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윤동주의 시는 끝까지 한글 작품으로 남아있다...
2017년 03월 17일 00시 02분  조회:2822  추천:0  작성자: 죽림

  

특별기고/윤동주서거72주년·탄생100주년맞이하며

윤동주 관련 전시관에 공개된 시인 윤동주의 육필 원고인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지난 2월 16일은 시인 윤동주가 서거한지 72주년 되는 날이었다. 윤동주는 우리에게 참 아름다운 시어를 남긴 시인이다. 육신은 비록 처참하게 산화되었지만, 그가 남긴 작품 덕분에 그는 어려웠던 시대의 행복한 크리스천 시인으로 각인돼 있다.

 

1947년 2월 그의 유작이 처음 소개됐고, 추도회가 거행됐다. 1948년 1월 유작 31편과 정지용의 서문으로 이뤄진 유고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세상에 나왔다. 자신의 분신 같은 육필 원고를 후배 정병욱에게 보관케 함으로써 첫 시집이 나온 이후 꾸준히 그의 작품들이 발굴돼, 지금은 130편의 옥고가 우리에게 전해지고 있다. 

 

윤동주 서거 72주년을 추모하며, 숭실중학교와 연희전문학교의 과정을 거친 시인의 삶과 그 시대에 관심을 갖고자 한다. 

 

숭실 활천과 '공상(空想)'

  

특별기고/윤동주서거72주년·탄생100주년맞이하며

▲<숭실활천> 15호(왼쪽)와 이곳에 실린 시 ‘공상’(空想)' 

 

윤동주는 연변 용정에서 출생하여 명동학교에서 수학했다. 은진중학교에 진학한 윤동주는 집안 어른들을 설득, 그해 여름 숭실중학교 3학년으로 편입한다. 문익환이 진학하였기 때문이다. 

 

당시 숭실중학교는 '한국의 예루살렘'이라 불리는 평양에 자리잡은 학교로, 1897년 선교사 배위량(裵緯良, William M. Baird)이 자택에서 13명의 학생으로 시작한 학교였다. 

 

윤동주는 숭실중학교 시절 문학에 심취했고, 1935년 10월 발간된 <숭실활천(崇實活泉)> 제15호에'공상(空想)'을 발표한다. 이 시는 최초로 활자화된 윤동주 시로 주목받고 있다. 윤동주가 쓴 최초의 동시인 '조개껍질- 바닷물 소리 듣고 싶어'와 '오줌싸개 지도' 등도 이때 쓴 작품으로 추정된다. 

 

1935년 9월 숭실중학교 3학년에 편입한 윤동주는 1936년 3월까지 객지생활 7개월 동안 시 10편과 동시 5편 등 무려 15편의 시를 썼다. 그는 시인 정지용(鄭芝溶)의 시에 심취해 쉬운 말로 진솔한 감정을 표현하는 새로운 시 세계를 열어 나간다. 

 

평양 숭실중학교에서 그가 만난 것은 뜻밖에도 '신사참배 강요'였다. 일제는 각지에 신사를 세웠고, 학교와 가정에도 소형 신사를 설치하도록 하는 황국신민화 정책을 추진했다. 신사참배에 참여하지 않고 있던 기독교는 1935년을 기점으로 조선총독부의 강경한 신사참배 정책에 저항하면서 큰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1936년 1월, 일제 총독부는 신사참배 명령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숭실중학교 윤산온(尹山溫, George S. McCune) 선교사를 교장직에서 파면한다. 이에 일어난 학생들의 항의 시위로 숭실학교는 무기휴교에 들어가게 된다. 

 

그래서 윤동주의 숭실중학교 생활은 이렇게 단 7개월만에 끝났다. 1936년 3월 문익환과 함께 용정으로 돌아온 윤동주는 광명학원(光明學院) 중학부 4학년에 편입하게 된다. 광명학원은 숭실중학교보다 더 나쁜 상황이었다. 

 

대륙낭인 출신의 일본인이 경영하던 친일계 학교가 돼 버렸던 것이다. 광명중학 재학 2년 동안 윤동주는 동시에 더욱 몰두하여, 연길에서 발행되던 월간잡지 <카톨릭소년>에 모두 5편의 동시를 발표하기도 했다. 

 

연희전문학교와 '문우' 

 

윤동주는 1938년 4월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하게 된다. 그 해 10월 조선일보에 시 '아우의 인상화'와 1939년 2월 조선일보에 수필 '달을 쏘다'를 발표하게 된다. 연희전문 2학년 재학 중, 그는 <소년(少年)>지에 시를 발표하며 정식으로 문단에 데뷔했다. 

  

특별기고/윤동주서거72주년·탄생100주년맞이하며

▲조선일보에 실린 동시 ‘아우의 인상화’

 

윤동주의 작품 중 눈에 띄는 것은 <문우(文友)>에 발표했던 작품이다. <문우(文友)>는 1932년 12월 18일 연희전문학교 문과 문우회에 의해 태어났다. <연희(延禧)>에 비해 훨씬 문예지 색깔이 나는 잡지였다. 

 

1941년 <문우>는 5호를 마지막으로 종간하게 됐다. 당시 송몽규는 문예부장으로 활동했는데, 시대의 압박으로 마지막 발간되는 <문우>에서 송몽규는 '꿈별'이란 필명으로 '하늘과 더불어'를, 윤동주는 '새로운 길', '우물 속의 自像畵(자상화)'를 각각 발표했다. 편집 겸 발행인으로는 나중에 일본 유학을 하게 되는 강처중(姜処重)으로 돼 있다. 이들은 모두 문과 4학년 동급생으로, 절친한 우정을 나누던 사이였다. 

 

그리고 이는 최소한 1941년 6월까지 창씨개명을 하지 않고 버티면서 작품활동으로 몸부림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문학을 사랑했던 그들이었기에, 숱한 고생 속에 겨우 모았던 원고 대부분이 검열에 걸려 게재 불가능했다. 

 

이와 함께 식민지 공간 속에서 군국주의 체제 강화 총력전으로 인해, 교우회가 발행한 <문우>는 해산하지 않을 수 없었던 억압 속의 현실이 더욱 서글프게 느껴졌음을 행간에서 엿보게 한다. 마지막 호 전체 내용이 거의 대부분 일문(日文)으로 쓰여져 있을 정도였지만, 윤동주 시는 끝까지 한글 작품으로 남아있다. 

  

특별기고/윤동주서거72주년·탄생100주년맞이하며

▲잡지 <문우>와 그 속의 시 ‘새로운 길’, ‘우물 속의 자상화’.

 

밤하늘 별빛 같은 시인 동주를 추모하며 

 

올해 12월 30일은 윤동주 시인의 탄생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했던' 시인 윤동주. 그의 생애는 짧았지만 음울하고 가혹한 시대 상황 속에서 반드시 여명은 오리라 믿고 써내려간 주옥같은 시어들은, 오늘날까지 해맑은 영혼의 징표로 남아 있다. 

 

지금까지 윤동주 시집이 수없이 발행돼 왔다. 그러나 자기 십자가를 지며 순례자의 삶을 묵묵히 살아간 시인 동주의 삶과 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심도 있게 진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별기고/윤동주서거72주년·탄생100주년맞이하며

▲일본 윤동주 전시관에 비치된 관련 서적들

 

한국교회에서도 올해는 윤동주를 기리는 문화 행사들이 더 많아졌으면 한다. 이는 한국교회가 놓쳐버린 '자화상'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시대의 아픔을 안고, 밤하늘에 별빛 같은 삶을 산 시인을 오늘도 기억하게 된다. ​

 

이효상 목사/ 교회건강연구원 원장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50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2) 2017-05-05 0 2844
449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 2017-05-05 0 2617
448 시인은 자국자국마다 시향을 흩날려야... 2017-05-05 0 2808
447 시의 파문이 느리게 오래 지속되는 시를 써야... 2017-05-05 0 2482
446 시인은 위대한 상상력의 소유자이다... 2017-05-05 0 2500
445 시는 자기 자신의 삶을 발견하는것이다... 2017-05-05 0 2155
444 [고향문단소식] - 시내물 흘러 흘러 강물이 되여 바다로 간다... 2017-05-04 0 2423
443 시인은 령혼이 없는 시, 5차원이 없는 시를 쓰지 말아야... 2017-05-04 0 2297
442 시인은 함께 하는 눈과 멀리 보는 눈이 있어야... 2017-05-04 0 2315
441 시인은 화폭같은 이미지를 잘 구사할줄 알아야... 2017-05-02 0 2703
440 시는 짧은 속에서 시인의 시력과 시야가 압축되여 있어야... 2017-05-01 0 2358
439 시인은 언어란 이 괴물을 쉽게 휘여잡을줄 알아야... 2017-05-01 0 2409
438 시인은 고독한 원을 긋으며 도망친다... 2017-05-01 0 2396
437 시란 잘 고양된 수학이다... 2017-05-01 0 2955
436 [시문학소사전] - "이미지스트"란?... 2017-05-01 0 3674
435 [시문학소사전] - "무운시"란?... 2017-05-01 0 3578
434 시인은 자기자신만의 시론으로 시창작에 림하면 행복하다... 2017-04-30 0 1983
433 시의 정신활동은 가장 중요하게 통찰력과 상상력 이다... 2017-04-30 0 2257
432 시를 배울 때 이전에 배운 지식들을 다 버리시ㅠ... 2017-04-30 0 2170
431 시를 공부하는 과정에는 "이미지"가 한 필수조건 이다... 2017-04-30 0 2292
430 시지기라는 눔에게 "치매 걸린 엄마"라도 있었으면... 2017-04-30 0 2191
429 시인은 고독을 줄기차게 친구 삼고 문제의식을 늘 가져라... 2017-04-30 0 1995
428 우물쭈물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다... 2017-04-24 0 3221
427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크릴로프의 우화를 읽게 해야... 2017-04-24 0 3113
426 시란 무경계 세상에서 희노애락의 꽃을 꽃피우는 행위이다... 2017-04-24 0 2480
425 시인은 자기자신만의 시를 찾아야 생명력이 있다... 2017-04-23 0 1933
424 "시인"이랍시고?-, 당신의 "구두"는 젖어보았는가... 2017-04-21 0 2316
423 윤동주 묘비의 각인을 살펴보다... 2017-04-21 0 3468
422 아프리카 세네갈 대통령 시인 - 상고르 2017-04-20 0 2563
421 시인은 시를 오랫동안 삭힐줄 알아야... 2017-04-20 0 1919
420 [쉼터] - "연변말"이 "마지막 수업"으로만 되지 말기만을... 2017-04-19 0 2379
419 아리랑은 영원한 아리랑이다... 2017-04-19 0 2203
418 시속에 무르녹아 있는 시어와의 만남을 류의하라... 2017-04-19 0 2531
417 [시문학소사전] - "산문시"란?... 2017-04-19 0 3059
416 하나가 여럿이고, 여럿이 하나이다... 2017-04-19 0 2470
415 절대적으로 정신을 차려야 할 편집들께= "표절은 절대 금물" 2017-04-18 0 2734
414 그대들의 마음속엔 어떤 나무를 심었는가?!... 2017-04-18 0 2093
413 <화투> 잡설시 2017-04-18 0 2464
412 서사시는 敍事詩로서 장시(長詩)이다... 2017-04-18 0 2158
411 사상 최초이자 최고의 서사시를 지은 시인 - 호메로스 2017-04-18 0 2514
‹처음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