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人이란???
2015년 09월 06일 21시 04분  조회:4697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인이란 무엇인가 - 신경림
시인이란 무엇인가

신경림


집으로 배달돼오는 시집이 하루에 꼭 한두 권은 된다. 계간지 등 시 전문지에 실린 시와 동인지까지 포함하면 내가 하루에 읽을 시는 백 편을 넘는다. 부담되는 분량이다. 하지만 나는 가능한  한 읽는다. 물론 전부를 읽으 수는 없다. 시집의 경우 대표작으로 보이는 몇편을 뽑아 읽고 전문지 등 잡지에 실린 시는 평소에 관심을 가졌던 시인의 작품을 주 로 읽는다. 몇편 뽑아 읽는 것으로 치우고 마는 시집도 적지 않다. 생동 감도 활기도 없는 시집을 끝까지 읽을 인내심은 내게도 없다. 그러나 시 를 읽는 즐거움을 어느정도 맛보게 해주는 시집도 적지 않다. 그중에서 도 정말 괜찮다. 그럴듯하다고 생각되는 시집이면 따로 빼두었다가 뒷날 다시 읽는다. 일년이면 이런 시집이 적어도 열댓권은 된다. 전문지, 잡 지, 동인지에 서도 이런 시는 종종 발견된다. 한데 그 다음이 문제다. 가령 일주일이나 한달 뒤 그 시집을 다시 읽으면 괜찮기는 한데 무언가 울림을 주지 못한다. 최근에 읽은 시집이 거의 그렇다. 왜 그럴까. 생각 해보니 우선 시를 너무 '만들어서' 그런 것 같다. 




지금 '시란 씌어지는 것이고 시인이란 태어나는 것이다' 라고 말했다가 는 웃음거리가 되기 십상이다 . 시란 만드는 것. 이것이 오늘의 시인 누 구나 가지고 있는 시에 대한 생각이고, 시인 역시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모두들 말하고 있다. 노력하면 누구나 다 시를 쓸 수 있고 시인이 될수 있다는 것, 이것이 재능을 의심하면서도 시를 공부하거나 계속 시를 쓰 는 많은 사람들의 위안이 되는 소리요, 또 부분적으로는 맞는 소리이기도 하다. 조금 양보하여, 셰익스피어와 동시대인으로 셰익스피어를 연구한 벤 존슨 (Ben Jonson)의 말을 인용, "시인이란 태어나기도 하지만 만들 어 지기도 한다"라고 말을 해도 구닥다리 소리를 면하기 어렵다. 




'왜 시인은 피아니스트가 건반을 두드리는 손가락이 안 보일 정도로 쌓는 훈련을 안 쌓아도 된다고 생각하는가 ? ' 라고 한 어떤 시인의 질 문이 본래의 취지와는 다른 쪽으로 편리하게 인용되기도 한다 . 하지만 문제는, 만들어도 억지로 만든다는 데 있다. 하지만 문제는, 만들어도 억지로 만든다는데 있다. 자연스러운 데가 없다는 뜻이다. 처음 읽을 때 는 눈에 쉽게 띄지 않다가도 다시 읽으면 억지가 확연히 눈에 드러나고 또다시 읽으면 바느질자국까지 보인다. 나 자신 높이 평가한 바 있는 꽤 반응이 좋았던 어떤 시집은 처음 읽을 때는 참 근사하다는 느낌을 받았 지만 다시 읽으니 실증이 나고 또다시 읽으니 지겨워졌던 근래의 경험을 가지고 있지만, 자연스럽지 못하다는 것, 이것은 오늘의 우리 시에 거의 공통되는 것 같다. 젊은시인이나 중견이나 마찬가지로, 세상의 흐 름이 튀는 쪽으로 가는 것과 무관하지 않겠으나, 이는 요즈음 시인들이 정말 좋은 우리 시를 제대로 읽지 않은 결과라는 한 평자의 말은 귀담아 들어야 할 것 같다. 한편 요즈음의 시에서 리듬을 찾아보기가 어렵다는말도 하지만, 이 또한 시가 자연스럽지 못한 데 연유하는 것임은 더 말 할 것도 없을 것이다. 




시를 억지로 만들다보니까 오늘의 우리 시중 많은 것들이 말장난으로 시종하고 있다. 물론 시에는 말장난이 라는 요소가 분명히 있다. 말을 가지고 하는 예술에서 말을 가지고 장난을 치고 싶은 유혹은 누구에게나 있을것이다. 또 그것은 그 나름으로 매우 의미있고 재미있는 시적 동력 이 될 수도 있으리라. 하지만 그 말장난이라는 것이 "이걸 몰랐지 " 식의 천박한 발상에 그치거나 질 낮은 개그의 수준을 넘어서지 못한다면 제대로 된 말장나이라고 할 수 없다. 말장난 자체가 적어도 시에서라면 읽는 사람에게 즐거움을 주어야 하며 그 즐거움은 분명 천박한 발상이나 질 낮은 개그에서 오는 것과는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말은 경험의 축적이요 그 구체화로, 말장난에도 삶의 무게가 실려야 한다. 한대 요즈음 시들의 말장난에서는 그것을 찾아 보기가 힘들다. 삶과는 아무 관계 없는 말들을 이리저리 뒤바꾸고 돌리고 비틀고 해서 말의 난 장판을 만들어놓을 뿐이다. 젊은 시인이라면 모험심도 있고 감각에 의존 하는 경우도 많으니까 또 이해가 될 법도 한 일이다. 한데 나이 많은 시인들이 젊은이 흉내르 내며 경박한 말장난에 동참하는 것은 정말 역겹다. 이는 새로우 것을 향한 탐구정신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독자와 문학저널리즘에의 영합의 결과에 지나지 않는다 . 




잇대어 생각나는 것은 가벼움이다. 가벼움이 우리 민족성과 맞는다는, 그래서 인터넷 시대는 바로 우리 시대이기도 하다는 우스개도 있지만, 요즈음의 우리 시 (시뿐 아니라 문학 전반에 걸친 현상이지만)는 너무 가볍다. 또 너무 쉽게, 너무 함부로들 시를 쓴다. 설명할 것도 없이 이는 7,80년대의 이른바 민중시의 무거움에 대한 반동의 결과라는 측면 이 강하다. 민중시인이란 시 한면 얼굴부터 근엄하고 엄숙해지는 웃음이 없는 시인 이라는 야유도 받은 바 있지마, 사실 7,80년대의 민중시 또는 사회시로 불리는 시들은 쓸떼없이 무거웠다. 분단 현실을 다루지 않은 시가, 혹은 노동문제를 다루지 않은 시가, 또는 권위주의에 저항하지 않는 시가 어찌 이시대의 시일 수 있겠는가라는 문학 안팎의 채찍질과 서슬퍼런 눈초리 앞에서 시인들의 상상력이 한껏 위축되었던 탓인지도 모르겠다. 이 통에 마치 앞서 말한 것들만 다루면 다 시가 된다는 잘못된 잣대에 따라 불량품이 대량으로 생산되기도 했다. 80년대말, 안으로 권위주의가 패퇴하고 밖으로 사회주의가 몰락하자 이 잣대는 아루아침에 폐기되고 그 자리에 , 앞서의 내용을 다루지 않아야 새로운 시대의 시가 된다는 통념이 들어서게 된 것이 말하자면 가벼움의 시의 출발점이 된다. 7,80년대의 민중시는 실제로 반성할 대목이 많다 . 과연 그 시들 가운데서 좋은 시로 우리 문학사에 남아 독자의 사랑을 받을 시 가 몇편이나 될까. 첫번째로 반성할 것은 일제시대의 가프 시를 거울로 삼지 못했다는 점이다. 카프 시가 역사적 사회적으로 한 역할이 과소평 가 되어서는 안된다. 하지만 그 많은 카프 시 가운데 오늘 우리에게 기억되는 시는 폋편이나 되는다. 임화의 시를 제하면 박세영이나 이찬 그리고 권환의 시가 있을 정도다. 물론 임화는 말할 것도 없고 박세영 이나 이찬, 권환 다 뛰어난 시인들이다 . 예컨대 북쪽으로 올라가 "김일성 장군의 노래" 를 쓴 이찬의 "오오, 북만의 15도구 말없는 산천이여/ 어서 크낙한 네 비밀의 문을 열어라// 여기 오다가다 깃들인 설움 많은 한 사나이 / 들어 목메던 그 빛, 그 소리로 한껏 즐거워 보려 노니" 로 끝나는 -눈내리는 보성의 밤- (1938) 같은 시는, 모든 사람 들이 김일서으이 보천보전투의 실재 자체를 부인하고 있을 때 그 역사 적 사실을 입증하려는 노력의 시적 형상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도 , 오늘 의 감각으로 보아도 결코 처지는 시라고 말하기느 어렵다. 그러나 이만한 시는 그 에게서조차 몇편 되지 않는다. 사회성에 치중한 나머지 시가 갖는 말의 예술이라는 점으 소홀히 생각했던 탓이 아닌가 여겨진 다. 7,80년대의 민중시 또는 사회시 쪽의 일부 시도 잩은 잘못을 저질 렀다 . 시는 말로 하는 예술로써 사회성 자ㅔ도 명확한 말에 의해 경험 된 것으로써 비로소 의미를 갖게 된다는 사실을 간과했던 터이다. 


.

이들 시들을 '사회성은 강하지만'으로 인정하면서 '예술성이 약하다' 고 비판하는 것은 잘못이다. 어떠한 사회성도 시에 관한 한 명확한 말에 의해 경험된다는 점으로 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다 . 명확한 말에 의해 경된다는 것이 예술성을 뜻한다면 그것은 시의 필요조건으로, 예술성이 약하다는 것은 말에 의해 경험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요, 아무리 사회 성이 강해도 좋은 시로 인정 될수는 없다는 것이다. 90년대의 시가 7,80 년대의 이러한 점을 반성하고 옳은 길로 나아갔다면 탓할 일이 못 된다. 예술성의 회복이 될 수도 있었으니까 말이다. 그러나 7,80년대의 시에 대해서 올바른 진단이 따르지 못했고 그 처방도 바르지 못했으니, 시인 은 본질적으로 정확한 말을 가지고 하는 존재라는 점을 이들 또한 중시하 지 않고 있었던 것이다. 결국 90년대 시의 가벼움은 똑같은 잘못의 반복 으로써, 예술성의 상실과 시정신의 결여로 이어질밖에 다른 길이 없었지 않나 여겨진다. 




나는 요즈음의 시를 읽으면서 '시인이란 무엇인가'라는 케케묵은 화두를 다시 한번 떠올려보았다. 다 알다시피 이것은 워즈워스(W . Word sworth)와 코울리지 ( S. T. Coleridge)가 공동으로 낸 [성정담시집] (Lyrical Ballads)의 제2판 서문에서 제기했던 질문이다. 이 서문에서 워즈워스와 코울리지는 대답했다, " 시인이란 자신의 사상이나 감정을 보다 쉽게, 보다 힘있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획득하고 있는 사람이다 "라고. 나는 이말을 시인의 특성을 한마디로 요약한 살아있는 명언이라고 생각한다. 시인이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점이 과연 무엇인가. 시인의 특성으로 튀어난 감수성과 상상력을 말할 수도 있겠으나, 이것은 철학자 나 과학자에게도 필수적인 것이다. 다만 비상히 발달한 언어능력이라는 점에 있어 시인은 분명히 다른 사람들과 구별된다. 가령 앞의 정의에서 "쉽게" 라는 말 속에 정확하게 , 분명하가게 라는 뉘앙스가 있다고 읽을 때 뜻은 더 명료해진다. 시인이란 결국 남에게 무엇인가를 말하는 사람이다. 시인이란 결국 남에게 무엇인가를 말하는 사람이다 . 시도 일종의 대화라는 뜻이다 . 설명이 아니라 표현을 가지고 하는 대화니까 정확하고 분명해야 한다 . 한데 요즘 읽는 시들 중 많은 것은, 비록 말장난의 시라고 말할 수 없는 것까지도, 표현이라는 개념도 대화라는 개념도 없다. 중언부언 도대체 요령부득인, 그래서 안이하고 탄력없는 시가 새로움이란 가면을 쓰고 난무한다. 생각나는 대로 아무렇게나 떠들어도 되는 컴퓨터 탓이 없지 않을 것이다. 무슨 소리를 하고 있는지 알 수 없는데 그 말이 어찌 힘이 있을 수가 있겠는가 . "힘있게" 가 "감동적으로" 를 뜻한다면 이런 유의 시가 감동을 주지 못할 것은 너무 도 당연한 일이다. 

이런 유의 시뿐 아니라 상당한 수준으로 시적 균형을 유지하고 있어 적어도 형식상으로는 흠잡을 수 없는, 그래서 정말 그럴듯하다고 느껴지 는 시도 대부분 울림을 주지 못하기는 마찬가지다. 사회성이 제거된, 거의 개인적인 문제로 시종하고 있는 시들이 두고 하는 말이다 . 


.

이 부류의 시에 대한 평자나 독자의 관심의 정도 역시 7,80년대의 사회 성의 강조에 대한 반발로 여겨지는데. 과연 사회성이 사상된 시를 통한 삶의 추구가 가능할까라는 점도 생각해볼 대목이다. 물론 사적인 삶은 중요한 것이고, 시를 가지고 할 수 있는 일 중의 하나가 개인적 사상이나 감정의 표현이요 내면의 추구라는 사실을 굳이 경시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세상에 혼자 사는 삶이란 있을 수 없다. 자기가 사는 삶인만큼 결국에는 자기 자신의 삶일 수밖에 없다 하더라도 남과 더불어 살게 마련인 것이 세상이다. 더욱이 말이란 사색이나 자아추구의 방법이기도 하다 본질적으로는 사회적 삶의 소산이다. 말에는 원천적으로 사회성이나 역사성이 있다는 소리다. 그런데도 시를 가지고 개인적 문제 에만 집착한다면 시는 한없이 왜소해져 있다. 이런 시들이 몸을 던져 시 를 쓰는 것과 거리가 있음은 말할것도 없다. 치열함도 있을 수 없다. 

그러나 지나친 독자에의 영합이 더 문제다. 시가 경박해지는 것도, 시를 너무 쉽게 쓰는 것도 따지고 보면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시도 남에게 하는 말인만큼 듣는 사람을 의식하지 않을 수는 없다. 사실 독자가 없는 시처럼 비참한 것이 또 어디 있겠는가 . 하지만 의식 한다는 것과 영합은 전혀 다르다. 의식한다는 것은 독자에게 마음 을 열어놓고 있다는 뉘앙스를 가진 반면 , 영합은 독자가 듣기 좋아하는 말만 골라서 한다는 뜻이 강하다. 7,80년대의 사회성의 시들은 어쩌면 또다른 형태의 독자와의 영합이었다는 혐의를 둘 수도 있으므로, 사회성 의 시 자체에 독자와의 영합 내지 세속주의적 요소가 있는가의 여부는 한번 짚고 넘어갈 대목이다. 




1998년 10월 일본의 카나가와 대학에서 동북아시아 문학에 대한 세미나 가 있었다. 중국 일본 한국 에서 평론가 , 소설가 ,시인이 각각 한 명씩 발표자로 나선 이 세미나에서 나는 '오늘의 한국시'를 주제로 애기를 했는데 , 청중의 하나가 한국시에 있어서의 절규성이란 문제를 가지고 질문을 했다. 나는 그 개념이 분명치 않아 대답을 제대로 하지 못했지만 , 일본에서 나온 '현대시의 전망' 이라는 책을 그뒤에 보니 이 문제가 주요한 화두였다. 일본시가 전체적을 동인들끼리 즐기는 수공업예술의 수준으로 전락 왜소한한 가장 큰 원인은 시가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절 규성의 상실에 있다는 지적이 있고, 한국시에는 아직 그것이 남아 있기 때문에 활기찬 문학이 되고 있다는 진단도 있었다. 최근에 나온 진보적 문학지 '신일본문학'에서도 눈에 띄는 시에 있어 절규성이란, 여러 사람 의 말을 종합해보건대 문자 그대로 시는 본질적으로 부르짖음, 외침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소리 같았다. 가령 우리가 살수 없는 환경에 봉착했을 때 못 견디겠다고 소리를 지르고, 더없는 기쁨에 처했을 때 환호하는 그런 기능과 성격이 시에는 있다는 뜻이다. 그리하여 사람들에 게 위험을 알리기도 하고 기쁨을 즐기게도 하는 것이 시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그것이 일본 특유의 탐미주의와 사소한 것에 대한 편집광적 집착으로 사회성이 사상되면서 일본시에서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다는 판단이었다. 그렇다면 일본시 쪽의 이 진단은 일본시에 관한 한 옳은 것이겠으나 한국시에 대해서는 잘못된 판단이었다. 90년대 들어 우리 시에서도 그러한 절규적인 성격은 전혀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절규성이라는 문제는 우리 시에서도 중요한 화두가 되어야 할 것 같다. 우리 시가 억지에 의해 부자연스럽게 만들어지고 말장난 에 시종하고 사소한 것에 매달려 시 자체를 왜소하게 만들고 하는 것이 모두 절규성의 상실과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시가 안이하고 느슨해진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을 터이다 . 물론 우리가 막 들어선 싸이버 디지털 시대에 시가 옛날과 같은 형태로 있으리라고 생각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대체로 활자매체에 의존해온 시에게 탈활자 매체시대의 도래는 분명히 새로운 위기이다. 하지만 기계화와 대량생산 이라는 산업혁명의 폭풍 속에서 시는 왕자의 자리를 산문에 넘겨주기는 했지만, 민중언어의 발견에 의해서 오히려 그 영역을 확대하지 않았던 가. 사람을 극단적으로 개인화하고 파편화하리라 예상했던 인터넷이 오히려 전지구화하면서 국가간 계급간의 빈부격차를 확대하고 있는 자본주의에 대항하는 연결망으로 기능하고 있다는 사실도 암시하는 바 크다. 



시는 어차피 이상주의자의 길에 피는 꽃이다. 억지로 만드는 데서 벗어나 좀더 자연스러워지면서, 잃어버린 절규성을 회복하고, 왜소 해짐으로써 놓친 큰 울림을 되 찾는다는 일은 새로운 세기에 들어선 우리 시가 한번 시도 해볼 일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83 이승훈 시론 2015-09-06 0 4161
682 세상은 좋아보이는것뿐, 나쁘게 보이는것뿐... 2015-09-06 1 3791
681 詩人이란??? 2015-09-06 0 4697
680 <퇴직하는 벗들에게> 시모음 2015-09-06 0 4260
679 중국 몽롱시 창시자의 대표 시인 - 北島 2015-08-31 0 5055
678 중국 현대 최고 10대 시인 2015-08-31 0 4648
677 詩공부를 하며지고... 2015-08-31 0 4069
676 중국 몽롱파시인 - 수팅 2015-08-31 0 4853
675 중국 현대시 류파 2015-08-26 0 4551
674 중국 몽롱파시인 - 우한 2015-08-26 0 4262
673 중국 몽롱파시인 - 고성 2015-08-26 0 4632
672 대만 현대시의 흐름 2015-08-26 0 4150
671 중국 현대시 여러 류파를 중심으로 2015-08-26 0 4907
670 중국문화 - 중국 詩의 발달 2015-08-26 0 5784
669 시론저 소개 - 禪과 아방가르드 2015-08-26 0 4367
668 아방가르드 시의 실험 2015-08-26 0 5623
667 서울 지하철역 <<詩가 흐르는 서울>>을 보고 ...우리 고향 연길의 선로뻐스 정류장마다에도 <<詩香이 풍기는 延吉>>이라는 테마가 있었으면... 2015-08-25 0 4148
666 라틴아메리카 시문학 2015-08-22 0 5358
665 칠월칠석 시모음 2015-08-20 0 5346
664 단편 시모음 2015-08-16 0 4668
663 <국수> 시모음 2015-08-15 0 4277
662 나는 시를 너무 함부로 쓴다... 2015-08-15 0 4880
661 <어머니>시모음 3 2015-08-15 0 4577
660 그리고 또 李箱 2015-08-15 1 4798
659 다시 보는 李箱 2015-08-15 0 5672
658 詩는 農村을 對相하라... 2015-08-07 0 4270
657 詩作을 위한 10가지 방법 2015-08-03 0 4830
656 詩人을 만드는 9가지 2015-08-03 0 4504
655 池龍과 芝溶 2015-08-03 0 3665
654 마음 열기 2015-07-30 0 4089
653 백자 항아리 2015-07-28 0 4726
652 <달력> 시모음 2015-07-26 0 4674
651 서정주와 보들레르 2015-07-21 0 4702
650 어머니의 꽃무늬 팬티 2015-07-20 0 4617
649 우리 詩의 문제점 2015-07-20 0 4198
648 추천하고싶은 詩論書 2015-07-20 0 5906
647 기침 2015-07-20 0 3986
646 한석윤 동시인 = 동시화집 2015-07-20 0 4578
645 되돌아오는 세월... 2015-07-18 0 5160
644 <아내> 시모음 2015-07-18 0 4554
‹처음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