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2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해례본 "해석본"...
2017년 10월 14일 00시 55분  조회:4496  추천:0  작성자: 죽림

 

 

◈ 훈민정음 해례본 원본-해석본

 

 

 

▶ 목차 - 1. 예의편, 2. 제자해, 3. 초성해. 4. 중성해, 5. 종성해, 6. 합자해, 7. 용자례,

8. 정인지서문

 

 

▶ 훈민정음 해례본 ; 예의편

 


國之語音.이 異乎中國.하야 與文字로 不相流通.할새 故로 愚民이 有所欲言하여도 而終不得伸其情者.多矣.라 
予. 一爲此憫然.하야 新制二十八字. 하오니 欲使人人으로 易習.하야 便於日用耳니라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서 한자와 서로 통하지 못한다.그러므로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 싶은 바가 있어도 마침내 그 뜻을 펴지 못하는 이가 많다. 사람마다 쉽게 익히어 나날의 소용에 편리하도록 함에 있나니라.

 

ㄱ. 牙音.이니 如君字初發聲.이요 竝書하면 與字初發聲하니라 
ㄱ는 엄소리니 군(君군)자의 처음 펴어 난 소리와 같으며 어우러 쓰면 뀨(규)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ㅋ.牙音.이니 如快字初發聲하니라
ㅋ는 엄소리니 쾌(快쾡)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牙音.이니 如業字初發聲하니라
는 엄소리니 업(業업)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ㄷ.舌音.이니 如斗字初發聲.이요 書하면 如覃字初發聲하니라
ㄷ는 혀소리니 두(斗)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며 어우러 쓰면 담(覃 땀)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ㅌ.舌音.이니 如呑字初發聲하니라
ㅌ는 혀소리니 탄(呑ㅌ)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ㄴ.舌音.이니 如那字初發聲하니라
ㄴ는 혀소리니 나(那낭)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ㅂ. 脣音.이니 如字初發聲.이요 書.하면 如步字初發聲하니라
ㅂ는 입술소리니 별()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며 어우러 쓰면 보(步뽕)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ㅍ.脣音.이니 如漂字初發聲하니라
ㅍ는 입술소리니 표(漂)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ㅁ.脣音.이니 如彌字初發聲하니라
ㅁ는 입술소리니 미(彌)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ㅈ.齒音.이니 如卽字初發聲.이요 書.하면 如慈字初發聲하니라
ㅈ는 잇소리니 즉(卽)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며어우러 쓰면 자(慈)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ㅊ.齒音.이니 如侵字初發聲하니라
ㅊ는 잇소리니 침(侵)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ㅅ.齒音.이니 如戌字初發聲.이요 書.하면 如邪字初發聲하니라 
ㅅ는 잇소리니 술(戌)자의 처음 펴어나는 소리와 같으며 어우러 쓰면 사(邪)자의 처음 펴어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ㄴ .喉音.이니 如把字初發聲하니라
ㄴ은 목소리니 읍(把)자의 처음 펴어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ㅎ.喉音.이니 如虛字初發聲.이요 書.하면 如洪字初發聲하니라
ㅎ는 목소리니 허(虛)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며 어우러 쓰면 홍(洪)자 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ㅇ.후음.이니 如欲字初發聲하니라
ㅇ는 목소리니 욕(欲)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ㄹ.半舌音.이니 如閭字初發聲하니라
ㄹ는 반혀소리니 려(閭)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반치음.이니 如穰字初發聲하니라
는 반잇소리니 양(穰)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ㄴ 如呑字中聲하니라
는 탄(呑)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ㅡ.는 如卽字 中聲하니라
ㅡ는 즉(卽)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ㅣ.ㄴ 如侵字中聲하니라
ㅣ는 침(侵)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ㅗ.ㄴ 如洪字中聲하니라
ㅗ는 홍(洪)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ㅏ.ㄴ 如覃字中聲하니라
ㅏ는 담(覃)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ㅜ.ㄴ 如君字中聲하니라
ㅜ는 군(君)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ㅓ.ㄴ 如業字中聲하니라
ㅓ는 업(業)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ㅛ.ㄴ 如欲字中聲하니라
ㅛ는 욕(欲)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ㅑ.ㄴ 如穰字中聲하니라
ㅑ는 양(穰)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ㅠ.는 如戌字中聲하니라
ㅠ는 술(戌)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ㅕ .는 如霰字中聲하니라
ㅕ는 별(霰)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終聲에 復用初聲이요 ㅇ을 連書唇音之下하면 則爲唇輕音이니라
初聲合用則 書요 終聲도同이니라 ㅡㅗㅜㅛㅠ는 附書初發聲之下하고
ㅣㅏㅓㅑㅕ는 附書於右하나니 凡字必合而成音이니라
左加一點則去聲이요 二則上聲이요 無則平聲이요 八聲은 加點同而促急이니라

종성(받침)에는 다시 초성을 쓰며 ㅇ을 입술소리 아래에 연해쓰면 곧 입술 가벼운 소리가 된다.초성을 합쳐쓰는데는 어우러 쓸 것이요 종성도 한가지이다.
ㅡㅗㅜㅛㅠ는 초성 아래에다 붙혀쓰고 ㅣㅏㅓㅑㅕ는 오른쪽에 붙혀 쓰나니모든 글자는 반듯이 합해서 음을 이룬다. 왼쪽에 한점을 더하면 거성이요, 두 점이면 상성이요, 없으면 평성이요, 입성은 점을 더하는 것은 같으되 빠르다.

 

 

 


▶ 2.훈민정음 해례본 ; 制字解

 

天地之道 一陰陽五行而已. 
천지 자연(우주만물)의 원리는 오로지 음양 오행일 뿐이다.

 

坤復之間爲太極 而動靜之後爲陰陽.
곤(坤)과 복(復)의 사이에서 태극이 생겨나서 (태극이) 움직이고, 멈춘 후에 음양이 생겨나는 것이다

 


凡有生類在天地之間者 捨陰陽而何之.
무릇 목숨을 가진 무리들로 하늘과 땅의 사이에 있는 것들은 음양을 버리고 어떻게 할 것인가? (따라서, 음양이 가장 중요하다.)

 


故人之聲音 皆有陰陽之理 顧人不察耳. 
그러므로, 사람의 소리는 모두 음양의 이치가 있는데, 사람들이 살펴서 깨닫지 못한 것일 뿐이다.

 


今正音之作 
이제 훈민정음을 만드는 것은

 

初非智營而力索
처음부터 슬기로 마련하고, 애써서 찾은 것이 아니라

 


但因其聲音而極其理而已. 
다만 그 (원래에 있는)성음(의 원리)을 바탕으로 이치를 다한 것 뿐이다.

 


理旣不二 則何得不與天地鬼神同其用也. 
(음양의) 이치가 이미 둘이 아니니 어찌 천지 자연, (변화를 주관하는) 귀신과 그 사용을 같이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正音二十八字 各象其形而制之.
훈민정음 이십 여덟자는 각각 그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初聲凡十七字.
초성은 모두 열 일곱자다.

 

牙音ㄱ 象舌根閉喉之形.
아음(어금니 소리)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뜨고,



설음(혓 소리) ㄴ은 혀(끝)가 윗 잇몸에 붙는 모양을 본뜨고,

 

脣音ㅁ 象口形.
순음(입술소리) ㅁ은 입모양을 본뜨고,

 

齒音ㅅ 象齒形.
치음(잇 소리) ㅅ은 이빨 모양을 본뜨고,

 

喉音o 象喉形.
후음(목구멍 소리) ㅇ은 목구멍의 모양을 본뜬 것이다.

 

ㅋ比ㄱ 聲出稍  故加劃. 
ㅋ은 ㄱ에 비하여 소리나는게 세게 나는 까닭으로 획을 더하였다.

 

ㄴ而ㄷ ㄷ而ㅌ ㅁ而ㅂ ㅂ而ㅍ ㅅ而ㅈ ㅈ而ㅊ o而咬 咬而ㅎ
ㄴ에서 ㄷ, ㄷ에서 ㅌ, ㅁ에서 ㅂ, 
ㅂ에서 ㅍ, ㅅ에서 ㅈ, ㅈ에서 ㅊ, 
ㅇ에서 咬, 咬에서 ㅎ으로

 

其因聲加劃之義皆同 
그 소리(의 세기)를 바탕으로 획은 더한 뜻은 모두 같다.

 

而唯胱爲異.
그러나, 오직 胱이 된 것은 다르다.

 

半舌音ㄹ 半齒音壙 亦象舌齒之形而異其體 
無加劃之義焉.
반설음 ㄹ과 반치음 壙 역시 혀와 이의 모양을 본떠서 그 모양을 달리했지만, 획을 더한 의미는 없다.

 

夫人之有聲本於五行. 
무릇 사람이 소리(말소리)를 내는 것은 오행에 근본이 있는 것이므로 4계절에 어울려 보아도 어그러짐이 없고, 오음(궁상각치우)에 맞춰보아도 틀리지 않는다.(이후의 설명은 아설순치후의 순서가 아니라 발음기관의 가장 안쪽인 목구멍부터 바깥쪽으로 순서대로 설명함)

 

喉邃而潤 水也. 
목구멍은 (입안의) 깊은 곳에 있고, 젖어 있으니 (오행으로 보면) 물(水)이다.

 

聲虛而通 如水之虛明而流通也. 
소리는 허하고 통하여, 물이 맑아 훤히 들여다 보이고, 두루 통하는 것과 같다.

 

於時爲冬 於音爲羽. 
4계절로는 겨울에 속하고, 5음으로는 우(羽)음에 속한다.

 

牙錯而長 木也. 
어금니는 어긋나고 길어서, 오행의 나무(木)에 해당한다.

 

聲似喉而實 如木之生於水而有形也.
어금니 소리는 목구멍 소리와 비슷해도 실하기 때문에 나무가 물에서 생겨나지만 형체가 있는 것과 같다.

 

於時爲春 於音爲角.
4계절로는 봄에 속하고, 5음으로는 각(角)음에 속한다.

 

舌銳而動 火也 
혀는 날카롭고 움직여서 오행의 불(火)에 해당한다.

 

혀 소리가 구르고 날리는 것은 불이 이글거리며 활활 타오르는 것과 같다.

 

於時爲夏 於音爲徵 
4계절로는 여름에 속하고, 5음으로는 치(徵)음에 속한다.

 

齒剛而斷 金也. 
이는 단단하고 (무엇을) 끊으니 오행의 쇠(金)에 해당한다.

 

聲屑而滯. 如金之屑쇄而鍛成也. 
이 소리가 부스러지고 걸리는 것은 쇠가루가 단련되어 쇠를 이루는 것과 같다.

 

於時爲秋 於音爲商. 
4계절로는 가을에 속하고, 5음으로는 상(商)음에 속한다.

 

脣方而合 土也. 
입술은 모나지만 합해지므로 오행의 흙(土)에 해당한다.

 

聲含而廣 如土之含蓄萬物而廣大也.
입술 소리가 머금고 넓은 것은 흙이 만물을 감싸고 넓은 것과 같다.

 

於時爲季夏 於音爲宮.
4계절로는 늦여름에 속하고, 5음으로는 궁(宮)음에 속한다.

 

然水乃生物之源 火乃成物之用 故五行之中 水火爲大. 
그러나, 물은 (모든)생물의 근원이요 불은 (모든)생물을 이루는데 쓰이기 때문에, 오행가운데 물과 불이 가장 중요하다.

 

喉乃出聲之門 舌乃辨聲之管 故五音之中 喉舌爲主也
목구멍은 소리를 내는 문이요, 혀는 소리를 구별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오음(아설순치후) 가운데 후음과 설음이 주가 된다.

 

喉居後而牙次之 北東之位也. 
목구멍은 뒤에 있고, 어금니는 그 다음이므로 목구멍 소리는 북쪽, 어금니 소리는 동쪽이다. 

 

舌齒又次之 南西之位也. 
혀와 이가 그 다음이므로, 혓 소리는 남쪽, 잇 소리는 서쪽이다.

 

脣居末 土無定位而寄旺四季之義也. 
입술은 맨 끝에 있으니 흙은 일정한 방위없이 (북동남서쪽에) 붙어서 4계절(후, 아, 설, 치음)을 왕성하게 한다는 뜻이다.

 


是則初聲之中 自有陰陽五行方位之數也.
이런즉, 초성 가운데는 스스로 음양 오행 방위의 수가 있다.

 

又以聲音淸濁而言之.
또 성음의 청탁으로 말할 것 같으면,

 

ㄱㄷㅂㅈㅅ咬 爲全淸.
ㄱㄷㅂㅈㅅ咬는 전청이 되고,

 

ㅋㅌㅍㅊㅎ 爲次淸.
ㅋㅌㅍㅊㅎ는 차청이 되고

 

ㄲㄸㅃㅉㅆ肱 爲全濁.
ㄲㄸㅃㅉㅆ肱는 전탁이 되고,

 

胱ㄴㅁoㄹ壙 爲不淸不濁.
胱ㄴㅁoㄹ壙는 불청불탁이 된다.

 

ㄴㅁㅇ 其聲最不勵  故次序雖在於後 而象形制字則爲之始. 
ㄴㅁㅇ은 그 소리가 가장 거세지 않은 까닭으로 차례는 비록 뒤에 있지만 모양을 본떠서 글자를 만드는 기본으로 삼았다.

 

ㅅㅈ雖皆爲全淸 而ㅅ比ㅈ 聲不勵 故亦爲制字之始. 
ㅅㅈ은 비록 모두 전청자이지만, ㅅ이 ㅈ에 비하여 소리가 거세지 않은 까닭으로 (ㅅ을 치음) 글자 만드는 기본으로 삼았다.

 

唯牙之胱 雖舌根閉喉聲氣出鼻 
다만, 어금니 소리(아음)의 胱은 비록 혀뿌리가 후두를 막아 소리의 기운이 코로 나오지만,

 

而其聲與o相似 故韻書疑與喩多相混用 
그 소리가 ㅇ과 비슷하여 운서에서도 胱가 초성인 의(疑)자와 ㅇ이 초성인 유(喩)자가 자주 서로 섞여 사용된다.

 


今亦取象於喉 而不爲牙音制字之始.
(따라서) 지금 (胱자를) 목구멍에서 본떠 만들었으나, 어금니 소리의 글자를 만드는 기본으로 삼지 않은 것은

 

盖喉屬水而牙屬木 胱雖在牙而與o相似 猶木之萌芽生於水而柔軟 尙多水氣也.
대개 목구멍은 물(오행의 水)에 속하고, 어금니는 나무(오행의 木)에 속하여 胱은 비록 아음이지만, ㅇ과 비슷하여 마치 나무의 싹이 물에서 나지만 부드러워서 오히려 물기운이 많음과 같기 때문이다.

 

ㄱ木之成質. ㄱ은 나무가 바탕을 이룬 것이요,

 

ㅋ木之盛長 . ㅋ은 나무가 성장한 것이요,

 

ㄲ木之老壯. ㄲ은 나무가 나이들어 씩씩하게 된것이니

 

故至此乃皆取象於牙也. 여기까지 모두 어금니에서 모양을 취한 것이다.

 


全淸幷書則爲全濁. 전청자를 나란히 쓰면 전탁자가 되는것은

 

以其全淸之聲凝則爲全濁也. 전청소리가 엉기면 전탁이 되기 때문이다

 

唯喉音次淸爲全濁者. 오직 후음의 차청인 ㅎ이 (나란히 써서) 전탁자가 되는 것은

 


盖以咬聲深不爲之凝. 대개 咬은 소리가 깊어서 엉기지 않고

 

ㅎ比咬聲淺 故凝而爲全濁也. ㅎ은 咬에 비해 소리가 얕아서 엉기고, 전탁이 되는 것이다.

 


ㅇ連書脣音之下 則爲脣輕音者. ㅇ을 입술 소리 아래에 이어쓰면 순경음이 되는 것은

 


以輕音脣乍合而喉聲多也.
가벼운 소리로써 입술이 잠깐 닿기 때문에 (잠깐 닿았다가 입술을 떼기 때문에) 목구멍 소리가 많기 때문이다.

 

中聲凡十一字.
중성은 모두 11자이다.

 

촵舌縮而聲深 天開於子也. 
촵는 혀가 오그라져 소리가 깊으니 하늘이 子時에 열린 것과 같이 맨 먼저 만들어졌다.

 

形之圓 象乎天地. 
둥근 모양은 하늘을 본떴다.

 

ㅡ舌小縮而聲不深不淺 地闢於丑也. 形之平 象乎地也.
ㅡ는 혀가 조금 오그라져 소리가 깊지도 얕지도 않으니 땅이 丑時에 열린 것처럼 2번째로 만들어졌다. 평평한 모양은 땅을 본떴다.

 


ㅣ舌不縮而聲淺 人生於寅也. 形之立 象乎人也.
ㅣ는 혀가 오그라지지 않아 소리가 얕으니 사람이 寅時에 생긴 것처럼 3번째로 생겼다. 일어선 모양을 한 것은 사람을 본떴다.

 


此下八聲. 一闔一闢. 
이 밑의 여덟 소리는 하나는 합(원순모음) 이고 하나는 벽(非원순모음)이다.

 

ㅗ與촵同而口蹙 其形則촵與ㅡ合而成 取天地初交之義也.
ㅗ는 촵와 같으나 입이 오그라지며, 그 모양은 촵와 ㅡ가 어울려 이룸이며, 하늘과 땅이 처음 어우르는 뜻을 취하였다.

 

ㅏ與촵同而口張 其形則ㅣ與촵合而成 取天地之用發於事物待人而成也.
ㅏ는 촵와 같으나 입이 펴지며, 그 모양은 ㅣ와 촵가 어울려 이룸이며, 우주의 작용은 사물에서 나지만 사람을 기다려 이루어지는 뜻을 취하였다.

 

ㅜ與ㅡ同而口蹙 其形則ㅡ與촵合而成 亦取天地初交之義也.
ㅜ는 ㅡ와 같으나 입이 오그라지며, 그 꼴은 ㅡ와 촵가 어울려 이룸이며, 역시 하늘과 땅이 처음 어우르는 뜻을 취함이라.

 

ㅓ與ㅡ同而口張 其形則촵與ㅣ合而成 亦取天地之用發於事物待人而成也.
ㅓ는 ㅡ와 같으나 입이 펴지며, 그 꼴은 촵와 ㅣ가 어울려 이룸이며, 역시 우주의 작용은 사물에서 나지만 사람을 기다려 이루어지는 뜻을 취하였다.

 

ㅛ與ㅗ同而起於ㅣ. 
ㅛ와 ㅗ는 같으나 ㅣ에서 시작되고, 
(ㅣ 발음과 ㅗ발음을 연이어하는 발음이라는 뜻이다.)

 

ㅑ與ㅏ同而起於ㅣ. 
ㅑ와 ㅏ는 같으나 ㅣ에서 시작되고,

 

ㅠ與ㅜ同而起於ㅣ. 
ㅠ와 ㅜ는 같으나 ㅣ에서 시작되고,

 

ㅕ與ㅓ同而起於ㅣ. 
ㅕ와 ㅓ는 같으나 ㅣ에서 시작된다.

 

ㅗㅏㅜㅓ始於天地 爲初出也. 
ㅗ,ㅏ,ㅜ,ㅓ는 하늘과 땅에서 비롯되어, 처음으로 생긴 것이다.

 

ㅛㅑㅠㅕ起於ㅣ而兼乎人 爲再出也. 
ㅛ,ㅑ,ㅠ,ㅕ는 ㅣ에서 일어나 사람을 겸하여 두 번째로 생긴 것이다.

 

ㅗㅏㅜㅓ之一其圓者 取其初生之義也. 
ㅗ,ㅏ,ㅜ,ㅓ가 둥근 것을 하나로 함은 처음에 생긴 뜻을 나타내고,

 

ㅛㅑㅠㅕ之二其圓者 取其再生之義也. 
ㅛ,ㅑ,ㅠ,ㅕ가 둥근 것을 둘로 함은 두 번째로 생긴 뜻을 나타낸다.

 

ㅗㅏㅛㅑ之圓居上與外者 以其出於天而爲陽也. 
ㅗ,ㅏ,ㅛ,ㅑ의 둥근 것이 위나 밖에 있는 것은 그것이 하늘에서 생겨나 陽이 되기 때문이다. (양성모음이다.)

 

ㅜㅓㅠㅕ之圓居下與內者 以其出於地而爲陰也. 
ㅜ,ㅓ,ㅠ,ㅕ의 둥근 것이 아래나 안에 있는 것은 그것이 땅에서 생겨나 陰이 되기 때문이다. (음성모음이다.)

 

촵之貫於八聲者 猶陽之統陰而周流萬物也. 
촵가 여덟 소리에 두루 사용된 것은 양이 음을 거느리며 온갖 사물에 두루 미침과 같다.

 

ㅛㅑㅠㅕ之皆兼乎人者 以人爲萬物之靈而能參兩儀也. 
ㅛ,ㅑ,ㅠ,ㅕ가 모두 사람을 겸함은 사람은 만물의 영장으로 능히 음양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取象於天地人而三才之道備矣. 
하늘과 땅과 사람의 모양을 취하므로 三才의 이치를 갖추느니라.

 

然三才爲萬物之先 而天又爲三才之始
그러나 三才가 만물의 앞이더라도 하늘이 또한 三才의 시작이니

 

猶촵ㅡㅣ三字爲八聲之首 而촵又爲三字之冠也.
촵,ㅡ,ㅣ 석 자가 여덟 소리의 머리가 되며 다시 촵가 석 자의 으뜸이 되었다.

 

ㅗ初生於天 天一生水之位也. 
ㅗ는 하늘에서 먼저 생겼는데, 天數 1은 물을 낳는 자리이다.

 

ㅏ次之 天三生木之位也. 
ㅏ는 그 다음으로, 天數 3은 나무를 낳는 자리이다.

 

ㅜ初生於地 地二生火之位也. 
ㅜ는 땅에서 처음 생겼는데, 地數 2는 불을 낳는 자리이다.

 

ㅓ次之 地四生金之位也.
ㅓ는 그 다음으로, 地數 4는 쇠를 낳는 자리이다.

 

ㅛ再生於天 天七成火之數也. 
ㅛ는 하늘에서 두번째로 생겼는데, 天數 7은 불을 성숙시키는 자리이다.

 

ㅑ次之 天九成金之數也. 
ㅑ는 그 다음으로, 天數 9는 쇠를 성숙시키는 자리이다.

 

ㅠ再生於地 地六成水之數也. 
ㅠ는 땅에서 두번째로 생겼는데, 地數 6은 물을 성숙시키는 자리이다.

 

ㅕ次之 地八成木之數也.
ㅕ는 그 다음으로, 地數 8은 나무를 성숙시키는 자리이다.

 

水火未離乎氣 陰陽交合之初 故闔. 
물과 불은 아직 氣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음과 양이 서로 어우르는 시초이니 오므라진다.(원순모음이 된다.)

 


木金陰陽之定質 故闢.
나무와 쇠는 음양이 고정된 바탕이니 펴진다.(非원순모음 즉 평순모음이 된다.)

 

촵天五生土之位也. ㅡ地十成土之數也. 
촵는 天數 5로, 흙을 낳는 자리이다. ㅡ는 地數 10으로 흙을 성숙시키는 數이다.

 

ㅣ獨無位數者 盖以人則無極之眞 二五之精 妙合而凝 
ㅣ에만 혼자 자리수가 없음은 대개 사람은 無極의 정수로, 음양오행의 정기가 신묘하게 어울려 엉긴 것으로,

 

固未可以定位成數論也. 
ㅣ에만 혼자 자리수가 없음은 대개 사람은 無極의 정수로, 음양오행의 정기가 신묘하게 어울려 엉긴 것으로, 본래 정해진 자리나, 성숙시키는 자리가 논해질 수 없기 때문이다.

 

是則中聲之中 亦自有陰陽五行方位之數也.
이는 곧 중성의 가운데에서도
또한 음양,오행,방위의 자리수가 있기 때문이다.

 

以初聲對中聲而言之.
초성 대 중성으로써 말하면,

 

陰陽 天道也. 剛柔 地道也. 
陰陽은 하늘의 이치요, 剛柔는 땅의 이치라.

 

中聲者 一深一淺一闔一闢 
중성이 한편으로 깊으면, 다른 한편은 얕고, 또 한편이 합이면, 다른 한편은 벽이니, (모음이 상호 대립적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

 


是則陰陽分而五行之氣具焉 天之用也. 
이는 곧 음양으로 나뉘나 오행의 기운을 갖추고 있는 것이니 하늘(촵)의 작용이다.


초성이 허하고, 실하고, 날리고, 엉기고, 무겁고, 가벼운 것은,

 

是則剛柔著而五行之質成焉 地之功也. 
곧 剛柔가 나타나 오행의 바탕이 이루어진 것이니, 땅의 功이다.

 

中聲以深淺闔闢唱之於前 初聲以五音淸濁和之於後 
중성이 심,천,합,벽으로 앞의 것(초성)을 부르면, 초성은 5음의 청,탁으로 뒤의 것 (중성)에 화답하는데,

 

而爲初亦爲終 亦可見萬物初生於地 復歸於地也.
초성이 되기도 하고, 종성이 되기도 하는 것은 역시 만물이 땅에서 처음 나서 다시 땅으로 돌아가는 이치와 같다.

 

初中終合成之字 以初中終合成之字言之
초, 중, 종성이 어울려 이루는 글자 (음절)에 대해 말하자면,

 

亦有動靜互根陰陽交變之義焉. 
마찬가지로 움직임과 멎음이 서로 근본이 되어 음과 양이 어우러져 바뀌는 뜻이 있으니


動者 天也. 靜者 地也. 兼互動靜者 人也. 
움직이는 것은 하늘(초성)이요, 멎어 있는 것은 땅(종성)이며, 움직임과 멎음을 겸한 것은 사람(중성)이라.

 

盖五行在天則神之運也 在地則質之成也. 
대개 오행은 하늘에 있은 즉 신의 운행이요, 땅에 있는 즉 바탕의 이룸이다.

 

在人則仁禮信義智神之運也 肝心脾肺腎質之成也.
사람에게 있은 즉 仁,禮,信,義,智는 신의 운행이요, 간장, 심장, 비장, 폐장, 신장은 바탕의 이룸이다.

 

初聲有發動之義 天之事也. 
초성에는 일어나 움직이는 뜻이 있으니, 이는 하늘이 하는 일이며,

 

終聲有止定之義 地之事也. 
종성에는 멎어 정하게 하는 뜻이 있으니, 이는 땅이 하는 일이라.

 

中聲承初之生 接終之成 人之事也. 
중성은 초성의 생김을 이어 종성의 이룸에 잇대주니 사람이 하는 일이다.

 

盖字韻之要 在於中聲 初終合而成音. 
대개 자운(음절)의 허리는 중성에 있는데, 초성과 종성을 어우러 소리를 이룬다.

 

亦猶天地生成萬物 而其財成輔相則必賴乎人也.
이는 역시 하늘과 땅이 만물을 생성하되 그 조절과 보충은 반드시 사람에 힘입음과 같다.

 

終聲 復用初聲者 以其動而陽者乾也 靜而陰者亦乾也 
종성에 초성을 다시 씀은, 그것이 움직여 양이 된 것도 乾이요, 멎어 음이 된 것도 乾때문이니,

 

乾實分陰陽而無不君宰也.
乾은 실로 음양으로 나뉘어 주재하여 다스리지 않음이 없기 때문이다.

 

一元之氣 周流不窮 四時之運 循環無端 
태초의 기운이 두루 흘러 다하지 않으매, 4철의 운행이 순환하여 끝이 없으므로

 

故貞而復元 冬而復春. 
貞에서 다시 元이 되고, 겨울이 다시 봄이 되니,

 

初聲之復爲終 終聲之復爲初 亦此義也.
초성이 다시 종성이 되고 종성이 다시 초성이 됨도 역시 이러한 이치니라.

 

旴. 正音作而天地萬物之理咸備 其神矣哉
아, 정음이 만들어져 천지 만물의 이치를 모두 갖추니, 그 신이로움이여.

 

是殆天啓聖心而假手焉者乎.
이는 아마도 하늘이 성군(세종대왕)의 마음을 여시고, 그 솜씨를 빌려주신 것이 아니겠는가?

 

 

 


▶ 3. 훈민정음 해례본 ; 初聲解

 

 

正音初聲 卽韻書之字母也. 聲音由此而生 故曰母. 
正音의 초성은 즉 韻書의 자모이니, 말소리가 이로부터 생겨나므로 '모'라 한다.


어금닛소리 君자의 초성은 ㄱ으로,ㄱ과 운('ㅇ'가 없어야 하는데 표기가 안되네요)이 어울려 군이된다. 

 

快字初聲是ㅋ ㅋ與ㅙ而爲쾌. 
快자의 초성은 ㅋ으로,ㅋ과 ㅙ가 어울려 쾌가 된다.

 

뀨字初聲是ㄲ ㄲ與ㅠ而爲뀨. 
뀨자의 초성은 ㄲ으로,ㄲ과 ㅠ가 어울려 뀨가 된다.


業자의 초성은 胱 으로,胱 과 업이 어울려 업이 되는 따위이다.

 

半舌半齒之閭穰 皆倣此. 
혓소리 斗,呑,覃,那, 입술소리 별,漂,步,彌, 잇소리 卽,侵,慈,戌,邪, 목소리 읍,虛,洪,欲,반혀.반잇소리 閭,穰, 모두 이를 따른다.(마찬가지 원리이다)

 

 

 


▶ 4, 훈민정음 해례본 ; 中聲解

 

 

中聲者 居字韻之中 合初終而成音
중성은 음절(字韻)의 가운데 놓여 초.종성과 합하여져 소리를 이룬다.


''자의 중성은 촵로, 촵가 ㅌ과 ㄴ 사이에 놓여 ''이 되고,

 

卽字中聲是ㅡ ㅡ居ㅈㄱ之間而爲즉.
卽자의 중성은 ㅡ로, ㅡ가 ㅈ과 ㄱ 사이에 놓여 '즉'이 되고,

 

侵字中聲是ㅣ ㅣ居ㅊㅁ之間而爲침之類.
侵자의 중성은 ㅣ로, ㅣ가 ㅊ과 ㅁ 사이에 놓여 '침'이 되는 따위와 같다.

 

洪覃君業欲穰戌별  皆倣此.
洪,覃,君,業,欲,穰,戌,별, 모두 이를 따른다.

 

二字合用者 
두 자가 합하여져서 쓰이는 중성은,

 

ㅗ與ㅏ同出於촵 故合而爲ㅘ. 
ㅗ와 ㅏ는 똑같이 촵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져서 ㅘ가 된다.

 

ㅛ與ㅑ又同出於ㅣ 故合而爲巧.
ㅛ와 ㅑ는 또 똑같이 ㅣ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져서 巧가 된다.

 

ㅜ與ㅓ同出於ㅡ 故合而爲ㅝ.
ㅜ와 ㅓ는 똑같이 ㅡ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져서 ㅝ가 된다.

 

ㅠ與ㅕ又同出於ㅣ 故合而爲餃. 
ㅠ와 ㅕ는 또 똑같이 ㅣ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져서 '餃'가 된다.

 

以其同出而爲類 故相合而不悖也. 
그들은 모두 똑같이 나와 같은 類가 되었으므로, 서로 어우러짐에 어그러짐이 없다

 

一字中聲之與ㅣ相合者十 ㅓㅢㅚㅐㅟㅔ絞ㅒ久ㅖ是也. 
한 字짜리 중성이 ㅣ와 어울린 것은 10개로, ㅓ,ㅢ,ㅚ,ㅐ,ㅟ,ㅔ,絞,ㅒ,久,ㅖ, 그것이다.

 

二字中聲之與ㅣ相合者四 ㅙㅞ橋餃是也. 
두 字짜리 중성이 ㅣ와 어울린 것은 4개로, ㅙ,ㅞ,橋,餃, 그것이다.

 

ㅣ於深淺闔闢之聲 幷能相隨者 
ㅣ가, 심천합벽의 소리에 두루 능히 서로 따를 수 있는 것은,


그것이 혀가 펴지고 소리가 얕아 입을 벌리기에 편하기 때문이다.

 

亦可見人之參贊開物而無所不通也.
역시 사람이 만물을 여는 데 참여하여 통하지 않음이 없음을 볼 수 있다.

 

 

 

 

▶ 5. 훈민정음 해례본 ; 종성해

 

終 聲 解

 

終聲者. 承初中而成字韻. 如卽字終聲. 是 ㄱ.
ㄱ 居 즈 終而爲 즉, 洪字終聲 是 胱. 胱居 終而爲 之類

종성이란 것은 초성과 종성으로 이어받아서 자운을 이루는 것이다.
가령 즉 자의 종성은 ㄱ 이니 ㄱ 은 「즈」의 끝에 있어서 「즉」이 되고  
자의 종성은  이니  은 「 」의 끝에 있어서 「 」이 되는 것 따위와 같다.

 


舌脣齒喉皆同. 聲有緩急之殊. 故 乎上去 其終聲
不類入聲之促急. 不淸不濁之字 其聲 不?. 故 用於 
終則宜於乎上去. 全淸次淸全濁之字. 其聲爲?. 故
用於終則宜於入. 所以.  ㄴㅁㄹ 六字 爲乎上去聲
之終. 而餘 皆位入聲之終也

혀소리 입술소리 닛소리 목구멍소리도 마찬가지나 
소리에는 느리고 빠름의 다름이 있으므로 평성, 상성, 거성은 그 방법이 입성의 촉급과 같지 않고
불청 불탁의 글자는 그 소리가 세지 않는 까닭에 받침으로쓰면 입성에 마땅하다.
그러므로  ㄴㅁㄹ 여섯자는 평성, 상서, 거성의 받침이 되고 그나머지는 다 입성의 받침이 된다.

 


然 ㄱ ㄷㄴㅂㅁㅅㄹ八字 可足用也. 如 빚곶 爲梨花
ㅇ의갗爲狐皮. 而八字 可以通用. 故 只用八字. 且 ㅇ 은
聲炎而虛. 不必用於終. 而中聲 可得成音也. ㄷ 如 ㅂ 爲霰
ㄴ如군 爲君. ㅂ如업 爲業. ㅁ如땀爲覃. 人如 諺語옷爲衣.
ㄹ如 諺語실爲 絲之類.

그러나 ㄱ ㄴ ㄷ ㄴ ㅂ ㅁ ㅅ ㄹ 여덟자만으로도 족히 쓸 수 있다.
가령 빚곶에는 ㅈ 이오 ㅇ의갗(狐皮)에는 ㅊ이나 ㅅ 자로서 가히 통혀 쓸 수 있는 까닭에 자만 ㅅ 자로 쓰고
또 ㅇ 은 소리가 맑고 비어서 반드시 받침에 쓰지 않아도 ㅂ 은 업의 받침이 되고 ㅁ 은 땀의 받침이 되고
ㅅ 은 속말로 옷의 받침이 되고 ㄹ 은 속말고 실의 받침이 되는 것 따위와 같다. .

 


五音之緩急. 亦名自爲對. 女牙之   與 ㄱ 爲對. 而 
促呼則變爲 ㄱ 而急. ㄱ 舒出則變爲   而緩. 舌之 ㄴ ㄷ
脣之 ㅁ ㅂ. 齒之   ㅅ. 喉之 ㅇ ㄴ. 其緩急相對. 亦병是也

오음은 느리고 빠름이 각각 저절로 대가 되어있다. 
가량 엄소리   은 ㄱ 과 대가 되니  을 빠르게 부르면 ㄱ 으로 변하여 급해지고
ㄱ을 천천히 내면   으로 바뀌어 느리니 혀소리의 ㄴ ㄷ 과 입술소리의 ㅁ ㅂ 과 
잇소리의   ㅅ 과 목구멍소리의 ㅇ ㄴ은 그 느리고 빠름의 상대가 또한 이와 같다.

 


且半舌之 ㄹ. 當用於諺. 而不可用於文. 如入聲之霰字.
終聲 當用 ㄷ. 而 俗習讀 ㄹ. 盖 ㄷ 變而爲輕也. 苦用 
ㄹ 爲霰之終. 則其聲 舒緩. 不爲入也. 訣 曰

또 반혀소리 ㄹ 은 마땅이 우리말이나 쓸것이요 한자음에는 쓸 스 없는 것이니 
가령 입성의 별자도 받침에 마땅이 ㄷ을 써야만 될 것이나 시속에 ㄹ 로 읽으니 대가 ㄷ 이 바뀌어 가볍게 될 것이다.
만약 ㄹ을 별자의 받침으로 쓴다면 그 소리가 느리어 입성이 되지 않는다. 
결로 말하면

 


不淸不濁用於終. 爲乎上去不爲入.

불청불탁을 받침에 쓴다면 평, 상, 거성이 되고 입성이 되지 않으며

 


全淸次淸及全濁. 皆是爲入聲促急.

전청과 차청 또 전탁은 모두 다 입성이 되어 촉급하다.

 


初作終聲理固然 只將八子用不窮

초성이 되는 이치는 그러하나 다만 여덟자만 써도 궁하지 않다.

 


唯有俗聲所當處 中聲成音亦可通

오직 ㅇ 소리만은 마땅히 쓸데에 중성으로 음을 이루어 가히 통하리라.

 


若書卽字終用君 洪霰赤以業斗終

만약 즉 자를 쓰려면 ㄱ을 끝에 쓰고,  에는  이요 별에 ㄷ 이 끝이니

 


君業當終又如何 以那霰彌次第推

군, 업, 담자의 받침은 또 어떠할가 ㄴ ㅂ ㅁ 차례로써 미루어 알리라.

 


六聲通乎文與諺 戌閭用於諺衣絲

여섯자는 한자와 우리말에 두루쓰고 옷과 실의 ㅅ ㄹ 은 우리말에만 쓴다.

 


五音緩急名自對 君聲 是業之促

오음의 완급이 다 각각 대가 되니 ㄱ 소리는   소리를 빠르게 낸 것이요

 


斗霰聲終爲那彌 穰欲亦對戌與

ㄷ ㅂ 소리가 느리면 ㄴ ㅁ 이되고   ㅇ 은 ㅅ ㄴ과 더불어 대가 된다.

 


閭宜於諺不宜文 斗輕爲閭是俗習

ㄹ 은 우리말에는 쓰나 한자에는 않쓰고 ㄷ 이 가볍게 ㄹ 됨은 시속의 습관이라

 

 

 

 

▶ 6. 훈민정음 해례본-합자해

 

 

初中終三聲 合而成字. 初聲或在中聲之上 或在中聲之左.
초.중.종 3성은 어울려야 글자를 이룬다. 초성은 중성의 위에 놓이거나 왼쪽에 놓인다

 

如君字ㄱ在ㅜ上 
'군'字의 ㄱ이 ㅜ 위에 있고

 

業字胱在ㅓ左之類.
'업'字의 ㅇ이 ㅓ 왼쪽에 있는 따위와 같다.

 

中聲則圓者橫者在初聲之下 촵ㅡㅗㅛㅜㅠ是也.
중성의 '둥근 것'과 '가로로 된 것'은 초성의 아래에 놓이는데, 촵ㅡ,ㅗ,ㅛ,ㅜ,ㅠ 그것이다.

 

縱者在初聲之右 ㅣㅏㅑㅓㅕ是也.
'세로로 된 것'은 초성의 오른쪽에 놓이는데, ㅣ,ㅏ,ㅑ,ㅓ,ㅕ 그것이다.

 

如呑字촵在ㅌ下

 

卽字ㅡ在ㅈ下 
'즉'字의 ㅡ는 ㅈ의 아래에 놓이고,

 

侵字ㅣ在ㅊ右之類.
'침'字의 ㅣ는 ㅊ의 오른쪽에 놓이는 따위와 같다.

 

終聲在初中之下.
종성은 초.중성의 아래에 놓인다.

 

如君字ㄴ在구下 
'군'字의 ㄴ은 구의 아래에 놓이고,

 

初聲二字三字合用幷書
초성의 두세字를 합용병서는 


各自幷書 如諺語 
각자병서는우리말의 혀는 舌을 말하고,

 

소다爲覆物而쏘다爲射之之類.
소다는 물건을 덮는다는 뜻이고, 
쏘다는 물건을 발사한다는 뜻이다.

 

中聲二字三字合用 如諺語.과爲琴柱 .홰爲炬之類.
중성의 두,세 字짜리는 어울려 쓰임이 우리말의 .과琴柱, .홰炬와 같다.

 

終聲二字三字合用 如諺語흙爲土 .낛爲釣 닭때爲酉時之類.
종성의 두,세 字짜리는 어울려 쓰임은 우리말의 흙이土를 뜻하고, 낛이 낚시를 뜻하고, 닭때는 酉時의 뜻이다.

 

其合用幷書 自左而右 初中終三聲皆同. 
합용병서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것이 초중종성 3성에 모두 해당된다.

 

文與諺雜用則有因字音而補以中終聲者
漢文과 우리말을 뒤섞어 쓸 경우, 漢字의 音으로 인해 중.종성으로 보충하는 일이 있으니,

 

如孔子ㅣ魯ㅅ사람之類.
孔子에 주격조사가 붙으면, 孔子ㅣ라 표기하고, 魯에 사이시옷이 붙으면 魯ㅅ사람으로 표기하는 것과 같다.

 

諺語平上去入 如활爲弓而其聲平 돌爲石而其聲上 갈爲刀而其聲去 붇爲筆而其聲入之類. 
우리말의 평.상.거.입성은 활弓-평성, 돌石-상성, 갈刀-거성, 붇筆-입성 과 같다.

 

凡字之左 加一點爲去聲 二點爲上聲 無點爲平聲 
모든 글자의 왼쪽에 1점을 더하면 거성, 2점이면 상성, 점이 없으면 평성이고,

 

而文之入聲 與去聲相似.
중국자음의 입성은 (우리말의) 거성과 비슷하지만,

 

諺之入聲無定 或似平聲 如긷爲柱 녑爲脅. 或似上聲 如:낟爲穀 :깁爲繒. 
或似去聲 如.몯爲釘 .입爲口之類.
우리말 입성은 정해진 바가 없으니, 평성과 비슷하여, 긷柱, 녑脅과 같이 되고
상성과 비슷하여, :낟穀, :깁繒과 같거나
거성과 비슷하여, .몯釘, .입口과 같아지는 따위이나,

 


其加點則與平上去同.
그 점찍기는 평.상.거성과 같다.

 

平聲安而和 春也 萬物舒泰. 
평성은 수월하고 부드러우니 봄이며, 만물이 천천히 피어 자람이라.

 

上聲和而擧 夏也 萬物漸盛. 
상성은 부드러우며 높아지니 여름이며, 만물이 점차 盛함이라.

 

去聲擧而壯 秋也 萬物成熟. 
거성은 높아지면서 단단해지니 가을이며, 만물의 성숙이라.

 

入聲促而塞 冬也 萬物閉藏. 
입성은 빠르며 막히니 겨울이며, 만물이 문득 자취를 감춤이라.

 

初聲之咬與o相似 於諺可以通用也. 
초성의 咬과 o은 서로 비슷하여 우리말에서 통용될 수 있다.

 

半舌有輕重二音. 然韻書字母唯一 
반혓소리에는 가볍고 무거움의 두 소리가 있다. 그러나 韻書의 字母에서는 (구별하지 않고) 오직 하나로 하였고,

 

且國語雖不分輕重 皆得成音.
또한 우리나라말에서는 비록 가볍고 무거움으로 나누지 않으나 모두 말소리가 될 수 있다.

 

若欲備用 則依脣輕例
만일 별도로 쓰고자 한다면, 입술가벼운소리의 보기를 따라,

 

o連書ㄹ下 爲半舌輕音 舌乍附上月 . 
o을 ㄹ 아래 붙여 써 '반입술가벼운소리'가 되는데, 혀가 윗잇몸에 잠깐만 붙는다.

 

촵ㅡ起ㅣ聲 於國語無用. 兒童之言 邊野之語 或有之 
촵와ㅡ가 ㅣ소리에서 일어난 소리는 우리 나라말에서 쓰임이 없고, 어린이 말이나 시골 말에 간혹 있기도 하는데,마땅히 두 글자를 어울려 쓸 것이니

 


其先縱後橫 與他不同.
그 세로로 된 글자를 먼저 쓰고 가로로 된 글자를 나중에 쓴 글자는 다른 글자(가로로 된 글자를 먼저쓰고, 세로로 된 글자를 나중에 쓴 글자)와 다르다.

 

 

▶ 7. 훈민정음 해례본-용자례

 

 

用字例(용자례)

 

初聲ㄱ.는 如:감爲枾.요 ㄱ爲蘆.요 ㅋ.는 如우.케爲未春稻.요 콩爲大豆.요 ㅇ.는 如러.울爲獺.이요 서.에爲流 요 ㄷ.는 如.뒤爲茅.요 .담爲墻.이요 ㅌ.는 如고.티爲繭.이요 두텁爲蟾 .요 ㄴ.는 如노로爲獐.이요 납爲猿이요 ㅂ.는 如볼爲臂.요 :벌爲蜂.이요 ㅍ.는 如.파爲 .이요 .ㅍ爲蠅.이요 ㅁ.는 여:뫼爲山.이요 .마爲薯 .요  .는 如사. 爲蝦.요 드 爲瓠.요 ㅈ.는 如 .자爲 尺.이요 죠.ㅎㅣ爲紙.요 ㅊ.는 如.체爲麗요. .채爲鞭.이요 ㅅ.는 여. 손爲手.요 :셤爲島.요 ㅎ.는 如.부헝爲 .요 .힘爲筋.이요. ㅇ.는 如.비육爲鷄碼雛.요 .ㅂ얌爲蛇.요 ㄹ.는 如.무뤼爲 雹.요 어·름爲氷.이요 ㅎ.는 如아ㅎ爲弟.요 :너ㅎㅣ 爲 .니 라

 

 

초성 ㄱ은 [:감]이 시(枾)가 되고 [ㄱ]이 노(蘆)가 됨과 같으며 ㅋ은 [우·케]가 미용도(美春 )가 되고 [콩]이 대두(大豆)가 됨과 같으며 ㅎ은 [러·울]이 달(獺)이 되고 [서·에]가 유시(流 )가 됨과 같으며 ㄷ는 [·뒤]가 모(茅)가 되고 [·담]이 장(墻) 이 됨과 같으며 ㅌ은 [고티]가 견(繭)이 되고 [두텁]이 섬여(蟾 )가 됨과 같으며 ㄴ은 [노로]가 장(獐)이 되고 [납]이 원(猿)이 됨과 같으며 ㅂ은 [볼]이 비(臂)가 되고 [:벌]이 봉(蜂)이 됨과 같으며 ㅍ은 [·파]가 총( )이 되고 [·ㅍ]이 승(蠅)이 됨과 같 으며 ㅁ은 [뫼]가 산(山)이 되고 [·마]가 서여(薯 )가 됨과 같으며  는 [사· ]가 하(蝦)가 되고 [드· ]가 호(瓠)가 됨과 같으며 ㅈ는 [·자]가 척(尺)이 되고 [조·ㅎㅣ]가 지(紙)가 됨과 같으며 ㅊ은 [·체]가 사(麗)가 되고 [·채]가 편(鞭)이 됨과 같으며 ㅅ은 [·손]이 수(手)가 되고 [:셤]이 도(島)가 됨과 같으며 ㅎ은 [·부헝]이 휴류( )가 되고 [·ㅂ얌]이 사(蛇)가 됨과 같으며 ㄹ는 [·무뤼]가 박(雹)이 되고 [어·름]이 빙(氷)이 됨과 같으며 ㅎ는 [아ㅎ]가 제(第)가 되고 [:너ㅎㅣ ]가 보( )가 됨과 같다.

 

 

우.게… 벼(稻)지금까지 경상도 방언에 남아 있음 러.울…너구리(獺)
서에…성에(流 , 氷茂子) 두텁…두께비(蟾 ) 납…원숭이 또는 잔나 비(猿, ) ㅂ…팔(臂) ㅍ…파리(蠅) 사.  ㅣ…새우(蝦) 드 …박(瓢, 瓠). .비육…병아리(鷄雛) :너ㅎㅣ…넉새( )

 

 

中聲●.는 如.ㅌ爲 .요 .풋小豆.요 ㄷ리爲橋.요 .ㄱ래爲楸.요 一.는 如·믈爲水.요 . 발·측 爲 .이요 그력爲上.이됴 드·레爲汲器.요 ㅣ.는 如·깃爲巢요 :밀爲蠟.이요 .피爲稷.이요 .키爲箕.요 ㅗ.는 如·논爲水田.이요. 톱爲鉅.요 호·민爲 .요 버·로爲硯.이요 ㅏ.는 如·밥爲飯.이요 .낟爲鎌.이요 구리爲銅. 이요 ㅓ.는 如브ㅓ爲 .요 :널爲板.이요 서리爲 霜.이요 버·들爲柳.요 ㅛ.는 如:죵爲奴.요 .고욤爲 .이요 . 쇼爲牛.요 삽됴爲創朮菜.요 ㅑ.는 如남샹爲龜.요 약爲龜 .이요 다·야爲 .요 쟈감爲蕎麥皮.요 ㅠ.는 如율ㅁ爲薏苡. 요ㅈ爲 飯초.요 슈·룹爲雨 .이요 쥬련爲 .요 ㅕ.는 如.엿爲飴糖.이요 .뎔爲佛寺.요 벼爲稻.요 : 져비爲燕.이니라

 

 

중성 ●는 [.ㅌ]이 이( )가 되고[.풋]이 소두(小豆)가 되고 [ㄷ리]가 교(橋)가 되고 [ㄱ래]가 추(楸)가 됨과 같으며 一는 [.믈]이 수(水)가 되고 [.발.측]이 근( )이 되고 [그력]이 안(上)이 되고 [드. 레]가 급기(汲器)가 됨과 같으며 ㅣ는 [깃]이 소(巢)가 되고 [:밀]이 납(蠟)이 되고 [.피]가 직(稷)이 되고 [ .키]가 기(箕)가 됨과 같으며 ㅗ는 [.논]이 수전(水田)이 되고 [.톱]이 거(鉅)가 되고 (호 .민)가 서( )가 되고 [벼.로]가 연(硯)이 됨과 같으며 ㅏ는[.밥]이 반(飯)이 된고 [. 낟]이 겸(鎌)이 도고 [이.아]가 종(綜)이 되고 [사.ㅅ]이 녹(鹿)이 됨과 같으며 ㅜ는 (숫)이 탄(炭 )되고 [.울]이 이( )가 되고 [누.에]가 잠( )이 되고 [구.리]가 동(銅)이 됨과 같으며 ㅓ는 [ 브 ㅓ]이 조( )가 되고 [:널]이 판(板)이 되고 [서리]가 상(霜)이 되고 [고.욤]이 영( )이 되고 [샵도]가 창출채(創朮菜)가 됨과 같으며 ㅑ는 [남샹]이 구(龜)가 되고 [약]이 구벽(龜 )이 되며 [다.야]가 이( )가 되고 [쟈감]이 교맥 피(蕎麥皮)가 됨과 같으며 ㅠ는 [율ㅁ]가 의이(薏苡)가 되고 [ㅈ]이 반초(飯초)가 되고 [슈.륩]이 우산(雨傘)이 되고 [쥬련]이 세( )가 됨과 같으며 ㅕ는 [.엿]이 이당(飴糖)이 되고 [.뎔]이 불사(佛寺)가 되고 [. 벼]가 도(稻)가 되고 [:져비]가 연(燕)이 된다는 것과 같다.

 

풋…팥(小豆, 荳) 발·측…발뒤꿈치( , 踵) 이·아…잉아(綜) 베틀에 쓰이는 실 브ㅓ…(조, 두) 샵도…창출뿌리(蒼朮, 山精, 仙朮) 약…거북의 이름(龜 ) 쟈감…메물껍질(蕎麥皮) ㅈ…밥주걱(초) 슈룹…우산(雨傘) 다·야…대여( ) 세수그릇

 

終聲ㄱ.은 如닥爲楮.요 독爲擁.이요 ㅎ.은 如 :굼벙爲 .요 .올창爲 ?.요 ㄷ.은 如.갇爲笠.이요 싣爲楓.이요 ㄴ. 은 如.神位 .요 .반되爲螢.이요 ㅂ.은 如섭'爲薪.이요 굽爲蹄.요 ㅁ.은 如:범爲虎.요 :ㅅㅣ爲泉.이요 ㅅ. 은如:잣爲海松.이요 .못爲池.요 ㄹ.은 如.ㄷ爲月.이요 :별爲星之類.니라

 

종성 ㄱ은 [닥]이 저(楮)가 되고 [독]이 옹(甕)이 됨과 같으며, ㅎ은 [:굼벙]이 제조( )가 되고 [.울창]이 과두( ?)가 되는 것과 같으며, ㄷ은 [.갇]이 입(笠)이 되고 [싣]이 풍(楓)이 됨과 같으며, ㄴ은 [신]이 구( )가 되고 [ .반되]가 형(螢)이 됨과 같으며 ㅂ은 [섭]이 신(薪)시 되고 [굽]이 제(蹄)가 됨과 같으며, ㅁ은 (:범)이 호(虎)가 되 고 [.ㅅㅣ]이 천(泉)이 됨과 같으며, ㅅ은 [:잣]이 해송(海松)이 되고 [.못]이 지(池)가 됨과 같으며, ㄹ 은 [.ㄷ]이 월(月)이 되고 [:별]이 성(星)이 되는 것 따위와 같다.

닥…닥나무(楮) 종이 만드는 나무 싣…단풍나무(楓)
섭…섶나무(薪)

 


▶ 8. 훈민정음 해례본 ; 정인지 서문

 

 

鄭麟趾 序

有天地自然之聲 則必有天地自然之文. 所以古人因聲制子 以通萬物之情
以載三才之道 而後世不能易也. 然四方風土區別 聲氣亦隨而異焉.
盖外國之語 有其聲而無其字. 假中國文字以通其用 是猶 鑿之 也.
豈能達而無 乎. 要皆各隨所處而安 不可强之使同也. 吾東方禮樂文章 擬華夏.
但方言之語 不與之同. 學書者患其旨趣之難曉 獄者疾其曲折之難通. 
昔新羅薛總 始作吏讀 官府民間 至今行之. 然皆假字而用 或澁或窒. 
非但鄙 無稽而已 至於言語之間 則不能達其萬一焉.

癸亥冬. 我殿下創制正音二十八字 略揭例義以示之 名曰訓民正音.
象形而字倣古篆 因聲而音犀七調. 三極之義 二氣之妙 莫不該括 
以二十八字而轉換無窮 簡而要 精而通. 
故智者不終朝而會 愚者可浹旬而學 以是解書 可以知其義.
以是聽訟 可以得其情. 字韻則淸獨之能辨 樂歌則律呂之克諧.
無所用而不備 無所往而不達. 雖風聲鶴 鷄鳴狗吠 皆可得而書矣.

逐命詳加解釋 以喩諸人. 
於是 臣與集賢殿應敎臣崔恒 副敎理臣朴彭年 臣申叔舟 修撰臣成三問 
敦寧府注簿臣姜希顔 行集賢殿副臣撰李塏 臣李善老等 謹作諸解及例 
以敍其傾槪. 庶使觀者不師而自悟. 
若其淵源精義之妙 則非臣等之所能發揮也. 恭惟我殿下 
天 之聖 制度施爲超越百王. 正音之作 無所祖述 而成於自然.
豈以其至理之無所不在 而非人爲之私也. 夫東方有國 不爲不久 
而開物成務之大智 盖有待於今日也歟.

正統十一年九月上澣. 資憲大夫禮曹判書集賢殿大提學知春秋館事世子右賓客
臣鄭麟趾拜手稽首謹書.

 


〈鄭麟趾序 解釋〉

 

(세상에)천지자연의 (이치에 맞는)소리가 있다면 반드시 천지자연의(이치에 맞는) 글자가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중국에서는) 옛 사람이 (그)소리에 따라서 (거기에 맞는) 글자를 만들어서, 
그리하여 (그것으로써) 온갖 사물의 실상(實相)과 통하게 하였고, (그것으로써) 삼재의 도리를 책에 싣게 하니, 후세 사람이 능히 (이를) 바꾸지 못하였다. 그러나, 세계는 기후와 토질이 (서로) 나누어져 있으며, 말소리의 기운도 또한 (이에)따라서 서로 다르다.(그런데) 대개 중국 이외의 나라말은 그 말소리는 있으나, 그 글자는 없다.

 

(그래서) 중국의 글자를 빌어서, 그리하여 그 사용을 같이하고 있으니,이는 마치 둥근 구멍에 모난 자루를 낀 것과 같이 서로 어긋나는 일이어서어찌 능히 통달해서 막힘이 없을수 있겠는가?
요컨대 (글자란) 모두 각자가 살고 있는 곳에 따라서 정해질 것이지, 그것을 강요하여 같이하게 할 수는 없는 것이다.우리 동방은 예악(禮樂),문장등 문물제도가 중국에 견줄만하나 
다만 방언 이어가 (나라말만은) 중국과 같지 않다.(그래서) 글 배우는 이는 그 뜻의 깨치기 어려움을 근심하고 법을 다스리는 이는 그 곡절의 통하기 어려움을 괴롭게 여기고 있다. 

 

옛날, 신라의 설총이 처음으로 이두글자를 만들었는데, 관청과 민간에서는 이제까지도 그것을 쓰고 있다.그러나, 모두 한자를 빌어서 사용하므로, 어떤 것은 어색하고 어떤 것은 (우리 말에)들어맞지 않는다. 비단 속되고 이치에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우리)말을 적는데 이르러서는 그 만분의 일도 통달치 못하는 것이다.

 

계해년 겨울에 우리 전하께서 비로소 정음 28자를 창제하시고, 간략하게 예의(例義)를 들어 보이시고 이름을 훈민정음이라고 지으셨다.이 글자는 상형해서 만들되 글자 모양은 중국의 고전(古篆)을 본떴고,소리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였으므로 음은 칠조에 맞고,삼재의 뜻과 이기(二氣,陰陽)의 묘가 다 포함되지 않은 것이 없다. (게다가)이 28글자를 가지고도 전환이 무궁하여 간단하고도 요긴하고 정(精)하고도 통하는 까닭에, 슬기로운 사람은 하루 아침을 마치기도 전에 (이를) 깨우치고, 어리석은 이라도 열흘이면 배울 수 있다. 이 글자로써 한문을 풀면 그 뜻을 알 수 있고, 이 글자로써 송사를 심리하더라도 그 실정(實情)을 알 수 있게 되었다.

 

한자음은 청탁을 능히 구별할 수 있고, 악가(樂歌)의 율려(律呂)가 고르게 되며,쓰는 데 갖추어지지 않은 바가 없고,(어떤 경우에라도) 이르러 통달하지 않는 곳이 없다.바람소리, 학의 울음소리, 닭 우는 소리, 개 짖는 소리일지라도 모두 이 글자를 가지고 적을 수가 있다. 드디어 (세종께서) 저희들에게 자세히 이 글자에 대한 해석을 해서 여러 사람들을 가르치라고 분부하시니,이에 신(臣)은 집현전 응교 최 항, 부교리 신 박팽년, 신 신숙주, 수찬 신 성삼문, 돈녕부 주부 신 강희안, 행(行)집현전부수찬 신 이개, 신 이선로 등과 더불어 삼가 여러 해(解 )와 예(例)를 지어서 이 글자에 대한 경개를 서술하고,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스승이 없어도 스스로 깨우치도록 바랐사오나, 그 깊은 연원이나 , 자세하고 묘한 깊은 이치에 대해서는, 신들이 능히 펴 나타낼 수 있는 바가 아니다.

 


공손히 생각하옵건대 우리 전하께서는 하늘이 내신 성인으로서 지으신 법도와 베푸신 시정 업적이 백왕(온갖 임금)을 초월하여,정음을 지으심도 어떤 선인(先人)의 설을 이어 받으심이 없이 자연으로 이룩하신 것이라. 참으로 그 지극한 이치가 들어 있지 아니한 데가 없으니, (이는) 어떤 개인의 사적(私的)인 조작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대저 동방에 나라가 있음이 오래 되지 않음이 아니나, 문물을 창조하시고 사업을 성취시켜 주실 큰 지혜는 대개 오늘을 기다리심이 계옵셨구나!

 

 

정통 11년 9월 상한, 자헌대부· 예조판서· 집현전 대제학· 지춘추관사· 세자 우빈객,신 정인지는
두 손 모아 절하고 머리 조아려 삼가 씀.

 

 

▶ (鄭麟趾序 解說)


정인지서문은 훈민정음해례본의 맨 끝에 붇어 있기 때문에,
이 책의 맨 앞에 있는 세종대왕의 서문과 구별하기 위하여 「鄭麟趾後書」라고도 한다. 
정인지서문은 세종 28년 9월에 世宗御製序文,訓民正音本文과 함께 게재되어 있어서,
훈민정음해례본이 1940년경에 안동지방에서 발견되기 전부터 학자들 사이에 알려져 있었다. 
특히 이 서문에는 訓民正音의 창제에 관하여 「象形而字倣古篆」이라고 표현한 대목이 있어서, 
꾸준히 고전문자를 보방하여 창제하였다는 학설을 꾸준히 뒷받침하고 있다

이 서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고인(古만든 문자를 후세 사람들이 마음대로 바꿀 수 없다. 

② 그러나 지리적조건이 다르면 사람의 발음도 이에 따라 달라진다. 
그런데도 중국 이외의 나라에서는 고유문자가 없다고 한자를 빌어 쓰고 있으니 제대로 될 이치가 없다.

③ 우리나라의 문화수준이 중국과 견줄 만하나 중국과 언어가 달라 한자/한문을 사용하기 때문에
책을 공부하는 이는 그 뜻을 깨우치기 어려워하고 죄인을 다스리는 이는 한문으로 기록된 내용을 모른다. 

④ 신라 때부터 써온 이두가 불편하고 실지 언어생활에서는 만분지일도 의사를 전달할 수 없다. 

⑤ 그래서 세종 25년 겨울에 세종께서 정음28자를 만들고 훈민정음이라고 이름을 붙이시었다.

⑥ 상형해서 글자를 만들었는데 중국 고전 문자와 비슷하다.

⑦ 불과 28자지만 얼마라도 응용이 가능하다.

⑧ 배우기 쉬워서 하루 아침, 또는 열흘이면 익힐 수 있다.

⑨ 이 글자가 창제되어 한문책의 뜻도 쉽게 알 수 있게 되었고, 죄인의 뜻도 알 수 있게 되었다. 
또 한자음도 분명해졌고, 음악도 음계가 고르게 되었으며, 바람소리, 닭울음소리도 다 적을 수 있게 되었다.

⑩ 이 책을 편찬한 사람은 최항등 8명이다. 

⑪ 이 글자는 순전히 세종대왕의 독창적인 창안에 의해 창제된 것이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강신항. 訓民正音. 신구문화사. 1974. 
강신항. 訓民正音硏究.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7.
박병채. 訓民正音. 박영사. 1976.
박종국. 訓民正音. 정음사. 
강원대학교 국어국문과 사이트(예의 부분)

 


※본 자료는 학술적 검증을 거친 자료가 아님을 밝혀둡니다.
내용 중 오자, 탈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참고용으로 사용하시오.

/////////////////////////////////////////////////////////

 

1. 광화문의 세종대왕 동상. 세종대왕의 왼손에 들려있는 것은 훈민정음 해례본이다.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훈민정음 해례본은 새로운 문자 훈민정음의 창제 이유와 글자를 만든 원리가 설명돼 있는 일종의 해설서이다.

 

세종 28년인 1446년 간행된 이 책은 오랜 시간 자취를 감추었다가 1940년 안동에서 발견됐다. 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은 한글 창제를 둘러싸고 계속되던 논란을 일순간에 정리한 사건이었다. 세종은 왜 훈민정음 해례본이라는 책을 펴냈던 것일까?

 

2. 세종, 훈민정음 해례본을 펴내다. ‘이달에 임금이 직접 언문 스물여덟 자를 만들었다. 글자는 간단하고 쉬우나 변화가 무궁하니, 이를 훈민정음이라 이른다.’ 세종실록에 남아있는 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기록이다. 1443년, 세종 25년의 일이다. 하지만 문자를 만들었다는 사실만 적어놓았을 뿐, 문자에 대한 다른 기록은 없다.

 

약 3년 뒤인 세종 28년의 실록에 ‘이 달에 훈민정음이 이루어졌다’는 언급과 함께 훈민정음 해례본에 실린 세종의 서문과 정인지의 서문이 기록돼 있다. 새로운 문자 훈민정음을 창제한 지 3년 만인 1446년, 해례본의 간행과 함께 훈민정음을 반포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라는 뜻의 훈민정음은 새로운 문자를 가리키는 말이자, 세종이 집현전 학자 8명과 만들어 낸 책의 이름이기도 하다. 이 책을 ‘훈민정음 해례본’이라 부르는 것은 문자의 사용법을 자세히 풀이해놓은 ‘해례’가 실려 있기 때문이다. 책은 세종이 쓴 서문과 새 문자 훈민정음을 소개한 예의, 집현전 학자들이 풀이한 해례, 정인지의 해례 서문으로 구성돼 있다.

 

그렇다면 세종은 왜 새로운 문자를 만들려고 했던 것일까?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남아있지 않지만, 세종의 마음을 엿볼 수 있는 단서가 있다. 바로 ‘삼강행실도’이다. 세종 10년, 진주 사람 ‘김화’가 자신의 아버지를 살해하는 사건이 일어난다. 이 사건은 세종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능지처참의 벌을 내리긴 했지만 형벌만이 능사가 아니라고 생각한 세종은 효자, 충신 등의 사례를 담은 삼강행실도의 간행을 지시한다.

 

책에는 내용에 맞는 그림을 함께 넣어, 글을 모르는 사람도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백성이 그림만으로 제대로 뜻을 이해할 수 있었을까? 이에 대한 세종의 걱정이 실록에 남아있다. ‘어리석은 백성들이 아직도 쉽게 깨달아 알지 못할까 염려하여 그림을 붙이고 이름하여 삼강행실이라 하였으나... 다만 백성들이 문자를 알지 못하여 책을 비록 나누어 주어도 남이 가르쳐 주지 아니하면 어찌 그 뜻을 알아 감동하고 착한 마음을 일으킬 수 있으리오’ 문자의 필요성에 대한 최초의 언급이라 볼 수 있다.

 

3. 세종 권64, 16년 4월 27일 두 번째 기사 ‘삼강행실을 인쇄하여 반포하고 가르치도록 하고 그에 대한 교서를 짓게 하다’ 어리석은 백성과 문자에 대해 다시 언급한 것은 세종이 직접 작성한 것으로 알려진 훈민정음 해례본 서문에서이다.

 

‘우리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로는 서로 통하지 않으니,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제 뜻을 나타내지 못할 사람이 많다. 이를 위해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니 사람마다 쉽게 배우고 익혀 쓰기에 편하게 하고자 한다.’ 세종은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는 언어를 만들고자 했다.

 

예조판서 정인지가 남긴 서문에서도 훈민정음 창제 이유를 엿볼 수 있다. ‘지혜로운 사람은 아침나절이 되기 전에 이를 이해하고, 어리석은 사람도 열흘 만에 배울 수 있다’ 새로운 문자를 만들며 가장 신경 쓴 부분은 백성이 막힘없이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런 목적으로 시작된 훈민정음 창제의 과정은 훈민정음 해례본이라는 책으로 마무리 된다.

 

해례본에는 자음과 모음이 만들어진 원리와 실제 적용해 사용할 수 있는 방법 등이 상세히 설명돼 있다. 발음기관을 본떠 만든 자음, 천지인을 본떠 만든 모음, 기본글자에서 파생되는 또 다른 글자들. 훈민정음 해례본은 새로운 문자 훈민정음이 얼마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문자인지를 입증하는 중요한 유산이다.

 

4. 훈민정음 언해본 백성들에게 새 문자를 알리기 위한 세종의 노력은 한글 책 편찬으로 이어졌다. 훈민정음을 반포한 이듬해부터 조선왕조의 창업을 기리는 노래 용비어천가, 석가모니 일대기를 한글로 펴낸 석보상절, 세종이 지은 불교 찬가 월인천강지곡 등 한글로 쓰여진 책들이 만들어졌다. 한문으로 기록된 훈민정음 해례본을 한글로 풀어쓴 ‘언해본’도 간행됐다. 세종의 서문과 새 문자들을 소개한 '예의’편을 한글로 풀어쓴 것이다.

 

한문을 몰라도 새로운 문자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해례본에 실린 정인지의 서문 그 마지막에는 해례본을 함께 만들 이들의 이름과 책을 펴낸 이유가 남아 있다. 집현전 응교 최항, 부교리 박팽년, 신숙주, 성삼문, 강희안, 이개, 이선로 등과 함께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스승이 없어도 스스로 깨우치게 하려고 이 책을 펴냈음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에 ‘정통 11년 9월 상한’이라고 이 책이 만들어진 때를 기록해 두었다.

 

이 기록은 한글날의 지정에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 상순의 끝 날인 9월 10일을 양력으로 환산해 10월 9일이 한글날로 결정된 것이다.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니 사람마다 쉽게 배우고 익혀 쓰기에 편하게 하고자 한다’ 훈민정음 서문에 밝힌 것처럼 세종은 누구나 쉽게 익히고 쓸 수 있는 새로운 문자를 만들어냈다. 훈민정음 해례본은 세종의 열정과 노력이 고스란히 담긴 책이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77 일본에서 일본인의 손으로 윤동주 시비를 세우려 하다... 2017-03-11 0 4250
1076 중국조선어사정위원회에서 새 "조선말규범집"을 만들다... 2017-03-11 0 3596
1075 매사냥이 유네스코 지정 세계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다... 2017-03-10 0 3588
1074 매로 까마귀떼를 쫓다... 2017-03-10 0 4087
1073 매한테서 어원유래가 된 "시치미 떼다"?!... 2017-03-10 0 3668
1072 매나 독수리로 사냥하며 즐기는것도 "스포츠"라니?!... 2017-03-09 0 7643
1071 야생매 포획할 때 비둘기로 유인하다... 2017-03-09 0 5749
1070 중국 길림성 길림시에 "매사냥문화축제"가 없다?... 있다!... 2017-03-09 0 6556
1069 우리 연변에서도 전통 매사냥문화를 복원해야... 울 할배도 응사(鷹師)였었는데... 2017-03-09 0 3945
1068 [쉼터] - 곰팡이, 의사, 정치가 그리고 꿈... 2017-03-06 0 5731
1067 [쉼터] - 실수(곰팡이)로 인해 만들어진 약 - 페니실린 2017-03-06 0 7568
1066 [이런저런] - 세계에서 제일 비싼 비둘기 2017-03-06 0 3543
1065 [쉼터] - 곰팡이의 진실과 오해 2017-03-06 0 6839
106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연변에 "한옥마을"이 없다?... 있다!... 2017-03-04 0 3461
106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두 장애인 정말 위대한 사람!!! 2017-03-03 0 4273
1062 저항시인 윤동주도 축구선수였다... 2017-03-03 0 5518
1061 프랑스 실존주의 작가 알베르 카뮈는 축구선수였다... 2017-03-03 0 5895
1060 [이런저런] - 축구선수 심판에게 총을 쏘다... 2017-03-03 0 4971
1059 [쉼터] - 축구판 심판 = 주심 + "제4부심" 2017-03-03 0 3864
105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지구의 나이 46억살?!... 2017-03-03 0 3703
1057 [쉼터] - 우리 고향에서도 "감자축제"를 열어보자... 2017-03-02 0 3856
1056 [록색평화주의者]우리 고향에도 "차 없는 마을"이 있었으면... 2017-03-02 0 3689
1055 [쉼터]-결혼식용 감자와 장례식용 감자가 따로 없다?...있다!... 2017-03-02 0 4582
1054 [쉼터] - 축구스타와 "사인"받기 2017-03-02 0 3480
105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야생동물 겨울나기가 잘 되기만을... 2017-03-01 0 4120
1052 [쉼터] - 봄꽃 꽃말 2017-02-28 0 6036
1051 죽림선생님, 안녕하심둥?... 2017-02-28 0 6347
1050 [쉼터] - 뒷간에서 "삼각함수의 법칙"을 발견하다... 2017-02-27 0 3312
1049 백두산호랑이 "드론" 사냥하다... 2017-02-24 0 3753
1048 [이것이 알고싶다] - "가짜 손"과 진짜 손?!... 2017-02-23 0 3328
1047 한국인보다 더 한국을 사랑한 "푸른 눈의 한국인"-호머 헐버트 2017-02-22 0 7724
1046 [이런저런] - 세상에?... 몇억조분에 일 정도일가???... 2017-02-22 0 4669
1045 [이것이 알고싶다] - 최초의 신문은?... 2017-02-22 0 4940
1044 한국인보다 한글을 더 사랑한 미국인이 없었다?... 있었다!... 2017-02-22 0 5389
1043 [자료] - 최초 "한글 띄여쓰기"를 한 사람은 외국인?... 2017-02-22 0 5746
1042 [자료] - 우리 말과 글의 력사를 알아보다... 2017-02-22 0 3234
1041 96년 만의 귀향길에 백두산호랑이와 "기생충"과 함께였더면... 2017-02-21 0 3473
1040 [이것이 알고싶다] - 목화는 인류의 보배 2017-02-18 0 5095
103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목화씨"가 호랑이를 먹어버리다... 2017-02-18 0 3957
1038 세계 유명인들의 墓碑名 2017-02-18 0 3712
‹처음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