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9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페루 시인 - 바예호
2017년 02월 22일 23시 22분  조회:3743  추천:0  작성자: 죽림

바예호

César (Abraham) Vallejo
 
출생일 1892. 3. 16, 페루 산티아고데추코
사망일 1938. 4. 15, 파리
국적 페루

요약 페루의 시인.

 

망명생활을 하면서 라틴아메리카 문학을 통해 사회변혁을 주창한 주요인물이 되었다.

스페인인과 원주민 간의 혼혈 가문에서 11번째 아이로 태어나 어린시절부터 굶주림과 가난, 원주민에게 가해지는 불의를 직접 목격했다. 1913~17년에 트루히요대학교에 다니면서 문학을 공부해 논문 〈카스티야 시에 나타난 낭만주의 El romanticismo en la poesía castellana〉(1954)를 썼고 법학을 공부하기도 했다. 첫 시집 〈검은 사자(使者) Los heraldos negros〉(1918)는 그의 어머니와 형이 죽었을 때의 상실감과 이에 따른 허무감, 인생 본연의 한계, 사회적 압력과 부정 때문에 인간이 잠재력을 실현하지 못하는 무력함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문체상 고답주의와 모더니즘의 경향을 보여주었다.

1920년에는 원주민과 관련된 정치적 문제에 연루되어 거의 3개월 동안 수감되었는데, 이 경험은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상실감을 더욱 고조시켰고 그의 여생을 괴롭힌 우울증의 발단이 되었다.

단편집 〈음계 Escalas melografiadas〉(1922)와 좀더 복잡한 시들을 모은 〈트릴세 Trilce〉(1922)는 수감기간에 착상된 것이다. 대표작인 〈트릴세〉에서 그는 생물학적 삶과 사회조직이 인간에게 부과하는 한계, 인간 본래의 열망 사이에 존재한다고 느끼는 괴리감 등을 표현하기 위해 신조어(新造語)·구어체, 혁신적인 구조, 놀랄 만한 이미지들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전통과의 완전한 결별을 보여주었다.

정신적으로 혼란상태에 있는 한 원주민의 몰락을 그린 짧은 심리소설 〈미개인의 우화 Fabula salvaje〉(1923)를 발표한 뒤 파리로 가 다시는 고국에 돌아가지 않았다. 파리 생활은 힘겨운 것이었고 번역, 언어 교습, 정치적 저술 활동 등으로 겨우 생계를 이어갈 수 있었다. 자신의 원주민 혈통으로 인해 사람들과 쉽게 동화되지 못한 반면, 중요한 전위예술가들과 교제를 나누었다.

페루 공산당을 창설한 친구 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가 창간한 〈아마우타 Amauta〉지에 기고함으로써 조국인 페루와 계속 관련을 맺었다. 그는 인간의 상황을 묘사하는 데 있어 시어(詩語)는 어떤 전통적인 장치도 없어야 하며, 동시에 문학은 대중의 이상에 부합해야 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자신이 체험한 사회의 악습과 불의를 고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마르크스주의라고 생각하게 되었으며, 1928, 1929년 2차례의 러시아 방문으로 정치적 사명감에 고취되어 1931년에 공산당에 입당했다.

1930년 정치투쟁가라는 이유로 파리에서 추방된 후 마드리드로 갔다.

그곳에서 프롤레타리아 소설 〈텅스텐 El tungsteno〉(1931)을 썼는데, 이 작품은 페루 텅스텐 광산의 원주민 노동자들에게 가해지는 가혹한 착취와 타락상을 보여주고 있다. 1932년 파리로 돌아간 뒤에 내란(1936~39)이 일어난 스페인에서 2년간 지냈다. 스페인 내란은 후기의 주요시집 〈인간적 시 Poemas humanos〉(1939)에 실린 대부분의 시에 영감을 주었는데, 거기서 그는 집단적인 악·소외·절망 등에 봉착해 위기에 빠진 한 산업사회를 묵시적인 시각으로 그려내고 있다.

1930년대에 쓴 대부분의 시는 그가 죽은 뒤 출판되었다. 소설과 시 작품들은 〈소설 및 단편 전집 Novelas y cuentos completos〉(1970)·〈시 전집 Obra poética completa〉(1974)에 각각 실려 있다. 바예호에 관한 책으로는 앙드레 코이네가 쓴 〈세사르 바예호 César Vallejo〉(1968), 제임스 히긴스가 쓴 〈바예호의 후기 시 작품에 나타난 인생관과 인간관 Visión del hombre y de la vida en las últimas obras poéticas de Vallejo〉(1968), 앙헬 플로레스가 편집한 〈세사르 바예호에의 접근 Aproximaciones a César Vallejo〉(전2권, 1971), 장 프랑코의 〈세사르 바예호:시와 침묵의 변증법 Céar Vallejo:The Dialectics of Poetry and Silence〉(1976) 등이 있다.



[Daum백과] 바예호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3 시인의 문학관 2015-02-19 0 3933
82 김수영 론, 박치원 론 2015-02-19 0 4295
81 구조주의 리론 2015-02-19 0 4504
80 포스트 구조주의 리론 2015-02-19 0 4159
79 현대시의 리해 2015-02-19 1 4036
78 하이퍼시에 관한 고견 2015-02-19 0 4240
77 하이퍼시의 리해 2015-02-19 0 3881
76 의식, 무의식의 징검다리 2015-02-19 0 4086
75 김기림 시론 ( - 한국 현대시의 최초 시론) 2015-02-19 0 3882
74 조향 시론 2015-02-19 0 3952
73 김춘수 시론 2015-02-19 0 4132
72 시와 아이러니 2015-02-19 0 4016
71 디지털시대 시 전망 2015-02-19 0 3915
70 하이퍼와 잡종(?) 2015-02-19 0 3805
69 하이퍼시에서 내면세계 미학 2015-02-19 0 3996
68 하이퍼시에서 사물적, 상상적 가능성 2015-02-19 0 4311
67 하이퍼시의 구조 2015-02-19 0 4118
66 시에서 인식의 혁명 2015-02-19 0 4199
65 언어와 사물, 그리고 시 2015-02-19 0 4358
64 시와 독자와 난해성 문제 2015-02-19 0 4196
63 3.0 2015-02-19 0 3620
62 퍼포먼스 시집 평설 2015-02-18 0 4268
61 하이퍼시와 퍼포먼스시 2015-02-18 0 3800
60 하이퍼시 도무미 4 2015-02-18 0 4288
59 하이퍼모더니즘의 시대는 오는가 2015-02-18 0 4478
58 하이퍼시 도우미 3 2015-02-18 0 4102
57 하이퍼시의 도우미 2 2015-02-18 0 3863
56 탈관념의 꿈꾸기 2015-02-18 0 4070
55 현대시의 길 열기 2015-02-18 0 4444
54 하이퍼시의 도우미 2015-02-18 0 3955
53 하이퍼시의 전환기법 관찰 2015-02-18 0 4300
52 하이퍼시의 리해와 창작 2015-02-18 0 4186
51 하이퍼시와 디카시 2015-02-18 0 4072
50 ...계속 6 2015-02-18 0 3619
49 ...계속 5 2015-02-18 0 4177
48 ...계속 4 2015-02-18 0 4016
47 ...계속 3 2015-02-18 0 3830
46 ...계속 2 2015-02-18 0 3892
45 李箱시의 디지털적 해석 2015-02-18 0 4122
44 탈관념 시의 리해 2015-02-18 0 3901
‹처음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