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zhengyinwenahua 블로그홈 | 로그인
정음문화칼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나의카테고리 : 칼럼

우리네 결혼이야기: 어제 그리고 오늘(리화)
2017년 08월 02일 06시 59분  조회:1633  추천:7  작성자: 정음문화칼럼
1910년생 김씨 할머니(1992년 사망)는 열네살 애된 나이에 열아홉 리씨 할아버지와 조선 함경북도 무산군 연사면의 자그마한 리씨 종족부락에서 소박한 중매혼인을 했다. 2남5녀 일곱 자식에 22명의 손주들을 슬하에 두고 할아버지가 여든둘 생을 마감하실 때까지 옹근 63년간 부부의 연을 이어가셨던 두분, 맏이와 막내의 터울이 무려 24살이였던 탓으로 일곱 자녀의 결혼은 1947년도에 막을 올리기 시작하여 1980년도에 이르러서야 드디여 그 엔딩을 고하게 되였고 그 사이 조카들이 이모, 고모, 삼촌보다 먼저 혹은 비슷한 시기에 결혼식을 올린적도 여러번 있었다. 
 
할머니의 장남은 1969년 스물아홉에 고중 동창이였던 안해와 연길시 태양향 광흥촌에서 결혼식을 올렸고 년년생 남매를 보았다. 1995년 스물다섯, 1999년 스물여덟에 각자 대학 동창남편, 오다가다 첫눈에 반한 안해와 연길시에서 련애결혼한 남매는 스물두 살짜리 아들과, 열네 살짜리 딸을 두고있다.
 
열네살에 벌써 결혼생활을 시작하셨던 증조할머니와 아직 부모 눈에는 철부지 애기일뿐인 열네살 증손녀, 늦어도 서른전에는 "치워버릴수" 있었던 자식들과 마흔이 되도록 결혼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 손주들, 청일색 우리 민족으로부터 이제 한족은 기본이요, 만족, 회족, 장족, 그리고 한국, 일본 등 그 성분이 엄청 알록달록해진 "다국적•다민족 사위, 며느리 대오", "리혼하면 동네망신이요, 인생의 실패"인고로 "일부종사"만이 진리라는 신념을 굳게 지켜오셨던 할머니와 리혼과 재혼으로 과감히 불행하다고 생각되는 혼인을 정리하고 다시 그 조각 맞추기에 도전하는 손주세대의 "사랑과 자아 찾기", 할머니가 평생 고수하셨던 혼인한 녀자의 상징 쪽머리, 그 딸과 며느리들의 새각시파마 그리고 처녀인지 각시인지 구분이 어려워진 손녀딸, 손자며느리들의 머리차림새, "딸 가진 죄인"으로부터 "아들 가진 죄인"으로 역변해버린 결혼시장판도, 집안에서 술판을 벌이면서 며칠이고 이어졌던 잔치를 고작 두, 세시간내 번개불에 콩 구워먹듯 마무리하는 례식장혼례. 한두마디로 명쾌한 정리가 어렵지만 대충 짚어낼수 있는 리씨가족 4대에 걸친 결혼변천사 어제와 오늘의 주요 포인트라 할수 있겠다.
 
1924년부터 2017년 현재까지 근 100년간 이어진 리씨가족의 결혼이야기, 어찌보면 지극히 평범한 민초들의 자잘한 삶의 한자락, 단지 그 정도로만 비춰질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속에서 느껴지는 익숙함과 친근함은 분명 우리의 몸과 기억의 구석구석 스며들고 배여진 우리에 의한, 우리네만의 백년짜리 결혼이야기의 축소판이기도 한 리유때문이리라.
 
인류학에서의 대표적인 정의로 이른바 결혼(혼인)이란 "한명 혹은 여러명의 남성과 한명 혹은 여러명의 녀성의 결합. 즉 사회가 지속적인 성접촉의 권리를 부여하고 인정한 남녀사이의 관계"로 설명된다(William A․ Haviland). 여기에서 남성, 녀성은 생물학적인 성별(sex)일수도 있고 사회적성별(gender)의 가능성도 포함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것은 결혼이 모든 사회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것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문화에 따라 각자 다양한 모습을 나타낸다는 점이다.
 
즉 우리가 지극히 사적인 령역에 속한다고 착각하는 결혼이 실은 부동한 문화의 틀 속에서 나름대로의 도덕성, 륜리성과 정체성을 성찰, 확인하고 실천해나가는 규범 내지는 제도로서의 성격을 강하게 지닌다는것이다. 단 문화의 특성상 전통의 지속은 정도 부동한 변화를 수반하면서 비로소 가능하며 이는 한 문화요소의 존재양상이 곧 전통의 지속과 변화의 력동적인 경합 혹은 그 결과를 의미한다는것이기도 하다. 더불어 그속에서 규범 또는 제도의 재정립이 이루어진다고 볼수 있다.
 
우리 민족은 오랜 세월동안 부계적 출계규범을 바탕으로 동성동본불혼의 근친상간 금제(incest taboo)를 엄격히 지켜왔다. 이는 지금도 성씨와 본이 동일하면 근친결혼이라 하여 기피하고 특히 본이 하나뿐인 성씨일 경우에는 통혼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암묵적인 사실로부터도 알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우리가 오랜 세월동안 고집해왔던 민족내혼의 전통은 개혁개방 이후 국내 대도시 및 해외로의 활발한 인구이동에 의해 서서히 무너지기 시작했다. 하여 우리네 통혼권은 기존의 민족내혼 및 국내 타민족과의 통혼 그리고 국제결혼이라는 세갈래의 방향으로 넓혀가게 되였다. 
 
일정 년령에 도달하면 당연히 결혼해야 하고 결혼을 생애과정의 필수적인 통과의례로 여겼던 전통관념 역시 만혼, 비혼에 의해 색바래지기 시작했다. 얼핏 주위를 둘러보더라도 30대 후반, 40대 초반의 미혼자들이 심심치 않게 눈에 띤다. 이제 더는 필수가 아닌 선택으로 되여버린 결혼, "언제 결혼해?","왜 결혼 안해?" 라는 걱정 자체가 무색할 정도로 결혼적령기의 폭이 넓어졌고 비혼에 대한 사회적시선이 부드러워졌다.
 
결혼식의 전주의례로서의 말떼기, 사돈보기는 통합, 간략화의 변용을 보이고있다. 결혼의 하이라이트라 할수 있는 결혼식은 1989년 연길시 성흥혼례청사의 개업을 시작으로 가정집으로부터 상업성 례식장으로 그 무대를 옮겼으며 전안례, 후례가 소실되고 신랑신부 혹은 신부와 부친의 동반입장, 드레스 착용, 부케 던지기와 등 서양식 혼례 및 액을 물리친다는 의미로 폭죽 터뜨리고 혼례날자의 선정, 증여교환의 장에서 중국어발음의 행운과 복을 의미하는 수자들을 선호하며 결혼증서를 선독하는 등 한족식 혼례의 여러 절차와 요소가 추가되는 등 변용의 모습들을 보여주고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새로운 가족의 탄생과 신혼부부의 사회적 신분전환을 상징하는 성스러운 통과의례로서의 문화적의미는 그대로 혹은 형태를 바꿔가면서 이어지고있다. 이를테면 교배례와 합근례, 큰상받기 등 부부의 결합을 상징하는 문화요소들이 례식장 결혼식을 통해 적절하게 재구성되고있으며 다산과 부부금슬을 상징하는 닭이나 달걀, 대추 등 음식들이 나란히 큰상에 오른다. 
 
그런가 하면 련애기간 내의 이벤트는 물론 약혼, 혼례의 전반 과정에서 남성이 주도하고 그 소비를 책임지는 정형화된 젠더역할이 여전히 강력하게 작용하는 이른바 전통의식과 시대적 변용의 아이러니한 공존이 뚜렷하게 안겨온다. 
 
아직까지도 우리는 결혼이 곧 녀성의 친정에서 시댁으로의 귀속변경이라 생각하며 시댁에서는 반드시 며느리를 챙겨야 한다는 인식이 농후하다. 즉 녀성들의 공적령역에서의 활약상과 달리 가정생활에서는 여전히 남성이 우위를 차지해야 한다는 의식이 강하게 남아있다. 따라서 결혼상대로서 바람직한 남성상 역시 사회적지위나 경제적상황 등 여러 면에서 모두 녀성보다 우월할것을 기대하며 웨딩촬영과 신혼여행, 혼례비용, 신혼집과 인테리어, 함에 넣는 고가의 장식품과 의류, 현금 등 결혼을 상징하는 일련의 물질적 표상중 절대 대부분을 남자집에서 부담해야 한다는 생각이 보편적이다. 
 
성과 사랑을 기초로 하는 현대결혼은 정서적친밀성을 특징으로 하고있지만 "돌아누우면 남"이라는 말이 있듯이 그 중심을 이루는 두사람의 관계가 생각보다 많이 섬세하고 취약하다는게 함정이다. 1990년대 이후의 조선족사회 최대 사안의 하나가 바로 급증하는 리혼률과 그에 수반하는 자녀교육 등 여러가지 문제들이였으며 이는 곧 민족공동체의 위기론으로 이어졌다. 물론 기존의 연구들에서 강조하는바와 같이 경제적리익 추구의 인구이동이 리혼의 급증을 유발한 요인의 하나임은 틀림없다. 그러나 그러한 사회구조적변화와 더불어 녀성의 경제능력 제고, 개인의 정체성 및 개인주의가치관의 침투, 도덕적제약의 완화, 전통적 가족규범의 약화 등 보다 넓은 분석의 틀에서 조선족사회의 리혼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지 않을가 생각된다.
 
또한 증가하는 리혼률에 비례하듯이 재혼도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며 결혼이 이제 더는 "일생에 한번뿐"이 아닌것으로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음과 동시에 재혼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들이 많이 거두어졌다. 그런가 하면 언제부터인가 황혼재혼 역시 우리네 결혼이야기의 중요한 소재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다만 초혼에 비해 복잡한 관계성 그리고 젊은 층의 재혼이 마주하게 되는 자녀문제와 황혼재혼에서 부딪치는 재산분규, 돌봄문제 등 재혼가족들이 풀어나가야 하는 어려움 역시 만만치 않은게 현실이다.
 
우리는 결혼을 통하여 가족이라는 무엇보다 소중하고 질긴 인연의 끈을 공유하게 된다. 따라서 결혼은 두 사람의 결합 그 이상의 의미와 가치 그리고 훨씬 더 많은 사람들과의 관계성을 만들어내며 귀속된 사회집단 전체의 존속과 위상에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중요한 사안이기도 하다. 
 
따라서 날로 늘어나는 만혼, 비혼과 리혼, 재혼 등으로 인한 여러가지 문제와 위기에 대처하는 지혜와 해결책의 탐색은 향후 조선족사회가 지속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과제들이며 그 고민의 깊이만큼 깊어진 우리네 결혼이야기가 세세대대 오래도록 이어져갈 것임을 감히 기대해보는바이다.

인민넷 2017-7-31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2 일본에서 사는게 걱정되는가?!(허연화) 2017-08-08 0 1762
61 우리네 결혼이야기: 어제 그리고 오늘(리화) 2017-08-02 7 1633
60 '공공외교'와 조선족(리상우) 2017-07-19 0 1542
59 중국조선족의 근대성을 상상한다(5)--박우 2017-07-12 0 1521
58 조선족의 도시 진출과 미래(최학송) 2017-07-04 0 1597
57 윤동주시인 탄생 100주년을 맞으며(최유학) 2017-06-28 3 1413
56 "일대일로"시대를 열어가면서(예동근) 2017-06-21 1 1671
55 문화의 힘을 말하다(안성호) 2017-06-12 0 1358
54 중국 부동산시장의 새로운 정책과 그 영향(리천국) 2017-06-07 3 1522
53 뿌리깊은 나무 2017-05-22 0 1823
52 긴가민가 우리말 어원(김청룡) 2017-05-10 0 1838
51 조선족연구의 방향을 고민해본다(리성일) 2017-05-03 6 1885
50 음식으로 보는 민족과 전통(최선향) 2017-04-25 1 1716
49 디아스포라 조선족아리랑의 서사와 담론(정월매) 2017-04-19 1 1860
48 상상의 공동체로서의 조선족 "경상(鏡像)"은?(허명철) 2017-04-11 3 1645
47 조선족의 이주와 삶, 그리고 향수(방미화) 2017-04-07 3 1789
46 연변말이 창피한가?!(허연화) 2017-03-28 1 2000
45 생(生)과 사(死) 그리고 우리네 삶(리화) 2017-03-23 10 1923
44 연변녀성평생교육협회를 통해 본 평생학습도시의 구축 2017-03-14 1 1666
43 신집거지에서의 민족학교 교육에 대한 사색 2017-03-13 1 1899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