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팔복
2018년 07월 23일 00시 12분  조회:5835  추천:0  작성자: 죽림

         팔복 /윤동주       - 마태복음 5장 3~12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영원히 슬플 것이오.

- (1940년 12월 추정)
 


 

 

(읽은자의 몽상)
윤동주시인은 마태복음 5장 3~12절, '팔복'을 차용하여 이 시를 썼다고 합니다. 복음 모두가 '슬픔'으로 치환되어 시인의 마음으로 기록된다. 

시인의 '슬퍼하는', '슬플'은 극진한 측은지심의 발로로 보인다. 점령당한 조국과 떠도는 동포에 대한 '슬픔'은 시인에게 조국을 향한 마음과 행동으로 이끈 내적동기인 듯하다.   

마치 석가모니가 카필라성의 세자로 동문 밖에서 늙은 노인, 남문 밖에서 병자, 서문 밖에서 장례식, 북문 밖에서 사문(沙門,수행자)을 보시고 인생의 생로병사를 슬피여기셔서(고,苦), 출가를 하시게 되는 장면이 연상됩니다. 

시인의 마음과 종교의 인류에 대한 보편적 사랑이 절절히 느껴집니다.

김응교교수는 강좌를 통해 
윤동주의 시에 나타나는 그의 타자를 향한 따뜻한 시선을 강조했다. 이는 윤동주가 디아스포라(그리스어로 흩어진 사람들이라는 뜻)였다는 점, 또한 
가문을 통해 이어 받은 민족정신, 신앙심에 기반해있다. 
28살에 생을 마감한 윤동주는 22년 4개월은 중국에서 생을 보냈다. 
4년 남짓한 국내 체류기간 동안 그가 한국에 잘 적응하지 못했던 것은 그의 시 <별 헤는 밤>에 잘 나타난다.

“매우 복잡한 소속이죠. 윤동주에게 있어 정체성은 평생의 질문이자 시의 주제였습니다.”
 

 

팔복(八福)           
-윤동주(1917~1945) 
 

시아침 5/25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영원히 슬플 것이오. 
  
  
산상수훈의 패러디인 이 시에서 복의 여덟 가지 조건들은 '슬퍼함' 하나로 압축된다. 일제 말의 가혹한 현실에 대한 시인의 대응이다. 같은 문장을 여덟 번 썼으니 '저희'는 복수로서  ‘그들'이나 '우리'로 읽는 게 자연스럽다. 어째서 복이 슬픔인가. 수훈의 부정도 신성모독도 아닐 것이다. 이 슬픔의 끝을 묻지 않는 것에,
슬픔의 영구 실천 속에 희망의 씨앗이 있다는 뜻 아닐까. 사도와 시인에게 슬픔은 복이다.  
  
<이영광·시인·고려대 문예창작과 교수> 

 

 
====================///


日 도쿄대 교수 “윤동주 시는 새로운 시대 여는 ‘사상’”
윤동주의 시를 새로운 시대를 여는 '사상'으로 봐야 한다는 해석이 나왔다. 

일본 도쿄대 비교철학연구소의 나카지마 다카히로 교수는 오늘(2017년 12월 8일) 연세대에서 열린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에서 '윤동주, 우리의 동시대인'이라는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며 윤동주의 시를 이같이 철학적으로 해석했다.

그는 윤동주의 시 '무서운 시간'의 마지막 행 "나를 부르지 마오"와 '서시'의 첫 행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을 연결지어 "윤동주가 시인으로서 우리의 동시대인이 된 것은 그 거절에 있어서이다. '부끄러움'이란 윤동주의 윤리감각인 동시에 부끄러운 시대에 대한 거절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또 '쉽게 씌어진 시'의 구절을 인용해 "시 한 줄 쓰는 것으로 '어둠을 조금 내몰'려고 하는 시인은 다음의 시대를 대망한다. 시인으로서 다음 시대의 등불을 밝히면서 '최후의 나'를 배웅한다"고 풀이했다. 

이어 "1943년 윤동주가 사상범으로 체포된 것은 말할 것도 없이 부당한 체포이며 윤동주는 이른바 사상범이 아니지만, 사상이 시대에 절단선을 긋고 시대를 도려내어 새로운 시대를 여는 것이라고 한다면 윤동주 시의 업적 또한 문학의 한 장르를 넘어서서 '사상으로서 시'였던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시 일본 경찰은 민족 독립의 정치활동에 필적하는, 아니 그것을 능가하여 마음을 불온하게 만드는 무언가를, 시인의 시에서 느꼈을 것"이라며 " 윤동주의 고종 사촌 형이자 친구인 독립운동가 송몽규가 세계를 바꾸는 혁명가라고 한다면 윤동주는 시대를 바꾸는 시인"이라고 결론지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10 시는 마음속의 뜻을 말로 조각해내는것... 2018-03-29 0 2460
1009 산문시는 고리끼 "해연의 노래"가 전범(典範)이다... 2018-03-29 0 2296
1008 글 농사는 뼈를 깎는 고행이다... 2018-03-29 0 2299
1007 "한알의 모래속에서 천국을 본다"... 2018-03-29 0 3460
1006 "태초부터 시인이 있었었다"... 2018-03-29 0 2483
1005 "최고의 정신적 보물을 젊은이들과 더불어..." 2018-03-28 0 1988
1004 "문제 그 자체를 사랑하라"... 2018-03-28 0 2402
1003 그대들은 "단발머리"를 떠올려 보았는가... 2018-03-28 0 2448
1002 그대들은 "내 귀에 캔디"를 먹어봤는가... 2018-03-28 0 2608
1001 그대들은 "오르막길"을 톺아봤는가... 2018-03-28 0 2274
1000 그대들은 "1178"를 불러봤는가... 2018-03-27 0 2288
999 그대들은 "그 겨울의 찻집"을 아는가... 2018-03-27 0 2274
998 그대들은 "총맞은것처럼" 아파봤는가... 2018-03-27 0 2583
997 그대들은 "빨간 맛"을 맛보았는가... 2018-03-27 0 2286
996 "보이지 않는것도 있는거야"... 2018-03-27 0 2415
995 "새는 하느님이 만든 가장 고운 악기"... 2018-03-24 0 4281
994 "응아 하면, 엄마 얼굴엔 웃음꽃 피지요"... 2018-03-23 0 2439
993 "골목대장이 된 바람" 2018-03-22 0 2364
992 "아가는 생살을 찢고 열달 은총의 문 나서다"... 2018-03-22 0 2472
991 다리를 천천히 건너는 사람과 다리를 발빨리 건너는 사람 2018-03-20 0 2333
990 [작문써클선생님께] - "과학동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03-19 0 4433
989 "어머니는 모든것을 둥글게 하는 버릇이 있다"... 2018-03-19 0 2429
988 [작문써클선생님께] - 산문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03-19 0 4609
987 미국 시인 - 맥스 어맨 2018-03-19 0 3768
986 {장시} - 강천 려행 떠난 바람 이야기 / 박문희 2018-03-18 0 2503
985 <하늘> 시모음 2018-03-14 0 2246
984 산문시와 러시아 문호 뚜르게네프 2018-03-14 0 2396
983 "겨울이 왔으니 봄도 멀지 않으리"... 2018-03-13 0 2513
982 한편의 가사를 위해 2만편의 시를 쓰다... 2018-03-10 0 3755
981 "나는 너의 심장소리를 듣는다"... 2018-03-10 0 2214
980 노르웨이(스웨덴) 초현실주의 사진작가 - 에릭 요한슨 2018-03-07 0 7083
979 "얘야, 그건 날개가 아니란다"... 2018-03-07 0 3308
978 "백만장자 되는것보다 문맹의 인디언이 되는게 낫다"... 2018-03-06 0 2321
977 "보리밥방귀", 뿡, 뽕, 빵 그립다... 2018-03-05 0 3463
976 {자료} - 우리 조선민족 시단은 다원화 창작으로... 2018-03-04 0 2401
975 {자료} - 우리 조선민족의 시단에 귀한 시인들 있는한... 2018-03-04 0 2088
974 {자료} - 우리 조선민족의 문학의 희망적 사항은... 2018-03-04 0 1858
973 [동네방네] - 독립운동가 문사 송몽규는 죽지 않았다... 2018-03-04 0 2973
972 <고난> 시모음 2018-03-04 0 2570
971 <탐욕> 시모음 2018-03-04 0 3925
‹처음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