히 말아서 피울때에 구수한 맛은 없더라도 일컬어 잡내가 나지않으면 만족이였다. 그때는 술친구도 친구려니와 어쩌다 생긴 권연한대마저 나누던 담배동무도 살뜰한 친구였더랬다.     마라초든 싸구려권연이든 담배는 내 인생의 충실한 동반자였다. 불을 붙여문 담배의 길이가 내 인생의 길이요 반짝이는 불꽃은 내가 살아가는 순간이요 흩날리는 담배재는 지나온 내 인생의 회색추억이다. 각일각 타들어가는 담배불에서 아직 내가 살아있음이 확인되고 시나브로 짧아지는 담배의 길이는 내가 살아갈 날이 줄어들고 있음을 의미한다. 허공중에 헤여지는 푸른 담배연기는 언제가는 나도 소문도 소리도 없이 가뭇없이 사라질수 있다는 징표라고 느긋하게 생각해 보게 한다.     담배를 피울때마다 오래전 기억의 터밭에 심었던 한국시인 신동엽의 대표작이라 할수 있는《담배연기처럼》의 시구들이 스믈거리는 담배연기처럼 피여오른다.                             들길에 떠가는 담배연기처럼                                내 그리움은 흩어져갔네                        사랑하고 싶은 사람들은 많이 있었지만                                멀리 놓고 나는 바라보기만 했었네.                        들길에 떠가는 담배연기처럼                               내 그리움은 흩어져갔네.                       위해주고 싶은 가족들은 많이 있었지만                               어쩐 일인지? 멀리 놓고 생각만 하다 말았네.                       아, 못다한 이 안창에의 속상한 드레박질이여.                        이런 시는 담배를 피우는 시인만이 지어낼수 있는 시이다.                                                                                                2010. 11. 20                     2011년 2기                                                                                                    
161    내것, 네것,우리것 댓글:  조회:10351  추천:6  2012-06-23
                                           네것, 내것, 우리것                                                                           인간의 삶이란 진실로 아이러니컬하지 않은가? 인생이란 무거운 짐을 지고 북망산을 향해 걸어가는 길이다. 아무도 이 길을 벗어날수 없다. 그런데도 우리는 자신과 이웃들에게 더욱 깊은 고통을 주도록 강요하는 삶을 습관처럼 행하며 살아가고있다. 아무것도 소유하지 않아도, 아무것도 이루지 못해도 그 과정만으로 넉넉할수 있는 마음의 빈자리를 내주는 삶이라는것을 깨닫기까지는 오래 살아보야 한다.      흔히 인생을 고달프다고 한다. 맞다. 인생은 이래저래 힘겹고 고달프다. 그 고달픔은 다 어데서 올가? 이런저런 원인들이 많겠지만 결국 내것을 더 많이 만들고 뭐나 제일이 되고싶어 애면글면 하다보니 더구나 고달픈것이 아니랴! 인간이 내것이라는 것을 따지기 시작하고 제일을 추구한것은 인류의 진화와 동보하여왔다. 단군님이 태초에 홍익인간정신을 창도하였지만 내것에 몰입하고 제일에 안달하다보니 인간의 심방에 리타정신같은것이 들어설 틈이 없어진것이다.     아이들이 제일 처음 아는것이 내것이고 뭐나 제가 제일이기를 바란다는것은 아이를 키워본 사람들은 다 느낀바가 깊을것이다. 어린손자놈이 말을 번지면서 먼저 하는 말도 “내꺼!”였고 차차 지각이 트면서 추구하는것이 곧“내가 제일”이였다. 산동지방에 와서 중국어를 배울 때 가장 먼저 머리에 박힌것이 “这是我的”, “我第一” 였다. 그러구 보면 내것, 제일에 대한 관념은 배속에서 가지고 나온 본능적리기심의 으뜸가는 체현이 아닌지 모르겠다.     인간의 식욕, 수면욕 성욕, 물욕, 명예욕 그 잡다한 욕망은 결국 내것ㅡ소유욕이라는 한마디로 귀납할수 있겠다. 소유욕은 결국 소유권에 귀속되는 문제이다. 이 소유권의 계선을 대체상 내것, 네것, 우리것으로 나눌수 있다. 평균치라는 말은 있지만 사욕이 팽배하는 이 사회에서는 소유권의 평균치를 구할수 없다.     이 세상에 우리것이라고 말할수 있는것은 태양이나 공기, 자연과 그 밖의 모든것, 세상의 모든 재화가 공동소유이다. “우리는 원래 가진게 없다!”“우리는 영원히 무엇을 가질수 없다!” 진정 내것이란 무엇이며 내것이라한들 얼마나 오래동안 가질수 있을까? 깊이 생각할것도 없이 내몸도 결코 나의것이 아닌셈이다. 하물며 금전, 명예, 권력을 절대적으로 내것이라 말할수 있으랴,    물각유주(物各有主)이나 미시적으로 보면 이 세상에 내것이란게 없고 거시적으로 보면 이 세상에 내것 아닌게 없는것 같다. 자연도 보는 사람의것이고 돈도 쓰는 사람의것이고 제인생도 즐기는 사람의것이고...그러나 영원한것은 아무것도 없다. 너무나 무상하고 꿈같은 세상인지라 내것이란 기실 아무것도 없다. 매일 자기 몸뚱이를 자신의것이라고 착각하면서 살아갈뿐이다.    “사랑”도 팔고사는 이 시대에는 내사랑이라는 말도 미덥지 않은 말이 되였다. 어찌해서 만나서 그럭저럭 살다가 맘에 안들면, 더 좋고 더 행복하고 편안할듯싶으면 갈라질수도 있는 내안해(남편)이기도 한데, 물건도 거저 얻을수 있고 사올수 있고 팔아버리기 십상인데 이 모든 물건들이 어찌 내것이고 네것인가? 하나의 물건에 불과한것에 좌우되는 인간도 하나에 물건과도 같으니 내것도 네것은 아니라…      하건만 우리는 자기 육신을 위해 돈. 시간. 정욕. 정성을 쏟아붓는다. 살찌고 야위고. 병이 들락거리고. 로쇠하고. 기억이 점점 상실되고…이 세상에 내것은 하나도 없지 않으냐? 몸이나 생명이나 형체있는 모든것은 꿈같고 환상같고 물거품같고 그림자와 같고 이슬같고 또한 번갯불과 같은것이 아니냐?     그 저변에 내것은 내것, 네것도 내것인대신 얄팍한 심사에도 아쉬움없이 밀어주듯 내주는것이 있긴하다. 그게 뭐냐하면 손해와 잘못과 책임이다, 네책임은 네것, 내책임도 네것이라는 비겁한 심보는 얼마나 야비한가? 우리를 넉넉하게 해주는것은 과연 내것을 만드는 로심초사뿐인가? 우리는 그냥 가지는것만으로 자기삶에 자족할수 있는것일가? 대답이 막연하고 실행이 어려운 난제가 아닐수 없다.     그렇게 열심히들 살면서도 왜 우리네 인생이 이리도 팍팍할가? 별로 곰곰히 생각하지 않고도 알수 있는바 할수 없는것을 하려고 하고 가질수 없는것을 가지려하고 얻을수 없는것을 얻으려하고 지킬수 없는것을 지키려하기에 인생은 불만족속에 연장되고 스스로 긋는 그 연장선상에서 우리는 그냥 쫓기듯 살수밖에 없으니 이아니 야단인가? 마음을 가지는것만으로 만족시키면서 얻은것을 쌓고 부등키는것으로 심리부담을 자초하기보다는 적절하게 마음의 빈자리도 만들고, 내주고 덜어낼줄 아는 지혜로움을 가지면 좀 좋으련만 그것은 군자들만의 덕성인듯싶다.     물욕에, 돈바람에 이리저리 휘둘리지 않을수 없는 인간이라지만 많이 가져봤자 어디까지나 외재물이요 어깨힘 팍팍 살리며 재세를 피워봤자 7월 풀메뚜기의 그 한철처럼 인생일사 허무하지 않던가. 그가 얼마나 가지고 배를 어루쓸든 사람은 누구나 주어진 인생길따라 갈수 있는만큼 갈수는 있을뿐 끝내는 목적지에 도달하지 못한다. 누구나 갈만큼 가고 그 이상을 갈수도 없건마는 돌아서기의 지혜를 알려하지 않는것이 우리들의 인성의 한 품몫이다.     권세자도 억만장자도 어디까지나 인간이다. 그러나 인간이라서 다 인간인것은 아니다. 그런데 불의로 얻은 부귀는 뜬구름과 같다는 말은 도덕가들의 귀간지러운 설교이지 현대의 실용철학은 되지 못한다. 만복을 누리다 가는자는 소수이고 고생고생하다가 그렇게 속절없이 가는 사람들이 다수였기에 인생살이를 고해라고 했고 고해속에서 살지 않을수 없는 민초이지만 자신의 현재를 복락원으로 생각하는 마음이야말로 륜회라는 피동적삶을 극복하는 자세임을 알기에 그냥 살고있는것이다.     사람마다 내것만 챙기지말고 횡적으로 평등하게 이웃하며 적당히 내주고 자기도 받으며 화목하게 살아야지 종적으로 차별화하며 경쟁적으로 더더욱 많이 가지려고 하는데서 반목과 시기와 갈등이 지속될뿐이다. 사람마다 내것만 챙기면 이 사회의 평화가 깨진다는 말은 진실이요 진리이기도 하다.      말자! 마는 때가 좋은 때이고 좋자면 말아야 한다고 조설근선생이 말했더라. 워낙 인생일사가 바람같은것이 아니랴, 우리가 이 세상에 온것도 난데없는 바람처럼 온것이요 한오리 연기로 사라지는것도 바람의 힘이거늘, 일확천금의 희열도, 못가진자의 불만도 다 바람같이 지나가버린다. 끓어넘치던 욕망도 세월의 바람에 식고 아글타글하던 추구도. 헤여날길 없는 허영의 꼬드김도 한바탕의 모진 비바람이다.     그렇다고 욕망도 없고 경쟁바람도 없는 무풍지대에서 살수는 없다. 바람에 실려 구름이 가듯 삶의 목표가 없어도, 정처없어도 안될일이니 본분에 걸맞는 자세로 열심히 살며 적게 얻었더라도 노력의 구슬땀으로 바꾼것이라면 더없이 소중할것이다. 좋은 일이 일어나는데는 시간과 인내가 필요하지만 악과로 끝나데에는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그러나 거기에서 벗어나는 데에는 상당한 대가를 지불하게 된다.     물론 가지려는 욕망이라고 해서 다 타매할것은 아니다. 사람은 누구에게나 많이 가지려는 본성이 있다. 그러나 네것과 내것, 우리것을 잘 분별하며 적당히 욕심을 부리며 산다는것은 심오한 인생철학이 아니라 인생의 잠규칙이다. 내것은 내것이지만 남의것도 내것으로 만들려는데서 삶의 현장이 이리도 다사분주하리라.                                                                           2011. 5월 15 일                  (2013년 10월 11일부 연변일보)
160    승냥이가 다시 으르렁거린다 댓글:  조회:10046  추천:2  2012-06-22
                                           승냥이가 다시 으르렁거린다.                                                                최 균 선       오늘 한국 문화일보에서 입력한 “日 핵무장 움직임 北 못막은 中 책임”라는 글제의 기사를 보았다. 정부 외교안보 고위 관계자는 이날 문화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일본의 '핵무장' 움직임에 대해 "북핵 문제가 주변국의 경각심을 자극하고 있으며, 결국 북한의 핵무장을 막는 데 적극적이지 않은 중국에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고 전하고있다. 그 말씀 참으로 동문서답격도 아니고 당나귀주둥이를 말의 입에 갖다대는 격이다.     앞서 일본의회는 20일 “원자력이 국가안전보장에 이바지한다”는 조항을 삽입한 원자력기본법, 원자력규제위원회 설치법개정안을 의결했다. 원자력개발을 “평화목적”으로 한정한 기본방침을 34년만에 개정한것으로 최근 일본내에서 “전쟁포기”, “군대보유 금지”를 규정한 평화헌법을 개정하려는 “우경화”조짐과 맞물리면서 사실상 향후 “핵무장”을 추진하기 위한 길을 열었다는 분석이다.  이리하여 지금 중국사이트들에서 이 문제에 대해 의론이 분분하게 되였다.       몇해전 전임총리들중 아베신조란자가《아름다운 나라 일본》으로 포장하고 나섰지만 전쟁포기와 비무장을 규정한 평화헌법 9조를 개정하여 군사강국으로 도약하려는 야망을 도처에서 나발불었고 일본의 만화가 위고야시 요시노리란자도《일본은 중국인 학살도 조선인 강제로동도 인간생체실험도 했다는 증거가 없기에 사과할 필요가 없다.》고 공공연히 헛소리를 줴치고 일본력사교과 서개정을 주도하고 있는 후지오까 노부가도《남경대학살의 증거가 없다》고 야망을 드러냈다.     어디 그뿐이냐? 전임 일본총리 나까소네부터 국제사회의 변화에 대비해 일본도 핵무장을 연구해야 한다고 공공연히 말하였다. 이에 동조하며 핵무장을 주장하는자들이 날로 늘어나고있다고 매체들은 보도했는데 일본의 국민적동향이라 해야 하나? 이 근간에는 더구나 한술 더 뜨고있다.. 라 할가?  일본 총리 직속 위원회가 일본의 미래 생존전략을 담은 보고서에서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허용해야 한다는 내용을 포함시켰는데 동맹국 등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국가가 제3국으로부터 무력공격을 받았을 때 자국이 공격받은것으로 간주해 제3국 을 공격할수 있는 권리이다.     제2차 세계대전 전패국인 일본은 그동안 '전쟁을 포기하고 군대를 보유하지 않는다'는 헌법 9조에 따라 집단적자위권을 포기했다. 요즘 집단적 자위권을 도입 하자는 주장이 또 나오는것은 일본도 '전쟁을 할수 있는 보통국가'가 돼야 한다는 주장이 그만큼 확산되고 있다는 증거이다. 집단적자위권용인 주장은 력대 총리들의 단골메뉴였다. 고이즈미 준이치 (小泉純一郞) 전 총리는 2004년 아예 헌법을 개정해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명시해야 한다고 촉구한바 있다. 2007년 5월 아베 신조(安倍晉三) 전총리도 집단적자위권 행사문제 검토를 지시했다. 노다총리도 의원시절 집단적 자위권도입 필요성을 줄기차게 주장해왔다. 그래 일본이 기가죽은 순한 양으로 보여서 친하고다니는가? 승냥이의 뒤에는 아메리카 사자가 종용하고있다.    배앓는놈 탈이 없을가? 이른바 조.중 위협론 명분으로 군비강화하며 남한과도 군사동맹을 맺어 중국을 견제하겠다는 립장이다. 경제력 약화로 군비를 축소하고 있는 미국도 내심 일본의 적극적인 역할을 원하고 있는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런 어경에서 우리는《과거의 그림자, 일본 군국주의가 살아났다》라는 새 세기의 가장 준엄한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수 없다. 필자가 본분을 모르는바가 아니다. 력사비극은 막을 내렸어도 정서는 그냥 남아있지 않던가? 재연을 벼르는 악마의 준동은 더구나 외면할 일이 아니지 않는가?     놈들은 줄곧《아세아의 해방자》로 자처해오면서 아세아각국의 독립은 자기네의 공로라고 강변하였다. 개꼬리 삼년 파묻어도 황모못된다는 속담처럼 바로 일본군국주의 잔여세력들은 양가죽을 쓴 승냥이들이다. 승냥이는 꿈을 꾸어도 양을 잡아먹는 꿈을 꾸며 죽어가면서도 한마리라도 더 잡아먹지 못한것을 애석해 할것이다. 놈들은 칼을 놓지 않았을뿐만아니라 줄곧 갈아왔다. 현재 일본의 군비지출은《세계헌병》미국의 버금가는 제2위이고 실력도 막강하다. 그리고 마음만 먹으면 3개월내에 6천개의 핵폭탄도 만들수 있다는것은 이미 세인들이 다아는 오래된 비밀이다.     참으로 61년전 한 지자의 경고가 현실화되고 있는셈이다. 그 지자란《대공보》의 명기자였던 주게평( 朱启平)선생이다.  원래는 비상히 이름있는 기자였는데 1957년《우파분자》로 몰린후 사람들의 기억속에서 희미해졌다. 하지만 그 특유의 안광과 원견성이 있는 사상으로 번뜩이는《주게평통신선》은 생명력을 잃지 않았다.    흔히 신문체서적은 세월의 그늘속에 잘 숨겨지지만 주선생의 통신집이 사람들의 시야에서 한오리 연기처럼 사라지지 않은것은 그 안광과 심각한 사상성때문이였다고 해도 틀리지 않을게다. 이 통신집에《일본의 투항은 림시휴전이다.》라는 특별히 이목을 끄는 장편통신이 있는데《일본인민들은 60~70년간 침략전쟁의 성공에 도취되여있기에 허다한 사람들과 통치자들이 침략을 당연한것으로 인식하고있었다.》라는 한단락의 서술이 있다.      주선생의 이런 론단은 일본이 무조건 투항을 선포한후 각방면에서 자세히 관찰한후 내린것이고 이 글도 1945년 8월 28일부터 12일간 일본에 가서 취재한후 써낸 통신으로서《대공보》에 련재되였다. (1945년 10월 2일, 3일, 4일부)     글에서 주선생은 당시 일본침략자들이 진정으로 참패했다고 머리를 수그린것이 아니고 할수없이 투항을 접수하고 후에 다시 보자는 심리를 가지고 있었다고 하였는데 그후 60여년간의 일련의 사실들이 그의 예견과 경고가 많은 면에서 맞아떨어지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일본사람들이 침략전쟁의 성공에 도취되여 있었다는 주선생의 말은 근거없는 추단이 아니였다. 일본이 수차례의 침략전쟁에서 거둔 혁혁한《성과》들은 세인들이 알고있는 곰팡이낀 수자들이지만 지금처럼 결코 유희가 아니였음을 설명하고도 남지 않는가 보라!력사는 원한과 같이 기억의 산물이다. 기억은 잊을수 없는 비극의 세절로 얽혀진다. 하지만 당년에 겪어보지 못한 우리들로 말하면 일제침략자들의 갖은 만행과 처절한 항일투쟁의 사시를 매체에서, 서적에서 근근히 간접적으로 체험한것 밖에 없다. 그나마 유희같은 영화들을 많이 보아서 아주 가볍게 일본을 이긴것으로 착각하기가 쉽다. 이를테면 나무총으로 진짜총을 빼앗고 갱도에서 숨박곡질을 놀거나 치명적인 지뢰대신 똥을 주무르게 하는 등등,     이런 유희속에서《왜놈》을 상대하여 선혈을 휘뿌리며 싸운 지사들을 모독하고 있다. 지금 세대들은 더구나 잘사는 일본, 례절바르고 문화적인 일본사람, 그리고 정교하고 질좋은 일본제상품을 알고있을뿐이다. 물론 전통적어투대로 절대다수의 일본인민은 나쁘지 않을수 있다. 그러면서도 우리는 남경학살에 살웃음친 흉악범들이 “인민”속에 일원이라는것을 해석하지 못한다. 따라서 일본인민의 전부가 그저 내모는대로 무리지어 음매음매하는 양무리라고만 생각할수도 없기때문이다.     일본의 군사대국의 야망이 방어위주의 목적에서 나왔단 말인가? 누군가 승냥이를 산에 풀어놓으면서 다시는 면양을 해치지 말라고 당부한다면 천하바보라고 비웃음을 당할것이다. 일본은 오래전에 산에 돌려보낸 아세아늑대이다. 언녕 원기를 회복하고 살이쪄서 으르렁거리고있다. 가재는 게편이요 당나귀가 당나귀를 긁어준다고 세계제패의 야망으로 못하는 짓이 없는 아메리카사자가 곁들어주기까지 하니까 재다시 아세아를 경멸하며 기광을 부리는 일본이다.     영원한 국익은 있지만 영원한《벗이》란 있을수가 없다. 중국사람들이 입버릇처럼 일본을 일러《쑈르번》이라 하지만 그들은 결코《쑈르번》ㅡ왜놈이기를 달가워하지 않으며 아세아의 승냥이《황군》으로 되여 동산재기하려고 윽윽 벼르고있다...“일본 정치권에 군국화 움직임이 노골화되고 있다. 자민당 주도로 이루어진 핵무장의 빗장을 푼 원자력법 개정“집단적 자위권”행사 추진은 시작에 불과하다. 곳곳에서 극우정치세력이 '군국화'주장을 전면화하고 있다.“정치권은 사회 보수화에 편승해 검색하기">군국주의를 퍼뜨리고, 나아가 주도하는 양상이다. 헌법 9조의 변경이나 군대 보유를 주장하는 오사카유신회와 자민당이 총선 여론조사에서 1, 2위를 달리고 있어 이런 흐름은 가속도가 붙을 수 있다.”(2012.7.6 도쿄=김용출 특파원)     여기까지 횡설수설하고보니 천민은 국사를 담론하지 않는다는 사회의 잠규칙도 모르고 언감 국제문제까지 담론한 자신이 되우 주제넘다는 생각이 없지는 않지만 비정함과 비리를 보며 멀리서 발 한번 구르고 침 한번 뱉는것쯤이야 초민도 할수 있는 일이 아니겠는가? 명말청초의 사상가 고염무(顾炎武) 가 천하의 흥망에는 필부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하였지만 범부속자로서 결코 그런 거창한 사상을 실천에 옮기려고 하는것은 아니다. 100년 민족의 원한을 다시 새겨볼뿐이다.                                               2012년년6 월 22일   (7월 11일 보충수정)        
159    진언 련시조 (5) 댓글:  조회:2309  추천:0  2012-06-21
 진언련시조 (5 ) 물 고요히 흐르다가 현애절벽 만날시에 주저없이 뛰여내려 은하수로 부서지니 연하고 잔잔한 성미 그 쾌거에 탄복되오   도도한 강물은 넓어지면 옅어지고 곬따라 모이고 합쳐지면 흉용팽배 민심도 저와같거늘 명군이면 알리라   지심을 뚫고나와 벽계수로 흐르다가 인간촌 경유하야 오염수가 되였는데 사람들 더럽다하니 자가당착 유치해   인자는 요산이요 지자는 요수라 저마다 명산대천 선유하니 신선인데 산천은 몸살하는줄 인자,지자 아능교   웃물이 맑아야 아래물 맑다하되 눈감고 야옹하는 도덕설교 얄팍하다 여보소 어르신님네 이신작칙 아는가 화초 꽃이야 곱다만은 탐화봉접 뜻은 달라 나비는 희롱이요 꿀벌들은 꿀을 빚네 허랑한 꽃나비춤에 애기님아 속지마   돌틈도 마다않고 뿌리박는 여린풀을  잡초라고 하대마라 어엿할사 대지의 딸 우리네 민초인생도 저같지를 않을가   봄날의 민들레 가을국화 설중매화 백화는 꽃마다 나름대로 멋겨운데 울밑에 호박꽃인들 운치따로 없으랴   더러운 손으로 백합을 꺾지마라 네손에 묻은향기 역겨워 하노라 무참히 꺾인 꽃이야 오죽이나 슬프랴   버들은 가늘어도 나약하지 않노매라 뗏목을랑 묶는 힘이 기특하지 아니한가 우리도 험난한 세상 버들처럼 살자네   나무는 죽어도 선채로 죽거니와 잘려도 쪼개져도 쓸모 더욱 많거늘 나무야, 인류의 공복 너뿐인기 하노라
158    (수정보충고 )오감 시조 50 수 댓글:  조회:9977  추천:1  2012-06-20
 1)      까마귀 청승맞다 욕할일도 없노매라           흔하던 그소리도 없고보니 그리웁다.           어찌타 멸종시키여 적막강산 다되노   2)       깊은밤 달빛반겨 몰래웃는 수집은꽃           그무슨 사연있어 아롱아롱 눈물짓냐           알괘라 깊은 네사연 나도울듯 애절타   3)      추수가 끝난논벌 허무만 남았어도           집집에 쌀독마다 풍년가 넘쳐난다           농부의 사는 멋이란 배부름이 첫째라 4)     월하에 젓대불며 고즈넉이 앉았더니          달빛도 처량하다 황페해진 시골마을          고독을 달래는 마음 소쩍새도 따라우네   5)      애기님 돈에웃고 청춘을 울어싸네           꽃같은 홍안인들 세월을 속일손가           방종이 내여준 참회 뼈저리여 통곡하리   6)      삼천리 금수강산 동강낸놈 저주롭다           세기를 넘었어도 피흐르는 이 아픔이           언제면 가시여질가 생각하니 피끓네    7)     산수가 좋았건만 계곡은 말라있고           절승의 험봉에도 비닐봉지 란무하네           인간의 발길닿는곳 정결한곳 없에라   8)      갑부의 흔전만전  너무 그리 부러마라           물속에 노는고기 낚시끝에 걸리듯이           부하고 얻은 공명도 일장춘몽 같더라   9)      청운에 등한하니 포의한사 상팔자요           풍운이 돌변해도 락마할일 없노매라           공명도 在天이거늘 실족키가 어려울가   10)    부자는 복된자요 권력자는 호걸인가           빈자는 무능자요 탐욕자는 유능인가           만사에 지망자있어 한가한곳 없더라   11)     달이밝아 리태백이 음풍영월 하던듯이            등따습고 배부르면 음기조차 성하는법            재물과 미색앞에서 성인군자 있으리오    12)    광풍에 꽃잎지니 괴이할것 없노라           돈바람 휘몰아간 꽃다운님 떠돌제           왕거미 그믈을쳐서 나비잡듯 하거늘   13)     꽃이야 곱다마는 가시아파 못꺾겠네            피흘려 꺾었단들 향기마저 네것될가            아희야 장미꽃곱다 함부로 꺾지마라   14)     님없는 베개가에 꿈도지쳐 오락가락            강남길 울고가는 끼룩소리 처량하다            세월이 흘러흘러도 못잊을것 정일레라   15)    불귀라 다시불귀 인생길이 촉급한데           부운같은 공명에 목을매니 우습도다           미몽이 쉬이 깨질줄 어이그리 모르뇨   16)    삼월은 초춘이라 얼자녹자 하건마는           진달래 먼저 알고 수집음에 붉었구려           오는봄 반겨웃더니 가는봄은 눈물짓네   17)    서산에 지는해는 래일같이 돋아오고           추풍에 락엽지던 고목에도 봉춘인데           인생은 불귀불귀라 가신청춘 눈물겹다   18)    산촌에 새터잡고 울바자를 두르다가           춘곤이 취한김에 남가일몽 청했더니           도잠이 꿈결에 나와 도화원서 밭갈라네   19)    붓잡아 한평생 글밭을랑 갈았건만           상상력 부재부재 대작과는 인연없네           아마도 문장능력은 천성인가 하노라   20)    나먹고 물러나서 사무한신 되여지니           보풀진 낡은책도 먼지속에 잠자는데           피같이 타는 석양은 지각한 사랑인가   21)    흥부박 터져라 일백목수 나오너라           천만간 고대광실 삽시간에 지어놔라           집없는 불쌍한이들 들여볼가 하노라      22)     빼앗긴 첫사랑이 세월같이 생각나오            님이야 잊었던들 나는 차마 못잊겄네            어즈버 불로불사는 사랑뿐이 아니리요   23)    탐욕이 병이되니 백약이 무효로다           후회되고 한숨타고 자나깨나 답답가슴           골수에 사무친 병은 철창행이 적격인가 24)    리별이 한이되여 꽃잎져도 눈물지네           석양은 내가슴에 몇번이나 붉었던고           꽃피고 제비오는 봄 대단원을 손꼽노라   25)    돈바람 모질어서 색시꽃이 다지거다           백일홍화 없거니와 혈기인들 시종일가           아가야 시들어바랜 젊은날이 한되리라   26)     뻐국아 재촉마라 밭갈일도 없노매라            논밭도 더기밭도 남의손에 팔렸거늘            이제 곧 파가이주의 허전함만 남았니라   27)    겨레의 백년한을 동해인들 다씻을가           분단의 피맺힘을 그언제나 가셔볼가           반만년 백두혈맥이 이어질날 빌고빈다        28)    묻노니 공방형아 너는 어이 생겨나서           사람들 죽자살자 너를 두고 울고불고            불속에 부나비같이 타죽을줄 모르냐   29)    옥에도 티있거늘 하믈며 사람이랴           남의흉 명경같고 제허물 먹통같아           리욕이 하늘덮으니 자기마저 속이더라   30)   친구야 구름같이 모일때도 있더라만          큰나무 넘어지면 잔나비들 뿔뿔이라          인심도 그와같거늘 환난지우 몇몇일고       31)   돈이란 만능이여 중생들이 죽고사냐          권좌는 어찌관듸  내릴줄을 모르나냐          현자는 안빈락도에 유유자적 하더라   32)   덕행의 백가지에 효도밖에 더있으리           만고의 효녀심청 부자집딸 따를소냐          지금은 돈이많아도 효성일랑 바닥나네   33)   생명에 집착말라 공자님 일렀어도          백년은 사자는데 병마가 성화로다          서복이 동남동녀는 상기아니 오느냐   34)   오동에 봉황이요 설한풍에 청송인데          부귀가 재천이면 청빈함은 숙명인가          공명도 마다한후에 안빈락도 제격일세   35)   도회에 봄이오니 류행멋은 신명나도          우중충 마천루에 춘광십색 시들하여          먼산에 아지랑이도 마실올듯 말듯하네   36)   오뉴월 땡볕에 김을매여 몇해던가          흘린땀 줄줄이 황금나락 되여져도          농부의 무한인생에 고달픔만 지쳤더라   37)   청명에 성묘하고 중추에 벌초하니          부모님 무덤가에 효도를 다하는가          두어라 살아생전에 술한잔만 하리오   38)   찬가을 서리찬데 울며가는 저기럭아          무리를 잃은슬픔 야공만리 절절하다          아서라 님잃은 아픔 네가우니 더서럽다   40.    월색의 최다정에 수집어서 웃는꽃아          청순의 극치여서 찬탄성이 절로날듯          이슬진 너의 미소에 대옥이도 울었지       41)   마음이 무엇이냐 생각이 마음이지          이내몸 살았을제 주인이 나이던가          심장의 박동 멎으면 주인이란 없에라   42.   명리에 탐을내랴 영화를 구해보랴         모두가 뜬구름에 한마당 춘몽이라         명따라 인연에 얽혀 그럭저럭 살리라   43.   남녀의 무리속에 지은죄 하나없이         인생길 굽이굽이 제발로 걸어오니         타는듯 붉은 석양이 푸른산에 걸렸네   44.   옳다고 그르다고 시비곡직 캐지마라          가난은 가난대로 청렴은 청렴대로         순리에 맡기고 사니 안빈락도 좋니라   45.   청산은 의구한데 석양만 붉는구나         극락이 어드메냐 날더러 묻잡느냐         속세를 떨치고나면 만사태평 하리라   46.   열달을 잉태하여 피속에 낳으시고         슬하에 키운은덕 어찌다 갚으리까         저보오 풍수지탄에(风树之叹)이가슴이 찢기오                             47.   만세에 다시만세 얹어도 미흡하오         백년도 못사시니 고생이 막심해서         그리도 단명하셨소 불효자는 웁니다 48.  나는야 운명대로 긴세월 살아오며         한이야 없으랴만 지은죄 없으매로         걱정을 잡아매두고 수미산(須彌山)을 지나노라   49.   대학을 마치노니 부모님 뽕빠지고         창업을 하노라고 천하를 두루돌제         부모님 황천가시니 불효자로 남았구료   50.   절친한 옛친구들 세월에 색바랬나         벗들을 사귐에서 돈후하지 못해서냐         두어라 리해득실로 모여지고 헤지나니  
157    독자분들에게 알림니다. 댓글:  조회:3693  추천:0  2012-06-19
 독자 여러분에게 졸고  《문학원론》을 애독해주시는 여러분 갑사합니다. 근간에 출판에 교부하기 위해 최종수정을 거쳤습니다. 이에 리용하실 분들은 참조해주십시오.                           2012년 11월 18일                             졸고의 필자
156    (교육에세이) 치타가 주는 계시 댓글:  조회:9684  추천:0  2012-06-19
                                   치타가 주는 계시                                        최 균 선      치타는 지구상에서 가장 빠른 륙상동물이다. 치타는 수십마리의 사냥물중에서 딱 한마리만을 목표물로 정해놓고 추격하는데 도중에 쉽게 잡을수 있는 다른 짐승이 나타나도 욕심내지 않고 오직 첫목표물만 끝까지 따라가서 잡는다. 치타는 2년간 정성껏 키워온 새끼들을 자립시킬 시기가 되면 마지막으로 먹이를 잡는 시범을 보여주고 그 먹이를 먹는 모양을 지켜보다가 소리없이 떠나버린다.    새끼들은 먹이도 하이에나에게 빼앗기고 어미를 찾아서 아무리 울부짖어도 소식이 없다. 다음날 새끼들도 현실을 직시하고 각자 살길을 찾아 미지의 밀림속으로 들어간다. 사자를 만나 죽을수도 있고 먹이를 잡을수 있을지도 의문이지만 어미도 형제도 다시 만날 생각이 없고 도울생각도 없다. 각자 살길을 개척해야 할뿐이다.    그처럼 생존전략이 독특한 치타도 인간이 조성한 악렬한 환경으로 하여 멸종상태에 처했지만 우리들에게 깊은 사색을 던져준다. 소새끼도 태여나자마자 곧장 일어서려고 안깐힘을 쓰다가 대지에 생명의 첫발자국을 찍는다. 하지만 짐승의 본능적인 사랑은 자기를 닮는데 그친다. 인간이 만약 미성숙의 새끼를 치타처럼 내버린다면 요사하고 말것이다. 그래서 인간에게는 다할줄 모르는 모성애가 수요된다.    그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과잉보호를 사랑으로, 절대적의무로 간주하는 우리의 생존교육은 문제점을 안고있다. 인생마당은 버들숲에 꾀꼬리 노래하고 화간에 범나비 춤추는 에덴동산이 아니며 찬서리, 비바람도 없는 온상같은 무풍지대도 아니다. 그래서 가정교육, 학교교육을 우선으로 내세우는 인간사회이다.    인간교육의 전제는 만남이다. 그 만남은 어머니로부터 시작된다. 그것이 중요하다. 학자를 만드는것은 학교교육이지만 사람을 만드는것은 가정교육이다. 모든 훌륭한 어머니들은 천부적인 교육자들로서 현재에만 현연되는것이 아니라 미래에로 뻗어있는 교육리념을 실천해간다. 불면 날가? 쥐면 부서질가? 이래저래 걱정이다.    아이의 성장에 독립적인 자강정신이 중요하다는것을 모르는 부모가 없겠지만 눈먼사랑에 원칙을 접는것이 보통이다. 자식을 자기를 초월한 룡으로, 봉황으로 키우려는 기대, 자신이 못이룬 동경을 대신 이루도록 몰붓는 욕망으로 하여 여타는 불문이다. 그 돌파구가 바로 모든 가정, 온 사회가 몰입하는 지력개발로서 참된 인간을 키우는 인성교육의 터밭마저 자연발전성에 맡겨버리는 상황이다.    세상을 헤쳐가는것은 지낭이지 지식마차가 아니다. 지식은 습득하는것이고 지혜는 인생을 영위하면서 터득한 능력이다. 못배워도 슬기로운자가 많다. “글뒤주”는 만사를 책대로만 하려하나 지자는 실용으로 대처한다. 교육의 목적은 후대들에게 생명가치실현을 준비시키는데 있다. 인간은 인간관계속에서 부대끼면서 사회에 적응할줄아는 유능인이 된다. 이것은 학교교육이 담당할수 없는 부분이다.    무지경의 사랑끝에 20년이나 자란 아이들이 자기절로 살아가야 하는 인생마당에서 제구실을 못하고 있는 현상이 드믈지 않다. 현재의 가정교육. 학교교육에 사회성이 결여하여 장차 직장생활도 못할 연골증이 굳어지고 있음이다. 준엄한 경쟁의 소용돌이속에서 상종하는 사람마다 어머니처럼 살가울수는 없다. 고기를 잡는 방법을 알려주기보다 돈을 벌어 자식의 인생길에 깔아주어야 시름을 놓는 우리들이다.    인간화교육, 정감교육의 목적은 상대를 리해하고 자기를 극복하는 자각성을 키워주데있다. 부모이든 자녀든 수단과 방법, 과정의 정당성은 무시하고 물질적으로 성공하면 된다는 태도와 능력보다 학력만 있으면 그만이라는 사고방식때문에 요즈음 젊은이들은 제리익만 추구하고 공민의 의무는 소흘히 하고 타인의 존엄은 알은체 않으며 수단과 목적이 뒤바뀌여 돈과 권력만 생각한다. 자기의 땀으로 치부하기보다는 쉽게 살고 쉽게 벌고 쉽게 써버리는 풍조가 만연되고 있는것이다.    현시대 교육은 량심이나 리성이 판단할 겨를도 없이 시비는 나중의 문제이고 수단과 방법을 총동원하여 출세와 리득이 되는 일은 일단 강행하는 관행이 일반화되면서 사회가 도덕적으로 혼란속에 빠져들게 된것이다. 수단과 목적성만 중시하는 가치기준에서 요령주의, 기회주의, 투기주의 같은 비리만 커간다. 땀흘려 창조하고 가꿀 재주가 없다면 잘먹을 욕심도 고소비욕도 없어야 사리에 맞지만 일하지 않고도 잘먹고 잘살겠다는 가치추구가 완연한 사회풍조로 되였다.    이런 풍조를 말려낼수 없을 때 인간사회는 희망을 잃을수밖에 없다. 지식이 인간보다 상위인 현대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인성교육이 빠진다는것은 반가운 일일수 없다. 자기 본위교육은 사회혼란을 가져오며 리기주의만 양성하고 모두를 적으로 대하는 살벌한 분위길를 만들뿐이다. 어미도 형제도 다시 만날 생각이 없고 도울생각도 없이 각자 살길을 개척하는 치타의 생존방식이 주는 계시는 유익하지만 우리는 치타가 아니다. “개천에 룡”도 상상속 “봉황”도 심장은 애심으로 끓어야 함을 명기하자.                                                                                                2012년 4월 10 일    
155    한국어고급글짓기 최근 수정보충 댓글:  조회:2927  추천:1  2012-06-18
   졸고 “한국어고급글짓기”를 최근 다시 수정보충했습니다.           참고하십시오.             저자 올림
154    韩国语 中,高级写作指南 编者说明 댓글:  조회:11088  추천:0  2012-06-17
                                                           韩国语 中,高级写作指南                                                                         编者说明         本书是为各大专院校学韩国语的学生而编写,教材围绕培养大专院校应用型人才目的,同时也可以社会的韩国语学习者所用。本书是在以本科生为对象的写作课程的实际教学经验的基础上编写而成的,主要是帮助学生们理解应该写什么、应该怎样写,并围绕其展开相应的训练。    本书分上下两册共十六章五十一节,上册第一章韩国语写作基础知识,第二章至八章着重阐述了韩国语文章的实际,写作实际,表现技巧,一般应用文,读者中心的文章,事务文案,表现自己主张的文章的概念,特点,格式,写作要求和方法并练习题。 下册第一章至第八着重阐述了有关新闻体,礼仪文案,议论文,毕业论文,经济类文书,公文书,文艺文的概念,特点,格式,并材料与训练,提供了描写句,韩中谚语比较,。   在编写过程中,遵循外语教材由易到难、循序渐进的编写原则,力求科学地安排教材的内容,努力体现针对性、趣味性、时代性、实用性的特点;并根据高级韩国语学习者的接受能力而编写。   在使用本教材组织教学时,各院校可以根据学生实际,课时的需要对进行选择或取舍。力求理论知识必需够用,以讲清概念,强化应用为重点,加深学生对教材的理解,培养学生的实际写作能力。最后还安排写作参考材料,以便帮助学生的写作。    在本教材的编写过程中,参考了多种国内外的韩国语教材,在此不一一列举书名,谨表衷心的谢意。    初稿完成后,试用了两年,并进行了反复修改。由于水平有限,书中难免有不足之处,恳请各院校师生及广大读者提出宝贵的意见。           谢谢!              著者                                                                                       2011年2月 25日           Emaile: cuijunshan226@hanmaile.net                               
153    제 1 장 자기 주장의 글. 제 1 절 연설문 댓글:  조회:11124  추천:0  2012-06-17
                              제 1장 자기 주장의 글                               제1절 연설문       1. 연설문 함의        연설이란 여러 사람 앞에서 자신의 생각과 주장을 밝혀 청중들을 설득하는 글로서 웅변과는 다르다. 연설은 침착한 태도로 여러 사람에게 호소하되, 목적하는 내용이 간접적으로 속에 스며있는 반면, 웅변은 웅변 내용이 겉으로 드러난다. 무릇 연설문은 형식상, 연설의 효과 등에서 볼 때 사회성이 짙은 것이 특점이다     2. 연설문의 종류       연설문은 내용과 성질에 따라 다음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 사회, 정치연설문: 은 국내외, 현실 생활 영역에서 정치성 문제에 대한 자기의 견해와 주장을 천명하는 것이다. 이에는 사상가, 정치가, 국가 지도자들이 발표한 중요한 연설(강화)와 보곧 등이 속한다. 례하면 개막사, 폐막사, 환영사, 환송사, 축하문, 추도사 등에서 가히 찬양, 축하할 수 있고 부정, 비평하거나 폭로하고 질타할 수 있다. 다른 한가지는 주제에 뚜렷한 정치적 경향을 지닌 연설고이다. 중국의 이대소의《서민의 승리》,문일다 선생의《최후의 연설》이 유명하다.     2) 학술성 연설문: 은 자연과학과 사회과학 연구 사업자들이 청중을 향하여 연구 성과를 발포하거나 과학 지식을 전수 하고 학술 견해를 피력하는 연설문을 말한다. 이런 연설문의 특점은 다분히 개념, 판단, 추리를 사용하거나 도표, 환등모형전시, 복제품, 컴퓨터 등을 보조 수 단으로 삼는 것이다. 흔히 보는 학술 연설에는 전제(专题)보고. 강좌, 학술보고, 학술평론 등이 이에 속한다.     3 ) 사회 생활을 다룬 연선문:은 주제가 사회 생활에서의 인생, 이상, 도덕, 가치관, 생활 방식, 사교 활동 등 의식형태 영역에 대하여 설명하거나 분석하고 평론하는 연설고이다.     이외 표현 방법에 따라 천술성 연설문(예: 워싱톤의 “대통령 취임 연설”), 서술형 연설문(예: 아인슈타인의 “탐색의 동기”), 론술식 연설문(예: 중국 주자청선생의 “기개를 론함”) 이 있으며 좌담회, 연환회, 다과회 같은 회의에서으 즉흥식 연설문도 있다.       3. 연설문 쓰기 요령     연설문의 부동한 종류에 따라 그 결구 방식도 좀 씩 다르게 된다.     1) 의론식 연설문의 결구 방식    (1) 병렬법: 연설문의 중심문제를 몇 개 주요한 문제를 분별하여 강술하는 것이다. 이 몇 개 문제는 부동한 측면으로 연설의 중심을 체현시키는 데 그것들의 관계가 병렬적이 된다. 호적선생의 “중국 공학 18년급 졸업에 지하여”를 그 예문으로 들 수 있다.    (2) 총분법과 분총법(总分法,分总法): 연설문의 주제와 각 부분의 관계가 개괄, 구체 혹은 구체 개괄의 관계로 엮어지는 것이다. 혹은 화두에서 연설의 중심을 제기하고 가운데서 약간의 문제로 나누어 연설하다가 나중에 종합적으로 종결짓는 결구 방식이다. 이와 반대로 먼저 한 가지, 한 가지씩 논술하다가 마지막에 연설의 주제를 개괄하는 결구 방식이다.    (3) 점진법: 을 심입법, 사다리식 결구라고도 하는 데 주제를 강술 할 때, 한 층차, 층차씩 맞물려 나가면서 먼데로부터 가까운데로, 옅은 데로부터 깊은 데로 점진하면서 종심에로 발전시키는 것으로서 비유해 말하면 물이 도랑에 이르게 하는 식이다.    (4) 대비법: 은 두 가지 상반되는 사물의 도리 혹은 동일한 사물의 부동한 시기에 표현되는 부동한 속성을 대비를 진행한다. 분논점과 분 논점 사이, 단락과 단락 사이는 긍정, 부정의 대조를 형성시키면서 청중이 그런 선명한 대비 속에서 연설의 주제를 쉽게 터득하게 한다.     2) 기서(서사)식 연설문의 결구 방식     (1) 시간법: 은 자연적인 순서 혹은 객관 사물의 발생, 발전 과정의 선후 순서에 따라 연설문의 결구를 안배하는 것을 말한다. 예하여 지난 한 시기, 영향력이 컸던 길림성의 유사권(刘士权) 의 연설고 “내 마음 속의 태양”이라는 연설의 결구는 먼저 자기의 동년의 조우를 토로하였는 데 소아마비로 어릴 때부터 걸을 권리를 잃은 일을 말하고 다음 시간의 순서에 따라 자기의 성장 과정을 서술하였다.     (2) 인과법: 은 객관 사물 발전의 인과 관계로 문장 결구를 짜는 것이다. 이런 결구법은 청중들이 심입하여 문제를 이해하는데 좋다.     (3) 문제제기법: 은 문제의 순서에 좇아 연설문의 결구를 짜는 것이다. 몇 개 문제가 반영하는 것은 부동한 사상 내용으로서 일정한 논리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예하여 “사람에게는 뜻이 귀중하다”라는 내용의 연설문을 쓴다 할 때, ㄱ) 목표가 높아야 한다. ㄴ) 의지가 견강해야 한다. ㄷ) 생활이 검박해야 한다. ㄹ) 분초를 아껴야 한다. 등 네개로 나누어 이야기 하면 조리가 정연하게 된다.    (4) 공간법:은 객관 사물의 공간적 위치에 따라 일정한 순서로 연설 내용을 전개해 나가는 결구 방식이다. 말하자면 전후, 상하, 좌우, 고저, 안으로부터 밖으로, 밖으로부터 안으로, 동에서 서에로, 남에서 북에로 이르는 순서로 결구를 안배 할 수 있다.     연설문은 무릇 어떤 결구방식이든 론리적글의 전개방식에 따라 크게3단구성, 4단구성, 5단 구성방식이 있다. 3단구성은 서론에서 문제 제기하여 청중의 주의를 환기하고 본문에서는 론증의 방법으로 자기의 견해를 강력하게 피력하여 설득시키며 결론에서 호소하는 방법으로 다짐이나 행동을 촉구한다. 4단구성에서는 기, 승, 전, 결의 방식으로 간결한 주제를 표현하는데에 적절히 사용된다.     5단구성은 청중을 심리적으로 사로잡기 위해 1단계에서는 청중의 흥미를 유발하며2단계에서는 청중에게 유익한 대화임을 인식시키면서 3단계에서는 문제해결을 제시한다. 4단계에서는 해결방법을 구체 예를 통해 이해시키며 5단계에서는 청중에게 행동을 촉구한다.     1)서론 (시작): 청중의 관심을 끄는 서두기법으로는 날씨로 시작하거나 “ 안녕하십니까? 여러분, 반갑습니다.” 등 간단한 인사말로 소박하게 정서상에서 소통을 하며 시작할 수도 있다.     ① 깜짝쇼기법 :“깜짝쇼”란 본 연설의 취지와 조금 탈절된 듯한 청중이 전혀 예상치 못했던 엉뚱한 이야기로 청중의 주의를 환기시 키는 기법이다. 예하여 재미있는 꽁트나 유머로 시작하거나 자기의 일신상 이야기로 시작하거나 놀라운 뉴스나 감탄사로 시작한다. 혹은 모든 사람들이 관심을 쏟고 있는 국내외 뉴스로 일종 긴장감과 호기심을 유발할 수도 있다.     ② 인용에 의한 서두기법: 예하여 남의 말이나 신문기사를 인용 한다. 가령 “명예 퇴직, 득보다는 실이 많다”는 주제로 연설을 할 때 “‘노병은 죽지 않는다. 다만 사라질 뿐이다’이는 나뽈레옹이 한 말입니다.” 이렇게 시작부터 청중의 주의을 환기시킬 수 있다.    ③ 질문기법: 질문을 통해 청중의 직,간접적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청자와 함께 서두를 풀어나가는 기법이다. 예하여  “21세기 대학생들이 나아갈 길”이라는 주제로 연설할 때 “여러분, 21세기 대학생들은 어떤 길을 개척해야 할까요?” 라는 질문을 던지어 청자에게 사색을 던져주고 연설내용에 기대감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시작하는 말은 전체 연설 시간의 5%에서 10% 를 점하는게 바람 직하지만 귀빈이나 참석자들, 수상자들의 이름을 거론하여 일일이 관심을 보임으로써 보다 많은 효과를 거두는 방법도 있다.     ④ 이야기 이용기법: 주제에 접근한 실례나 가상적인 례를 운치 있는 이야기하면서 시작하는 기법이다. 결과보다 과정에 류의하여 결과를 자기 연설의 주제에 련접시켜야 한다   ⑤ 인용에 의한 서두기법     인용기법은 서두에서 다른 사람들이 남긴 말, 유명한 사람에게 얽힌 일화, 속담, 고사성어, 민담, 설화, 문학작품, 유머 등을 인용 하면서 스피치를 시작하는 기법이다. 가령 “명예퇴직, 득보다는 실이 많다”는 주제로 연설을 할 때 "‘노병은 죽지 않는다. 다만 사라질 뿐이다’ 어느 군인이 한 말입니다. ‘노병은 죽지 않는다. 다만 기운이 없을 뿐이다’ 어느 개그맨이 한 말입니다. ‘노병은 죽지 않는다. 여전히 칼을 갈면서 기다릴뿐이다’ 몇달전 어느 회사로부터 명예  퇴직한, 아니 명예퇴직당한, 아직도 젊디젊은 한 베테랑이 한 말입 니다. 명예퇴직제도! 이것이 지금 우리 사회를 강타하고 있습니다” 라고 시작하는 기법이다.     이 기법의 장점은 서두의 내용을 고안하는데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며 그 단점은 적절한 인용거리를 찾기 위해서는 자료조사에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는 점이다. 인용 기법을 사용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은 청중의 관심을 끌면서도 자연스럽게 주제를 도입할 수 있는 적절한 인용거리를 찾아야 한다는 점이다. 재미가 있어 청중의 관심을 끌수는 있지만 주제와 크게 관련이 없거나, 주제 도입에는 적절하지만 무미건조해서 분위기를 썰렁하게 만드는 인용거리는 차라리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⑥ 주변상황언급기법    현상황이나 주변상황에 대한 가벼운 이야기를 끄집어 냄으로써 이야기를 시작하는 방법은 서두 기법중에서 가장 적은 노력으로 청중의 호응을 유도할 수 있다. 이 기법은 현재의 시국이나 정국, 스피치를 하는 당일에 일어난 일들, 스피치를 하는 장소, 청자들의 표정, 좌석배치, 날씨, 시간, 계절, 앞사람의 스피치내용, 스피치를 하게 된 사연 등이 소재가 된다. 이 기법은 많은 준비 과정이 없이 즉흥적으로 할 수 있지만 스피치 (격식적 어투의 말)에 능숙한 화자에게 좋다. 또한 청자가 특별히 관심을 갖는 점에 언급하는것이 좋은데 가령 대학생을 대상으로 말할 때에는 그들의 큰 관심거리인 취직문제, 이성문제, 아니면 등록금문제 등을 들고 나오면 청자는 곧 주의를 집중할 수 있다.     2) 본론:     연설문의 본론은 연설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구성 방법이 사용된다. 가령 작업의 공정이나 처리 과정, 역사 사건의 전개 과정 등의 정보를 전달하는 연설에서는 연대기적 구성 방법이 사용되고, 사건 내용을 전달해야 하는 연설 상황에서는 공간적 구성 방법이 사용된다.   3) 연설문의 결론: 시작이 잘 되지 못하면 마무리도 어수선하게 된다. 연설문의 마무리에는 여러 가지 형식이 있다.   (1) 종결 귀납식: 은 연설의 끝에 가서 전편 연설의 내용을 종결 지으면서 주제를 두드러지게 하고 심화하는 것이다.   (2)호소식: 연설을 마치면서 격정적인 언어로 호소하는 결말이다.   (3) 조응법: 은 화두와 조응시키면서 자연스럽게 연설문이 혼연 일체를 이루는 효과를 도모하는 방법이다.   (4) 운문 인용법: 은 자기 연설 내용에 안받침 될 수 있는 명시를 읊는 것으로 맺을 수 있다.   (5) 경구 인용법: 철리적 명구, 유머어, 비유구 등을 인용하여 맺으면 연설에 긴 여운을 남기고 사색의 공간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전체 내용을 요약해 주제를 강조하거나 소망이나 결의로 끝맺거나 호소할 수도 있고 진실된 찬사나 유모어적으로 문제를 제기하여 심사숙고 하게 하는 등 여운을 남기고 맺는다. 다시 한 번 제목을 환기시키면서 귀빈들에게 감사하는 인사법이 유행되고 있다. 보기 글 :      로버트F 케네디의 연설문       미국(우리나라)에 있어서 오늘과 같이 이 어려운 날, 이 어려운 때에 우리 미국은 과연 어떠한 나라이며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지에 대하여 생각해보는 것은 마땅한 일일 것입니다.     여러분, 흑인들에게는 여러분의 가슴 속에 비탄과 증오와 복수심 으로 가득 차 있을 수도 있습니다. 또 우리는 흑인은 흑인들끼리 백인 은 백인들끼리 각각 서로에게 증오심을 품고 거대한 적대적 분열의 소용돌이로 나아갈 수도 있습니다. (중략) 흑인 여러분에 대하여, 더욱이 암살과 같은 불의한 행동에 대한, 나아가 모든 백인에 대한  증오와 불신으로 가득 차 있을 수도 있는 여러분에 대하여 나는 여러분과 똑같은 심정이라는 말을 할 수 있을 뿐입니다. 나의 가족 중 한사람이 암살을 당한 것입니다. 그러나 그는 백인에 의하여 살해 되었습니다.     그렇지만…우리 미국이 필요로 하는 것은 증오가 아닙니다. 우리 미국이 필요로 하는 것은 폭력이나 또는 무법이 아닙니다. 다만 사랑과 지혜입니다. 그리고 서로에 대한 연민 입니다. 그리고 그들이 백인이든 흑인이든 간에 우리나라에서 여전히 고통스런 삶을 살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정의감이 필요한 것입니다. …     연설은 공동체의 대화이다. 연설에는 “누가 무엇을 누구에게 어떤 방법으로 어떤 효과를 노리고 말하는가?”라는 다섯 가지 요소가 있다. 훌륭한 연설문은 단순히 정보를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청중의 감정을 움직일 수 있는 호소력이 있어야 한다. 연설문은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해야 한다.     첫째, 연설문은 독자에게 읽히기 위해 쓴 글이 아니라, 청중이 잘 알 아들을 수 있게 써야 하는 글이므로 “문(文)”에 비중을 두어 서사체 (书写体)로 작성하되 연설을 념두에 두어야 하기때문에 구두체 (입말체)로 표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둘째, 연설문은 낭독을 전제로 쓰는 글로서 낭독하기에 적합한 어휘나 표현을 선택해야 한다.     셋째, 연설문은 의미삼장한 어휘나 멋진 표현들보다는 연설의 내용을 청중에게 이해시키는데 초점을 두어야 하는 글이다.     넷째, 연설문은 대중을 위한 글이므로 청중에 대한 파악(청중의 수요, 수준, 흥미, 문화정도, 호감도)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연설문이 론리적인 주장, 설득적인 교육의 글이라는 점에서 주장이 선명하고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연설ㅡ강화는 초를 씹는 맛이 나는 구태를 벗어나 춘풍세우 같아야 한다. 연설자는 숙연한 태도로 낭독하는데 아래서 무덤덤하다면 청중의 문제만도 아니다. 현대연설고는 팔고문이 되여서는 안된다.     다음 연설자의 뇌리 속에는 될수록 짧게 더 짧게 말하려는 현대 의식이 수립되어야 한다. 연설자도 중요하지만 연설고 작성자가 관념상에서 현대화하고 선진국의 연설 풍격을 참조계로 삼아야 이런저런 부족 점들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처음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