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동시는 최상의 이미지로 어린이들에게 각인시켜주는것이다...
2016년 12월 08일 21시 17분  조회:2833  추천:0  작성자: 죽림

[ 2016년 12월 08일 09시 29분 ]

 

 

감숙(甘肃)성 어느 한 농가에서...



감상에 대하여 

작품을 감상할 때, 부질없는 선입관념에 사로잡혀서는 아니 된다. 더구나 그것에 무슨 뜻을 
캐려 하거나, 작품을 해석하려고 들면, 시가 지니는, 가장 소중한 생명을 손상하게 된다. 
다만 그것을 솔직하게 받아들이게 하라. 작품에서 빚어 놓은 이미지를 그대로 받아들여서, 
읽는 자의 내면에 그것을 선명하게 그려낼 수 있을 때, 비로소 그 작품(시)의 완전한 이해가 
가능한 것이다. 

비비새가 혼자서 
앉아 있었다. 
마을에서도 
숲에서도 
멀리 떨어진, 
논 벌로 지나간 
전선줄 위에, 

혼자서 동그마니 
앉아 있었다. 
한참을 걸어오다 
되돌아 봐도, 
그 때까지 혼자서 
앉아 있었다. 
< 돌아오는 길·박두진> 

이것은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에 나오는 박두진 씨의 작품이다. 이 작품을 감상하는 가장 옳 
은 방법은 <전선줄에 오뚝하게 앉아 있는 비비새>의 모양을 독자가 머릿속에서 그려내는 
일이다. 그리고, 비비새를 뒤돌아보며 길을 가는 소년의 모습을 머릿속에 떠올리는 일이다. 
시에서 감동을 받게 되는 것은 이 이미지에서 받게 되는 감동이다. 
요는 시작품뿐만 아니라, 문학이라는 것이 작자가 인생 체험 속에서 발견된 그들의 절실하 
고 진실한 것을 이미지를 통하여, 형상화시켜 놓은 세계이다. 물론 말이 매개체가 되는 것은 
두 말할 나위도 없는 일이지만, 이와 같이 그들의 진실을 이미지로서 형상화한다는 것이 그 
작자의 상상력이며 또한 문학작품이 창조물인 이유도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작품을 올바르게 감상시키려면 작품 속에 빚어 놓는 이미지를 어린 그들의 머 
릿속에 보다 선명하게 떠올리게 하는 일이다. 
박두진 씨의 <비비새>가 어떤 내용을 가진 것인가. 그것은 감상을 지도하는 자가 미리 설 
명할 것이 못 된다. 오히려 설명하려고 노력하면 할수록 이 작품의 참된 아름다움이나 가치 
가 사라져 버리게 된다. 
만일 어린 그들의 머릿속에 <전선줄에 오뚝이 앉은 비비새>의 영상이 선명하게 떠오르면 
그들은 
―참 쓸쓸하다. 
―외롭다. 
―외롭고 쓸쓸하고도 서럽다. 
라는 감탄이 쏟아져 나올 수 있다. 
작품을 감상한다는 행위는, 직접 경험의 세계다. 말하자면 직관적 행위라 할 수 있다. 

잘 자는 우리 아기 
꼭 감은 눈에 
엄마가 사알짝 
입맞춰 주고. 

잘 자는 우리 아기 
꼭 감은 눈에 
달빛이 살며시 
입맞춰 주고. 

잘 자는 우리 아기 
꼭 감은 눈에 
포도넝쿨 그늘이 
입맞춰 주고. 

필자가 어릴 때 쓴 작품이다. 이 작품을 감상할 때에는 달빛이 새어드는 밤에 두 눈을 꼭 
감고 잠드는 아기 ―그 아기의 평화스러운 얼굴에 포도넝쿨 그늘이 아른거리고, 어머니가 
조심스럽게 아기의 볼에 입을 맞추는 <하나의 장면>이 꿈에서처럼, 독자의 머릿속에 떠오 
를 때 비로소 넉넉한 이해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공감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 동시 감상의 구체적인 방법 > 

교실 안에서 작품(동시)을 감상하는 가장 좋은, 구체적인 방법은 무엇일까? 시를 감상하는 
가장 적절한 방법이라는 것이 일정해 있을 리가 만무하다. 다만 교실의 분위기를 보아서 지 
도자가 그 방법을 택할 도리밖에 없다. 혹은 시의 성질에 따라 그 방법도 달라질 수 있다. 
위에서 동시를 감상하는 최상의 길은 이미지를 어린 그들의 머릿속에 떠올리게 하는 일이라 
했다. 그러므로 작품에서 빚어놓은 이미지를 쉽사리 떠올리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며, 그것은 얼마든지 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만일, 낭송하여 더욱 효과적인 작품이라면, 낭송을 시킬 것이며, 묵독하여 효과적인 작품은 
묵독하게 할 것이다. 묵독을 시킬 때, <눈으로만 읽게 하는 것>은 졸렬한 방법이다. <말의 
울림>이 죽어 버리기 때문이다. 말에서 울림이 죽어지면, 그것은 감정이 죽은 말이다. 비록 
소리를 내지 않는다더라도, 입안에서 읽게 되면, 그 울림이 <소리없이 살아난다.> 이것은 
시를 읽을 때, 참으로 중요한 일이다. 이것이 언어의 뉘앙스를 베풀고, 감정을 움직이게 한 
다. 
또, 정확하게 읽힐 것도 유의해야 할 것이다. 시에서 한 줄 한 줄은 호흡을 조절하고, 쉼표 
는 감정의 굴절을 표시한다. 
아아, 
우리집을 
그려보자. 
라는 시귀가 있다면, <아아> 다음에 잠시 쉬게하고, <우리집을 그려보자> 라고 읽혀야 할 
것이다. 그것은 <아아 우리집을 그려보자>처럼 한줄로 줄줄 흘려 버리는 감정이 아니기 때 
문이다. 
또 되도록, 나직하게 읽혀야 한다. 목청을 돋구어 버리면, 작품 속에 담겨 있는 이미지를 머 
릿속에 그릴 겨를이 없다. 

―읽히는 문제에만 치우친 것 같다. 그러나, 마음속에 스미도록 읽히는 방법이 시를 올바르 
게 감상시키는 최상의 길이며, 그 이외 다른 방법은 좀처럼 생각나지 않는다. 정, 작품이 복 
잡한 것이라면 지도자가 그 시의 이미지를 미리 설명해 주는 것도 무방할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해서 설명이 지나쳐 버리면, 그 작품에서 빚어 놓은 것과는 엉뚱한 것이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

 

 

시월에 ― 문태준(1970∼ )
 
오이는 아주 늙고 토란잎은 매우 시들었다

산밑에는 노란 감국화가 한무더기 헤죽, 헤죽 웃는다
웃음이 가시는 입가에 잔주름이 자글자글하다
꽃빛이 사그라들고 있다

들길을 걸어가며 한 팔이 뺨을 어루만지는 사이에도
다른 팔이 계속 위아래로 흔들리며 따라 왔다는 걸
문득 알았다

집에 와 물에 찬밥을 둘둘 말아 오물오물거리는데
눈구멍에서 눈물이 돌고 돈다

시월은 헐린 제비집 자리 같다
아, 오늘은 시월처럼 집에 아무도 없다.

 

 

 
 10월이 되면 이 시가 꼭 첫머리로 떠오른다. 10월과 문태준 시인의 조합은 지극히 옳은 만남이라고 생각된다. 시인은 비어 있음이 무엇인지 알려주기 때문이다. 비어 있으면 그 안에 아무것도 없는 줄 알았다. 그런데 시인은 텅 비어 있는 것이 아무것도 아닌 것이 아니라고 알려준다. 말이 좀 어렵지만 진짜 그렇다. 비어 있음 안에는 비어 있음의 쓸쓸함과 풍경과 느낌들이 들어 있다. 그의 시를 읽으면 그런 비어 있음과 채워져 있음을 느낄 수 있어서 참 좋다. 좋은 만큼 지극히 쓸쓸한 것은 그의 시를 읽을 때 함께 담아야 하는 덤이다. 

 10월은 텅 비어가는 시절의 첫머리에 해당한다. 우리는 덜어내고, 비워내고, 털어내야 할 때가 오고 있음을 본다. 그러기에 풍성함은 더욱 감사하고, 사그라드는 것은 더욱 애잔하다. 그것을 이 시인은 어쩜 이렇게 딱 그려냈을까. 시인은 시든 오이나 꽃빛처럼, 10월의 운명에 처한 상실의 대상들을 잘 포착하고 있다. 

 뭔가 다 사라지고 있구나, 이런 상실을 너무나 잘 깨닫는 이유는 이미 상실을 너무나 잘 경험했기 때문이다. 시인은 집에 와서 혼자서 찬밥을 물에 말아 먹었다고 썼다. 반찬 없는 것도 속상한데 온기도, 식구도, 사랑도 없다. 아무리 ‘혼밥’ ‘혼술’이 대세라지만 시월은 원래가 쓸쓸한 계절이기 때문에 이 시기의 혼자는 더 쓸쓸하다. 반대로 생각하자면 아마도 10월은 역시 사람의 온기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시기가 아닐까 싶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30 윤동주가 가장자리에서 정중앙자리에 서다... 2018-07-08 0 2394
112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쉽게 씌여진 시 2018-07-08 0 5519
1128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관부련락선" 2018-07-08 0 3931
1127 인생이란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정말 아니다... 2018-07-07 0 2302
1126 호박아 호박아 너는 뚱뚱보 엄마다... 2018-07-07 0 2612
1125 윤동주와 영화 "동주"에 등장하는 윤동주 시 15편 2018-07-06 0 2556
112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흰 그림자 2018-07-06 0 3347
112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참회록 2018-07-06 0 5785
1122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시 "간"과 "토끼전" 2018-07-05 0 3583
1121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시 "간"과 "코카사쓰", "프로메테우스" 2018-07-05 0 4106
112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간(肝) 2018-07-05 0 4170
111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별 헤는 밤 2018-07-05 0 4021
1118 윤동주와 우물틀 2018-07-04 0 2740
1117 해바라기 이야기는 고소하고 길다... 2018-07-04 0 2481
111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또 다른 고향 2018-07-04 0 6668
1115 윤동주와 하숙집 터 2018-07-03 0 4610
111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지구는 하나!!! 2018-07-03 0 2337
1113 윤동주를 알린 일본 시인 - 이바라기 노리코 2018-07-02 0 2832
111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돌아와 보는 밤 2018-07-02 0 2909
1111 [동네방네] - "詩碑문제"와 "是非문제" 2018-07-02 0 2398
1110 윤동주와 "백석시집" - "사슴" 2018-07-02 0 2458
110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십자가 2018-07-02 0 5638
1108 "詩여 침을 뱉고 또 뱉어라"... 2018-07-01 0 3975
110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애 2018-07-01 0 4502
1106 이래저래 해도 뭐니뭐니 해도 그래도 학교 갈때가 제일이야... 2018-06-30 0 2156
110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소낙비 2018-06-30 0 3997
1104 윤동주와 그의 룡정자택 2018-06-29 0 3694
1103 윤동주의 친구 장준하, 문익환 2018-06-29 0 2372
1102 윤동주의 친구 정병욱 2018-06-29 0 3985
1101 윤동주의 친구 강처중 2018-06-29 0 2850
1100 "빨랫줄을 보면 또 어머니 생각이 납니다"... 2018-06-29 0 2201
109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한난계 2018-06-29 0 3903
1098 "밥상에서 시가 나와요"... 2018-06-28 0 2343
1097 시속에서 우주의 목소리가 펼쳐진다... 2018-06-25 0 2417
1096 시속에서 무한한 세상이 펼쳐진다... 2018-06-25 0 2386
1095 시속에서 사랑의 노래가 펼쳐진다... 2018-06-25 0 2390
109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풍경 2018-06-16 0 4495
109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림 2018-06-16 0 3055
109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상 2018-06-16 0 3238
109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황혼 2018-06-14 0 3189
‹처음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