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정지용과 윤동주
2017년 01월 22일 17시 41분  조회:3857  추천:0  작성자: 죽림

 
콜로라도 강이 휘감아 도는 호스슈벤드.
미국 콜로라도 강이 휘감아 도는 호스슈벤드. /헬스조선 DB

 

 
 

정지용과 윤동주의 자취를 찾아서

 

                                          김완하(시인 · 한남대 문예창작학과교수)

 

 

...
...

더욱이 나에게 기대감이 컸던 것은 일본의 동지사대학(同志社大學)에 남아있는 정지용과 윤동주의 발자취를 찾아가는 길이었다. 일제강점기 때에 우리의 문인들은 적국(敵國)인 일본에 가서 유학을 해야 하는 아이러니에 처해 있었다. 호랑이를 잡기 위해서 호랑이굴속으로 들어가는 심정으로, 적을 이기기 위해서 일본으로 향하는 이들의 심정에는 비분강개함이 가득 차 있었으리라. 일본의 동지사대학에 유학한 문인은 앞서 오상순 시인도 있었다. 비단 윤동주만이 죽음으로 돌아오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다. 실제의 작품 속에도 일본 유학체험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는 것은 동주이다. 동주는 고향에서 부모님이 보내준 땀내 나는 돈 봉투를 들고 늙은 일본 교수의 강의를 들으러가는 심정의 고통스러움을 시에 담아놓고 있다.

동지사대학에는 1995년 2월 16일에 세워진 윤동주의 시비가 있었다. 그것은 윤동주 50주기를 기념해 세운 것으로 2월 16일은 바로 윤동주의 기일이다. 그곳에 세워진 시비는 연세대학교 교정에 세워져 있는 시비와 똑 같은 모습으로 두 개의 시비는 서로 마주보고 있다고 전한다. 연세대학은 동주가 다닐 당시는 연희전문으로 동주의 정신은 한국과 일본을 가로 지르면서 시비에 새겨진 「서시」에 영원히 살아 있는 것이다. 바로 그 옆에 10여 미터 간격을 두고 정지용의 시비가 새겨져 있었다. 지용의 시비는 2002년에 세워진 것으로 거기에는 그의 시 「압천(鴨川)」이 새겨져 있었다.

저녁때에는 시내에 나가서 카페 프랑스에 가보았다. 그곳은 정지용이 조국을 그리워하며 즐겨 찾던 곳이고, 바로 지용의 시 「카․페․프란스」에 형상화되어 있다. 또한 이곳은 윤동주도 들러서 시작메모를 남긴 곳이기도 하다. 그곳은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원통형의 천장이 중앙에 솟아 있고, 유럽풍의 음악이 흐르고 있어 일본 속의 유럽처럼 느껴졌다. 커피를 한잔 시켜 마시며 정지용이 느꼈을 향수와 윤동주가 느꼈을 죄의식을 생각해 보았다. 그러고 보면 정지용의 향수는 곧 나라를 잃어버린 한이었던 것이며, 윤동주의 죄의식도 곧 나라를 잃어버린 국민으로서의 죄의식이었던 것이다. 그러기에 문학은 곧 역사가 되는 계기를 여기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밖으로 나와 몇 장의 사진을 찍고 골목을 걸어 나왔다. 그러다가 나는 갑자기 무엇을 잃어버린 듯이 급히 카페 안으로 달려 들어가 보았다. 그때였다. 저쪽 두 개의 구석에 앉아  한쪽은 정지용이 또 한쪽에는 윤동주가 쓸쓸히 고개를 들어 나를 쳐다보고 있었다. 그들의 손에서는 이제 막 한편의 시에 마침표가 찍히고 있었다.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 길거리를 가다가 자주 마주치는 한국인. 그러면서 나는 우리들의 발길이 너무 쉽게, 쉽게 일본을 찾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 덤으로 더 보기=@@

아마 주제별로 유사성이 있는 작품끼리 같이 알아 두는 것이 필요할 것 같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드립니다.

<삶에 대한 소망과 고뇌>
승무(조지훈), 바라춤(신석초), 모란이 피기까지는(김영랑), 깃발, 바위(유치환), 자화상, 추천사(서정주)

<삶에 대한 깨달음과 다짐>
묘지송(박두진), 설일(김남조), 눈길(고은), 무등을 보며(서정주), 과목(박성룡)

<삶에 대한 성찰과 관조>
귀천(천상병), 자화상(서정주), 쉽게 씌어진 시(윤동주)

<역사의 반성>
논개의 애인이 되어 그의 묘에(한용운), 봉황수(조지훈)

<부정 불의에 저항하는 목소리>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대일 땅이 있었더면(김소월), 교목(이육사), 그날이 오면(심훈), 독을 차고(김영랑)

<지성의 추구와 존재의 탐구>
외인촌, 와사등, 추일서정(김광균), 꽃(김춘수), 폭포(이형기), 오렌지(신동집)

<내면세계>
거울(이상), 가을의 기도(김현승), 가을에(정한모), 정념의 기, 겨울바다, 설일(김남조)

<사회 현실의 참여>
절정, 청포도, 교목(이육사), 서시, 참회록(윤동주), 타는 목마름으로(김지하), 폭포, 풀, 눈, 푸른 하늘을(김수영), 껍데기는 가라(신동엽), 농무(신경림), 벼(이성부)

<현실극복의 의지와 소망>
바람이 불어, 또 다른 고향(윤동주),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이상화),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백석), 당신을 보았습니다(한용운), 기(고은), 목계장터(신경림), 깃발(이호우), 들길에 서서(신석정)

<이상 세계에 대한 동경>
방랑의 마음(오상순), 깃발(유치환), 추천사(서정주), 들길에 서서, 그 먼나라를 알으십니까, 아직 촛불을 켤 때가 아닙니다, 꽃덤불(신석정), 돌의 노래(박두진), 바다와 나비(김기림),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김영랑), 마음(김광섭)

<자연에의 향수>
성북동비둘기(김광섭), 새(박남수), 산도화, 청노루(박목월), 남으로 창을 내겠소(김상용), 산유화(김소월), 사슴(노천명), 산(김광림)

<그리움>
오다 가다(김억), 북청 물장수(김동환), 내 마음을 아실 이(김영랑), 자모사(정인보), 별헤는 밤(윤동주), 파초(김동명), 보리 피리(한하운), 석상의 노래(김관식), 산에 언덕에(신동엽), 밀어(서정주), 고향(정지용), 고향(백석), 고향(박용철), 고향 앞에서(오장환), 고향길(신경림)

<어린시절에 대한 그리움>
성탄제(김종길), 추억에서(박재삼), 낙타(이한직)

<임을 향한 그리움과 이별)
가는 길, 진달래 꽃, 초혼, 먼 후일(김소월), 이별가, 하관(박목월), 민들레꽃(조지훈), 춘향유문, 귀촉도, 견우의 노래(서정주), 님의 침묵, 알 수 없어요(한용운), 자연(박재삼), 비(이병기)

<가난>
무등을 보며(서정주), 농무, 가난한 사랑 노래(신경림), 저녁놀(유치환), 낡은 집(이용악), 흥부부부상(박재삼), 저문 강에 삽을 씻고(정희성)

<이별의 정한>
진달래꽃(김소월), 귀촉도(서정주), 오랑캐꽃(이용악), 봄비, 동백꽃(이수복), 완화삼(조지훈), 조국(정완영), 울음이 타는 강(박재삼), 낙화(조지훈), 낙화(이형기)

<죽음>
유리창1(정지용), 눈물(김현승), 은수저(김광균), 여승(백석), 문의 마을에 가서(고은), 달 있는 제사(이용악), 목숨(김남조), 목숨(신동집), 옥수수밭에 당신을 묻고(도종환), 귀천(천상병), 묘지송(박두진)

*** 어떤 작품은 주제가 중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이것은 관점에 따라 이렇게도 혹은 저렇게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203 중국조선족시인 홍영빈 篇 2024-08-29 0 284
2202 중국조선족시인 리삼월 篇 2024-08-29 0 288
2201 중국조선족시인 김철 篇 2024-08-29 0 216
2200 중국조선족시인 조광명 篇 2024-08-29 0 339
2199 중국조선족시인 김창영 篇 2024-08-29 0 230
2198 중국조선족시인 김견 篇 2024-08-29 0 190
2197 중국조선족 시인 김영건 篇 2024-08-29 0 319
2196 중국조선족시인 심예란 篇 2024-08-29 0 359
2195 중국조선족시인 김일량 篇 2024-08-29 0 319
2194 중국조선족 시인 석화 篇 2024-08-24 0 642
2193 중국조선족 시인 김정호 篇 2024-08-24 0 489
2192 중국조선족 시인 허동식 篇 2024-08-24 0 444
2191 중국조선족 시인 리상각 篇 2024-08-24 0 570
2190 중국조선족 시인 조룡남 篇 2024-08-24 0 479
2189 중국조선족 시인 최룡관 篇 2024-08-24 0 538
2188 중국조선족 시인 방산옥 篇 2024-08-24 0 522
2187 중국조선족 시인 김파 篇 2024-08-24 0 495
2186 중국조선족 시인 강효삼 篇 2024-08-23 0 426
2185 중국조선족 시인 윤청남 篇 2024-08-23 0 437
2184 중국조선족 시인 림운호 篇 2024-08-23 0 405
2183 중국조선족 시인 방태길 篇 2024-08-23 0 430
2182 중국조선족 시인 김경희 篇 2024-08-23 0 424
2181 중국조선족 시인 방순애 篇 2024-08-23 0 444
2180 중국조선족 시인 최화길 篇 2024-08-23 0 434
2179 중국조선족 시인 허옥진 篇 2024-08-23 0 473
2178 중국조선족 시인 류춘옥 篇 2024-08-23 0 490
2177 중국조선족 시인 김선희 篇 2024-08-23 0 479
2176 중국조선족 시인 김성우 篇 2024-08-23 0 479
2175 중국조선족 시인 김영능 篇 2024-08-23 0 510
2174 중국조선족 시인 림금산 篇 2024-08-23 0 577
2173 중국조선족 시인 김춘희 篇 2024-08-23 0 553
2172 중국조선족 시인 리문호 篇 2024-08-23 0 524
2171 중국조선족 시인 최기자 篇 2024-08-23 0 531
2170 중국조선족 시인 김응룡 篇 2024-08-23 0 518
2169 중국조선족 시인 김기덕 篇 2024-08-23 0 466
2168 중국조선족 시인 김창희 篇 2024-08-23 0 460
2167 중국조선족 시인 김영춘 篇 2024-08-23 0 554
2166 중국조선족 시인 한춘 篇 2024-08-23 0 490
2165 중국조선족 시인 김승종 篇 2024-08-23 0 544
2164 중국조선족 시인 박장길 篇 2024-08-23 0 559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