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정지용과 윤동주
2017년 01월 22일 17시 41분  조회:3863  추천:0  작성자: 죽림

 
콜로라도 강이 휘감아 도는 호스슈벤드.
미국 콜로라도 강이 휘감아 도는 호스슈벤드. /헬스조선 DB

 

 
 

정지용과 윤동주의 자취를 찾아서

 

                                          김완하(시인 · 한남대 문예창작학과교수)

 

 

...
...

더욱이 나에게 기대감이 컸던 것은 일본의 동지사대학(同志社大學)에 남아있는 정지용과 윤동주의 발자취를 찾아가는 길이었다. 일제강점기 때에 우리의 문인들은 적국(敵國)인 일본에 가서 유학을 해야 하는 아이러니에 처해 있었다. 호랑이를 잡기 위해서 호랑이굴속으로 들어가는 심정으로, 적을 이기기 위해서 일본으로 향하는 이들의 심정에는 비분강개함이 가득 차 있었으리라. 일본의 동지사대학에 유학한 문인은 앞서 오상순 시인도 있었다. 비단 윤동주만이 죽음으로 돌아오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다. 실제의 작품 속에도 일본 유학체험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는 것은 동주이다. 동주는 고향에서 부모님이 보내준 땀내 나는 돈 봉투를 들고 늙은 일본 교수의 강의를 들으러가는 심정의 고통스러움을 시에 담아놓고 있다.

동지사대학에는 1995년 2월 16일에 세워진 윤동주의 시비가 있었다. 그것은 윤동주 50주기를 기념해 세운 것으로 2월 16일은 바로 윤동주의 기일이다. 그곳에 세워진 시비는 연세대학교 교정에 세워져 있는 시비와 똑 같은 모습으로 두 개의 시비는 서로 마주보고 있다고 전한다. 연세대학은 동주가 다닐 당시는 연희전문으로 동주의 정신은 한국과 일본을 가로 지르면서 시비에 새겨진 「서시」에 영원히 살아 있는 것이다. 바로 그 옆에 10여 미터 간격을 두고 정지용의 시비가 새겨져 있었다. 지용의 시비는 2002년에 세워진 것으로 거기에는 그의 시 「압천(鴨川)」이 새겨져 있었다.

저녁때에는 시내에 나가서 카페 프랑스에 가보았다. 그곳은 정지용이 조국을 그리워하며 즐겨 찾던 곳이고, 바로 지용의 시 「카․페․프란스」에 형상화되어 있다. 또한 이곳은 윤동주도 들러서 시작메모를 남긴 곳이기도 하다. 그곳은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원통형의 천장이 중앙에 솟아 있고, 유럽풍의 음악이 흐르고 있어 일본 속의 유럽처럼 느껴졌다. 커피를 한잔 시켜 마시며 정지용이 느꼈을 향수와 윤동주가 느꼈을 죄의식을 생각해 보았다. 그러고 보면 정지용의 향수는 곧 나라를 잃어버린 한이었던 것이며, 윤동주의 죄의식도 곧 나라를 잃어버린 국민으로서의 죄의식이었던 것이다. 그러기에 문학은 곧 역사가 되는 계기를 여기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밖으로 나와 몇 장의 사진을 찍고 골목을 걸어 나왔다. 그러다가 나는 갑자기 무엇을 잃어버린 듯이 급히 카페 안으로 달려 들어가 보았다. 그때였다. 저쪽 두 개의 구석에 앉아  한쪽은 정지용이 또 한쪽에는 윤동주가 쓸쓸히 고개를 들어 나를 쳐다보고 있었다. 그들의 손에서는 이제 막 한편의 시에 마침표가 찍히고 있었다.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 길거리를 가다가 자주 마주치는 한국인. 그러면서 나는 우리들의 발길이 너무 쉽게, 쉽게 일본을 찾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 덤으로 더 보기=@@

아마 주제별로 유사성이 있는 작품끼리 같이 알아 두는 것이 필요할 것 같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드립니다.

<삶에 대한 소망과 고뇌>
승무(조지훈), 바라춤(신석초), 모란이 피기까지는(김영랑), 깃발, 바위(유치환), 자화상, 추천사(서정주)

<삶에 대한 깨달음과 다짐>
묘지송(박두진), 설일(김남조), 눈길(고은), 무등을 보며(서정주), 과목(박성룡)

<삶에 대한 성찰과 관조>
귀천(천상병), 자화상(서정주), 쉽게 씌어진 시(윤동주)

<역사의 반성>
논개의 애인이 되어 그의 묘에(한용운), 봉황수(조지훈)

<부정 불의에 저항하는 목소리>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대일 땅이 있었더면(김소월), 교목(이육사), 그날이 오면(심훈), 독을 차고(김영랑)

<지성의 추구와 존재의 탐구>
외인촌, 와사등, 추일서정(김광균), 꽃(김춘수), 폭포(이형기), 오렌지(신동집)

<내면세계>
거울(이상), 가을의 기도(김현승), 가을에(정한모), 정념의 기, 겨울바다, 설일(김남조)

<사회 현실의 참여>
절정, 청포도, 교목(이육사), 서시, 참회록(윤동주), 타는 목마름으로(김지하), 폭포, 풀, 눈, 푸른 하늘을(김수영), 껍데기는 가라(신동엽), 농무(신경림), 벼(이성부)

<현실극복의 의지와 소망>
바람이 불어, 또 다른 고향(윤동주),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이상화),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백석), 당신을 보았습니다(한용운), 기(고은), 목계장터(신경림), 깃발(이호우), 들길에 서서(신석정)

<이상 세계에 대한 동경>
방랑의 마음(오상순), 깃발(유치환), 추천사(서정주), 들길에 서서, 그 먼나라를 알으십니까, 아직 촛불을 켤 때가 아닙니다, 꽃덤불(신석정), 돌의 노래(박두진), 바다와 나비(김기림),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김영랑), 마음(김광섭)

<자연에의 향수>
성북동비둘기(김광섭), 새(박남수), 산도화, 청노루(박목월), 남으로 창을 내겠소(김상용), 산유화(김소월), 사슴(노천명), 산(김광림)

<그리움>
오다 가다(김억), 북청 물장수(김동환), 내 마음을 아실 이(김영랑), 자모사(정인보), 별헤는 밤(윤동주), 파초(김동명), 보리 피리(한하운), 석상의 노래(김관식), 산에 언덕에(신동엽), 밀어(서정주), 고향(정지용), 고향(백석), 고향(박용철), 고향 앞에서(오장환), 고향길(신경림)

<어린시절에 대한 그리움>
성탄제(김종길), 추억에서(박재삼), 낙타(이한직)

<임을 향한 그리움과 이별)
가는 길, 진달래 꽃, 초혼, 먼 후일(김소월), 이별가, 하관(박목월), 민들레꽃(조지훈), 춘향유문, 귀촉도, 견우의 노래(서정주), 님의 침묵, 알 수 없어요(한용운), 자연(박재삼), 비(이병기)

<가난>
무등을 보며(서정주), 농무, 가난한 사랑 노래(신경림), 저녁놀(유치환), 낡은 집(이용악), 흥부부부상(박재삼), 저문 강에 삽을 씻고(정희성)

<이별의 정한>
진달래꽃(김소월), 귀촉도(서정주), 오랑캐꽃(이용악), 봄비, 동백꽃(이수복), 완화삼(조지훈), 조국(정완영), 울음이 타는 강(박재삼), 낙화(조지훈), 낙화(이형기)

<죽음>
유리창1(정지용), 눈물(김현승), 은수저(김광균), 여승(백석), 문의 마을에 가서(고은), 달 있는 제사(이용악), 목숨(김남조), 목숨(신동집), 옥수수밭에 당신을 묻고(도종환), 귀천(천상병), 묘지송(박두진)

*** 어떤 작품은 주제가 중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이것은 관점에 따라 이렇게도 혹은 저렇게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723 김립 시모음 2016-10-30 0 5570
1722 대만 현대시 흐름 알아보기 2016-10-30 0 4084
1721 구름도 가고 순경도 가고 남은건 나와 나의 그림자와... 2016-10-30 0 3261
1720 대만 모더니즘 선도자 - 예웨이롄 2016-10-30 0 3482
1719 대만 녀성시인 - 옌아이린(옌艾琳) 2016-10-30 0 3560
1718 대만 시인 - 余光中 2016-10-30 0 3796
1717 나를 오리신고는 침선으로 나를 꿰매셨다... 2016-10-30 0 3296
1716 "동주" - 그는 가깝고 그리운 한 사람이다... 2016-10-29 0 3982
1715 5 + 7 + 5 = 17 2016-10-28 0 4143
1714 깨여나보니 유명해져 있었다... 2016-10-28 0 3903
1713 ...바로 탐욕이다... 2016-10-28 0 3721
1712 새들은 왜 록색별을 떠나야만 하는가... 2016-10-28 0 3671
1711 우리가 언젠가는 "사막의 꽃뱀"이 될지도 모른다... 2016-10-28 0 3811
1710 어느 날 페허 잔해속에서 원자로 화석을 발굴하라... 2016-10-28 0 4045
1709 詩人은 생태학적 상상력으로 저항하라... 2016-10-28 0 3924
1708 詩는 희곡을 "언어예술의 집"으로 건축하는 벽돌이다... 2016-10-28 0 3226
1707 詩와 비평은 쌍두마차이다... 2016-10-28 0 3618
1706 비평가의 詩, 詩人의 비평,- 립장을 바꿔보다... 2016-10-28 0 3328
1705 詩란 "내가 나의 감옥"에서 뛰쳐나가기이다... 2016-10-28 0 4221
1704 詩란 유일무이한 그릇에 유일무이하게 헌것을 새롭게 담는것... 2016-10-28 0 3450
1703 "시를 읽지 않는 사람들"도 사랑하는 시인 -니자르 카바니 2016-10-28 0 3805
1702 아랍의 詩는 손가락에서 흘러나오는 눈물... 2016-10-28 0 4536
1701 詩적 상상력을 중첩, 확대하는것은 실체(체험)를 바탕하기... 2016-10-27 0 3817
1700 현대시의 난해한 벽을 허물어보기 2016-10-26 0 4014
1699 불온한 상상력들이 광란의 춤사위에 나으다 2016-10-26 0 3944
1698 눈뿌리가 아플 정도의 포스터모더니즘의 한계 2016-10-26 0 3827
1697 무엇인지를 리해하는 문제는 언어가 무엇인지를 리해하는 문제와 련관된다... 2016-10-26 0 4610
1696 즐거움의 순간과 죽음의 망령은 삶의 련속이다... 2016-10-25 0 4173
1695 詩적 상상력을 구사하는 방법 2016-10-25 0 3890
1694 詩 같은 수필, 수필 같은 시를 쓰라... 2016-10-25 1 3814
1693 詩란 태음신과 같은 현무(玄武)로서 시첩(詩帖)속에 잘 가두기를... 2016-10-23 0 3915
1692 詩어는 꽃잎에 닿자 나비, 꿀벌이 되다... 2016-10-21 0 3756
1691 詩리론은 하나의 울타리로서 늘 시인을 괴곱게 한다... 2016-10-21 0 4731
1690 詩여, 독침이 되라... 2016-10-21 0 3722
1689 詩의 첫행은 시인과 독자가 만나는 최초의 순간이다... 2016-10-21 0 4021
1688 한국 현대시사 최초의 선시리론자 - 김종한 2016-10-21 0 4044
1687 냄새가 나는 "조감도"(鳥瞰圖)냐, "오감도(烏瞰圖)냐... 2016-10-21 0 4192
1686 다시 떠올리는 정지용 시모음 2016-10-21 0 3569
1685 훌륭한 詩란 뼈를 저미는 고통의 작업에서 빚어진다... 2016-10-21 0 3858
1684 詩作에서 "창조적 변용"아냐, "몰상식적 표절"이냐가 문제면 문제 2016-10-20 0 4866
‹처음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