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한글 띄어쓰기는 외국인이 처음 도입했다?!...
2019년 10월 11일 00시 49분  조회:4350  추천:0  작성자: 죽림
 

Fact Check! 한글날 -
띄어쓰기는
외국인이 처음 도입했다?!

 
CMS에듀님의 프로필 사진

CMS에듀

 

 

2019.09.25. 10:4586 읽음

 
 
 
 

안녕하세요. CMS멘토 입니다.
10월 9일은 한글창제를 기념하고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한글날 입니다.

한글날은 국경일로 지정됐을 만큼 
큰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CMS멘토와 함께
한글에 관련된 통설들의 진실을 체크해봅시다!

스티커 이미지
한글 띄어쓰기 외국인이 처음 만들었다?!

말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띄어쓰기기가 
외국인이 의해 도입됐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그 주인공은 영국의 선교사 
존 로스(John Ross)입니다. 

띄어쓰기가 적용된 최초의 한글 문헌이 1877년
존로스가 펴낸 ‘조선어 첫걸음 Corean Primer)’이기 때문입니다.

띄어쓰기가 없는 훈민정음
압록강을 건너온 한약 장수에게 
한국어를 배운 것으로 알려진 존 로스 목사는 

한글 문장을 영어식으로 띄어 쓰고, 
여기에 영어 단어로 발음을 표기했습니다.

이후에는 1896년 서재필, 주시경, 
그리고 미국인 선교사 허버트 등이 만든 ‘독립신문’이
간행물로는 최초로 한글 띄어쓰기를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 1933년 조선어학회가 만든 
‘한글맞춤법통일안’이 나오면서 한글 띄어쓰기가 더 보편화 됐답니다.
 

한글을 사용하는 또다른 민족이 있다?!


고유의 말은 있지만 고유한 문자가 없어 어려움을 겪던
인도네시아 북부의 소수부족 찌아찌아족은
2009년 표기언어로 한글을 받아들였습니다.

물론 세간에 알려진 것처럼 공식적인 채택은 아니었고
우리나라 정부 차원의 지원도 줄어
한글을 가르치던 ‘세종학당’이 폐쇄되기도 했습니다.

그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도입 10년이 지난 지금
찌아찌아족의 한글 교육은 여전히 계속 되고 있습니다.

마을 길거리에는 한글로 찌아찌아족의 말을 표기한 
‘까르야바루’, ‘잘라 아마후다니’ 등의 한글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현재 찌아찌아족은 초등학교에선 한글로 찌아찌아어를
고등학교에선 한국어를 교과목으로 배우고 있다고 하는데요.

알파벳과 달리 하나의 글자에 하나의 소리가 대응되는 특징
소리를 명확히 표기할 수 있다는 점이 
찌아찌아족이 한글을 선택한 이유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에는 한류 인기가 높아지면서 
한글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대표적인 찌아찌아어 회화 표기 
자료: 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의미 
한글 표기 
감사합니다.
따리마까시
나는 찌아찌아 사람입니다.
인다우미안노 찌아찌아
사랑합니다.
인다우뻬엘루이소오
용서하세요.
모아뿌이사우
움베
아니오 
찌아
한글은 세종대왕의 지시로 집현전 학자들 주도로 만들어졌다?!

2018년 한글문화연대가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세종대왕이 한글을 직접 만들었다’고 답한 사람은 17%, 
세종대왕은 지시하고 집현전 학자들이
만들었다고 하는 사람은 25%에 달했습니다.

가장 많은 응답은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가
함께 만들었다는 것으로 절반이 넘는 55%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학계의 의견은 다릅니다.
세종과 집현전 학자들이 공동 창제했다는 설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세종 홀로 만들었다는 설이 유력하다는 것 입니다.

만약 집현전 학자들이 주도했다면 
실록에 한글창제 과정이 지속적으로 등장해야 하지만 
세종실록에는 한글창제 관련 기록은 단 한 줄 뿐이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한글 반포를 가장 반대한 이들이
집현전 최대 실세였던 최만리 등 이었다는 점도
세종의 단독 창제설에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7 세계 각 나라 國歌들 2015-02-13 0 6454
36 세계 각 나라 국기들 2015-02-13 0 5928
35 특수문자 쓰는 방법 2015-02-13 0 5440
34 세계 아름다운 화페 2015-02-13 0 6063
33 한국 문학상들 모음 2015-02-12 0 5638
32 수수께끼 유머 100선 2015-02-11 0 5035
31 하늘이 주는 세번의 기회... 2015-02-11 0 5040
30 하루에 한가지씩... 2015-02-08 0 4561
29 연변방언 모음 2015-02-08 2 7727
28 방언, 그 재미... 2015-02-08 2 6273
27 방언詩 모음 2015-02-08 0 8143
26 영상시 제작 방법 2015-02-07 0 6496
25 시어록편 ㅡ 최룡관 정리 2015-02-04 3 5015
24 <<동방문학>>에 실린 하이퍼시 한수 2015-02-04 0 4132
23 이육사문학제 유치를 위해 뛰다 2015-02-03 0 6786
22 한국 교보문고 시집 광고 2015-02-03 0 5430
21 두만강여울소리 시탐구상 2015-02-03 0 5902
20 시;- 나의 새 일기장 2015-02-03 0 5433
19 가사와 시;- 다시 만납시다... 2015-02-03 0 5626
18 시;- 새벽(건), 새벽(곤). 2015-02-03 0 5496
17 가사;ㅡ <<하늘, 그리고 죽림동 아버님>>, 자웅편;- <<새벽, 그리고 죽림동 어머님>> 2015-02-03 0 5246
16 가사;ㅡ 두만강아가씨 2015-02-03 0 5845
15 흑룡강신문 윤운걸 보도 2015-02-03 0 6027
14 연변일보 해란강문학상 2015-02-03 0 4495
13 시;- 빛의 하루 2015-02-03 0 5557
12 시;- 나는 두만강 하얀 물새 2015-02-03 0 4244
11 가야하문학상 2015-02-02 0 4744
10 조글로 보도 2015-02-02 0 4326
9 길림신문 김태국 보도 2015-02-02 0 5239
8 한국 경북매일 기사 2015-02-02 0 4595
7 <<연변모이자>>기사 2015-02-02 0 5668
6 대구시인학교에서 2015-02-02 0 5366
5 흥천사에서 2015-02-02 0 4059
4 삼합 두만강역에서 2015-02-02 0 5174
3 시;- 8월의 그 어느날 2015-02-02 0 4426
2 시;- 새해를 위하여 2015-02-02 0 4241
1 그때 그시절... 2015-02-02 0 6046
‹처음  이전 73 74 75 76 77 7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