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백지에 채워져야 할 순수 사랑을 위하여...
2017년 01월 31일 18시 00분  조회:2395  추천:0  작성자: 죽림





정유년 !!!!!! 새해

올 한해  모두모두 건강하고
복 많이 받으십시요!!!!!!

 

 

 

 

시창작 강의-12(시를 쓰기 위한 준비 : 영감)  
김송배   


전주에 이어서 영감(靈感)을 말하기 전에 발상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봅시다.

그러면 실제로 '나무'가 시인에 의하여 어떻게 변용되었는지 다음 시를 통해서 알아봐야겠군요.

  나무같이 예쁜 시를
  나는 다시 못 보리

  대지의 단 젖줄에
  주린 입을 꼭 댄 나무

  종일토록 하느님을 보며
  무성한 팔을 들어 비는 나무

  여름이 되면 머리털 속에
  지경새 보금자리를 이는 나무

  가슴에는 눈 쌓이고
  비와 정답게 사는 나무

  시는 나같은 바보가 써도
  나무는 하느님만이 만드시나니.

  미국의 어떤 시인이 쓴 [나무]라는 시의 전문입니다. 1연에서는 '시'. 2연에서는 '대지의 젖줄에 입을 대고 빨고 있는 아이'. 3연에서는 '팔을 들어 기도하는 사람' 등으로 비뀌어져 있습니다. 이것이 이 시에 나타난 '나무'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이 '나무'가 나무라는 현상만 바꾸어 놓은 것이 아니라, 그 변용에 따른 어떤 의미가 제시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할 것입니다. 이 시는 '신의 섭리에 순응하는 삶의 아름다움'이라고 할까. 이런 의미로 요약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시 쓰기에서는 이러한 사물이나 관념에 대해서 상상력을 키우지 않으면 안됩니다. 누구나   훈련하면 키울 수 있는 상상력입니다. 이것이 시적인 발상이며 곧 시상(詩想)입니다. 모든 사물을 외형적으로만 보지말고 ⑤에서 ⑧까지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4-2. 영감(靈感)에 대하여

  시를 쓸 때 시인들은 마치 하늘에서 어떤 게시(揭示)를 받은 것처럼 뜻밖의 감응(感應)을 받은 심리상태를 영감(inspiration)이라고 합니다. 시는 이 영감에 의해서 이루어진다고 말하는데 이 영감은 그리 흔한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언제든지 영감이 있어야만 시를 쓸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영감과 지성의 융화가 있어야하고 시정신과 일치되었을 때 시 쓰기로 연결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 영감에 대해서는 예부터 많은 예술가들이 고백함으로써 여러 가지의 예를 이해할 수 있고 누구나 가끔 겪는 일이기도 합니다.
  영감의 일반적인 특성은

① 아무런 예고 없이 불현듯 나타나며
② 개인의 힘을 초월하여 작용하고
③ 일상적인 체험과는 동떨어진 특수하고 신기한 것으로 느껴집니다.

  시를 쓰는 사람이라면 이와 비슷한 어떤 게시 같은 것을 느낀 경우가 종종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이 영감이 시를 창작하는 내면적인 계기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이 영감의 정체를 곰곰이 생각해 보면 거기에는 이미 시인의 뜨거운 예술정신이 그 모체로서 작용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대단히 중요합니다. 시인은 일종의 정신적 방랑객입니다. 언제나 마음의 고향을 찾아 나서는 바쁜 사람입니다. 그는 무엇보다도 존재하고 있다는 그리움의 빛을 목말라하고 있습니다. 이 영원한 향수 같은 것을 마음 가득 간직한 채 살아가고 있습니다. 
  시인의 눈은 사물을 꿰뚫어 보기 위해서 X-Ray처럼 투명하고, 시인의 귀는 남들이 알아듣지 못하는 먼 기이한 목소리를 엿듣기 위해서 보이지 않는 무선 전화기를 달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이때 그리움의 빛이 시인에게 무언의 신호를 보내기도 하는데 이것이 인스피레이션입니다. 이는 벌써 지성이라는 심리가 작용하여 깊은 창조 정신을 발동케 하는 계기가 될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다음의 졸시 [백지를 위하여]에 대한 영감이라고 할까. 문득 솟아 나온 어떤 감응의 심리를 살펴보기로 합시다. 이는 졸저 <시보다 어눌한 영혼은 없다>에 수록된 전문을 옮긴 것입니다.

  긴 겨울밤
  불 끄지 못하는
  그대 뜨거운 마음 한 쪽은
  하얗게 비워두리라

  가장 쓸쓸한 것들만 한 장씩 찢어내는
  그대 곁으로
  사랑의 낡은 노래
  한 소절만 띄워 보내리라

  물망초 설움 같은
  내 차가운 뜨락에는 
  마지막 기도 소리도 끝났는가

  흔들리는 창 밖
  이 밤을 밀어내는 빗소리
  은밀한 기억을 태우고
  젖을 대로 젖어버린 하얀 마음 한 쪽은
  그냥 비워두리라
  하얗게 비워두리라.

  * 모두 잠든 새벽, 혼자 일어나 촛대에 불을 밝히고 향나무 연필을 깎고 그 껍질을 하얀 유리 재떨이에 소복히 쌓아서 진한 향내를 맡는다. 향내와 더불어 새벽 내음이 상큼하면 어제밤 찌든 일상들이 한 올씩 분출되는 쾌감을 맛본다.
  항상 머리맡에서 대기중인 하얀 메모지는 무엇인가 나의 갈증을 받아담을 준비를 하고 있어서 한 줄의 낙서라도 담아 주어야 할 막중한 소임같은 것이 배어 있음을 어쩌랴. 그러나 하얀 종이에로 쏠리는 나의 연상작용은 정갈함이다. 때묻지 않은 순수함이다. 그러기에 정신적으로만 승화된 어떤 사랑의 이미지가 담뿍 어려있다.
  인간에게 있어서 참사랑의 의미는 무엇일까. 그리고 밤마다 '뜨거운 마음 한 쪽'도 담을 수 없는 진실은 어디에 있는가. 사랑에 관한 의문은 낡아빠진 육체의 허망스런 욕구만 번뜩이는 가증스런 밤을 장식한다. 이런 허황된 욕망과 증오가 가득한 나의 심연에서 백지를 대하는 나약한 언어는 '그냥 비워두'는 일밖에 없다.
  어둠을 밝히는 촛불의 열정과 향나무 연필의 의지는 제몸을 스스로 소진하고 마모하면서 '은밀한 기억'은 젖은 내 마음에게 비웃음을 던져주고 있다.
  백지에 채워져야 할 순수 사랑을 위하여.*

다음 시간에 또.....

======================================================================

 

청바지를 입어야 할 것
―이근화(1976∼)

나의 기분이 나를 밀어낸다
생각하는 기계처럼
다리를 허리를 쭉쭉 늘려본다
이해할 수 없는 세계에서
화초가 말라 죽는다
뼈 있는 말처럼 손가락처럼

일정한 방향을 가리킨다
죽으면 죽은 기분이 날 것이다
아직 우리는 웃고 말하고 기분을 낸다
먹다가 자다가 불쑥 일어나는 감정이
어둠 속에서 별 의미 없이 전달되어서
우리는 바쁘게 우리를 밀어낸다

나의 기분은 등 뒤에서 잔다
나의 기분은 머리카락에 감긴다
소리 내어 읽으면 정말 알 것 같다
청바지를 입는 것은 기분이 좋다

얼마간 뻑뻑하고 더러워도 모르겠고
마구 파래지는 것 같다
감정적으로 구겨지지만
나는 그것이 내 기분과 같아서
청바지를 입어야 할 것     
       

 

언젠가부터 내가 추위를 덜 탄다. 지구 온난화로 사뭇 온화해진 겨울 기온과 몸무게가 10kg 이상 늘어나 두둑해진 지방층 덕분이려니 생각했는데, 옷차림도 크게 작용한 것이다. 언젠가부터 겨울에는 두툼히 속을 댄 기모바지를 입는다. 장구한 세월을 사시사철 청바지만 입었다. 평상시에는 물론이고 행사장, 사교모임, 비즈니스 자리에 갈 때도 말이다. 한 원로 비행기 기장을 인터뷰하러 갔을 때도 그랬다. 나로서는 그나마 멀쩡한 티셔츠와 청바지를 차려입었는데, 인터뷰가 끝난 뒤 그분은 막내딸을 대하듯 걱정스레 이르셨다. “인터뷰하러 갈 때는 복장에 신경을 쓰는 게 예의예요.” 달아오르는 얼굴로 나는 그 자상한 신사가 가르쳐 주는 처세의 기본을 마음에 새겼다. 내가 무슨 마크 저커버그(페이스북 창업자이며 경영자)라고 나 편한 복장으로 사관도 만나고 신사도 만났는지. 30년도 더 전에 말이다.
 

 

화자는 사회에 발들인지 얼마 안 되나보다. ‘뼈 있는 말처럼 손가락처럼//일정한 방향을 가리키’는 ‘이해할 수 없는 세계’에서 화자는 말라 죽을 것처럼 힘들다. 그 기분을 드러낼 수도 없다. 꾹꾹 참다가 자다가도 벌떡 몸을 일으키며 “아, 왜 이렇게 기분이 더럽지?!” 부르짖을 뿐이다. 우리는 기분을 전환하려, 혹은 자기 기분을 나타내려 그날 입을 옷을 고른다. 화자의 오늘 기분은 청바지다. 아무렇게나 뒹굴어도 ‘마구 파래지는 것 같’은 청바지! 당신들은 이걸 못 입죠? 청춘의 바지를 입을 때, ‘아직 우리는 웃고 말하고 기분을 낸’단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30 남미주 아르헨티나 시인 - 보르헤스 2018-01-10 0 4535
929 하이퍼시의 뿌리는 중국시전통에 있으며 대간을 이루고있다... 2018-01-10 0 3217
928 {쟁명} - 하이퍼시는 은유와 환유의 잔치, 설명과 해석은 금물. 2018-01-10 0 2339
927 <서시> 시모음 2018-01-10 0 2501
926 [시단소사전] - "글쓰기 충전구멍가게"... 2018-01-10 0 2976
925 "모든 죽어가는것" 中 하나가 "조선어"였던것 같다... 2018-01-09 0 2316
924 <해빛> 시모음 2018-01-09 0 2325
923 <별> 시모음 2018-01-09 0 2054
922 <콩나물> 시모음 2018-01-09 0 2158
921 보이지 않는것들을 볼수있는 4차원적 발견의 눈을 길러라... 2018-01-07 0 2159
920 항상 수첩을 가지고 다니며 늘 기록하라... 2018-01-07 0 2011
919 [작문써클선생님께] - 동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01-07 0 2160
918 "과연 당신만의 '십자가'를 짊어질수 있는 용기가 있는기여?"... 2018-01-07 0 2272
917 {쟁명} - 하이퍼시는 단일체가 아니라 다양체와의 춤사위이다 2018-01-05 0 2471
916 {쟁명} - 하이퍼시는 자아가 아니라 타자와 노는것이다... 2018-01-05 0 2324
915 詩人 김파님께서는 갔으나 詩伯 김파님께서는 가지 않았다... 2018-01-05 0 2569
914 이상(李箱)의 시는 이상(李箱) 이상(以上)이었다... 2018-01-04 0 2390
913 "솔숲은 늘 푸른데, 숲에 난 발자국은 모두 다르더라"... 2017-12-28 0 3228
912 교육선구자 김약연과 명동학교를 아십니까?!... 2017-12-28 0 2816
911 <시간> 시모음 2017-12-28 0 2869
910 해골의 노래에 맞춰 무도회는 잘도 돌아간다... 2017-12-27 0 3157
909 "네 젊음을 가지고 뭘 했니?"... 2017-12-26 0 3040
908 <말(言)> 시모음 2017-12-24 0 2257
907 시와 시작론 2017-12-22 0 1897
906 친구들아, 어서 빨리 "동시조"랑 같이 놀아보쟈...7 2017-12-22 0 2133
905 친구들아, 어서 빨리 "동시조"랑 같이 놀아보쟈...6 2017-12-22 0 2042
904 친구들아, 어서 빨리 "동시조"랑 같이 놀아보쟈...5 2017-12-22 0 2286
903 친구들아, 어서 빨리 "동시조"랑 같이 놀아보쟈...4 2017-12-21 0 2411
902 친구들아, 어서 빨리 "동시조"랑 같이 놀아보쟈...3 2017-12-21 0 2300
90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시조, 동시, 시 차이점?... 2017-12-21 0 3382
900 친구들아, 어서 빨리 "동시조"랑 같이 놀아보쟈...2 2017-12-21 0 2392
899 친구들아, 어서 빨리 "동시조"랑 같이 놀아보쟈... 2017-12-21 0 2115
898 세상에서 제일 보배로운 동요동시를 내 눈언저리에 붙혀주렴... 2017-12-21 0 2257
897 웃음은 모든 인간들의 모든 독을 제거하는 해독제이다... 2017-12-20 0 2271
896 <돌> 시모음 2017-12-19 0 2462
895 산골물 / 윤동주 2017-12-17 0 2773
894 애독자 비행기 조종사가 유명한 작가 비행기 조종사를 죽이다... 2017-12-17 0 3674
893 윤동주, 백석, 릴케 - "삼종(三鐘)의 종소리 웁니다"... 2017-12-16 0 3899
892 "암울한 시대에 시를 써보겠다고 생각했던 내가 어리석었다!"... 2017-12-16 0 3374
891 치욕의 력사에서 참회의 역사로 바꾸어 놓은 시인 - 윤동주 2017-12-16 0 3518
‹처음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