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 성냥
메마른 나뭇가지 끝에
새가 앉아 있다
무리를 잃고 부리도 발톱도
둥근 머리 속에 파묻은
붉은 새 한 마리
어두워지는
저녁을 응시한다
일어나는 불꽃
타오르는 불길
검게 타들어가는 나무 위로
새가 날아간다
바닥에 떨어지는 재
인큐베이터 갓난아이가
가파른 숨을 쉬고 있다
- 송승환(1971~)
△ 사물 속에서 새로움을 도출해내기 위해서는 우리가 인지하고 있는 사물에 관한 여러 약속들을 의심해보는 동안에만 가능하다. 이 때문에 정합을 통해 세계를 보는 것이라 부정을 통해 인지해야만 하고 부정을 부정이라고 언술하는 것조차 부정하면서 사물을 읽어내야 한다.
이 시에서 타오르는 성냥의 형상은 나무 위에 올라앉은 새의 모습 혹은 솟대의 모습 등으로 상징됐다가 종국에는 이미지가 튀어올라 인큐베이터 안에 가파른 숨을 몰아쉬고 있는 갓난아이의 모습으로 환기된다. 물론 성냥과 갓난아이 숨소리 사이의 거리는 상당히 멀다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직된 이미지들이 큰 무리 없이 미세하게 충돌하면서 와해되지 않고 연결되어 있다. 순식간에 타올랐다가 재가 되어버리는 성냥의 인화성과 태어나자마자 꺼질 듯한 생명을 붙들기 위해 다시 인공자궁 속으로 들어가는 아이의 운명이 비슷하다고 해야 할까. 불꽃 속에서 날개를 발견하는 시인의 직관과 숨소리와 불길을 병치시키는 유연성이 독특해 보인다.
수많은 시인들이
극에 닿으려고 노력을 하고
극에 닿는 순간
그 극의 거리는 다시 넓혀진다.
그렇게 닿을 수 없는 자리들의 혼미하고
환각적인 유혹 때문에 시인은 살아 있다.
아무래도 의심스러운 이 세계가 영영 봉합되지 않기를 믿고 싶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