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토템과 남영전 시인 4
2020년 06월 27일 22시 21분  조회:2751  추천:0  작성자: 죽림

 

지상토론(4) 토템문화, 생존개척을 위한 디딤돌

편집/기자: [ 리철수 ] [ 길림신문 ]  [ 2020-06-23 ] 

남영전선생의 토템문화를 접하면서 저도 모르게 문화와 민족이란 명사에 대해 다시금 더듬어보게 되였다. 확실히 우리는 문화와 민족이란 말을 자주 입에 올리기는 하지만 그것들이 내포하고 있는 함의가 너무 방대하고 추상적이여서 단마디명칭으로 정의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난해하면서도 몽롱한 뜻을 리해하고 인식하려면 토템문화를 접해야 하고 그로 인해 토템에 대한 연구로부터 인류문화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민족의 생성과 그 발전 려정을 투철하게 더듬어볼 수 있음을 서서히 느끼게 된다.

필자를 포함한 적지 않은 사람들이 뿌리 깊은 심오한 토템문화에 대하여 나름대로 일종의 미신적인 옛말로 가볍게 여겨온 것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럼 과연 토템이란 무엇인가?

토템은 “사람과 자연은 ‘혈연관계'라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사람은 자연에서 왔다. 사람은 자연의 후예다. 이것을 말하는 게 토템문화다.”라고 남영전선생은 피력하였다.

글을 읽어내려가다 보면 토템문화는 인류문화의 원천문화라는 것, 다시 말해서 토템으로 인해서 우리 인류문화가 생겼고 사람의 성씨가 생겼으며 토템 씨족으로부터 민족이 형성되였고 토템숭배로부터 민족의 전통문화와 전통풍속이 형성되였다는 상세하면서도 설복력있는 관점과 해설이 일목료연하게 안겨온다.

문화는 “개인과 군체를 식별하는 의식주행어의 표지”라는 것, 전통문화의 핵심은 “사람과 자연은 친척”이라는 것과 같은 관점 혹은 정의는 너무 새롭고 창의적이라는 느낌이 들었다.

특히 조선민족의 제일(第一) 성씨가 김씨가 아닌 왕씨(​王氏)라는 놀라운 사실을 비롯해서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성씨의 유래를 알 수 있어서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발견한 기분이였다.

남영전선생이 얘기하는 토템문화는 문화와 민족, 인간과 자연지간의 내재적 상관 관계에 대하여 깊이 생각하게 한다. 특히 글에 빠지다 보면 인간과 자연의 공존에 대해 다시 곰곰히 사색하지 않을 수 없다.

인간은 반드시 나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야 하고 자기 자신으로 돌아가는 길을 찾아야 한다. 어쩌면 그 길을 찾기 위한 과제가 궁극적으로 토템에 대한 연구와 인식이 아닌가 나름대로 생각해본다. 자신의 삶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며 죽음과 삶의 시간 속에서 자신을 전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 때 인간은 종착역을 향한 힘든 려정에서 방황함이 없이 꿋꿋이 걸어갈 수 있지 않을가!

굽어보면 인류는 확실히 ‘인간, 기계, 자연 ’이 지혜롭게 공존해야 하는 새로운 문명을 맞고 있다. 공존의 지혜를 찾지 못하면 파멸은 예정돼 있다. 물질적 풍요로움을 위한, 자연을 착취하는 급류에 속절없이 떠내려가고 있는 인류, 비극을 잠재울 수 있는 열쇠는 오직 인간에게 있다. 오늘날 인간은 있는 그대로의 자연과 공존하기보다는 자신의 필요와 욕구에 따라 자연의 존재방식을 변형시킴으로써 자연과의 관계를 인위적으로 왜곡하고 있다.

자연법칙에 종속되여 있는, 자연의 일부분으로서의 인간은 하루빨리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 우리는 어디에서 왔고 누구이며 어떤 모습으로 어느 모퉁이에 머물고 있으며 어디로 흘러가고 있는지에 대한 성찰, 그것이 기울어진 삶의 운동장을 바로잡는 급선무인지도 모른다.

토템에서 론하고 탐구하는 리론적 시도는 끊임없이 물질에 종속 당하고 물질의 노예로 전락하는 현대인에게 정신적 오아시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필자 나름대로의 생각이다. 모종의 의미에서 토템문화에 대한 탐구, 어쩌면 그것이 생존개척을 위한 희망의 설계도가 아닐가!

/주해봉(1963년생, 흑룡강성 탕원현조선족고급중학교 교사 출신, 연변대학 조선언어학과 통신학부 본과 졸업, 여러 잡지와 신문에 소설, 수필, 시 다수 발표. 현재 한국 서울에 거주)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30 윤동주 서울 하숙집 가보다... 2017-03-17 0 2532
329 시쓰기는 보석쟁이가 값진 다이아몬드를 세공하는것과 같다 2017-03-17 0 2557
328 윤동주의 시는 끝까지 한글 작품으로 남아있다... 2017-03-17 0 2829
327 윤동주의 친동생 윤일주도 시인이었다... 2017-03-16 0 3731
326 시비(詩碑)가 뭐길래 시비(是非)인거야... 2017-03-16 0 2868
325 한 편의 시에서 시의 1행이 주조행(主調行)이라 할수 있다... 2017-03-16 0 2601
324 윤동주 묘비에는 "詩人尹東柱之墓"라고 워낙 각인되여... 2017-03-16 0 3075
323 시인은 늘 령감의 메시지를 잡을줄 알아야... 2017-03-15 0 2696
322 시의 씨앗은 시인의 몸 안에서 "무자각적"으로 싹터 자란다... 2017-03-14 0 2668
32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이골이 나다"의 유래 2017-03-14 0 2242
320 일본 교토 윤동주 마지막 사진 찍은 자리에 詩碑 세우다... 2017-03-13 0 2747
319 시 한편이 태여나는것은 늘 울고 웃는 과정을 그려가는것... 2017-03-13 0 2419
318 있어야 할건 다 있고 없을건 없다는 "화개장터" 2017-03-12 0 2661
317 우리 고향 연변에도 "詩碑자연공원"을 조성해야... 2017-03-12 0 3058
316 일본 문화예술인들 윤동주를 기리다... 2017-03-12 0 4172
315 일본 한 신문사 부장이 윤동주의 "빼앗긴 시혼(詩魂)"다루다... 2017-03-12 0 2896
314 일본 녀류시인 50세부터 한글 배워 시를 번역하다... 2017-03-12 0 3087
313 일본인 = "윤동주 선배가 나와 같은 의자에서 공부했다니"... 2017-03-12 0 2760
312 일본의 중견 시인이 윤동주 시를 일본어로 완역하다... 2017-03-12 0 2982
311 일본 녀류시인 이바라키 노리코가 윤동주 시에 해설을 달다... 2017-03-12 0 2702
310 작문써클 선생님들께: - "실랑이" = "승강이" 2017-03-11 0 2488
309 조선어의 자멸의 길은 있다?... 없다!!!... 2017-03-11 0 3382
308 시는 짧음속에서 큰 이야기를 보여줘야... 2017-03-11 0 2041
307 독자들도 시를 보고 도망치고 있다... 2017-03-10 0 2618
306 시인들이 시가 싫어 도망치고 있다... 2017-03-10 0 2283
305 작문써클 선생님들께= 아름다운 순 우리말로 작문짓게 하기... 2017-03-08 1 2776
304 윤동주의 친구 문익환 목사도 시 "동주야"를 썼다... 2017-03-07 0 4553
303 청년문사 송몽규도 시를 썼다... 2017-03-07 0 2737
302 청년문사 송몽규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작에 들다... 2017-03-07 0 3949
301 시인과 수석인은 이웃이다... 2017-03-07 0 2303
300 민족시인 윤동주를 연변 룡정 고향에서 모실수 있다는것은... 2017-03-07 0 2379
299 시는 생명의 황금빛이며 진솔한 삶의 몸부림이다... 2017-03-06 0 2536
298 시인은 죽기전 반항하면서 시를 써야... 2017-03-03 0 3190
297 시는 천년을 기다려서 터지는 샘물이여야... 2017-03-03 0 2388
296 시는 이미지 무덤이다... 2017-03-02 0 2755
295 시는 상식, 틀, 표준 등 따위가 깨질 때 탄생해야... 2017-03-01 0 2571
294 시 한수라도 마음속에 깊이 갈무리 해야 함은?!...ㅡ 2017-02-28 0 3413
293 작문써클선생님들께;우리와 다른 알고 넘어가야 할 "두음법칙" 2017-02-28 0 2750
292 시는 "빈 그릇"이다... 2017-02-28 0 2408
291 시문학도들이 알아야 할 시창작원리 12가락 2017-02-27 0 2548
‹처음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