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토템시/ 사슴= 남영전, 해설= 현춘산(7)
2020년 10월 10일 22시 32분  조회:2269  추천:0  작성자: 죽림
7.사슴, 하늘 땅을 이어놓는 신비한 정령(精灵)
2020년 09월 10일 /현춘산
“푸르른 바다에 동동 떠있는 산호꽃인가, 새하얀 물결에 활짝 핀 인삼꽃인가.”
 
사슴떼의 신기한 풍경이다. 남영전시인이 산호나 인삼 같은 보물로 사슴을 비유한 것이다.
 
피나 태반이나 뿔이 사람들에게 진귀하게 쓰이는 사슴은 신비한 동물로서 고대 동이족의 사양권에 속하였다.
 
우리 조상들의 사슴숭배를 보여주는 두가지 신화가 있다. 해모수신화의 내용은 이러하다. 해모수가 류화와 혼인하려고 류화의 부친 하백(河伯)을 찾아가니 하백은 자기와 술법겨룸을 해서 이기면 혼인을 허락한다고 했다. 먼저 하백이 잉어로 변하자 해모수는 수달이 되였고 하백이 사슴으로 변하자 해모수는 승냥이가 되여 그를 쫓는다. 하백이 사슴으로 변할 수 있는 것은 그의 토템이 사슴이기 때문이였다.
 
다른 하나는 고주몽신화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고주몽이 비류국을 병탄할 때 사슴을 거꾸로 매달아 사슴의 울음소리로 하늘을 진동시켜 큰비를 불러와 비류국을 물바다에 잠기게 한 것이다. 이 경우의 사슴은 대지와 하늘을 매개(媒介)하는 우주의 동물이다. 그리고 고주몽은 호풍환우(呼风唤雨)의 능력을 가진 주술신이요, 사슴은 그 주술의 효험을 보장하는 령적 동물이다. 사슴이 하백의 토템이였으므로 하백의 외손자 고주몽의 령토 확장을 도와주는 수호신 토템으로 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조상의 토템이 후대의 수호신으로 된 사례중의 하나이다.
 
이 두 신화는 우리 조상들의 유구한 사슴숭배력사를 증명하고 있다.
 
조상들의 사슴숭배는 록각숭배에서도 표현된다. 사슴의 머리에 떠인 여러 가닥의 뿔들은 봄에 돋아나 한해 동안 자라면서 각질로 굳어졌다가 이듬해 봄이면 떨어져 나가 락각이 돼버리고 그 자리에 또 새뿔이 돋아나 자란다. 록각의 이 순환기능은 우리 선조들에게 사슴이야말로 머리에 나무를 키우는 신비한 동물로 인정되였고 따라서 그것은 달이나 곰이 가진 재생의 원리로 보였을 것이다. 하물며 록태나 록용, 록혈이 인간들의 영양품으로 되여있음에랴. 우리의 선조들에게 있어서 삶과 죽음이란 무거운 과제였다. 한번 가면 다시 오지 못하는 일차적 삶에 대하여 고민한 나머지 달과 곰처럼 재생의 원리를 지닌 삶을 영구한 삶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신라 왕관(王冠)들이 록각모양으로 장식된 것은 영원한 왕권의 상징이요, 록각이 산 사람의 수장품(收藏品)과 죽은 사람의 부장품(陪葬品)으로 쓰이였다는 사실을 보면 사슴이 우리 민족 십장생(十长生)의 하나로 숭배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시인 남영전은 토템시 <사슴>에서 민족의 토템인 사슴의 형상을 부각하면서 그의 토템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안개 감도는 신비한 천국에 오르내리고/이 세상 울창한 수림 속 드나드는 사슴/”은 하늘과 대지 사이를 오가는 천사로 무궁한 생명력의 상징이다. 사슴의 이런 무궁한 생명력은 “풍요한 륙지 찾아내느라/사악한 도깨비 쫓아내느라/” 애쓰며 대자연과의 박투 속에서 자신을 련마하고 지켜낸 민족의 령혼이다.
 
“붕새의 날개와 더불어/신단수의 가지와 더불어/” 억세고 영원한 생명력의 사슴은 력사의 풍운을 헤치고 우뚝 일떠선 슬기롭고 근로용감한 우리 민족의 상징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5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달같이 2018-09-16 0 3231
124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코스모스 2018-09-15 0 3567
1248 윤동주와 시 세편속의 "순이" 2018-09-15 0 2682
124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사랑의 전당 2018-09-15 0 3585
1246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갈릴리 호수" 2018-09-13 0 4284
124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이적 2018-09-12 0 3311
124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 오는 밤 2018-09-12 0 3201
1243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납인형" 2018-09-11 0 3751
1242 윤동주와 송몽규, 정병욱 2018-09-11 0 3803
124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어머니 2018-09-11 0 5459
1240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보헤미안" 2018-09-10 0 3686
123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야행 2018-09-10 0 3365
1238 백석 / 자작나무 2018-09-08 0 2751
123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유언 2018-09-08 0 3493
123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명상 2018-09-07 0 3850
1235 윤동주와 윤혜원, 오형범 2018-09-06 0 2948
1234 윤동주와 "련인" 2018-09-06 0 2591
1233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능금" 2018-09-06 0 3915
123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그 녀자 2018-09-05 0 3332
123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달밤 2018-09-03 0 3515
1230 윤동주와 "별"의 기호와 "코드"... 2018-08-31 0 2902
122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리별 2018-08-31 0 4747
1228 김철호 /권력률 2018-08-30 0 2827
122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고향집 2018-08-30 0 5065
1226 [사진한쪼박] - 그리워라 땡 땡 땡 종소리... 2018-08-25 0 2495
122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남쪽하늘 2018-08-24 0 2880
122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못 자는 밤 2018-08-24 0 2744
122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태초의 아침 2018-08-23 0 3875
1222 {자료} - 산문시와 이야기시 2018-08-22 0 4222
1221 [詩소사전] - "산문시"란?... 2018-08-22 0 2650
1220 러시아 작가, 시인 - 투르게네프 산문시 7수 2018-08-22 0 2730
1219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투르게네프 2018-08-22 0 3902
121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투르게네프의 언덕 2018-08-21 0 4704
1217 문학은 "금나와라, 뚝딱!"하는 도깨비 방망이가 아니다... 2018-08-21 0 2492
1216 [문단소식] - 리상각 시인 "두루미"를 타고 하늘가로... 2018-08-21 0 2683
121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슬픈 족속 2018-08-20 0 5221
121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ㅅ뒤 2018-08-13 0 2913
1213 윤동주 "새로 발굴된" 시 8수 2018-08-11 0 2137
1212 {자료} - 일본의 윤동주, 일본의 톨스토이 2018-08-11 0 3034
1211 윤동주 시를 풀어서 산문으로 쓰다... 2018-08-11 0 2677
‹처음  이전 4 5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