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현대시는 외형률보다 내재률을 통해 음악성을 강조해야...
2017년 01월 21일 18시 20분  조회:3193  추천:0  작성자: 죽림

 

 

 

‘국제 전문 결혼식사진 협회’ (ISPWP)에서
2016년 한해동안 가장 아름다웠던 결혼식사진 공개, 그중 한컷...


 

시창작 강의-7(시의 운율)  
김송배   

ㅁ 시를 사랑하는 모든 분들, 성탄절은 잘 보내셨는지요. 이제 2002년도 서서히 저물어 가고 있습니다.  잡다한 일상사를 정리하고 내년에는 반드시 무엇인가 성취하시기 바랍니다. 좋은 시도 많이 쓰시고 이곳 ‘시창작교실’도 많이 사랑해 주세요. 그럼 전번에 이어서 운율에 대해서 좀더 알아 봅시다.

③ 음수율(syllabig system)
  이 음수율은 각 시행의 음절수(音節數)를 일정하게 맞추는 운율입니다. 영시(英詩)에서는 음보(音步-metre)가 있고 한시(漢詩)에서는 다섯 글자로 맞추는 오언(五言)과 일곱 글자로 맞추는 칠언(七言)이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정형시인 시조나 가사, 기타의 신문학 초기의 시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3 . 4조나 4 . 4조, 또는 7 . 5조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 조선조 중기의 문인이었던 양사언의 시조에서 이를 알 수 있습니다.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아래 뫼이로다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리 없건마는
  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만 높다 하더라

이렇게 시조처럼 일정한 글자수를 맞추는 형식인데 지금 현대시에서는 별로 중요시 하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김소월의 [먼 후일]이라는 작품에서도 이와 같은 글자수의 배열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먼 훗날 당신이 찾으시면
  그 때에 내 말이 “잊었노라”

  당신이 속으로 나무라시면
  “무척 그리다가 잊었노라”

  그래도 당신이 나무라시면
  “믿기지 않아서 잊었노라”

  어제도 오늘도 아니 잊고
  먼 훗날 그 때에 “잊었노라”

  그리고 한시에서는 전형적으로 이러한 오언이나 칠언절구를 갖추고 있습니다. 참고로 만해 한용운의 [차영호화상(次映湖和尙)]이란 작품을 봅시다. 내용은 “시와 술로 시름하는 나입니다만 / 당신도 문장으로 늙으시네요 / 눈보라와 더불어 부쳐온 글월 / 속절없이 설레이네 오가는 두 정”이지만 우리는 오언절구라는 운율에 유념하여야 하겠습니다.

  詩酒人多病 文章客亦老(시주인다병 문장역객로)
  風雪來書字 兩情亂不少(풍설래서자 양정난불소)

  역시 칠언절구도 마찬가지 입니다. 김삿갓의 시 [무제(無題)]를 보면

  四脚松盤粥一器 天光雲影共徘徊(사각송반죽일기 천광운영공배회)
  主人莫道無顔色 吾愛靑山倒水來(주인막도무안색 오애청산도수래)

라고 하여 일곱 글자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시의 내용은 김삿갓이 방랑을 하다가 어느 집에서 쉬어가게 되는데 주인이 너무 가난하여 죽 한 그릇으로 대접을 하면서 어쩔줄 몰라는 모습을 보고 지었다고 합니다. “네 다리 소반에 놓인 죽 한 그릇 속에 하늘빛과 구름의 그림자가 함께 떠 있구나. 주인은 도리가 아니라고 쩔쩔 매지 마시오. 나 본래 청산과 물이 비치는 것을 무척 사랑한다오” 쯤으로 알면 되지 않을까 싶네요.

3-1-2. 내재율(內在律)
  지금까지 외형율, 그러니까 외적으로 나타나는 운율을 살폈지만 지금부터는 안으로 내재되어 확인되는 않지만 현대시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내재율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내재율은 한 마디로 시의 호흡이나 템포(tempo-속도, 박자)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정형시에서의 외형율처럼 일정한 형태를 지니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무엇인가 있기는 있으나 분명히 지적할 수 없는 속으로만 생명처럼 존재하는 시인의 호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의 저변을 흐르는 언어의 억양과 색조가 빚어내는 어떤 리듬입니다. 바로 현대시에서 언어가 갖는 속성이나 기능을 종합한 무형의 리듬이 형성된 것입니다.
  이 내재율은 일정한 규칙이 없기 때문에 시를 쓰거나 읽으면서 스스로 체득하는 길 밖에 없습니다. 가령 윤동주의 [서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 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처럼 시의 외형상의 리듬은 보이지 않지만 속살로 흐르는 시인 특유의 맥박과 호흡니 살아 있습니다. 이것이 현대시에서 필요로 하는 내재율입니다. 다시 산문시의 형태를 갖춘 나의 졸시 [사랑법 . 9-시인의 사랑]이란 작품을 읽어 봅시다.

  멀리 있거나 가까이 있거나 솔바람곁에 뿌리는 라일락 향기로 그대는 
  내게 다가 왔다. 어느 후미진 언덕배기에서 안개 속 잡풀의 흔들림을 
  보거나 마알간 냇물이 흰구름을 안고 치억들을 어루만지거나 아니 서
  해 바닷가 갈매기 울음을 듣거나 그대 눈빛은 항상 내 가슴 깊이 안
  기어 촉촉하다. 더러는 연한 불꽃으로 타오르는 무지개였다가 별안간 
  이슬 한 모금 삼킨 주홍빛 꽃잎이었다가 스스로 앵두 입술 지그시 깨
  물고 사유의 골짜기를 오르내리는 순한 바람이었다가 아아 그대여, 이
  제 진실로 그대에게 들려줄 수 있는 한 마디 ‘사랑해’ 그 화음이 해뜰
  녘이거나 저물녘이거나 늘 함께 푸른 강물로 젖어 있다. 멀고 가까움
  이 이제 지워진 그 시인의 사랑 그리고 사랑법.

  이런 작품을 언뜻 보면 산문처럼 생각되지만 산문시의 형태로 표현되어서 명심해서 읽어보면 시의 맥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대시는 외형율보다 내재율을 중시한는 점을 다시 강조합니다. 비록 자유시(현대시)라 할지라도 김소월과 김영랑 등 자연파 시인들은 음악성을 강조하는 작품을 많이 남기고 있는 점도 어찌보면 시는 음악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시와 그림(繪畫-이미지)과의 관계를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히...


================================================================

 

 

 

우편 4 
―장이지(1976∼ )

내 간지러운 사춘기의 후미진 길목에는
지천으로 번진 채송화의 요염한 붉은빛 따라
남몰래 같은 학교 남학생을 쫓아다니던
축축한 꿈도 있지요만

그 기분 나쁜 미행의 꼬리를
나무라지 않은 안경잡이의 그 넉넉한 마음과도
아쉽게 갈라서버리고
실은 안경잡이의 쌍둥이 누나를 혼자 좋아했는데

안경잡이의 누나는 매정했고
나는 유서를 쓰고 죽는다든지
안경잡이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파국의 장면 같은 것을 부질없이 준비했으나

시간은 늙어서 자연이 되고
쌍둥이 남매를 뒤쫓던 학교 앞 공지
공지 담장 위로 오르내리던 남매의 머리끝 같은 것의
리듬이 자아내는 파국 없는 애상을 종종 불러내어

 

 

내 현실의 때 묻은 창을 좀 투명하게 하고
가문 하늘에 비구름도 좀 보태어주고 해오던 것인데
그 자연사의 폐허에 서 있지 않고는
삶에 대해, 옅어진 삶에 대해 부를 수 있는 노래가
없으리라고.

오늘은 내 자신 수취인 없는 개인적 기록으로
빛의 먼지를 뒤집어쓰고 세속도시를 지우고.



 

 

애티가 사라지고 그 곱던 얼굴에 여드름이 돋아난다. 몸처럼 마음도 한창 자라느라 활화산처럼 불안하다. 어떻게든 튀려 하거나 극심한 권태에 가라앉는다. 숙제를 발표할 때도 급우들을 웃기지 못하면 실패라 여기고, 한편 비극적 ‘파국의 장면’ 주인공을 꿈꾼다. 미처 경험 못한 사랑의 욕구가 끓어 넘치니 동성에게도 끌리고 이성에게도 끌리는데, 그 사랑은 대개 짝사랑으로 끝난다. 사랑에 대한 욕구가 아주 강한 시기가 용모가 썩 아름답지 못한 시기와 겹치는 게 사춘기의 비애라지. 미숙하고 어색하고 불안정한 사춘기.

독자는 화자가 불러내는 사춘기의 ‘파국 없는 애상’에 함께 젖는다. 장이지 시인에게 있어 사춘기를 비롯한 어린 시절로 돌아가 보는 시간은 ‘현실의 때 묻은 창을 좀 투명하게’ 하는 시간이다. 나이가 들어 매사 무덤덤한 것이 화자는 슬픈 것이다. ‘현실의 때’는 외부에 대해 보호기능을 하지만, 단절도 시킨다. 시인의 사춘기는 지난 세기의 80년대 말과 90년대 초였을 테다. 컴퓨터가 친구인 지금 청소년이 어른이 되면 어떤 추억으로 ‘현실의 때’를 벗을까. 끝내 ‘삶에 대해, 옅어진 삶에 대해 부를 수 있는 노래가 없으리라’. 사춘기에도 삶이 옅었기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0 시의 초보자들이 개척해야 할 부분은 시를 극적으로 쓰는것... 2016-12-20 0 2746
49 시는 "부서진, 흩어진, 주인이 없는, 부르다가 죽은" 령혼찾기. 2016-12-19 0 2630
48 [시문학소사전] - 자동기술법과 의식의 흐름기법 2016-12-18 0 5970
47 [시문학소사전] - 자동기술법이란? 2016-12-18 0 4812
46 시의 기원은 노래... 2016-12-18 0 3818
45 시 = "최초의 궁리" + "가장 오래한 궁리" 2016-12-18 0 3586
44 [시문학소사전] - 중국 현대시 류파에 관하여 2016-12-16 0 2633
43 문학을 일상생활속에서 이어가는 삶은 아름답다... 2016-12-15 0 2312
42 시가 세상을 외면...??? 세상이 시를 외면...??? 2016-12-15 0 2862
41 문학은 싸구려 련애질의 방패가 옳다?... 아니다!... 2016-12-15 0 3972
40 소네트와 세익스피어 2016-12-14 0 3163
39 [시문학소사전] - 소네트란? 2016-12-14 0 4085
38 [시문학소사전] - 랑만주의란?... 2016-12-14 0 3762
37 영국 랑만주의 시인 - 퍼시 비시 셸리 2016-12-14 0 6214
36 신문기자 총편 출신 박문희선생 詩배우고 발표까지 하다... 2016-12-14 0 2382
35 글쓰기는 고역의 고역을 치루어야 좋은 작품이 탄생된다... 2016-12-13 0 2468
34 시는 "깨달음"의 "사고묶음"이여야... 2016-12-13 0 2529
33 이 책은 책이 아니다와 이 책은 보물창고다와의 시적미학 2016-12-12 0 2410
32 <농부> 시모음 2016-12-12 0 2596
31 시작은 시작으로서의 "남다른 시작의 길"을 모색해야... 2016-12-12 0 2536
30 시는 "나만의 스타일"로 쓰라... 2016-12-12 0 2476
29 시작은 모든 것이 늘 "치밀하고 + 치렬하게" 해야... 2016-12-12 0 2448
28 시작할 때 "화학조미료"같은 관념어 절대 "반입금지 명령"!... 2016-12-12 0 2675
27 시작할 때 스토리는 잇어지고 한가지 이야기만 하라... 2016-12-12 0 2683
26 "엉뚱한 생각" + "살짝 맛 간 시인" +... = 좋은 시 빚기 2016-12-12 0 2718
25 상상 + 더 깊은 상상...+... = 좋은 시 빚기 2016-12-12 0 2428
24 시는 류행가 가사가 옳다?... 아니다!... 2016-12-12 0 2370
23 시를 "감춤"과 "드러냄"의 사이에서 맛갈스레 빚어야... 2016-12-12 0 2214
22 시인은 늘 예민한 촉수로 훌륭한 시를 빚기 위해 정진해야... 2016-12-12 0 2379
21 시쓰기는 "참 나를 찾고자"하는 고행이다... 2016-12-12 0 2314
20 시인도 "완전무장"을 해야 좋은 시를 쓸수 있다... 2016-12-12 0 2414
19 "썩을 놈! 어떻게 요런 시를 다 썼을깜?!..." 2016-12-11 0 2618
18 시작은 "가장 쉬운 말로, 최대한 짧게, 가장 깊은 울림"으로... 2016-12-11 0 2367
17 누가 뭐라고 해도 시는 시인이 쓰는것... 2016-12-11 0 2459
16 참 시인 되자면... 2016-12-11 0 2478
15 시 "승무"를 삭히는데 3년이나 걸리다... 2016-12-11 0 2194
14 <술> 시모음 2016-12-11 0 2322
13 [시문학소사전] - 실존주의란?... 2016-12-11 0 4317
12 詩作 잘하기와 관찰 잘하기... 2016-12-10 0 2770
11 詩人은 관찰력과 상상력이 진부해서는 절대 안된다... 2016-12-09 0 2309
‹처음  이전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