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쉼터] - 오곡밥 = 쌀, 보리, 조, 기장, 콩
2018년 03월 01일 00시 52분  조회:6691  추천:0  작성자: 죽림

[아시아엔=박명윤 <아시아엔> ‘보건영양’ 논설위원]

한파(寒波)에 꽁꽁 언 땅을 뚫고 봄나물이 고개를 내밀고 있다. 입춘(2월 2일)과 설날(2월 16일)이 지나고 3월 2일은 정월대보름이다. 이날은 마침 스님들이 동안거를 마치는 날과도 겹쳐 사찰에선 동안거 해제 법회가 열리기도 한다. 

봄의 절기는 입춘(立春, 봄의 시작). 우수(雨水, 2월 19일경, 봄비가 내리고 싹이 틈), 경칩(驚蟄, 3월 5일경,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남), 춘분(春分, 3월 20일경, 낮이 길어짐), 청명(淸明, 4월 4일경, 봄 농사 준비), 곡우(穀雨, 4월 20일경, 농사에 필요한 비가 내림) 등으로 이어진다.

우리 조상들은 옛날부터 24절기와 명절에 맞춰 절식(節食)과 시식(時食)을 먹었다. 입춘 때 먹는 절식으로 궁중에서는 오신채(五辛菜)로 만든 오신반(五辛盤)을 임금님 수라상에 올렸고, 민가에선 세생채(細生菜)를 만들어 먹었다. 입춘에 먹는 오신반은 비타민 섭취를 위시하여 겨우내 추위에 혹사당했던 장기의 회복을 돕는 봄철 보양식이다.

오신채는 파, 마늘, 달래, 평지(유채), 부추, 무릇(백합과의 여러해살이 풀), 미나리의 새로 돋아난 새순 등을 말한다. 우리 민족이 좋아하는 오방색(五方色)을 골라 무쳐 먹었다. 노란(黃)색의 나물을 가운데에 놓고, 동서남북에 靑, 赤, 黑, 白 색깔의 나물을 놓아 사색당쟁(四色黨爭)을 타파하라는 화합의 의미가 있었다. 일반 국민들은 가정의 화목을 상징하고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五常: 仁, 義, 禮, 智, 信)를 북돋는 것으로 보았다.

입춘 절식의 하나인 오신반은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입춘일에 경기도 산골지방에서 움파, 산갓, 당귀싹 등을 진상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규곤시의방>(閨壼是議方)에는 “겨울에 움에서 당귀, 산갓, 파 등을 길러 먹었다”고 기록돼 있다. 이로 미루어 조선시대에 이미 정착된 절식으로 추측된다.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정월령에는 “엄파와 미나리를 무엄에 곁들이면 보기에 신신하여 오신채를 부러하랴”로 되어 있다. 오신반은 상류층에서 먹었던 음식이란 얘기다.

오신반은 다섯 가지의 맵고 자극이 강한 모듬나물과 함께 먹는 밥이다. 계곡이나 산야의 눈 속에서 자란 새싹을 이용한 것으로, 겨울을 지내는 동안 신선한 채소가 귀했던 옛날의 실정을 생각할 때 옛 사람의 지혜가 담긴 절식이다. 삶에는 다섯 가지 괴로움이 따르는데 다섯 가지 매운 오신채를 먹음으로써 괴로움을 극복하라는 의미도 있다.

 

<사진=뉴시스>

정월(正月)은 한 해를 시작하는 달로서 그 해를 설계하고, 일년의 운세를 점쳐 보는 달이다. 정월 대보름은 우리 민족의 ‘밝은 사상’을 반영한 명절로 다채로운 민속이 있다. 즉, 밝은 대보름 달빛은 어둠, 질병, 재앙을 밀어내는 ‘밝음 상징’이므로 개인과 집단적 행사를 한다.

정월 대보름은 우리나라 세시풍속(歲時風俗)에서 설날만큼 비중이 크다. 중국에서는 정월 대보름을 상원(上元)이라고 해 큰 명절로 지내며, 일본도 소정월(小正月)이라고 부른다. 한국·중국·일본에서 정월대보름이 중요한 명절이 된 이유는 음력을 사용함에 따라 보름달이 갖는 뜻이 매우 강하기 때문이다.

대보름날에 동제(洞祭), 줄다리기 등 규모가 큰 행사들이 많다. 임동권(任桐權)이 지은 <한국세시풍속>에는 12개월 동안 총 192건의 세시행사가 수록되어 있다. 그 중 정월 한달 동안 102건이 있어 전체의 절반이 넘으며, 정월 대보름날 관련 항목이 55건으로 정월 한달의 반이 넘는다.

설날이 가족 또는 집안의 명절인데 비해 정월 대보름은 마을의 명절로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집단의 이익을 추구하는 행사를 한다. 이에 농촌에서는 정월 대보름에 마을 공동의 기원인 풍년을 기원하는 형태가 많다. ‘지신(地神) 밟기’는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집터를 지켜준다는 지신에게 고사(告祀)를 올리고 풍물을 울리며 축복을 비는 세시풍속이다.

대보름날에는 세시풍속으로 ‘오곡밥’을 지어 먹는다. 오곡은 예로부터 다섯 가지 곡식, 중요한 곡물, 모든 곡물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되어 왔다.

중국의 경우,
주례(周禮)에서는 쌀·기장·피·보리·콩을,
예기(禮記)에서는 마(麻)·기장·피·보리·콩,
관자(管子)에서는 쌀.기장·차·보리·콩을 오곡으로 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오곡으로 쌀·보리·조·기장.콩을 꼽는다.
오곡밥은 대보름날 먹는 절식(節食)의 하나이다.

‘오곡밥’은 풍농(豐農)을 기원하는 뜻이 담겨 있어 ‘농사 밥’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오곡밥을 보름날에 먹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보름 전날에 먹고, 대보름날 아침에는 쌀밥을 먹는다. 정월 대보름을 전후해서 찰밥과 약밥을 먹는 풍속이 있으며, 절식으로 약밥·오곡밥·묵은 나물·복쌈·부럼·귀밝이술 등이 있다.

동양철학에서 숫자 오(五)는 우주 만물의 탄생과 성장을 주재하고 조화시키는 신비한 숫자이다. 이에 동양에서는 정신과 물질의 모든 개념과 현상 및 근원을 대개 다섯 가지로 종합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오행(五行)·오륜(五倫)·오감(五感)·오방(五方)·오색(五色)·오미(五味)·오복(五福)·오곡(五穀) 등이 있다.

약밥(藥飯)은 찹쌀을 쪄서 대추·밤·팥·꿀·참기름·간장 등을 섞어서 함께 찌고 잣을 박은 것이다. 1819년(조선 순조 19년) 김매순(金邁淳)이 지은 <열양세시기>(迾陽歲時記)에는 약밥을 조상께 올리고, 손님에게 대접하며 이웃에 보내기도 한다고 나온다. 우리 선조들은 오곡밥과 약밥을 이웃들과 나눠 먹으면서 풍농과 안녕, 행복을 기원하고 액운을 쫓았다. 성씨(姓氏)가 다른 세 집 이상 이웃집의 밥을 먹어야 운이 좋다고 전해져 이웃간에 서로 오곡밥 등을 나눠 먹었다.

정월 대보름에는 묵은 나물과 복쌈을 먹는 풍속이 있다. 오곡밥과 삶은 나물을 배추 잎, 취나물 등에 싸서 ‘복쌈’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여름철에 호박고지, 무고지, 가지나물, 버섯, 고사리 등을 말려 두었다가 삶아서 무쳐 먹으면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정월대보름 아침 해뜨기 전에 만난 사람에게 “내 더위”하며 더위를 파는 풍속도 있으며, “내 더위 사라”며 친구나 지인들에게 더위를 팔기도 한다.

귀밝이술(耳明酒)은 대보름날 아침 식사를 하기 전에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데우지 않은 청주(淸酒)를 마시는데, 아이들은 입술에 술을 묻혀만 주고 마신 것으로 여긴다. 어른들은 귀밝이술을 마실 때 “귀 밝아라, 눈 밝아라”라는 덕담을 한다. 이는 귀가 밝아진다는 의미와 일년 내내 기쁜 소식을 듣기를 바라는 것이다.

부럼(부스럼)깨기 풍속에 관하여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상원 이른 아침에 날밤, 땅콩, 호두, 잣, 은행 등 견과류를 어금니로 깨물거나 까먹으면서 “‘올 한해 무사태평하고 부스럼이 나지 않게 해 주십시오’라고 축수(祝壽)하니, 이것을 ‘이 굳히기’(固齒之方)라고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부럼깨기에 노인들은 딱딱한 견과류 대신에 부드러운 ‘무’를 대용하기도 한다.

기복(祈福)행사로 볏가릿대 세우기, 복토(福土)훔치기, 용안뜨기, 다리밟기, 나무시집보내기, 백가반(百家飯)먹기, 나무 아홉짐하기 등을 행한다. 또한 농점(農占)으로는 달집태우기, 닭울음점, 사발재점, 그림자점, 달불이, 집불이 등이 있다. 낮에는 연날리기, 윷놀이 등 다양한 전통놀이를 즐긴다.

달집태우기는 정월대보름 달이 떠오를 때 나뭇가지 등을 모아 만든 달집을 태우면서 풍요로운 새해를 기원하고, 액운을 내쫓는 세시풍속이다. 달집에 불이 붙는 것을 신호로 논둑과 밭둑에 ‘쥐불놀이’(서화희 鼠火戱)를 한다. 서화희는 논밭두렁의 잡초와 잔디를 태워 해충의 피해를 줄이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31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락서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6-09 0 5297
231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력사연구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6-08 0 5022
2315 [쉼터] - 모든 아들딸 찰떡처럼 좋은 대학에 떡하니 붙거라... 2018-06-07 0 3805
2314 [그것이 알고싶다] - 네팔 구르카족 "쿠크리"= 단검?... 2018-06-07 0 7696
231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새끼 코끼리야, 잘 자라거라... 2018-06-07 0 5068
231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안중근과 권총 2018-06-06 0 3474
231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력사알기",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6-06 0 5414
231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축제와 동물죽음",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6-06 0 4410
230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내가 봤던 코끼리가 죽다니..." 2018-06-05 0 4854
230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세계평화생태공원 만들자"... 2018-06-05 0 5118
230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력사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6-05 0 3649
230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조선 범 살리기",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6-04 0 5036
2305 [동네방네] - "평양랭면"이 "통일랭면", "평화랭면" 되기만을... 2018-06-03 0 5956
230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물연구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6-03 0 4268
2303 [이런저런] - 얼굴 전체 가리개 복장 착용 금지 2018-06-01 0 5706
230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사진조작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5-31 0 4027
230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말벌떼피해",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5-31 0 5325
230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지진화산연구",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5-31 0 6239
229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화산분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5-30 0 6269
229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공작새가 가져준 금노다지 2018-05-30 0 4739
2297 [문단소식] - 동심과 함께, 시조와 함께 / 두만강과 함께 ... 2018-05-30 0 3704
229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참대곰아, 잘 자라거라... 2018-05-30 0 3093
2295 [이런저런] - 세계 10대 혐오 음식 2018-05-27 0 3716
2294 [이런저런] - 세계 10대 악취 음식 2018-05-27 0 5142
2293 [이런저런] - 찰나에 얻은 가치 2018-05-27 0 4831
229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새 키우는 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5-26 0 5709
2291 "그 작곡가의 노래 한두곡은 좋았었다"... 2018-05-26 0 3841
229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서로 서로 자주 만나야... 2018-05-26 0 5034
228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호랑이 구경 가자... 2018-05-25 0 3730
228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다둥이 백호들아, 무럭무럭... 2018-05-24 0 4755
2287 도전기 = 43년만 의족할아버지 65세에 8,844.43을 정복하다... 2018-05-24 0 4585
2286 [쉼터] - 영화보다 더 영화같은 삶을 산 영화계 큰 별 최은희 2018-05-24 0 7439
2285 [록색문학평화주의者]-"야생동물구조문제",남의 일이 아니다... 2018-05-23 0 4831
2284 [그것이 알고싶다] - "舍利(사리) 비밀?... 2018-05-23 0 8210
228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엄마개와 새끼오리들 2018-05-23 0 4828
2282 [록색평화주의者]- 생태교육과 훼손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5-23 0 4422
2281 국제 적십자 운동 창시자 - 앙리 뒤낭 2018-05-22 0 5121
2280 [그것이 알고싶다] - "적십자"의 유래?... 2018-05-22 0 6050
227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백두산 협력연구",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5-22 0 4643
2278 [동네방네] - "손에 손 잡고" 작사자 유명을 달리하다... 2018-05-22 0 4848
‹처음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