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의 초보자들은 문학적인것과 비문학적것을 혼동하지 말기...
2017년 07월 24일 04시 33분  조회:2138  추천:0  작성자: 죽림

문학의 세계 / 이승훈


문학이 노리는 것도 크게 보면 상상력에 의해 새로운 세계를 창조 함에 있다.

그러나 시를 제대로 쓰기 위해서는 문학적인 글과 비문학 적인 글의 차이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많은 시의 초보자들이 시를 쓰면서 저지르는 오류 가운데 하나는 문학적인 글과 비문학적인 글을 혼동하는 일이다.

모든 글은 언어를 수단으로 한다. 그렇지만 언어로 표현된 모든 글을 문학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문학적인 글과 비문학적인 인 글을 구별하는 데에는 관점에 따라 여러가지 기준이 있을 수 있겠 지만, 이 자리에서는 크게 방향, 목적, 범주, 평가라는 네 가지 기준에 의해 살펴보기로 한다. *④ 

첫째로 비문학적인 글의 경우 언어가 외부세계를 지향함에 반하여 문학적인 글의 경우에는 언어가 언어 자체, 곧 자율적인 세계를 지향 한다.

모든 글은 언어로 이루어지며, 언어는 기호 sign에 지나지 않다.

기호란 무엇인가를 대신한다는 특성을 나타낸다. 이를 테면 "산"이 라는 언어는 이 세계에 존재하는 사물인▲을 대신한다.

따라서 "산" 이라는 언어는 기호로서의 특성을 나타낸다. 모든 언어는 그런 점에서 그 언어가 지시하는 대상을 소유하게 마련이다.

또한 기호로서의 언어 는, 스위스 언어학자 소쉬르가 지적했듯이, 소리심상 signifiant과 개 념 signfiet으로 이루어진다.*⑤ "산"이라는 언어의 경우 소리심상은 발음할 때 나는 [S∧N(산)]이며, 개념은 지시대상인 ▲이다.

전자를 기호의 물질성, 후자를 기호의 의미라고 한다면, 모든 언어가 의미를 띨 수있는 것은 개념을 환기하기 때문이며, 그것은 기호가 지시하는 대상을 소유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호로서의 언어는 모두가 이렇게 외부세계에 존재하는 어 떤 대상, 곧 지시물을 지시하지는 않는다.

기호로서의 언어는 외부세 계의 대상이 아니라 기호로서의 언어 자체를 지향하는 수도 있다. 미 국의 문학이론가 프라이는 언어적 기호의 이러한 두 방향에 대해 언 급하면서, 기호가 외부세계를 지향하는 것을 원심적 centrifugal 방향, 기호가 기호 자체를 지향하는 것을 구심적 centripetal 방향이라고 부 른 바 있다.

*⑥ 그에 의하면 전자는 언어의 축어적 국면 literal phase, 후자는 묘사적 국면 descriptive phase에 해당된다. 축어적 국면에서 언어, 이를 테면 하나의 낱말을 대할 때 우리는 그 언어가 지시하는 지시물 및 낱말과 낱말의 인습적인 관계에 이르기까지 계속 외부세계 를 향한다.

그러나 묘사적 국면에서 하나의 낱말을 대할 때 우리는 그 낱말의 지시물보다는 그 낱말이 글 속에서 만드는 보다 커다란 언어 패턴에 대한 감각을 발전시킨다.

이를테면 "산"이라는 낱말의 경우, 묘 사적 국면에서 우리는 페이지에 기록된 기호의 물질성, 곧 시각적 효 과, 그 기호를 읽을 때 나오는 청각적 효과, 나아가 그 음이 환기하는 이미지나 기억 등에 관심을 둔다.

이러한 효과나 이미지는 모두가 허 구의 세계에 속하며, 그것들은 상상력에 의해 드러난다.

모든 문학적 인 글은 궁극적으로 이렇게 언어기호가 구심적 방향으로 움직이며, 비 문학적인 글은 이와는 반대로 원심적인 방향으로 움직인다.

간단히 그 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sing → → sing ← 
↓ ↑ 

비문학적인 글 문학적인 글 


둘째로 비문학적인 글의 제1 목적이 정보를 전달하거나 어떤 사실 을 논중함에 있음에 비해 문학적인 글의 제1 목적은 새로운 세계를 창조함에 있다.

비문학적인 글에 속하는 신문기사나 과학논문을 생각 해 보자. 신문기사가 노리는 것은 객관적 사실에 대한 정보전달이며, 과학논문이 노리는 것은 객관적 사실에 대한 정보와, 그 사실에 대한 논리적 증명이다.

그러나 문학적인 글에 속하는 시가 노리는 것은 그 러한 정보전달이나 논증이 아니다. 이를테면 김소월의 「山有花」에 나 
오는 

山에 꽃피네 
꽃이 피네 
갈 봄 여름없이 
꽃이 피네 

라는 시행에서 시인이 노리는 것은 산에는 봄, 여름, 가을에 꽃이 핀 다는 사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함에 있는 것은 아니다.

시인은 이 시에 서 독특한 하나의 심적 공간을 창조하고 있다. 그러한 창조는 

山에 
山에 
피는 꽃은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같은 시행이 보여준다.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다는 말은 시인과 꽃과 의 거리에 대한 어떤 객관적 정보도 드러내지 않으며, 또한 어째서 그 렇게 혼자 피어 있는가에 대한 논리적 증명도 하지 않는다.

이 시행은 외롭게 피어 있는 한 송이 꽃에 대한 시인의 정서적 반응과, 그 반응 을 토대로 하여 전개되는 상상력의 세계에 지나지 않는다.

「山有花」에서 노래되는 세계는 이 시인의 상상력에 의해 창조된 독특한 공간이 다. 그러나 문학적인 글이 창조의 세계를 노린다고 해서 어떤 사실에 대한 정보나 논증에 대해 전적으로 무관심한 것은 아니다.

이 글에서 제 1목적이라고 쓴 것은, 이러한 목적이 지배적임을 뜻한다. 


세째로 비문학적인 글의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신문기사나 과학논문 같은 것들을 들 수 있고, 문학적인 글의 대표적 유행으로는 시, 소설. 희곡 등을 들 수 있다.

원래 문학 literarure 이란 용어는 서양에서는 문자 letter 라는 낱말을 어원으로 하고, 이 문자라는 낱말은 잎사귀 litter 라는 낱말을 어원으로 한다.

종이가 발명되기 이전에 잎사귀에 글씨를 새겼을 것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결국 문학은 광의로는 글로 된 일체 의 책을 의미한다.

그렇던 것이 오늘날처럼 문학적인 글과 비문학적인 글을 나누기 시작한 것은, 소위 창조의 개념 혹은 예술의 개념이 제대 로 자리를 잡으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예술의 개념을 어디 에 두느냐에 따라 시대적으로 문학적인 글의 범주는 달라질 수 있다. 모울톤같은 문학이론가는 역사, 철학,철학, 웅변도 문학적인 글의 범주 에 포함시킨다.*⑦ 


네째로 비문학적인 글의 평가기준과 문학적인 글의 평가기준은 다 르다.

비문학적인 글의 가치를 따지는 데에는 유용성. 명백성. 실증성 이 기준으로 드러난다.

그러나 문학적인 글의 가치를 따지는 데에는 이와는 다르게 통일성. 다의성 심미성을 기준으로 한다. 신문기사가 신문기사로서 훌륭한가 훌륭하지 못한가를 따질 때에는 그 기사가 우 리들의 현실생활에 얼마나 도움을 주는가, 그 기사의 문체가 명백한가, 그 기사가 다루고 있는 정보가 객관적으로 증명될 수 있는가에 관심 을 둔다.

과학논문의 경우에도 그렇다. 이를테면 어떤 식물학자가 "진 달래꽃"에 대해 글을 쓴다고 하자. 그의 글이 논문으로서 가치를 띠기 위해서는 이를테면 

진달래꽃은 진달래의 꽃을 뜻하며, 진달래는 철쭉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관목으로서 꽃은 타원형으로 톱니가 없고, 4월에 엷은 홍색꽃이 3~5개씩 다섯 갈래로 피며 한국 각지 및 일본과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고 써야 한다.

다시 말하면 이 글이 고학논문으로서 흠 잡을 구석이 없는 것은 이 글이 우리의 삶에 현실적으로 도움을 주고, 글의 문체가 명백하고, 글의 내용이 객관적 진리를 띠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시의 경우에는, 이를테면 김소월의 「진달래꽃」에서 읽을 수 있듯이 

寧邊에 藥山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처럼 "진달래꽃"에 대한 객관적 정보, 곧 어떤 실증성도 드러나지 않고, "진달래꽃"의 의미가 명백하지도 않고, 또한 이 글이 우리의 삶에 실용 적 가치를 주는 것도 아니다.

이 시가 가치 있는 것은 한 편의 시로서 통일성을 소유하고, "진달래꽃"의 의미가 여러가지로 나타나며, 독특한 미적 효과를 주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통일성. 다의성. 심미성이 평가 의 기준이 된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30 목련아, 나와 놀자... 2017-06-09 0 2604
529 시는 메모에서 완성하기까지 고심에 련마를 걸쳐야... 2017-06-09 0 2202
528 동시인은 "스스로 어린이로 살아가는" 사람이다... 2017-06-09 0 2003
527 시인은 관습적으로 길들여진 자동화된 인식을 버려야... 2017-06-09 0 2097
526 시인은 시제목을 정할 때 신경을 써야... 2017-06-09 0 2300
525 문학성과 창조성이 없는 글은 수필도 아니며 죽은 글이다... 2017-06-09 0 1892
524 인공지능시대 미래를 준비하는 선생님들의 자세는?... 2017-06-02 0 2674
523 인간 글쓰기 지위 일락천장 추락되다... 2017-06-02 0 2532
522 인공지능 번역은 어처구니없는 번역... 2017-06-02 0 2634
521 세상은 교과서처럼 흘러가지 않는다... 2017-06-02 0 1928
520 인공지능 왈; "이 장기를 수술해 잘라내라".../수술의사: ???... 2017-06-02 0 2239
519 시인들이여, 정신 차리라! 로봇트 세계 최초 시집 발간했다!!! 2017-06-02 0 2474
51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우리 말 공부, 난제를 풀며 공부해야... 2017-06-01 0 2666
517 시계가 걸어온 길을 알고싶다...(3) 2017-06-01 0 3208
516 시계가 걸어온 길을 알고싶다...(2) 2017-06-01 0 3340
515 시계가 걸어온 길을 알고싶다...(1) 2017-06-01 0 3359
514 삶이란 련습없이 태여나서 실습없이 사라진다... 2017-05-31 0 2393
513 미래를 념려하다가 결국 현재와 미래를 다 놓쳐버리다... 2017-05-31 0 2157
512 수필은 원칙적으로 산문으로 쓰여져야... 2017-05-31 0 2393
511 [고향문학인소식]-원로시인 최룡관 고향 문학계 소식 전하다... 2017-05-31 0 2215
510 "수필쟁이"들이여, 수필이라는걸 알고나 씁니껴?!...(2) 2017-05-31 0 2788
509 "수필쟁이"들이여, 수필이라는걸 알고나 씁니껴?!... 2017-05-31 0 2361
508 시의 본질적인 문제를 인공지능이 파악할수 없다... 2017-05-28 0 2177
507 시인이라면 초고를 쓰는 고통을 감내할줄을 알아야... 2017-05-28 0 2306
506 시도 예술도 모르는 사회는 배부른 돼지의 세계이다... 2017-05-28 0 2655
505 시인은 인공지능이 시를 쓰든 말든 신경쓰지 말고 시를 쓰라... 2017-05-28 0 2380
504 수필쓰기는 자신의 삶을 가치롭게 꽃피우는 자각행위이다... 2017-05-28 1 2371
503 시간의 그 끝머리는 상처를 치유해주는 하나의 과정과 방식... 2017-05-28 1 2553
502 소금은 죽음에서 피여나는 생명의 꽃이다... 2017-05-28 0 2358
50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우리 말(어원)의 유래?... 2017-05-24 0 2620
500 시문학을 일상의 생활속에서 이어가는 삶은 아름답다... 2017-05-24 0 2372
499 생명은 타지 않으면 썩는다 / 박문희 2017-05-24 0 2438
498 시는 신비한 언어로 시행사이에 사색적인 공간을 엮어줘야... 2017-05-24 0 2467
497 시의 제목이 작품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2017-05-23 0 2763
496 시인은 쓰고자 하는것을 마음속으로 먼저 그려보아라... 2017-05-23 0 3105
495 시를 랑송할때는 시인의 느낌과 청중의 공감을 터득해야... 2017-05-23 0 3590
494 "소리없는 아우성"으로 시와 씨름한 독일 시인 - 파울 첼란 2017-05-23 0 2786
493 허두남 우화시 고찰 / 최룡관 2017-05-23 0 2277
492 동시인들은 아이들을 위하여 랑송시 창작에 몰두해야... 2017-05-22 0 1878
491 시는 이미저리의 원형과 수사학적 기법을 잘 활용해야... 2017-05-22 0 2354
‹처음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