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名詩 공화국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이용악 - 전라도 가시내
2015년 12월 11일 22시 21분  조회:4135  추천:1  작성자: 죽림

‘북방의 시인’ 이용악(1914~1971) 전집이 출간됐다. 곽효환, 이경수, 이현승 등 중견 이용악 연구자 3인이 이용악 탄생 100주년(2014년)을 기념해 2년 간 작업한 결과물로, 시인이 남쪽에서 발표한 시뿐 아니라 월북 후 낸 시 전편, 북에서 발표한 유일한 산문집 ‘보람찬 청춘’과 좌담회 자료까지 이용악의 작품 세계 전반을 아우른 것이 특징이다.

 

이용악은 1914년 11월 23일 함북 경성에서 태어났다. 극심한 가난 속에 성장한 그는 1935년 시인문학 3월호에 ‘패배자의 소원’으로 등단한 뒤 시집 ‘분수령’ ‘낡은 집’ ‘오랑캐꽃’ 등을 발표했다. 일제 식민치하의 비참한 삶과 간도 유이민들의 슬픔을 시로 승화한 이용악은 1930년대 후반 서정주, 오장환과 함께 조선의 3대 시인으로 불렸다. 해방 후 좌파 문인단체 조선문학가동맹의 회원으로 활동한 시인은 한국전쟁 중 월북했으며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이용악의 시 세계는 여기까지다. 1988년 월북문인 해금 후 윤영천 인하대 교수가 펴낸 ‘이용악 시전집’에는 월북 전 그가 낸 네 권의 시집만이 담겼으며 그마저도 현재는 절판된 상태다. 이번 전집의 저자들은 “같은 월북 문인인 백석의 시 연구가 북에서의 시적 여정까지 포괄하는 쪽으로 발전하는 데 반해, 이용악의 시는 월북 전에 국한돼 기존 전집으로는 확대된 연구 지평을 감당할 수 없다”는 발간 의의를 밝혔다.

 

한국전쟁 때 월북한 이용악 시인의 작품 세계 전반을 조명한 이용악 전집이 출간됐다. 1957년 북에서 출간된 리용악 시선집(위쪽)을 비롯해 등단부터 타계까지 시인의 모든 작품을 집대성했다. 소명출판 제공

 

전집은 총 3부로 구성됐다. 1부에는 연구자들을 위해 이용악의 모든 시를 발표 순서대로 원문 그대로 실었고 2부에는 독자들을 위해 같은 시를 현대어로 풀어 썼다. 시집에 미수록된 시는 월북 이전과 월북 이후로 나누어 실었다. 3부에는 산문과 좌담 및 설문 자료를 발표 순으로 배열했다.

눈에 띄는 것은 시인이 월북 이후 발표한 이른바 북한시들이다. 해방 이전 민중의 고달픈 삶을 서정적 시어로 품었던 시인은 해방 이후 미국에 대한 증오와 좌편향적 성향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는데, 월북 이후 쓴 작품에는 이 같은 방향성이 더욱 고착화하는 한편 체제선전적인 경향을 강하게 띤 것을 볼 수 있다.

“어질고 근면한 이 사람들 앞에 / 약속된 풍년을 무엇이 막으랴 / 쌀은 사회주의라고 굵직하게 써 붙인 / 붉은 글자들에 모든 시선이 즐겁게 쏠리고 // 허연 구레나룻을 쓰다듬다가 / 무릎을 탁 치며 껄껄 웃던 칠보 영감/ ‘산 없는 벌판에 쌀산이 생기겠군’”[‘덕치마을에서(1)’ 일부?리용악 시선집(1957)]

이용악의 작품 세계가 변화한 계기는, 그가 월북 후 북한 시단에서 주류로 활동한 보기 드문 시인이라는 점과 1953년 당의 숙청을 받아 6개월 간 집필 금지 처분을 받은 적이 있다는 점에서 일면을 짐작할 수 있다. 저자 중 한 명인 곽효환 대산문화재단 상무이자 시인은 1955년에 발표된 이용악의 유일한 산문집 ‘보람찬 청춘’이 시인의 부활에 한 몫을 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이번 전집에서 최초로 전문이 공개된 ‘보람찬 청춘’은 한국전쟁 때 고아가 된 아이가 영웅적 노력을 통해 역경을 극복한 이야기로, 산문이지만 소설의 성격을 띠고 있다. 곽 시인은 “1950년대 북한에서 유행한 오체르크(실화 문학)의 일종”이라며 “2만부를 인쇄했다는 데서 판매용이 아닌 체제선전용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시인이 주류 문단에 복귀하는 데 큰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짐작했다.

이 밖에 새로 발굴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이용악 생애 연보와 작품 연보, 연구 서지 등도 알차다. 저자들은 “이용악은 일제에 의해 절멸한 현실주의와 서정성을 한데 아우른 시적 성취로서 돌올한 시인”이라며 “이번 전집은 시인의 재북 시기까지 포괄함으로써 시인의 문학 세계뿐 아니라 북한의 누락된 문학사를 복원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황수현기자 


==========================================================

“최상의 덕은 물과 같다.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여 다투지 않으면서, 모든 사람들이 싫어하는 곳에 있다. 그러므로 도에 가깝다. 거처로는 땅을 좋다고 하고, 마음은 깊은 것을 좋다고 하고, 사귀는 데는 어진 것을 좋다고 하고, 말은 진실한 것을 좋다고 하고, 정치와 법률은 다스려짐을 좋다고 하고, 일에는 능숙한 것을 좋다고 하고, 움직임에는 때에 맞음이 좋다고 한다. 오직 싸우지 않으므로 허물이 없다.”

 

     전라도 가시내

                이용악

  

알록조개에 입맞추며 자랐나 

눈이 바다처럼 푸를 뿐더러 까무스레한 네 얼굴 

가시내야 

나는 발을 얼구며 

무쇠다리를 건너온 함경도 사내 

 

바람소리도 호개도 인젠 무섭지 않다만 

어두운 등불 안개처럼 자욱한 시름을 달게 마시련 

다만 

어디서 흉참한 기별이 뛰어들 것만 같애 

두터운 벽도 이웃도 못 미더운 북간도 술막 

 

온갖 방자의 말을 품고 왔다 

노포래를 뚫고 왔다 

가시내야 

너의 가슴 그늘진 숲속을 기어간 오솔길을 나는 헤매이자 

술을 부어 남실남실 술을 따르어 

가난한 이야기에 고이 잠궈다오 

 

네 두만강을 건너왔다는 석 달 전이면 

단풍이 물들어 천리 천리 또 천리 산마다 불탔을 겐데 

그래두 외로워서 슬퍼서 치마폭으로 얼굴을 가렸더냐 

두 낮 두 밤을 두루미처럼 울어 울어 

불술기 구름 속을 달리는 양 유리창이 흐리더냐 

 

차알삭 부서지는 파도소리에 취한 듯 

때로 싸늘한 웃음이 소리 없이 새기는 보조개 

가시내야 

울 듯 울 듯 울지 않는 전라도 가시내야 

두어 마디 너의 사투리로 때아닌 봄을 불러줄께 

손때 수줍은 분홍 댕기 휘 휘 날리며 

잠깐 너의 나라로 돌아가거라 

 

이윽고 얼음길이 밝으면 

나는 눈포래 휘감아치는 벌판에 우줄우줄 나설 게다 

노래도 없이 사라질 게다 

자욱도 없이 사라질 게다

  

이용악(李庸岳, 1914~1971)은 한국의 시인이다. 함경북도 경성 출신으로 일본 도쿄에 있는 조치대학(上智大學)을 졸업했고 1939년 귀국하여 주로 잡지사 기자로 일했다. 대학에 재학 중이던 1935년, 신인문학에 시 ‘패배자의 소원’을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광복 후 서울에서 조선문학가동맹 소속으로 〈노한 눈들〉,〈짓밟히는 거리에서〉,〈빛발 속에서〉등의 시를 발표하며 ‘미제와 이승만을 괴뢰도당으로 반대하는 문화인’ 모임에서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10년형을 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하던 중 인민군의 서울 점령 때 출옥하여 자진 월북했다. 한국 전쟁 중에 〈원쑤의 가슴팍에 땅크를 굴리자〉등의 시를 발표했으며 월북한 지 21년이 지난 1971년에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작으로는 《북국의 가을》,《풀벌레 소리 가득 차 있었다》,《낡은 집》,《슬픈 사람끼리》등이 있으며 시집으로는 《분수령》,《오랑캐 꽃》등이 있다.

............................................

"거리의 뒷골목에서 만나거든/먹었느냐고 묻지 말라/굶었느냐곤 더욱 묻지 말라"(시 '나를 만나거든')던 시인 이용악(1914~1971)! 그는 한반도의 최북단 함경북도 경성에서 태어났다. '두만강 건너 우리의 강'을 건너 할아버지는 소금을 밀수입했고 친척들은 그 강을 건너 아라사(러시아) 연해주 등지로 이민을 갔다. 그 두만강을 건너 밀무역 행상 중 아버지는 객사하였으며, 홀로 된 어머니는 국숫집을 하며 어린 자식들을 키웠다. 시인 또한 서울에서 동경에서 품팔이 노동을 하며 고학했다. 이야기성과 체험의 구체성이 두드러진 그의 시들을 읽는 일은 일제강점기의 불행한 개인사, 가족사, 그리고 우리의 근·현대사를 읽어내는 일이기도 하다. 

 

북간도 어느 술막에서 함경도 사내와 전라도 가시내가 만났다. 사내는 언 발로 눈보라를 뚫고 두만강을 건너왔으며 날이 밝으면 다시 흔적도 없이 떠나야 한다. 가시내는 석 달 전에 북으로 달리는 '불술기(기차)' 속에서 치마를 뒤집어쓴 채 이틀을 울며 두만강을 건너 이곳으로 팔려왔다. 그런 두 남녀가 국경 너머에서 만나 겨울밤 내 지나온 내력을 이야기하며 술잔을 주고받고 있다. 

 

그 밤 내 사내가 '가시내야' '가시내야'라고 부를 때, 그것도 함경도 사내가 '전라도 가시내야'라고 부를 때, 그 전라도 가시내는 한없이 차고 한없이 차진 느낌이다. 고향을 떠나 두 낮 두 밤을 두루미처럼 울고 울었던 가시내, 지금은 남실남실 술을 치는 가시내. 때로 싸늘한 웃음을 보조개를 소리 없이 새기는 가시내, 까무스레한 얼굴에 눈이 바다처럼 푸른 가시내, 간간이 전라도 사투리가 섞이는 가시내…. 이 함경도 사내처럼 나는, 그 전라도 가시내를 만난 것만 같다. 전라도 개펄의 바지락 조개 같고 세발낙지 같고 때로 꿈꿈한 홍어 같기도 했으리라. 

 

그 밤 내내 함경도 사내가 피워 올리는 북쪽 눈포래 냄새와, 전라도 가시내가 피워 올리는 남쪽 바다 냄새에 북간도 술막이 흥성했겠다. 그 술막의 술독 바닥났겠다. 눈에 선한, '흉참한' 시대를 살았던 그 전라도 가시내. "너의 노래가 어부의 자장가처럼 애조롭다/너는 어느 흉작촌(凶作村)이 보낸 어린 희생자냐"(제비 같은 소녀야-강 건너 주막에서)! 

  

시인 정끝별

  ================


<<전라도 가시내>> 핵심 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율격 : 내재율
 성격 : 낭만적. 비극적
 표현 : 서사 지향적
 구성 :
    1연  두 주인공 제시
    2연  두 사람의 해후
    3연  두 사람의 동화(同化)의 시작
    4연  가시내의 비극적 삶
    5연  두 사람의 동화의 절정
    6연  사내의 떠남
 제재 : 전라도 가시내
 주제 : 만주 유이민들의 생활과 애환
 출전 : <시학>(1939)
이해와 감상
 일제 식민지 시대에 대규모로 발생했던 유이민 중 이른바 '팔려 간 여인'을 시적 소재로 다룬 작품으로 서사성이 강화된 시라고 할 수 있다. 이 때 서사성이라는 것은 시 속에 인물들 또는 한 집단이 겪은 이야기가 녹아 들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두 주인공의 범상치 않은 삶이 그 서사성의 뼈대를 이루고 있다.
 1연에서는 이 작품을 구성하는 두 주인공이 제시된다. 여인은 얼굴이 검고 눈이 푸른 '전라도 가시내'이고 화자인 '나'는 '발을 얼구며 무쇠다리를 건너온 함경도 사내'이다. 두 주인공의 출신 지역을 '전라도'와 '함경도'로 시인이 배치한 까닭은 둘 사이의 지리적 거리와 관계 없이 온 민족의 처지가 두 주인공과 같았음을 암시하고 위해서이다. 2연에서 이들은 일제의 경계가 삼엄하고 인심이 흉흉했던 국경 지방의 '두터운 벽도 이웃도 못 미더운 북간도 술막'에서 해후한다.
 3연부터 5연까지는 '나'와 '전라도 가시내'가 만난 짧은 하룻밤의 정황이 형상화되어 있다.
 3연에서 '나'는 이 술막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시련을 거친 인물로 제시되는데 그것은 발을 얼구며 무쇠다리를 건너온 점이나 '눈포래'를 뚫고 온 점에서 나타난다. 나와 여인은 술을 마주하며 기나긴 이야기에 빠지고 자신들이 같은 운명에 있음을 깨달아 간다. 여인의 그늘진 가슴 속에 있는 사연을 들으며 동화되어 가는 것이다.
 4연에서는 여인이 북간도로 팔려 오던 때의 심리적 정황이 제시되고 있다. '천리 천리 또 천리'는 모두 삼천리, 곧 여인의 고향인 전라도와 지금 북간도 땅과의 거리이기도 하고 우리 민족이 스스로를 인식하는 정신적 거리이기도 하다. 여인은 석 달 전에 곧 단풍잎 붉은 늦가을에 이 곳으로 팔려 왔던 것이다. 그는 북간도로 팔려 오는 기차 속에서도 자신의 처지가 서러워 치맛자락으로 얼굴을 가리고 울면서 온 것이다. '불술기'는 '불수레'의 함경도 방언인데 의미상으로는 '기차'를 비유하고 있다.
 5연에서 화자의 여인은 드디어 취흥 속에 동일화된다. 그것은 이 둘의 처지가 비슷하다는 공속감에서 우러나온다. 그들은 술을 마시며 동질감을 확인하였고 여인은 오랜만에 정신적 벗을 만나, 잊었던 자신의 고향 생각에 하룻밤을 지샌다. 여기서 함경도 사내가 전라도 사투리로 봄 노래를 부르는 것은 여인에 대한 지극한 연민의 표현이다.
 6연에서는 화자의 처지가 한 곳에 정착하여 뿌리를 못 내리고 또 날이 밝으면 흔적도 없이 떠나야 하는 신세임을 말해 주고 있다. 이 부분은 이 화자 역시 유이민이거나 민족을 위해 싸우는 투사일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을 부여한다.
 이 작품은 이와 같이 우리 민족의 수난사라는 기본 서사를 축으로 하여 한 여인과 사나이의 만남을 형상화한 작품으로서, 화자가 여인에게 이야기를 건네는 형식을 취함으로써 불안하고 냉혹한 현실 속에서 한 여인에게 느끼는 연민과 고향 정서를 형상화하였다. 따라서 이 작품은 화자의 담담한 어조 속에 한 시대의 역사가 농밀하게 펼쳐져 있는 식민지 시대 유이민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우라지오* 가까운 항구에서

                           * 러시아  블라디보스톡

 

◈ 작가 소개

이용악(1914 - 1971) : 시인. 함북 경성 출생. 1935년 시 ‘패배자의 소원’을 [신인문학]에 발표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1946년 조선 문학가 동맹에 가담한 다음, 6.25 때 월북하였다. 일제 강점기의 민족적 현실 속에서 만주 등지로 떠돌며 살아야 했던 민족의 비극적 현실을 시로 형상화하는데 주력하였다. 시집으로 [분수령](1937), [낡은집](1938), [오랑캐꽃](1947) 등이 있다.

 

◈ 시 전문

삽살개 짖는 소리

눈보라에 얼어붙은 섣달 그믐

눈보라→힘든 환경.      시간적 배경

시간적 배경, 힘든 현실

얄궂은 손을 하도 곱게 흔들길래

시간상으로 밤이 깊어감의 표현. 관념의 시각화.

술을 마시어 불타는 소원이 이 부두로 왔다.           

                  고향을 그리는 마음

                                    ▲1연 : 고향에 대한 향수(현재)

 

걸어온 길가에 찔레꽃 한 송이 없었대도

          위안이 될 만한 소박하고 조그마한 행복

나의 아롱범

아롱무늬의 범=표범(=시적화자), 척박하고 고통스러운 현실을 당당하게 헤쳐 온 자기 자신에 대한 비유

자옥 자옥을 뉘우칠 줄 모른다.

자신이 살아온 삶에 대해 후회 없음, 당당함의 표현(서정주 <자화상>→‘나는 아무것도 뉘우치지 않을란다’)

● 자옥 : 발자국, 자신이 걸어온 삶의 발자취를 의미.

어깨에 쌓여도 햐얀 눈이 무겁지 않고나.                      

                                    ▲2연 : 살아온 삶에 대한 당당함(현재)

 

철없는 누나 고수머릴랑 어루만지며

                       곱슬머리

우라지오의 이야길 캐고 싶던 밤이면

어린 시절 고향에서 말로만 들었던 우라지오. 어린 시절 화자의 동경의 대상

울 어머닌                                              

                                    ▲3연 : 과거의 추억 회상→어머니, 누나

 

서투른 마우재 말도 들려주셨지.

           러시아 사람

졸음졸음 귀 밝히는 누이 잠들 때꺼정

졸듯졸듯 하면서 이야기를 들으려 했던

등불이 깜빡 저절로 눈감을 때꺼정                    

    밤이 깊어질 때까지(늦은 밤까지)

                                    ▲4연 : 과거의 추억 회상→마우재 말

 

다시 내게로 헤여드는

                 헤치고 들어오는

어머니의 입김이 무지개처럼 어질다.                  

    아름답게 떠오르는 과거의 기억   ↘어머니의 다정함과 따스함.

                                    ▲5연 : 과거의 추억 회상→어머니의 입김

 

나는 그 모두를 살뜰히 담았으니

    어머니가 들려주던 이야기

어린 기억의 새야 귀성스럽다.

새→어린 시절 우라지오를 동경하던 화자의 기억들.

● 귀성스럽다 : 수수하면서도 마음을 끄는 맛이 있다. 제법 구수한 맛이 있다.

기다리지 말고 마음의 은줄에 작은 날개를 털라.              

7연고 연결해서 해석할 것→가만히 있지 말고 어린 시절 우라지오에 대한 상상의 날개를 펴던 것처럼 고향으로 날아갈 수 있게 날개를 펼쳐라. 감각적(시각적)인 표현.

                                    ▲6연 : 어린 시절에 대한 적극적 회상

 

드나드는 배 하나 없는 지금

우라지오 가까운 항구에 서 있는 현재의 상황

부두에 호젓 선 나는 멧비둘기 아니건만

자유롭게 고향으로 가고 싶은 화자의 마음을 담아낸 객관적 상관물

날고 싶어 날고 싶어.

→고향에 돌아가어 싶어. 고향에 돌아가고 싶은 간절한 마음의 강조

머리에 어슴푸레 그리어진 그 곳

기억 속에서 조차 가물가물한 고향

우라지오의 바다는 얼음이 두껍다.                             

고향으로 갈 수 없는 자신의 처지에 대한 상황 인식→절망.

                                    ▲7연 : 귀향에 대한 소망과 절망

 

등대와 나와

고향을 그리지만 갈 수 없는 화자 자신의 감정이 이입된 존재. 객관적 상관물.

서로 속삭일 수 없는 생각에 잠기고

밤은 얄팍한 꿈을 끝없이 꾀인다.

고향에 돌아가고 싶은 화자의 꿈과 소망

※ 여기서 ‘밤’의 기능 : 고향에 돌아가고 싶은 마음을 더욱 떠올라게 하는 시간

가도오도 못할 우라지오.                                    

화자가 고향에 가지도 고향에서 누가 오지도 못하는 절망적이고 폐쇄된 공간.

                                    ▲8연 : 고향에 그리움과 갈 수 없다는 절망감

 

◈ 시 구조화

 

과거의 삶

현재의 삶

고향

우라지오

꿈 많고 행복했던 유년시절

우라지오를 동경함

고향을 떠나 절망감을 체험하는 성인

고향을 그리워함

 

 

 

◈ 내용 정리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성격 : 감상적, 회고적, 애상적

● 어조 : 고향을 그리워하는 애절한 목소리

● 제재 : 어린 시절과 현재의 삶

● 특징

  ① 과거의 우라지오와 현재의 우라지오를 대비하며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

  ② 향토색 짙은 시어의 사용

  ③ 현재 - 회상 - 현재의 순서로 시상이 전개

● 주제 : 고향과 가족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과 고향에 갈 수 없는 것에 대한 절망

● 출전 : <분수령>(1937)

 

◈ 이해하기

먼 이국을 떠돌던 시적 화자는 고향과 가족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 때문에 우라지오에 가까운 항구를 찾는다. 우라지오는 시적 화자가 어릴 때 어머니로부터 이야기로만 듣고 동경하던 항구다.

그러나 어른이 된 지금, 그 곳은 어린 시절 그가 동경하던 세계가 아니다. 오직 추위와 외로움이 있을 뿐이다. 시적 화자는 그 곳에서 과거의 가족들을 떠올리며 고향을 그리워하나, 고향으로 갈 길이 전혀 없다. ‘우라지오의 바다는 두껍다’는 말은 그가 고향으로 돌아갈 수 없는 절망적인 상황에 있음을 암시한 말이다. 시적 화자는 이런 속에서 공중을 나는 멧비둘기처럼 날아서 고향의 가족들에게 돌아가기를 바라고 있다. 이 시가 창작된 시대적 배경을 고려하면 이 시는 일제에 의해 가족 공동체가 해체된 우리 민족의 한과 슬픔을 형상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시의 작가 이용악은 일제 치하의 혹독한 현실에 의해 만주, 간도, 시베리아 땅을 떠돌아야 했던 조선인들의 삶을 시로써 묘사했는데, 이 작품 역시 그러한 계열을 대표할 수 있는 작품이다. 고향에 대한 절절한 그리움을 토로하는 화자를 통해 작가는 일제 강점기하의 가족 해체 현상을 고발하고 있다.

 

◈ 심화 학습

1. 시적 화자에게 ‘우라지오’의 의미

시적 화자는 지금 ‘우라지오 가까운 항구’에 서서 고향을 그리고 있다. 고향에서 살던 어린 시절의 그에게 ‘우라지오’는 동경의 대상이었으나, 고향에 갈 수 없는 처지가 되어 ‘우라지오’ 가까운 곳에 와 있는 지금의 그에게 ‘우라지오’는 춥고 외로운 타향일 뿐이다.

 

2. ‘멧비둘기’의 기능

이 시에서 화자는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멧비둘기가 되어 자신이 그리워하는 고향으로 날아가기를 소망하고 있다. 여기서 멧비둘기는 화자에게 있어 부러움의 대상이자 고향으로 가고 싶어하는 화자의 심정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여 보여 주는 사물이라 할 수 있다.

===================================================================

 

 
▶李庸岳 (1914~1971)
▶ 이용악 일대기

낡은 집 
<연구1> 현실인식의 심화과정(현실성과 민중성)
<연구2> 거주공간 (父․家)의 상실(가족주의의 해체와 개인주의의 대두)
<연구3> 개인사적 운명의 측면에서
오랑캐꽃 
<연구1> 상징적 현실인식 - 유이민적 세계의 반영
<연구2> 시적 화자의 탈락 - 「오랑캐꽃」의 대상화 
두만강 너 우리의 강아 
<연구1> 개인적인 정서를 뛰어넘어 민족 공동체의 정서로...
<연구2> 현실의 모순에 대한 시인의 대응 방식 비교 
 
이용악, 그의 시 속으로



▶李庸岳 (1914~1971)

1914년 11월 23일 함경북도 경성군 경성면에서 이석준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936년 일본 상지대학교 신문학과에 입학, 이 무렵 김동환의 시를 숙독하고 크게 감동을 받았으며, 창작활동은 1935년 《신인문학》에 시 <패배자의 소원>을 발표하면서 시작되었다. 1939년 일본에서 귀국하여 《인문평론》의 편집기자로 근무하였다.
1946년 2월 8일 서울 종로 기독교 청년회관에서 열린 제 1차 전국문학자대회에서 조선문학가동맹 시부위원으로 임화, 정지용, 김광균, 오장환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전국문학가동맹 주최 ‘해방기념조선문학상’에 <오월의 노래>가 오장환의 시집 《병든 서울》과 함께 최종심까지 올랐다. 1947년 8월 오장환의 권유로 남로당에 입당하여 남로당 서울시 문련 예술 과원으로 임명되었다. 1949년 8월 ‘남로당 서울시 문련 예술과 사건’이로 구속, 징역 10년을 선고받고 복역중 1950년 6.25 전쟁중 출감하였다.
이용악의 시는 민족의 토착적인 정서를 바탕으로한 ‘투박한 생활의 시’에서 식민지 현실에 대한 ‘암울한 세계인식의 시’로, 그리고 행방 후에는 ‘이념지향적인 시’로 변모하였다. 시집 《분수령》과 《낡은 집》에서는 피폐한 농촌현실과 이농, 유랑과 국외이민, 그리고 도처에 진행되던 굶주림과 죽음의 비참한 현실을 직설적으로 노래했고, 시집 《오랑캐꽃》에서는 유랑민의 아픔을 서정적인 언어로 노래했다.

∙작 품
시집 : {분수령}(1937), {낡은 집}(1938), {오랑캐꽃}(1947), {이용악}(현대시인전집 1, 1949)

* 권영진, 『한국 현대시 해석』, 숭실대학교 출판부

▶ 이용악 일대기

이용악은 함경북도 경성읍에서 태어났다. 집안은 대대로 상업에 종사했는데, 그의 할아버지는 금을 얻기 위해 일찍부터 달구지에 소금을 싣고 러시아 국경을 넘나들었고, 아버지도 이런 국경 무역의 과정에서 객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버지가 객사한 뒤 어머니는 국수 장사, 떡 장사, 계란장사 등으로 생계를 꾸려 세아들을 모두 고급 학교에 진학시키는 억척스러움을 보였다. 이처럼 이용악은 어린 시절부터 가난이 몸에 배어 있다.
고향에서 경성 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서울로 와서 고등보통학교를 마친 그는 1934년 일본 유학을 떠나, 동경에 있는 상지 대학 신문학과에 입학한다. 유학 기간에 신인 문학(1935. 3)에 시 「패배자의 소원」을 발표하면서 창작 활동을 시작했고, 동경에서 김종한과 함께 동인지「 2인」을 간행했다.
그는 유학 시절에 품팔이, 노동꾼으로 학비를 조달하면 최하층민의 생활을 경험한다. 군부대에서 나오는 음식찌꺼기 등으로 끼니를 때우면서도 동인지를 발간하는 문학적 열정을 보였다. 또 그는 방학이 되면 우리 동포들이 살고 있는 간도 등을 다니면서 그들의 처참한 삶을 경험하기도 했다. 이용악의 이런 삶은 시집 분수령(1937). 낡은 집(1938)을 통해 결실을 보게 된다. 또 이 시기에 그는 민족 해방 운동에 가담하여 여덟 번이나 일본 경찰에 붙들려서 무서운 고문을 받았다. 1939년 유학을 마치고 귀국해 최재서가 주관하는 인문 평론 편집부 기자로 있으면서, 시 <버드나무>, <두메산골>1, 2등을 발표했다. 친일 색채가 짙은 이 잡지에 시를 발표한 것 때문에 훗날 친일 시비에 휘말리기도 했다.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464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4 세계 시 모음 2015-02-16 0 4621
143 세계적 불멸의 시인들 2015-02-16 0 2478
142 명시인 - 백석 2015-02-16 0 2617
141 미국 시인들 3 2015-02-16 0 2943
140 미국 시인들 2 2015-02-16 0 3226
139 미국 시인들 2015-02-16 0 3044
138 윤동주 시모음 2015-02-16 0 2986
137 명시인 - 레농 크노 2015-02-16 0 2253
136 6개국 언어로 된 윤동주 <서시> 2015-02-15 0 2570
135 시집 1000권 읽기 15 2015-02-14 0 1980
134 시집 1000권 읽기 14 2015-02-14 0 2325
133 시집 1000권 읽기 13 2015-02-14 0 1968
132 애송시선 7 2015-02-13 0 4863
131 애송시선 6 2015-02-13 0 4159
130 애송시선 5 2015-02-13 2 3452
129 애송시선 4 2015-02-13 0 2839
128 애송시선 3 2015-02-13 0 3121
127 애송시선 2 2015-02-13 0 2878
126 애송시선 1 2015-02-13 0 2956
125 현대시 400선 ㅁ 2015-02-13 2 3145
124 현대시 400선 ㄹ 2015-02-13 3 3705
123 현대시 400선 ㄷ 2015-02-13 0 3404
122 현대시 400선 ㄴ 2015-02-13 1 2296
121 현대시 400선 ㄱ 2015-02-13 1 3370
120 윤동주는 누구?!- 2015-02-12 0 3185
119 윤동주시인 재조명 2015-02-12 0 2227
118 특별사진 기획- 윤동주 2015-02-12 0 1842
117 윤동주의 별 ㅡ 김철호 보도 2015-02-12 0 2006
116 시와 서예 2015-02-12 0 1745
115 유명한 시인 222인 2015-02-12 0 1891
114 시집 1000권 읽기 104 2015-02-11 0 1741
113 시집 1000권 읽기 103 2015-02-11 0 1608
112 시집 1000권 읽기 102 2015-02-11 0 1788
111 시집 1000권 읽기 101 2015-02-11 0 2037
110 시집 1000권 읽기 100 2015-02-11 0 1803
109 시집 1000권 읽기 99 2015-02-11 0 1813
108 시집 1000권 읽기 98 2015-02-11 0 1761
107 시집 1000권 읽기 97 2015-02-11 0 1880
106 시집 1000권 읽기 96 2015-02-11 0 1702
105 시집 1000권 읽기 95 2015-02-11 0 1919
‹처음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