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쉬여가는 페이지 - 월트컵 참가국들의 國歌
2016년 01월 01일 21시 11분  조회:5775  추천:0  작성자: 죽림

월드컵 중 가장 재미있게 보았던 부분은 각 나라 국가 가사.
각 민족마다 꿈과 고난이 스민 국가...

 

 

[월드컵] 참가국 國歌 음미하며 즐겨보는 '세계사 월드컵'~♬

 

국가(國歌)는 그 나라의 정체성을 상징한다. '국가(國家)'의 역사와 탄생 배경을 유추할 수 있다.

왕정 국가는 왕실을 찬양하는 노래를 국가로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맞서 시민들이 혁명을 일으켜 근대 국가의 기틀을 세운 나라는 혁명 당시 부르던 노래를 국가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대자연을 끼고 사는 나라의 일부는 역시 자국의 풍요로움을 강조하는 노래를 애창한다.

2010 남아공 월드컵을 계기로 이들 나라의 역사를 유추해보는 건 제법 흥미로운 일이다. 월드컵 시청자들 중 적지 않은 이들이 가 제공하는 국가별 가사 자막을 보면서 놀라움을 가지기도 했으리라. 한국의 <애국가>와 다른 나라의 국가를 비교하는 것도 흥미롭다. 국가에서 발견되는 성격을 따라 남아공 월드컵 참가국들의 국가를 나눠봤다.

 
▲프랑스 국가를 들으면 섬찟함마저 느껴진다. 혁명의 역사를 그대로 간직한 노래다. 이런 노래를 들으면 선수들도 절로 힘을 낼 것 같은데, 이번 대회 프랑스는 무기력했다. 안드레-피레 지냑(툴루즈)이 남아공에 패해 조별리그 탈락이 확정된 후 얼굴을 감싸쥐고 있다. ⓒ뉴시스

 

■ 혁명의 나라들

시민 혁명을 거친 나라들은 국가에도 혁명 정신과 자유, 독재에 대한 싸움을 강조한다.
대표적인 나라가 시민 혁명의 상징적 국가인 프랑스. 프랑스의 국가 <라 마르세예즈(La Marseillaise)>는 프랑스 혁명 당시인 1792년에 만들어졌다.

전쟁 때 불렸으니만큼 가사가 사나울 수밖에 없다. 예술로까지 빗대지는 축구의 이미지와는 상반된다. 국가를 바꿔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올 정도다. 제목은 '마르세유 군단의 노래'라는 뜻을 가졌으며, 정식 국가로 채택된 때는 1879년이다.

 

일어나라 조국의 자녀들아/ 승리의 날이 왔다/ 우리와 맞서는 폭군의 피 묻은 깃발이 일어섰다/ 귀 기울여 들어라/ 들판에서 성난 병사들이 울부짖는 소리가 들리는가/ 그들이 지척까지 왔도다/ 우리의 아들과 딸들을 학살하러 온다/ 무기를 들어라 시민들아/ 군대를 형성하라/ 진격하라! 진격하라!/ 그들의 더러운 피가 우리의 밭고랑에 흐르게 하자.

 

식민 모국이었던 영국에 대항한 전쟁으로 나라를 만든 미국 또한 '전쟁'과 '자유'를 국가의 중요한 상징으로 삼았다. 미국의 국가 <성조기(The Star-Spangled Banner)>는 1931년 정식 국가로 채택됐다. 총 네 구절로 구성됐으나 주로 1절이 불린다.

 

오! 그대여 이른 새벽녘의 저 빛이 보이는가/ 위험한 전쟁 속에서도 광대한 선으로 빛나는 별들과/ 황혼의 마지막 광휘에 환호하는 우리들의 긍지가/ 저 성벽 너머로 찬란히 빛나는 것을/ 창공에서 작렬하는 포탄과 탄환의 붉은 저 섬광들은/ 밤새 우리의 깃발이 휘날린 증거이리라/ 오! 성조기는 지금도 휘날리는가/ 자유와 용맹의 땅에서.

 

이런 혁명곡들의 정수는 주로 남미 국가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대륙 전체가 스페인포르투갈을 비롯한 유럽 왕조들에 약탈당했던지라 하나 같이 압제자에 맞서 끝까지 싸우자는 내용을 담았다.

우리와 조별리그에서 맞붙은 아르헨티나가 대표적이다. 혁명의 역사를 국가 <애국의 행진>에 새겨놓았다. 아르헨티나는 1810년 5월 25일에 스페인 왕정의 식민 통치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그 후 6년이 지나 아르헨티나는 하나의 독립국가로 정식 탄생한다. 올해는 아르헨티나 혁명 200주년이다. <애국의 행진>은 1900년 정식 국가로 제정됐다. 매우 긴 노래였으나 여러 번의 수정을 거쳐 지금의 국가로 완성됐다.

 

시민들이여, 신성한 외침을 들어라/ 자유! 자유! 자유!/ 쇠사슬이 끊어지는 소리를 들어라/ 고귀한 평등의 즉위를 보아라/ 하나 된 남쪽의 주들에 의해서/ 이제 그대들의 명예로운 주권을 이루어냈다/ 세계의 자유민들은 화답할지라/ 오! 위대한 아르헨티나인이여/ 오! 위대한 아르헨티나인이여/ 영광의 월계관이여 영원하라/ 우리는 승리를 알고 있노라/ 영광의 주권이 함께하지 않는 삶이라면/ 영광스러운 죽음을 맹세하자.

 

한국이 16강전에서 맞붙을 우루과이 또한 '자유가 아니면 죽음을'을 강조하는 내용의 가사를 담고 있다. 이번 월드컵에 참여한 파라과이, 칠레, 멕시코의 국가 역시 비슷한 내용이다. 다음은 우루과이의 국가다.

 

우루과이인에게 조국이 아니면 죽음을 달라!/ 자유가 아니면 영광스러운 죽음을 택할지니/ 이것은 우리의 영혼을 바친 중요한 맹세/ 그리고 우리는 깨닫기 위해 용감하게 싸웠도다/ 자유, 자유, 우루과이인이여!/ 열정과 정의에 찬 격렬한 전투 속에서/ 이 함성은 용사와 조국을 구해냈도다/ 우리는 이 성스러운 선물을 받을 자격이 있으니/ 폭군들을 저지하라!/ 우리는 자유를 위해 싸울 것이다/ 죽어가면서도 자유를 외칠 것이다.

 

■ 단합을 강조하는 국가들

 

열강의 압제에 신음하는 아프리카 대륙의 국가들은 독립 후에도 부족 혹은 민족 간 대립으로 홍역을 겪는 나라가 많다. 이 원인의 상당 부분은 아프리카의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제 멋대로 국가를 나눠버린 서구 열강에 있다.(아프리카 나라 상당 국가가 마치 자로 잰 듯 반듯한 국경선을 유지하고 있는 게 증거다) 이 때문인지 이번 남아공 월드컵에 참여한 아프리카 국가들의 국가 가사는 단결과 통합을 강조하는 내용이 많다.

한국과 16강전 진출 여부를 놓고 치열하게 다퉜던 나이지리아가 대표적이다. 나이지리아의 국가 <동포들이여, 일어나라>는 1978년 채택됐다.

 

오, 동포들이여 일어나라/ 나이지리아의 부름을 따르라/ 사랑과 용기, 그리고 믿음을 갖고 조국을 섬겨라/ 옛 영웅들의 노고를 결코 헛되게 하지 마라/ 마음과 힘을 다해 자유와 평화, 통일을 위해 결속하라/ 오! 만물의 신이여! 우리의 고귀함을 지켜주소서/ 우리의 지도자들을 바른 길로 인도하소서/ 우리의 젊은이들이 진실을 알 수 있도록 인도하소서/ 사랑과 정직함이 자랄 수 있도록/ 정당하고 옳은 삶을 살 수 있도록 고귀한 성취를 이루게 하소서/ 평화와 정의가 다스리는 나라를 이룰 수 있게 하소서.

 

월드컵을 유치한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아파르트헤이트'라는 인종차별 문제로 오랜 세월 신음했다. 이 때문인지 국가 <남아프리카 찬가>는 아예 소절별로 다른 인종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첫 소절은 지역 원주민의 언어인 줄루어고, 두 번째 소절은 세소토어다. 셋째 소절은 처음 남아공 약탈을 시작한 네덜란드인의 후예들의 언어인 아프리칸스어이며 마지막 구절은 영어다.

<남아프리카 찬가>는 두 노래가 하나로 합쳐진 곡이다. 앞의 두 소절은 <신이시여, 아프리카를 축복하소서>로, 가난에 신음하는 흑인 사회를 구해달라는 뜻을 담고 있다. 뒤의 두 구절은 남아공의 옛 국가다. 백인 정권이 인종차별 정책을 한창 사용할 때 불리던 노래다. 가사를 보면 당시 국가가 현실과 얼마나 괴리돼 있었는가를 알 수 있다.

상이한 두 노래를 하나로 합친데서 아직 국가의 단합이 매우 힘든 상황임을 역으로 짐작 가능케 하는 부분이다. 이 노래는 남아공의 최초 흑인 대통령 넬슨 만델라가 집권한 이후 제정됐다. 가사는 다음과 같다.

 

(줄루어)신이시여, 아프리카를 축복하소서/ 영광을 높이 하소서/ 우리의 기도를 들어주소서/ 주여, 그대의 아들인 우리를 구원하소서/ (세소토어) 신이시여, 우리나라를 지켜주소서/ 모든 분쟁을 끝내주소서/ 지켜주소서, 우리나라를 지켜주소서/ 조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아프리칸스어) 우리의 깊은 바다에서 출렁이는 파도 소리는/ 우리의 푸른 하늘에 울려 퍼지리라/ 높은 산 위에서/ 바위산 끝까지 우리의 메아리가 울리리라/ (영어) 화합의 외침이 울린다/ 그리고 우리는 단결해 일어서리라/ 자유로운 삶을 위해 노력하리라/ 우리의 조국 남아공에서.

 

■ 자연의 아름다움을 찬미하는 나라들

 

광활한 자연의 축복을 찬양하는 노래를 부르는 국가도 많다. 땅이 주는 은혜를 찬양하거나 역사의 아픔을 딛고 서로 격려하자는 내용이 특징이다. 이들 국가들도 대부분 과거에는 유럽 열강의 식민지였던 경우가 많다. 아프리카와 오세아니아 대륙의 나라들이 이런 내용의 국가를 많이 채택했다.

영국의 식민지였던 호주가 대표적이다. 호주는 과거 대영제국이 죄수들의 유배지로 삼고 개발한 곳이다. 이 과정에서 토착민들이 숱하게 학살된 슬픈 역사도 갖고 있다. 호주 역시 인종차별주의를 오랜 기간 지속했다. 그러나 가사에서는 이런 역사를 찾아보기 어렵다. 호주는 독립 후에도 영국 왕실의 찬가인 영국 국가 <신이시여, 여왕폐하를 지켜주소서>를 불러왔으나, 1977년의 국민 투표로 현재의 국가 <호주인이여, 힘차게 나아가자>를 채택했다.

 

호주인들이여, 함께 기뻐하자/ 우리의 젊음과 자유를/ 땀 흘려 일할 황금 토양과 풍부한 자원/ 바다로 에워싸인 우리 조국/ 풍성하고 희귀한 아름다운 천혜의 자원으로 가득찬 우리 조국/ 역사의 책갈피 속에서/ 호주인들이여 굳세게 전진하라/ 황금빛 태양의 적도 남쪽에서/ 온 마음과 온 몸으로 땀 흘리라/ 온 세계에 빛나는 이 나라, 우리 조국을 위해/ 바다 건너 이 땅을 찾은 우리들/ 함께 하는 끝없는 초원/ 용맹스럽게 모두 모여/ 호주인들이여 굳세게 전진하라/ 기쁨의 노래를 함께 부르자/ 호주인들이여 굳세게 전진하라.

 

복병 일본에 패해 조별리그에서 탈락한 카메룬의 국가 <우리 선조의 땅>도 조상들이 일군 터전에서 단결하자고 국민들에게 호소하고 있다. 일본과의 조별리그 첫 경기에서 일왕을 찬양하는 <기미가요>와 카메룬의 국가는 내용이 크게 대비됐다.

 

오, 카메룬이여/ 우리 선조의 탄생지/ 그들이 휴식을 취하는 성스러운 성지여/ 그들의 눈물과 피와 땀이 적셔진 땅이여/ 언덕과 계곡마다 그들이 논밭을 일구던 곳이여/ 사랑하는 조국이여/ 어디에도 당신의 가치를 말할 수 있는 언어는 없으니/ 우리의 고역과 사랑, 평화로 얻어낸 안녕이여/ 그 이름 영원히 진실이 될지어다/ 약속의 땅이여, 영광의 땅이여/ 당신은 우리의 삶과 기쁨의 유일한 창고/ 당신을 향한 존경, 헌신 그리고 깊은 애정은 영원하리.

 
▲한국과 8강행을 놓고 격돌할 우루과이는 자유의 소중함을 국가 가사에 담았다. 한국과 16강전에 우루과이 팬들이 "우루과이인에게 8강이 아니면 죽음을 달라"고 외칠지도 모를 일이다. ⓒ뉴시스

 

■ 왕에 충성을 맹세하는 국가들

 

왕정을 유지하는 나라나 과거 왕정 국가였던 나라들은 여전히 '국가=왕족'의 신념을 담은 노래를 국가로 채택하고 있다. 민주주의의 발상지인 영국마저 이런 내용의 국가를 부른다. 영국의 국가

<신이시여, 여왕 폐하를 지켜주소서>는 세계 최초의 국가다. 현재는 여왕 엘리자베스 2세가 제위 중이라 국가에 '여왕'을 사용하지만 왕이 즉위할 경우 '왕(King)'으로 국가가 바뀐다. 영국의 식민지였던 나라들 상당수가 이 노래를 같이 불렀다.

다만 이 노래는 엄밀히 말해 잉글랜드 왕국의 노래였기 때문에 다른 축구협회를 구성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는 A매치에서 이 노래를 부르지 않는다. 이 노래는 영국 경제 몰락 이후 섹스 피스톨스(Sex Pistols) 등 반항적인 펑크 밴드들이 영국의 현실을 비꼬는 내용으로 바꿔 부르기도 했다. 한국에서도 펑크 밴드 노 브레인이 데뷔 앨범에 <애국가>를 비꼬아 청년들의 슬픈 현실을 강조한 노래를 수록했다.

 

신이시여, 우리들의 자비로우신 여왕 폐하를 지켜주시고/ 고귀하신 우리들의 여왕이 만수무강토록 하소서/ 신이시여, 여왕 폐하를 지켜주소서/ 그분께 승리와 행복과 영광을 주소서/ 오! 신이시여 깨어나시어 그분의 적들을 물리쳐 쓰러지게 하소서/ 그들의 나라를 멸하시고 그들의 간교한 계략을 좌절케 하소서/ 당신만을 믿사오니 저희 모두를 지켜주소서.

 

왕정을 고수하는 일본도 왕을 찬양하는 <기미가요>를 고수하고 있다. 헤이안 시대의 단가에 가사를 붙인 이 노래는 일본이 최근 급격히 우편향되면서 일선 학교 등지에서도 부르도록 강조해 논란을 빚기도 했다. 제국주의 시절을 반성하지 못한다는 일본 내 시민단체의 지적이 잇따랐다.

월드컵을 독점 중계하는 는 한국인들의 불편한 감정을 의식한 탓인지, 중계 당시 일본의 국가는 가사를 소개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국가가 활기찬 선율을 가진데 반해 <기미가요>는 얼핏 들으면 애처롭기까지 하다.

 

그대의 시대는/ 천대에서 팔천대까지/ 조약돌이 큰 바위만큼 되어/ 이끼가 낄 때까지.

 

왕에 대한 충성의 시대를 회고하는 노래말도 가사로 쓰인다. 왕정 독재에 항거해 독립한 네덜란드의 국가 <빌렘의 노래>가 그렇다. 이 노래는 네덜란드 독립 전쟁을 이끈 오라녜공 빌렘1세의 주장을 그대로 담고 있다. 네덜란드 축구를 두고 흔히 '오렌지 군단'이라고 부르는 것도 그의 이름을 본딴 것이다.

네덜란드의 북부 17개주는 과도한 세금을 매겼던 에스파냐 왕정에 항거에 네덜란드 공화국을 수립했고, 80년에 걸친 독립전쟁 끝에 1648년 독립을 성취했다. 당시 에스파냐 왕정에 충성을 맹세했던 남부 네덜란드는 지금의 벨기에룩셈부르크로 쪼개졌다.

 

나사우의 백작 빌렘, 나는 게르만의 혈통!/ 조국에 대한 충성심으로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오라녜가의 왕자인 나는 자유롭고 두려움이 없다/ 나는 에스파냐 왕에게 충성을 다해 왔다.

 

그렇다면 과거 네덜란드를 지배했던 스페인의 국가는 어떨까? 스페인 국가 <왕의 행진>은 공식적으로 가사가 없다. 비공식적으로 붙여진 두 개의 가사가 불리긴 한다. 이 노래는 왕실 행진곡으로 쓰였던 화려한 역사와 달리 작곡자도 불명이다. 원래 군악곡으로 쓰이던 노래를 1770년 카를로스 3세가 왕실 행진곡으로 지정해 연주되기 시작했다. 프랑코 독재 정권 때 다른 곡으로 대체됐으나, 왕정복고 후 다시 국가로 제정됐다.

 

정대세를 울게 한 북한 국가는?

 

한국에서 2010 남아공 월드컵을 독점 중계하는 는 참가국들의 국가 연주 때마다 충실하게 가사를 번역해 자막으로 송출하고 있다. 그런데 국가의 가사를 볼 수 없는 나라가 딱 네 나라 있다. 한국은 온 국민이 가사를 아니 당연히 나올 필요가 없고, 스페인은 가사가 없어서 표시하지 못한다.

다른 두 나라는? 북한일본이다. 일본은 식민 치하의 아픈 기억이 아직 우리 국민들에게 깊숙이 자리한데다, 제국주의 시절을 상징하는 노래를 국가로 사용하기 때문에 국민정서상 수용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정대세도 <애국가>를 듣고 울었다. 우리가 아는 그것과는 다르지만. ⓒ연합뉴스


북한도 마찬가지 이유를 꼽을 수 있다. 냉전이 아직 끝나지 않은 한반도의 특성상 민감한 부분을 애써 건드릴 필요가 없다고 수뇌부가 판단한 듯하다.

그렇다면 북한 국가의 내용은 어떨까? 북한은 우리와 제목까지 똑같은 <애국가>를 국가로 사용한다. '아침이 빛나게 하라'는 명칭으로도 알려진 <애국가>는 남북이 갈라진 후 북한에서 불리었다.

남쪽에서 북한의 <애국가>가 연주된 적도 있다. 지난 2002 부산 아시안게임 때 북한이 공식 국가 자격으로 참여했기 때문에 국기 게양식 때마다 한국인들은 북한의 국가를 들을 수 있었다. 뉴욕 필하모니 오케스트라는 2008년 2월 평양 공연에서 북한 국가를 연주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정대세가 눈물을 흘린 북한의 애국가 가사는 다음과 같다. 기대만큼(?)의 호전적인 내용은 아니다.

 

(1절) 아침은 빛나라 이 강산/ 은금에 자원도 가득한/ 삼천리 아름다운 내 조국/ 반만년 오랜 력사에/ 찬란한 문화로 자라난/ 슬기론 인민의 이 영광/ 몸과 맘 다 바쳐 이 조선/ 길이 받드세/ (2절) 백두산 기상을 다 안고/ 근로의 정신은 깃들어/ 진리로 뭉쳐진 억센 뜻/ 온 세계 앞서 나가리/ 솟는 힘 노도도 내밀어/ 인민의 뜻으로 선 나라/ 한없이 부강하는 이 조선/ 길이 빛내세.

 

 

애국가 1절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애국가 2절

남산 위에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듯

바람서리 불변함은 우리 기상일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애국가 3절

가을 하늘 공활한데 높고 구름 없이

밝은 달은 우리 가슴 일편 단심일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애국가 4절

이 기상과 이 맘으로 충성을 다하여

괴로우나 즐거우나 나라 사랑하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출처] 각 나라 國歌 가사|작성자 헌책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717 ... 2016-11-20 0 4296
716 ... 2016-11-20 0 4031
715 ... 2016-11-20 0 3859
714 ... 2016-11-20 0 3930
713 ... 2016-11-20 0 3829
712 ... 2016-11-20 0 4534
711 ... 2016-11-20 0 3693
710 ... 2016-11-20 0 4321
709 ... 2016-11-20 0 3686
708 ... 2016-11-20 0 3936
707 ... 2016-11-20 0 4026
706 ... 2016-11-20 0 3988
705 ... 2016-11-20 0 3131
704 ... 2016-11-20 0 4022
703 ... 2016-11-20 0 3999
702 ... 2016-11-20 0 3703
701 ... 2016-11-20 0 4461
700 ... 2016-11-20 0 3995
699 ... 2016-11-20 0 4192
698 ... 2016-11-20 0 4772
697 ... 2016-11-20 0 3629
696 ... 2016-11-20 0 4172
695 ... 2016-11-20 0 4471
694 ... 2016-11-20 0 3763
693 ... 2016-11-20 0 3716
692 ... 2016-11-20 0 3355
691 ... 2016-11-20 0 3820
690 ... 2016-11-20 0 4255
689 ... 2016-11-20 0 3581
688 ... 2016-11-20 0 3760
687 ... 2016-11-20 0 3727
686 ... 2016-11-20 0 3542
685 ... 2016-11-20 0 3698
684 ... 2016-11-20 0 3812
683 ... 2016-11-20 0 3960
682 ... 2016-11-20 0 4043
681 ... 2016-11-20 0 3785
680 ... 2016-11-20 0 3386
679 ... 2016-11-20 0 3885
678 ... 2016-11-20 0 3885
‹처음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