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名詩 공화국

프랑스 시인 - 기욤 아폴리네르
2016년 10월 16일 12시 15분  조회:5185  추천:1  작성자: 죽림

 

 

 

 

 

Mirabeau Bridge

         
Under the Mirabeau Bridge there flows the Seine
            Must I recall
     Our loves recall how then
After each sorrow joy came back again
            
            Let night come on bells end the day
            The days go by me still I stay

Hands joined and face to face let's stay just so
            While underneath
     The bridge of our arms shall go
Weary of endless looks the river's flow

            Let night come on bells end the day
            The days go by me still I stay

All love goes by as water to the sea
            All love goes by
     How slow life seems to me
How violent the hope of love can be

            Let night come on bells end the day
            The days go by me still I stay

The days the weeks pass by beyond our ken
            Neither time past
     Nor love comes back again
Under the Mirabeau Bridge there flows the Seine

            Let night come on bells end the day
            The days go by me still I stay 

            (Guillaume Apollinaire / Trans. Richard Wilbur)
  
  

 



미라보 다리


미라보 다리 아래 세느 강이 흐르네
   가 버린 우리의 사랑
   다시금 기억해야 할까나
아픔 뒤엔 늘 기쁨이 왔었나니

   밤이여 오라, 종이여 울려라
   세월은 가고 나는 여기 머무네

손잡고 얼굴 마주보며 이대로 있자꾸나
   우리 팔로 엮은 다리 아래로 
   하염없는 바라봄에 지쳐 버린
강의 물결 흘러가는 동안

   밤이여 오라, 종이여 울려라
   세월은 가고 나는 여기 머무네

흐르는 강물처럼 사랑은 가네
   사랑은 가네
   인생은 얼마나 느리고
희망은 얼마나 강렬한가

   밤이여 오라, 종이여 울려라
   세월은 가고 나는 여기 머무네

날이 가고 달은 가는데
   가버린 시간
   떠나간 사랑 돌아옴 없이
미라보 다리 아래 세느 강이 흐르네

밤이여 오라, 종이여 울려라
세월은 가고 나는 여기 머무네

        (기욤 아폴리네르 / 번역: 리처드 윌버)


 

 

 


 

 


Notes

아폴리네르의 시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시. 세월의 흐름, 사랑과 삶의 덧없음을 세느 강의 흐름에 비추어 노래하고 있다. 그러나 허무감만 있는 건 아니다. 위에 올린 영어 번역은 미국 시인 리처드 윌버(Richard Wilbur)의 것. 영역은 원시에 없는 말을 한두 군데 넣은 곳도 있지만 음악적 효과가 섬세하다. 아래에 프랑스어 원문과 함께 영어 축자역을 싣는다.

Mirabeau Bridge: 파리 교외의 오테이유 근처에 있는 다리. Le Pont Mirabeau.
the Seine: 파리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강.
Must I recall / Our loves recall how then: Must I recall our loves, and recall how . . . 나는 (지나간) 우리의 사랑을 기억해야 하는가, 그리고 (슬픔이 있고 나선 늘 기쁨이 되찾아 왔던 것을) 기억해야 하는가.
Let night come on bells end the day: Let night come on, and let bells end the day.
The bridge of our arms: 우리들의 팔로 엮어진 다리. 두 사람이 손을 맞잡으면 두 팔이 다리 모양이 된다.
shall go: 2연의 While 이하의 문장은 주어 동사가 도치되어 있다. shall go의 주어는 the river's flow. 프랑스어 원문에서도 마찬가지. 
Weary of endless looks: 하염없이 바라보는 데 지쳐 버린.
beyond our ken: 시야를 넘어서. 안보이는 곳으로. 이 표현은 원문에 없지만 운을 맞추기 위해 넣었다.

* 프랑스어 원시

Le Pont Mirabeau 

Sous le pont Mirabeau coule la Seine
   Et nos amours
   Faut-il qu'il m'en souvienne
La joie venait toujours après la peine.

   Vienne la nuit sonne l'heure
   Les jours s'en vont je demeure

Les mains dans les mains restons face à  face
   Tandis que sous
   Le pont de nos bras passe
Des  éternels regards l'onde si lasse

   Vienne la nuit sonne l'heure
   Les jours s'en vont je demeure

L'amour s'en va comme cette eau courante
   L'amour s'en va
   Comme la vie est lente
Et comme l'Espérance est violente

   Vienne la nuit sonne l'heure
   Les jours s'en vont je demeure

Passent les jours et passent les semaines
   Ni temps passé 
   Ni les amours reviennent
Sous le pont Mirabeau coule la Seine 

Vienne la nuit sonne l'heure
Les jours s'en vont je demeure

* 영어 축자역

The Mirabeau Bridge (literal translation)

Under the Mirabeau Bridge flows the Seine
   And our loves 
   Must I remember them
Joy always followed after pain

   Let the night fall and the hours ring
   The days go away, I remain 

Hand in hand let us stay face to face
   while underneath 
   the bridge of our arms passes
the so-slow wave of eternal looks

   Let the night fall and the hours ring
   The days go away, I remain

Love goes away like this flowing water
   Love goes away
   How slow life is
How violent hope is

   Let the night fall and the hours ring
   The days go away, I remain

The days pass and the weeks pass
   Neither past time 
   Nor past loves return
Under the Mirabeau Bridge flows the Seine 

Let the night fall and the hours ring
The days go away, I remain 

 
 

 

 


 

 



 

기욤 아폴리네르 Guillaume Apollinaire (1880 - 1918)

프랑스 시인. 이탈리아인 아버지와 폴란드인 어머니 사이의 사생아로 출생. 아버지가 누군지도 모른 채 어머니를 따라 남프랑스 지역을 전전하다 19세에 파리에 올라온다. 가난한 생활을 하였지만 뜨거운 문학적 정열로 여러 예술 운동에 참여하여 당시 전위예술의 중심 인물이 된다. 33세에 첫시집 Alcools(1913)을 내어 높은 평가를 받는다. 1914년 1차 대전에 참전. 1916년 부상을 입고 제대한 후 파리로 돌아와 상징적인 이야기책 Le Poète assassine(The Poet Assassinated)를 내고, 이어 1918년에 전쟁의 이미지와 사랑의 번민에 가득한 새 시집 Calligrammes을 출간한다. 전쟁 때 입은 부상으로 허약해져 같은 해 인플렌자에 걸려 세상을 떠난다.

 

 

 

 
 
 Sweet Breeze(상쾌한 산들바람) / Isao Sasaki
 
 












'미라보 다리 아래 센 강이 흐르고 / 우리의 사랑도 흘러간다 / 나는 기억해야 하는가 / 기쁨은 늘 괴로움 뒤에 온다는 것을' 기욤 아폴리네르의 시 '미라보 다리'는 이렇게 시작합니다. 그가 미라보 다리를 걷다 연인과의 사랑을 회상하며 썼다는 이 시는 20세기 초반 프랑스 파리가 가지고 있던 정서를 고스란히 담고 있습니다.  

26일은 시인 기욤 아폴리네르가 태어난 지 136년이 되는 날입니다. 그는 시인이자 소설가, 평론가로 이름을 떨쳤으며 초현실주의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탈리아에서 태어났으며 19살에 파리로 와 자유로운 삶을 즐겼고 아방가르드 운동에 참가하는 등 새로운 예술을 주도했습니다. 그가 미라보 다리를 건너며 떠올렸던 연인은 누구였을까요.
========================================================



미라보 다리는 파리 센 강의 수많은 다리 가운데 별나게 매력적인 다리가 아닙니다. 알렉산드르3세 다리처럼 화사하지도 않고, 새 다리(新橋, 퐁뇌프)처럼 젊은이들이 밀어를 나눌 움푹 파인 공간들이 있는 것도 아니며, 생미셀 다리처럼 파리의 멋진 스카이라인을 한눈에 보여주지도 않습니다. 그래도 내가 처음 파리에 간 1992년 가을에 굳이 그 다리를 찾은 것은 순전히 당신의 그 유명한 시 ‘미라보 다리’ 때문이었습니다. 막상 가서 보고는 실망했습니다. 다리의 북쪽 끝에 당신의 ‘미라보 다리’ 첫 연이 새겨져 있는 것 말고는 아무런 특징이 없는, 볼품없는 다리였습니다. “미라보 다리 아래 센 강이 흐른다/ 우리 사랑을 나는 다시/ 되새겨야만 하는가/ 기쁨은 언제나 슬픔 뒤에 왔었지.” 미라보 다리는 오직 당신의 시 ‘미라보 다리’ 덕택에 어떤 위광을 지니게 된 것입니다. 파리시(市)가 뒷날 거기에 당신의 시를 새겨 넣은 것도 그것을 노렸기 때문이겠지요. 그 다리 위에서 나는 그 시(詩)를 이어가며 당신과 화가 마리 로랑생의 연애를, 그리고 당신의 실연(失戀)을 생각하곤 했습니다. “밤이 와도 종이 울려도/ 세월은 가고 나는 남는다.”

당신이 이 다리 위에서 바라보았던 파리에는, 에펠탑 말고는 다른 현대식 건물이 없었을 겁니다. 그러나 내가 그 다리 위에 처음 섰던 23년 전, 거기서 본 파리는 마치 신흥개발 도시 같았습니다. 남쪽 강안의 니코 호텔과 북쪽 강안의 라디오 프랑스 방송사 건물이, 그리고 북쪽으로 멀리 보이는 TF1 텔레비전 방송사 건물이 빚어내는, 파리답지 않은 차가운 풍경 때문이었습니다. 그 건물들은 아무런 미적 고려도 부여받지 못한 서울의 아파트 건물들 같았습니다. 아무튼 이리 볼품없는 다리 위에서 당신이 어떻게 그리 낭만적인 노래를 읊었는지 잘 상상이 되지 않았습니다.

[고종석의 편지]기욤 아폴리네르 시인께

오늘은 당신의 아흔일곱 번째 기일입니다. 당신은 유럽인들이 ‘아주 커다란 전쟁’이라고 불렀던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기 이틀 전에 삶을 마감했습니다. 포병으로 참전한 당신은 두뇌에 관통상을 입어 그 당시로서는 몹시 위험한 개두수술을 받고서도 용케 살아남았지만, 그 총상에서 회복되던 중에 독감에 걸려 종전을 보지 못했습니다. 38세의 아직 젊은 당신의 삶을 앗아간 것은 그 1년여 사이에 전 세계에서 2000만명이 넘는 목숨을 앗아간 스페인독감이었습니다. 중세유럽의 페스트에 버금갈 만하게 위협적인 독감이었다지요. 그 뒤로 정체를 알 수 없는 바이러스로 인한 독감이 국경을 넘어 퍼질 때면, 그 ‘신종’ 독감은 1918~1919년의 스페인독감에 비유되곤 합니다. 물론 스페인독감만 한 위력을 떨친 독감은 지금까지 한 번도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총상의 회복기에 독감으로 죽었으니, 당신이 전사한 것인지 병사한 것인지 조금 모호하긴 합니다. 아무튼 당신은 참전의 대가로 프랑스 국적을 얻었고, 프랑스인으로 죽었습니다. 이방에서의 출생과 성장, 이방인의 피와는 상관없이 당신이 진정한 조국으로 여기고 자부심을 가졌던 나라의 시민으로 죽은 것입니다.

당신이 죽은 나이에 나는 파리에 살고 있었습니다. 나는 그 도시의 거리들을 끊임없이 걸었습니다. 걷다가 지치면 아무 카페에나 들러 신문을 읽거나 멍하니 바깥 풍경을 바라보았습니다. 시간은 정지돼 있는 것 같았고, 그 정지된 시간 속에서 나는 문득 행복했습니다.

당신이 자주 들렀을 몽파르나스와 몽마르트르는 내가 자주 걷던 거리이기도 했습니다. 오래된 카페들의 외진 자리에 앉아 유리벽 너머로 몽파르나스대로나 테르트르광장을 내다보노라면, 그 카페들의 옛 고객들이 다시 살아나 문을 열고 들어올 것 같은 환각이 일기도 했습니다. 그 고객들의 얼굴 가운데는 당연히 당신의 얼굴도 포함돼 있었습니다.

비평가 마르셀 레몽에 따르면 당신은 “1905년께부터 1920년 사이에 프랑스 예술이 열어놓은 모든 길에 그 그림자를 드리운 시인”이고, 시인 앙드레 브르통에 따르면 “이 세상 최후의 시인”입니다. 그 말을 했을 때, 앙드레 브르통은 자신을 시인으로 생각하지 않았던 걸까요? 당신은 화가 조르주 브라크와 파블로 피카소가 체현할 입체주의(큐비즘)라는 말을 만들어냈고, 그 입체주의에서 가지쳐나갈 오르페우스주의(오르피슴)라는 말을 만들어냈습니다. 또 당신은 초현실주의(쉬르레알리슴)라는 말도 만들어냈습니다. 물론 당신은 초현실주의의 선구자였을 뿐 주인공은 아니었습니다. 초현실주의의 주인공이라 할 앙드레 브르통은 1924년의 첫 번째 초현실주의 선언에서 “기욤 아폴리네르에게 경의를 표하여, 수포와 나는 우리가 그 재량권을 획득하여 우리 친구들에게 지체 없이 이바지할 수 있게 된 이 순수한 표현의 새로운 양식을 ‘초현실주의’라는 이름으로 불렀다”라고 씁니다. 물론 앙드레 브르통의 초현실주의가 당신의 초현실주의와 고스란히 포개졌던 것은 아닙니다. 브르통이 이어서 “오늘날에 이 낱말을 바꿀 필요는 없으나, 우리가 이 말에 부여하는 의미 폭이 아폴리네르의 의미 폭보다 일반적으로 우세하다고 나는 생각한다”고 쓰고 있기 때문입니다. 브르통은 더 나아가 제라르 드 네르발이 <불꽃처녀들>의 헌사에서 사용한 ‘초자연주의’라는 말이 자신의 초현실주의에 더 가깝다는 것도 내비칩니다.

나는 초현실주의에 대해 깊이 알지 못합니다. 그 말에서 내가 떠올릴 수 있는 이름은 지그문트 프로이트에서 앙드레 브르통을 거쳐 르네 마그리트에 이르기까지 스물은 넘겠지만, 나는 문학에서의 초현실주의와 조형예술을 비롯한 다른 장르에서의 초현실주의가 어떻게 얽히고 스며 있는지 자세히 모릅니다. 나는 그러나 당신이 작고한 뒤 1920년대부터 활짝 핀 초현실주의가 장르의 벽을 넘어 문인들과 화가들을 묶고, 저널리스트들과 예술향수자들을 아우르는 예술사의 진풍경에 깊은 관심이 있습니다. 당신은 소위 ‘아름다운 시절(벨에포크)’을 살다 죽었지만, 내 마음속에는 외려 당신이 죽은 뒤의 1920년대 파리가 아름다운 시절로 다가옵니다. 내 상상 속 그 아름다운 시절의 주인공들은 프랑스인들만이 아니라 파리로 몰려든 많은 예술가들, 특히 ‘길 잃은 세대’라 불렸던 미국 예술가들도 포함합니다.

파리에 살 때, 내 아파트는 페르-라셰즈 묘지 근처에 있었습니다. 걸어서 10분 거리였습니다. 나는 그곳에 자주 들렀고, 당신의 무덤을 곧잘 찾았습니다. 그리고 그 무덤에 새겨진 당신의 시를 읽었습니다. 그 시의 한 대목이 어슴푸레 떠오릅니다. “사람들이 결코 건드리지 못한 것/ 난 그걸 건드렸고 그걸 말했네// 아무도 그것에서 상상하지 못하는 것/ 난 모든 걸 캐냈네/ 그리고 난 여러 번 맛보았네/ 맛볼 수 없는 삶까지도/ 난 웃으며 죽을 수 있네.” 견자(見者)는 랭보가 아니라 당신이었는지도 모릅니다.

신기한 것에 잘 홀리는 부박한 성격 탓에, 내가 가장 좋아하는 당신의 시집은 <칼리그람>입니다. 그러나 이 11월에는 ‘미라보 다리’가 실린 당신의 첫 번째 시집 <알코올>을 읽으며 황량한 계절을 보내볼까 합니다. 서울 날씨는 보통 파리 날씨보다 훨씬 사랑스럽지만, 11월은 서울도 파리와 비슷하게 을씨년스럽습니다. <알코올>을 읽기에 좋은 철입니다. 파리에 살 때 프랑스어판으로 <알코올>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내 허술한 프랑스어로는 당신의 그 시집을 온전히 즐길 수 없었던 듯합니다. 마침 이제 내게는 한국어판 <알코올>이 있습니다. 그 시집을 한국어로 옮기고 세세한 미주(尾註)를 단 황현산씨는 당신에 대해, 그리고 초현실주의에 대해 가장 깊이 이해하고 있는 이들 가운데 한 사람일 것입니다. 역자 해설에서 황현산씨는 전쟁 중에 당신에게 위문편지를 보내던 한 여성에게 당신이 보낸 편지글의 한 대목을 인용합니다.

“나는 내 작품에 일곱 사람 이상의 애독자를 기대하지 않지만 그 일곱 사람의 성(性)과 국적이 다르고 신분이 달랐으면 좋겠습니다. 내 시가 미국의 흑인 복서, 중국의 황후, 적국인 독일의 신문기자, 스페인의 화가, 프랑스의 양갓집 규수, 이탈리아의 젊은 농사꾼 여자, 인도에 파견된 영국 장교에게서 사랑을 받는 것이 내 바람입니다.”

이어서 황현산씨는 이렇게 덧붙입니다. “이 일곱 사람 가운데 우리는 들어 있지 않다. 그러나 감수성과 지성을 지닌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흑인 복서로, 이탈리아의 젊은 농사꾼 여자로 만들 수 있는 힘이 아폴리네르의 시에 들어 있다.”

 

나는 당신의 시집을 펼쳐, 독일의 신문기자가 되어, 첫 시 ‘변두리’부터 읽기 시작합니다. “마침내 넌 이 낡은 세계가 지겹다// 양치기 처녀여 오 에펠탑이여 오늘 아침 다리들 저 양떼들이 메에 메에 운다// 너는 그리스 로마의 고대에 진저리가 난다//…”

///고종석

====================================================

 

                                                  마리 로랑생의 그림들

 
                                                
 
                                                       권태로운 여자보다
                                                        더 불쌍한 여자는
                                                           슬픈 여자
 
                                       

                                                            슬픈 여자보다
                                                           더 불쌍한 여자는
                                                             불행한 여자
 
                                       

                                                                불행한 여자보다
                                                                더 불쌍한 여자는
                                                                   버려진 여자
  
                                          

                                                               버려진 여자보다
                                                               더 불쌍한 여자는
                                                                떠도는 여자
 
                                       

                                                          떠도는 여자보다
                                                          더 불쌍한 여자는
                                                            쫓겨난 여자
 
                                        

                                                               쫓겨난 여자보다
                                                               더 불쌍한 여자는
                                                                  죽은 여자
 
                                           

                                                                죽은 여자보다
                                                               더 불쌍한 여자는
                                                                 잊혀진 여자

                                        
 
                                                                 잊혀진다는건          
                                                                  가장 슬픈 일

                                        
 
 
 
                                 마리 로랑생, 화가이면서 시를 쓰기도 했던 매력적인 여인입니다.
                                 한때는 아폴리네르의 연인으로 그의 애간장을 타게 했던 여인입니다.
                                 아폴리네르는 로랑생과 연애 하다 실연을 하죠.
                                 강 하나를 사이에 두고 살았던 두 사람은 헤어지기로 합니다.
 
                                 실연을 당하고 집으로 돌아오기 위해 다리를 건너다 아폴리네르는
                                 다리에 멈춰서서 지난 사랑의 추억을 떠올리며 그는 시를 씁니다.
                                 그 시의 제목은 <미라보 다리>. 그의 시로 이 다리는 유명해졌고
                                 외국인들의 관광명소로 알려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습니다.
 
                                사람들 사이에서 잊혀진다는 것은 가혹한 형벌입니다.
                                죽음보다 더한 형벌입니다 그것은 존재의 의미... 자체를
                                부정하기 때문입니다.오늘의 소중함을 생각하기 위해 
                                로랑 생의 그림과 아폴리네르詩를 같이 읽고자 합니다

 

 

.

 

 

<>미라보 다리 / 기욤 아폴리네르(1880-1918)

 

 

 

미라보 다리 아래 세느강은 흐르고

우리의 사랑도 흐른다

마음속 깊이깊이 아로새기리

기쁨은 언제나 고통 위에 온다는 것을

 

밤이여 오너라, 종아 울려라

세월은 흐르고 나는 남는다

 

손에 손을 잡고 얼굴 마주하며

우리의 팔 밑 다리 아래로

지친 듯 흘러가는

영원의 물결

 

밤이여 오라, 종아 울려라

세월은 흐르고 나는 남는다

 

사랑은 물결처럼 흘러내리고

우리네 사랑도 흘러만 간다

삶이란 어찌 이다지도 지루하고

희망이란 왜 이토록 격렬하더냐

 

밤이여 오너라, 종아 울려라

세월은 흐르고 나는 남는다

 

햇빛도 흘러가고 달빛도 흘러가고

오는 세월도 흘러만 간다

우리의 사랑은 가서 오지 않고

미라보 다리 아래 세느강만 흐른다

 

밤이여 오너라, 종아 울려라

세월은 흐르고 나는 남는다

 

- 시집『알콜』(1912)

.............................................................................

 

 아폴리네르의 이 시에는 ‘마리 로랑생’이라는 화가와의 사랑과 추억이 배경으로 깔려있다. 둘은 오랜 기간 사랑을 나눴지만 서로의 현저한 개성 차이와 돌발 상황으로 결별 하였고, 로랑생은 바로 독일인과 결혼하였다. 한 달 후 세계대전이 일어나고 독일 국적을 가진 마리 로랑생은 영영 프랑스로 돌아오지 못했다. 이에 아폴리네르는 그녀와의 사랑을 그리워하며 이 시를 남겼는데, 그는 1918년 38세의 젊은 나이에 죽음을 맞고 말았다.

 

 하지만 지금도 미라보 다리 아래 강물이 흐르듯 이 시는 영원히 모든 연인들의 추억 속에 흐르고 있다. 사랑의 상실과 이별의 아픔은 강물 따라 흘러가버리지만 그런 상실과 아픔을 세월의 덧없는 흐름 속에 던져버릴 때의 처절한 체념은 영원히 머문다. ‘흐름’가운데 ‘머무름’의 짙은 서정이 이 시를 감싸고 있다.

 

 도처의 이름난 명소에는 사람마다의 개별적 추억이 서려있고, 그런 까닭에 각기 독특한 스토리를 간직하고 있다. 1896년 완공된 파리 세느강의 미라보 다리도 그 가운데 하나이며 아폴리네르의 이 시도 그 일부일 것이다. 다리에 관한 스토리만 해도 같은 세느강을 가로지르는 ‘퐁네프’와 함께 ‘메디슨 카운티’가 얼른 생각날 정도다. 그런데 가본 사람은 다들 느끼겠지만 미라보다리는 학창시절 고양된 설렘을 제공했던 그 이미지와는 사뭇 다른 그저 그런 평범한 다리에 지나지 않는다. 이 또한 시 한편에 힙 입은 스토리텔링의 위력이라 할 수 있다.

 

권순진



============================================

해외 시산책

 

기욤 아폴리네르

 

 

저 투명한 창문

불온한 tint coatingdmf 덧 씌운자,

기욤 아폴리네르

 

 

 

                                                                 — Modern Poetry는 이제
                          영원성 보다는 덧없음, 필연성보다는 우연성에 기대어
덧없이 순간적인 것들이 순결한 윤슬처럼 오르피즘의 물결을 타고 마침내
                                                             미학적 위치에 오르게 된다.
                  아폴리네르가 길을 터 수용한 에스프리 누보el'sprit nouveau
                                                                   아방가르드 정신 덕택에

 

                                                                                김영찬 (시인)

 

 

 

  1881년생 피카소(Pablo Picasso)는 19세 때 고향 바르셀로나를 떠나 마드
리드를 전전하다가 약관의 나이 24살이 되던 해인 1904년 파리에 정착한
다. 피카소보다 한 살 많은 기욤 아폴리네르(Guillaume Apollinaire)는 로마
에서 사생아로 태어나 미혼모인 어머니를 따라 모나코공국에서 극빈하게
살다가 그 또한 19살이 되던 해 리옹을 거쳐 파리로 입성한다. 가난에 찌
든 이들 두 젊은 예술가들은 1905년에 운명적으로 만난다. 몽마르트르라

는 기상천외의 장소가 이들 푸릇푸릇한 20대 중반의 가난뱅이 젊은 예술
혼을 하나로 묶어준 것이다. 좋아한다는 것은 모든 것들의 시작, 그들은
시인 막스 자콥(Max Jacob)이 세탁선(Le Bateau Lavoir)이라고 이름 붙인 낡
고 지저분한 건물, 시궁창 냄새와 고양이 오줌자국의 천국인 몽마르트르
의 다락방에서 불행과 무명의 서러움을 견디며 오로지 예술혼을 불태웠
다. 예술만이 전 재산인 그들은 거기에 푹 빠져서 다른 것을 돌아볼 겨를
이 없었던 것이다.
  나는 여기서 시인 아폴리네르가 피카소를 부추겨 그 당시 생경하기 짝
이 없었을 큐비즘에 눈을 뜨게 했다거나, 작가의 눈으로 대상을 특이하게
왜곡시켜 캔버스 위의 반란이 가능토록 추동했을 거라는 말을 하려고 피
카소를 들먹거리는 게 아니다. 당시, 기괴하기 짝이 없던 피카소의 실험적
인 그림을 곁에서 더욱 더 적극적으로 옹호한 예술가는 아마도 아폴리네
르(피카소가 아폴리Apoli라고 다정하게 부르던) 보다는 동료화가 조르주
브라크(Georges Braque. 아폴리가 피카소에게 소개했다) 쪽이었다고 봐야
할 것이다.
  큐비즘의 근원을 따진다면 아폴리네르의 언어적 발상, Cubisme
Orphique(Orphic Cubism)은 어휘 이전에 이미 캔버스 위의 혁명으로 활
발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일찍이 바실리 칸딘스키(Wasilly Kandinsky
1866~1944)가 있었고 로베르 들로네(Robert Delaunay 1885~1941)가 맹활동
중이지 않았던가. 그들은 아폴리네르의 도움 없이도 얼마든지 미래파적인
행위에 역동적일 수 있었다.
  “대상을 지워 없애고 오브제가 없는 상태에서, 선과 색과 면만으로도 얼

마든지 캔버스 위의 예술(미술의 독립국가)은 가능하다”(칸딘스키)라며 아
주 멀리까지 진출해 있던 천재들이었으니.
  그러나 어쨌든 당대의 현장시인이자 미술평론가로 이름을 날리기 시작
한 아폴리네르가, 입체파(Cubisme)라는 간판과 초현실주의(Sur-réalisme)를
작명한 공로자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는 이태리의 미래주의자 마리네트
를 도와 미래파선언문을 작성(1913년)한 장본인으로서 당시에, 엉터리 화
가로 조롱 대상에 불과했던 입체파들을 적극 옹호했으며 <입체파화가들
>Les Peintres Cubistes(1913)이라는 최초의 평론집을 내놓는 등 아방가르드
의 후견인으로서 전초병 역할을 톡톡히 수행했으니까. 그런데 나는 왜 아
폴리네르 없이도 피카소가 가능했을까, 라고 묻는가. 결론부터 말한다면,
두 사람의 관계는 단지 몽마르트르의 거주자라는 동질성을 넘어, 깊은 통
찰과 차원 높은 교감의 세계에서 서로 잘 통하는 관계 그 이상이었기 때문
이다. 그들은 각기 당대 최고의 예술가로서 서로의 위상을 동반 상승시키
는데 서로가 결정적인 도움이 되었다는 점을 말하고 싶다. 아폴리네르는
풋내기 화가 피카소를 천재 화가로 부추기는 평론을 써서 피카소를 세상
에 알린 최초의 미술평론가가 된 셈이고 이것은 1905년의 일이다. 이를 계
기로 두 사람은 급격히 친해졌고 피카소 또한 아폴리네르에게 각별했음을
입명하는 일례로 피카소는 아폴리네르의 일생에 결코 잊을 수 없는 연인,
화가이자 시인으로도 잘 알려진 마리 로랑생을 소개한다. 또한 만년에 아
폴리네르가 아내로 맞은 자크린 콜브와의 결혼을 주선한 사람 역시 피카
소였다. 그들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 고수들로서 예술의 진로를 한 차원 위
에서 내려다보는 통찰력을 지녔던 것이다. 우리는 왜 인접예술과의 소통

과 교류(우리 한국문단에는 인접예술과의 대화 채널이 사실상 거의 없다)
에 이처럼 소홀한가. 나는 이점을 곁들여 그들을 부러운 눈으로 바라보며
강조하고 싶다.

 

 


    아폴리네르는, 말라르메처럼 그 우연을 없애버리고자 하기는커녕 오히려 그 우
  연성에 대하여 감탄을 금치 못한다. 그는 사고와 언어 사이에 존재하는 신비로운
  친화력을 들어낼 필요가 있고 비록 인위적인 수단을 써서라도 그것들 상호간의
  교류를 장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요컨대 시학이란 본질적으로 자의성(恣意
  性)이며, 예견할 수 없는 것이며, 그 어떤 추론을 통해서도 생겨나게 만들 수 없는
  자유 연상이며, 우연한 발견이며, 도취한 새가 부리로 물어다주는 순결하고도 아
  름다운 이미지이므로 그(아폴리네르)는 우연을 실험해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미학자로서 보들레르는, 스스로 결정한 것을 정확하게 완성해낼 수 있는 시인
  을 찬양했었다. 그러나 시인은 결국 선택과 결정을 포기하게 되고 말 것이다.
    아마도 시인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그의 시행들은 무엇인가를 의미하게 되고
  말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발레리가 구상하는 것과는 아주 다른 어떤 새로운 시적
  순수라고 하겠다.
    — 마르셀 레이몽



 

기욤 아폴리네르,

그는 20세기 시의 혁명가이자

늘 새로운 것을 꿈꾸는 자였다.

*​

20세기에는 두 번의 큰 전쟁이 있었다.

한번은 1차대전이고

다른 한번은 2차대전이다.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난 후

프랑스에스는 합리주의에 대한 회의론이 있었다.

합리적이라는 인간이

정말 별것도 아닌 사건을 가지고

그 수많은 인간을 죽이는 전쟁을 한다는 것은

<합리>라는 것이

인간 세상을 제대로 작동하도록 하는

도구가 아님이 명백해졌다.

​그리고 그것만으로

인간을 설명한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도 알았다.

인간은

합리적인 것처럼 행동하지만

그 이면에는 다른 것이 작용하고 있다.

그 이면에 작동하고 있는 것,

그것이 무엇일까?

20세기 초

제1차 세계대전 이후에

사람들이 주목한 것은

<무의식>이다.

프로이트가 주장한 이 <무의식>을 알아야

합리적인 척 하는 인간의 이면을 볼 수 있다.

그래서 나타난 문예운동이 바로

다다이즘이다.

그리고 다다이즘을 다시 변형시켜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여

나타난 것이 초현실주의이다.

다다이즘은 합리적인 사고하에서 이루어진

모든 것을

무엇이든 모두 파괴하려하였지만

초현실주의는

그러한 파괴를 한 후

새로운 무엇인가를 창조하려고 하였다.

다다이즘의 이론은

트리스탕 짜라가 주장하였고

초현실주의의 이론은

앙드레 브르통이 만들어 낸다.

그리고 수많은 예술가들이

그 대열에 동참한다.

그런데 초현실주의라는 것이

프랑스 말로는

인데

라는 접두어는

<위>나 <초월> 등을 의미한다.

하지만 그들은

자동기술(ecriture autimatique)를 추구하면서​

무의식의 탐구에 매달리면서

먼저 가 아니라 에 몰두한다.

즉 그들은

당시까지 간과하고 있던

인간의 내면 깊숙한 곳의

그 무엇을 찾아보려고 애쓴다. ​

하지만 그들은

내면의 탐구에만 매달리지 않는다.

그들은

이성적이지 않은 인간들이

이성적인 척 하며

이성과 양식을 근거로 하는 자본주의 세계를​ 타파하기 위하여

즉 합리적인 척 하는 현실을 타파하기 위하여

공산주의 운동에도 적극 가담한다.​

초현실주의는 한편으로는 내면의 무의식을 탐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합리적인 척하는

현실을 타파하기 위하여 혁명를 꿈꾼다.  ​

어쨌든​

이 <초현실주의>라는 말을 만든 사람이 바로

기욤 아폴리네르라는 설도 있다.

아폴리네르는

피카소와 센느 강을 걸으면서

큐비즘을 추구하도록 영감을 주기도 했다.

*​

​기욤 아폴리네르가 추구한 것은

에스프리 누보(Esprit nouveau)이다.

그는 이 에스프리 누보

즉 새로운 정신에 대하여​

훌륭한 글을 쓰기도 하였다.

에스프리 누보라는 용어는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가 먼저 사용했다.

그는 새로운 정신을 내세우며

철근콘크리트라는 새로운 재료를 도입하고

근대양식의 불필요한 부분을 배제하였다.

아폴리네르 역시

시에 새로운 정신을 불어넣고자 했다.

그는 시를 쓰면서

단어로 그림을 그리기도 했다.



하지만 그의 새로운 정신에

가장 부합하는 시는

시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알고 있는

<미라보 다리>라는 시이다.

**

<미라보 다리>는 왜 유명한 시일까?

그냥 보기에는 쉽게 씌어진 것 같은데...​

저 정도의 시라면 시인이라면

누구나 쓸 수도 있을 것처럼

느껴지지고 하는데... 

그렇게 어렵지도 않고

내용도 단순한데...  ​

도대체 왜?

왜 유명한 것일까?

먼저 시를 한번 읽어보자.

먼저​ 이 시가 좋은 시라는 것을 알려면

프랑스어 원문으로 읽어보아야 한다.

왜?

이 시의 운율과 리듬은

우리 말로 번역을 하는 순간

모두 사라지고 만다.

시라는 것이

번역을 하면

그 맛이 사라지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이 시의 리듬과 운율은

읽으면 읽을수록

그 맛이 새록새록 살아나며

시의 의미를 더욱 증폭시킨다.​

그렇다고 어찌 시를 원문으로만 읽겠는가?

우리 말로 번역을 해 보자.​

이 시의 내용인즉슨​

미라보 다리아래 세느 강이 흐르고

우리의 사랑도 흘러간다는 것이다.

이 정도의 의미라면 별것이 아니다.

이 시의 새로운 정신은 거기에 있지 않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는

우리가 같은 강물에 두번 발을 담글 수 없음을 알려준다.​

즉 그는 세상이 변전하며

과거의 강물은 흘러가고

늘 새로운 강물이 흘러옴을 말한 바 있다.​

기욤 아폴리네르의 이 시가 말하는 바가 바로 이것이다.

그는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져 괴로워 하지만

그 괴로움 후에 다시 기쁨이 옴을 안다.

괴로움 후에 기쁨,

괴로움은 과거의 사랑이고

기쁨은 새로운 사랑을 의미한다.

강물이 흘러가듯이

옛 사랑은 흘러가며

새로운 강물이 도래하듯이

새로운 사랑이 곧 찾아온다.

아포리네르는 이 시에서 주장하고 있다​

19세기까지의 사랑이

하나의 사랑

옛 사랑에 집착하는 것이라면

​20세기의 사랑은

옛 사랑에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이별 후 괴롭기는 하지만

새로운 사랑을 맞을 기쁨도 있으니

어느 노래 가사처럼

"맨날 술이야~~ ♪♬"​

하고 괴로워 할 것이 아니라​

이제 새로운 사랑의 도래를

기뻐하라는 것이다.​

과거의 생각이 아니라

새로운 생각을 하라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에스프리 누보이다.

​기욤 아폴리네르의 시

<미라보 다리>는

과거의 사랑은 곧 흘러가고

새로운 사랑이 도래하나니...​

과거의 사랑에 집착하기보다는

새로운 사랑의 도래를 기뻐하라는 것이다.

그래서 이 시에서는

"밤이여 오라 종이여 울려라

세월은 흐르고 나는 남는다"고

반복적으로 말하는 것이다.

그렇다.

강물이 흐르긋​

시간은 흐르고

우리의 사랑도 흐른다.

과거의 사랑은 흘러가고

새로운 사랑이 도래한다.​

​기욤 아폴리네르,

그는 지금 페르-라-셰즈에 잠들어 있다.

그는 이 곳에서도

누보 에스프리를 꿈꾸고 있을 것이다.





***

이 시에서 배우는 시창작 방법은

기존의 사고를 뒤집어라는 것이다.

시는 늘 새로운 것을 추구한다.

한번 사용된 이미지는 이미 낡은 것이듯이

관습이 되거나 습관이 된 사고,

긴 세월 동안 굳어진 사고,

그것을 깨는 것이 바로 시창작의 출발점이다.

시를 쓰고자

밤을 새우는 그대여,

시는 늘 새로운 것을 추구한다는 이 말을​

꼬옥 기억하시라! ​

line_characters_in_love-4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464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84 詩숲속에서의 名詩 - 웃은 죄 2016-01-17 0 3234
383 아시아인 최초 노벨문학상 - 인도 시성, 국부 = 타고르 2016-01-03 0 2636
382 명사 시인과 명시 꽃 2016-01-02 0 3435
381 난해시의 현재까지 끝판왕 - 李箱 詩 2016-01-01 0 3142
380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김기택 - 바퀴벌레는 진화 중 2015-12-27 0 6198
379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신동집 - 오렌지 2015-12-27 0 4511
378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문정희 - 겨울 일기 2015-12-26 0 6752
377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최두석 - 성에꽃 2015-12-26 0 4120
376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안도현 - 우리가 눈발이라면 2015-12-26 0 5121
375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나희덕 - 못 위의 잠 2015-12-25 0 7851
374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기형도 - 빈집 2015-12-25 0 4051
373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도종환 - 옥수수밭 옆에 당신을 묻고 2015-12-25 0 3573
372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오세영 - 그릇 1 2015-12-25 1 3994
371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최승호 - 북어 2015-12-25 0 5045
370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고정희 - 상한 영혼을 위하여 2015-12-25 0 4680
369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김용택 - 섬진강 1 2015-12-24 0 4101
368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곽재구 - 새벽 편지 2015-12-24 0 3743
367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황지우 -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2015-12-24 0 4781
366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김지하 - 타는 목마름으로 2015-12-24 0 5435
365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鄭浩承 - 슬픔이 기쁨에게 // 鄭昊昇 - 모밀꽃 2015-12-24 0 5705
364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이해인 - 살아 있는 날은 2015-12-24 0 3629
363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김광규 -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2015-12-23 0 5303
362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황동규 - 즐거운 편지 2015-12-23 0 4837
361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정희성 - 저문 강에 삽을 씻고 2015-12-23 0 4493
360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송수권 - 산문에 기대어 2015-12-22 0 6957
359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이성부 - 벼 2015-12-22 0 5063
358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신경림 - 농무 2015-12-22 0 6186
357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박용래 - 저녁눈 2015-12-22 0 4232
356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천상병 - 귀천 2015-12-21 0 6017
355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강은교 - 우리가 물이 되어 2015-12-21 0 3745
354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김종길 - 성탄제 2015-12-20 0 3204
353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허영자 - 자수 2015-12-20 0 4208
352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정한모 - 나비의 려행 2015-12-20 0 3262
351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이형기 - 폭포 2015-12-19 0 4133
350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김광섭 - 성북동 비둘기 2015-12-19 0 4403
349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신동엽 - 껍데기는 가라 2015-12-19 0 3179
348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고은 - 머슴 대길이 2015-12-18 0 3524
347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박재삼 - 흥부 부부상 2015-12-18 0 5684
346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신석초 - 바라춤 2015-12-18 0 4212
345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김남조 - 정념(情念)의 기(旗) 2015-12-18 0 3987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