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속에서 무한한 세상이 펼쳐진다...
2018년 06월 25일 22시 53분  조회:2389  추천:0  작성자: 죽림

리좀의 원리가 잘 녹아내린 시

--박문희 시 <공감대>를 읽고서

□ 방순애


하이퍼시 쓰기는 전통적 사고에서 벗어나 이질적인 모든 것에 대한 새로운 접속 가능성을 열어젖히며 다양성을 추구하는 리좀적 사유의 글쓰기입니다.

이른 바의 리좀(Rhizome)은 철학자 들뢰즈와 가타리의 공저 《천 개의 고원》에 등장하는 은유적 용어 혹은 철학 용어로서 원래의 리좀은 지하경을 의미합니다. 철학용어로서의 리좀은 이항 대립적이고 위계적인 현실 관계 구조의 이면을 이루는, 자유롭고 유동적인 접속이 가능한 잠재성의 차원으로, 관계 맺기의 한 유형입니다.

질 들뢰즈에 따르면 리좀은 시작도 끝도 갖지 않고 언제나 중간을 가지며 중간을 통해 자라고 넘쳐나면서 어떤 지점이건 다른 어떤 지점과도 연결 접속될 수 있고 또 연결 접속되어야만 합니다. 언제나 많은 입구를 가지고 있으면서 탈영토화의 운동들과 재영토화의 과정들이 끝없이 가지를 쳐 나가고, 서로가 서로에게서 끌어내고 교대하며 예술작품으로 만들어 갈 수 있게 합니다.

이런 리좀의 원리를 적용하여 아래 박문희 시인의 시 <공감대>을 분석해보기로 하겠습니다.

다사한 허공에 말뚝을 박고
처마 밑에 숨어든 달빛 소나타
문틈으로 샌 부나비
작은 불빛 잔등에 걸터앉아
부항 든 가슴의 낭만을
앵금으로 떨어낸다

바람과 다툰 노을
기와의 귀에 아픔을 호소하고
음달 안고 자던 꿈에서 깨며
풀벌레 넋은 밤 노래 열창한다

뽕잎 포식한 밤 누에
하현달 흘린 미음 베고 잠들고
세월에 비틀린 고목
달빛 잔해로 허기 달랜다

--<공감대> 전문

이 시는 3연으로 되었는데 각각 다른 상상력의 조합입니다. 어떻게 보면 상상력 공간의 이동이라 할 수 있고 지하경(뿌리줄기)에서 횡적으로 열매달기를 한 것 같습니다. 그럼 그것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봅시다.

1연:
다사한 허공에 말뚝을 박고
처마 밑에 숨어든 달빛 소나타
문틈으로 샌 부나비
작은 불빛 잔등에 걸터앉아
부항 든 가슴의 낭만을
앵금으로 떨어낸다

1연 6행입니다. 1행에서 ‘다사한 허공’을 등장시킵니다. 시인은 상상의 공간에 ‘말뚝을 박’는다는 현재 시점을 끌어들입니다. 시가 동적으로 되여 있기에 한 장면의 영상을 보는 것 같습니다.

2행, ‘처마 밑에 숨어든 소나타’ --1행과 아무런 상관도 없는 다른 이미지입니다. 끝도 시작도 없이 중간으로 시작된 이미지를 시각화시켰습니다.

3~4행 ‘문틈으로 샌 부나비/작은 불빛 잔등에 걸터앉아’가 한 이미지이고 5~6행 ‘부항 든 가슴의 낭만을/앵금으로 떨어낸다’가 또 다른 이미지입니다. 부나비가 두개의 이미지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탈영토화에서 영토화하고 재령토화에서 다시 탈영토화를 시도합니다. 이러한 것을 통해 초월적인 변형에서 무의식 속에 은폐되어있는 환영을 만들어 냅니다.

1련의 정적 단어는 ‘말뚝-소나타-부나비-불빛-가슴의 랑만’이고 동적 단어는 ‘박고-숨어든다-걸터앉아-떨어낸다’입니다. 이 두 가지 단어들이 한데 어울려 시어를 만들어 냄으로써 영상화로 움직임을 나타냅니다. 뿌리줄기에 횡적으로 달린 환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치 낙화생이 뿌리줄기에 달린 것처럼.

2련:
바람과 다툰 노을
기와의 귀에 아픔을 호소하고
음달 안고 자던 꿈에서 깨며
풀벌레 넋은 밤 노래 열창한다

2련은 두개의 이미지입니다. ‘노을’이 ‘아픔을 호소’하고 ‘자던 꿈에서 깨며’가 한 이미지이고 ‘풀벌레 넋’이 ‘밤 노래 열창한다’가 다른 하나의 이미지입니다. ‘노을’과 ‘풀벌레 넋’은 정적 언어이고 ‘호소’, ‘깬다’, ‘열창한다’가 동적 언어입니다. 이런 동적 언어로 하여 그림 같은 시각성을 보여줍니다. 탈영토화의 선에 의해 한 가지 다양체가 다른 다양체와 연결접속을 하였습니다. 납득이 잘 안 되는 것 같지만 지면을 따라 모든 방향으로 갈라지는 확장에서 구근과 덩이줄기 갈래 길에서 응고에 이르는 리좀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라고 보입니다.

3연:
뽕잎 포식한 밤 누에
하현달 흘린 미음 베고 잠들고
세월에 비틀린 고목
달빛 잔해로 허기 달랜다

3련은 4행입니다. 한연에 두 가지 이미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뽕잎 폭식한 밤 누에/하현달 흘린 미음 베고 잠들고’인데 여기서 ‘하현달 흘린 미음’은 환유적 표현을 하였습니다. 다른 하나는 ‘세월에 비틀린 고목/달빛 잔해로 허기 달랜다’입니다. 한 줄기에 두개의 열매가 접속되어 달려있습니다. ‘밤 누에’, ‘비틀린 고목’ 이 성질이 다른 언어를 한 개 연에 구사하여 수평적 건너뛰기를 하였습니다. 이러한 상징은 방사형으로 확장할 수 있는 횡적 연접의 기법이 아닌가 필자는 생각합니다.

총적으로 박문희 시 <공감대>는 3개 연에 7개의 이미지들이 횡적으로 연결접속을 하여 자기들만의 그림들을 영상화에로 이끌어갔습니다. 사물들의 공감대라는 것은 차원이 다른 사물들의 연계를 말하는 것입니다. 시인은 시를 통하여 시속의 사물들이 서로 공감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려 하였습니다. 이 사물들은 이 시의 자연을 대표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공감대’란 매개물을 통하여 자연물의 조화를 노래한 것 같습니다. 이들 이미지들은 어느 것도 시의 중심이 되지 않습니다. 무중심 이미지들이 중간에서 연결접속 되었습니다. 중심 이미지가 없는 시, 나름대로 나타내는 이미지로 된 하이퍼시라 하겠습니다. 박문희 시인님의 시 <공감대>는 리좀의 원리가 잘 녹아내린 시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이퍼시는 새로운 이미지의 생성을 강조하고 현실과 초월의 선에서 넘나들며 새로운 탐색을 요구합니다. 또한 사고의 확장과 무한한 연결 가능성을 통해 다양체를 추구하고 탈관념을 실현합니다. 구체적으로 단선구조의 틀을 깨고 다선구조의 틀을 새로 구축함으로써 시인의 상상을 객관적 이미지로 표현하고 정적 이미지를 동적 이미지로 변환시켰습니다. 이처럼 문장을 구성할 때 가급적 추상적인 것을 극복하고 명사구와 동사구를 잘 응용하여야 한다고 봅니다.

단 하나의 상징이 많은 사람을 감동시킬 때도 있는데 한수의 시 안에 여러 가지 참신한 이미지들이 접속되어 있다면 경우에 따라 그 아름다움은 몇 곱절 커질 수도 있게 될 것입니다. 또한 이런 형식으로 무수히 많은 다양체들이 접속점을 찾아 이미지로 연결된다면 시 속에 무한한 세상이 펼쳐질 것입니다.

2018.4.29

/《송화강》잡지 2018년 제3기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5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달같이 2018-09-16 0 3232
124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코스모스 2018-09-15 0 3569
1248 윤동주와 시 세편속의 "순이" 2018-09-15 0 2683
124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사랑의 전당 2018-09-15 0 3586
1246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갈릴리 호수" 2018-09-13 0 4284
124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이적 2018-09-12 0 3323
124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 오는 밤 2018-09-12 0 3203
1243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납인형" 2018-09-11 0 3752
1242 윤동주와 송몽규, 정병욱 2018-09-11 0 3804
124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어머니 2018-09-11 0 5479
1240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보헤미안" 2018-09-10 0 3705
123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야행 2018-09-10 0 3366
1238 백석 / 자작나무 2018-09-08 0 2753
123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유언 2018-09-08 0 3494
123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명상 2018-09-07 0 3851
1235 윤동주와 윤혜원, 오형범 2018-09-06 0 2967
1234 윤동주와 "련인" 2018-09-06 0 2592
1233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능금" 2018-09-06 0 3935
123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그 녀자 2018-09-05 0 3333
123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달밤 2018-09-03 0 3517
1230 윤동주와 "별"의 기호와 "코드"... 2018-08-31 0 2903
122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리별 2018-08-31 0 4748
1228 김철호 /권력률 2018-08-30 0 2842
122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고향집 2018-08-30 0 5066
1226 [사진한쪼박] - 그리워라 땡 땡 땡 종소리... 2018-08-25 0 2496
122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남쪽하늘 2018-08-24 0 2881
122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못 자는 밤 2018-08-24 0 2746
122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태초의 아침 2018-08-23 0 3876
1222 {자료} - 산문시와 이야기시 2018-08-22 0 4224
1221 [詩소사전] - "산문시"란?... 2018-08-22 0 2651
1220 러시아 작가, 시인 - 투르게네프 산문시 7수 2018-08-22 0 2731
1219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투르게네프 2018-08-22 0 3903
121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투르게네프의 언덕 2018-08-21 0 4705
1217 문학은 "금나와라, 뚝딱!"하는 도깨비 방망이가 아니다... 2018-08-21 0 2493
1216 [문단소식] - 리상각 시인 "두루미"를 타고 하늘가로... 2018-08-21 0 2684
121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슬픈 족속 2018-08-20 0 5222
121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ㅅ뒤 2018-08-13 0 2915
1213 윤동주 "새로 발굴된" 시 8수 2018-08-11 0 2138
1212 {자료} - 일본의 윤동주, 일본의 톨스토이 2018-08-11 0 3034
1211 윤동주 시를 풀어서 산문으로 쓰다... 2018-08-11 0 2678
‹처음  이전 4 5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