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zhengyinwenahua 블로그홈 | 로그인
정음문화칼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나의카테고리 : 칼럼

혁명화가 한락연선생을 기리며
2020년 08월 07일 08시 58분  조회:1668  추천:1  작성자: 정음문화칼럼

[정음문화칼럼] 혁명화가 한락연선생을 기리며

리성일(중국사회과학원)
 
2020년 7월 30일, 우리민족의 걸출한 혁명가이고 예술가이신 한락연선생(1898-1947)의 서거 73주기가 된다. 얼마전에 중국미술관이 제작한 《한락연 탄신 120주년 중국미술관 소장 한락연작품전 작품집》이 문화예술출판사에 의해 출판되였다. 이 작품집은 2018년 5월부터 9월초까지 전시된 여러 작품과 자료들을 중심으로 만들어졌다. 이렇게 되여 한락연선생의 작품집은 중국미술관과 심천관산월미술관이 2007년에 편집, 출판한 《열혈단심 주화혼―한락연 회화예술전》, 《한락연회화작품집》 등 여섯권이나 된다. 여기에 이미 작고한 중앙당학교의 최룡수 교수가 주필한 《한락연을 기리며(缅怀韩乐然)》(민족출판사, 1998년 출판, 2017년 재판), 룡정한락연연구회의 김동수 주임이 주필한 《한락연기념활동문헌집》(연변대학출판사, 2012년), 장효서(张晓西), 위아리(魏亚利) 두분이 저술한 《한락연전》(연변인민출판사, 2012년), 연변작가협회 부주석 김혁선생이 저술한 《한락연의 이야기》(연변인민출판사, 2013년) 등을 합치면 한락연 연구 및 소개에 관한 단행본이 10권에 달한다.
 
특히 중공료녕성당위연구실과 료녕성중공당사인물연구회가 2016년에 편집, 출판한 《료녕당사인물전》(제2권) 한락연편은 지금까지의 연구를 집대성했다고 할 수 있다. 료녕성당사연구실의 라점원(罗占元), 왕은보(王恩宝) 두 연구원은 최룡수 교수 등 학계의 연구업적과 자료를 바탕으로 한락연선생의 혁명활동과 업적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고찰, 정리하였다. 이러한 연구와 자료발굴과 함께 한락연선생에 대한 평가도 점점 심화되고 있다.
 
원 중앙통전부 부부장이며 원 국가민족사무위원회 리덕수 주임은 한락연선생에 대하여 “정치상에서 다섯가지 첫번째”라고 평가했다. 우선, 한락연선생은 1923년에 당에 가입한 중국조선족중의 첫 공산당원이라는 것이다. 두번째로는 동북지역 첫 당조직 건설을 위하여 최초의 당원들을 발전시켰으며 당조직 건설에 직접 참여하였다. 세번째는 흑룡강지역에서 우리 당의 교통소와 련락소를 처음 건립하였다. 네번째는 중국조선족중에서 처음으로 유럽에서 진행된 국제반파쑈전쟁에 참가하였으며 프랑스에서 중국의 항일투쟁활동을 조직, 참여하였다. 다섯번째는 국공합작시기에 조선족출신으로서 국민당 소장신분을 가지고 국민당 고층인원에 대한 통일전선사업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정치적 평가와 함께 한락연선생에 대한 예술상의 평가도 매우 높다. 중국 외교부의 강기민(康冀民) 대사는 한락연선생은 “문화예술상의 다섯가지 첫번째”를 가지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첫번째는 동북지역에서 봉천미술전문학교(동북지역 첫 미술학교)를 창설한 교육가이다. 두번째는 신강 키질석굴(克孜尔石窟)을 처음으로 고고발굴한 중국인 화가이다. 세번째는 유화와 수채화를 체계적으로 리용하여 서북지역의 사회풍모, 인정풍토와 인민들의 생활을 그려낸 인민예술가이다. 네번째는 처음으로 미술, 촬영, 창작 등 방식을 결합하여 국내외 항일활동을 보도한 전선기자이기도 하다. 다섯번째는 미술창작에 있어서 동, 서방문화를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특출한 성과를 거두었기 때문에 그에 대하여 북경언어대학의 성성(盛成) 교수는 “중국의 피카소”라로 칭하였다.
 
2018년 5월, 중국미술관은 한락연선생의 부인인 류옥하(刘玉霞)녀사가 공화국창건후에 국가에 기증한 135점의 그림작품과 새로 발굴한 자료, 키질, 벽화, 영상 등을 결합하여 ‘실크로드 우의 무지개―한락연 탄신120주년 작품전’을 개최하였다. 같은 해 7월 2일, 중국공산당 창당 97돐을 기념하여 심포지엄이 중국미술관에서 열렸으며, 전국정치협상회의 위원이며 중국미술관 오위산(吴为山) 관장은 한락연선생에 대하여 예술가, 고고학자, 혁명가이며, 특히 중국미술계의 첫 당원이라고 강조하였다. 나아가 그는 한락연선생은 장기적으로 당의 조직, 련락 및 정보활동에 종사하였을 뿐만 아니라 학자로서 신강 키질석굴 예술을 체계적으로 발굴, 연구, 정리한 첫 중국인 화가라고 높게 평가하였다.
 
2019년 1월, 중앙미술학원 미술관에서 개최한 ‘선구자의 길―프랑스 류학파 예술가와 중국 현대예술(1911-1949)’ 전시회에 서비홍(徐悲鸿), 오작인(吴作人), 상서홍(常书鸿) 등 중국의 유명한 대화가들과 함께 한락연선생에 대한 소개와 작품이 전시되였다. 중앙미술학원 설계학원 원장 김일룡 교수는 한락연선생은 신강 키질석굴에 대하여 가장 일찍 예술고고학을 연구한 학자로서 문물의 발굴, 정리 및 보호에 있어서 탁월한 기여를 했다고 강조하였다. 키질석굴은 기원 3세기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으로 지금까지 가장 오래된 석굴이며, 돈황막고굴, 운강석굴, 룡문석굴과 함께 4대 불교석굴의 하나이기도 하다.
 
한락연선생의 고고학 업적은 높게 평가되여 2015년말에 신강 구자연구원(龟兹研究院)은 키질석굴 내부에 한락연동상을 세웠다. 이 동상은 1947년에 한락연선생과 함께 갔던 네명 학생중의 진천(陈天) 화가의 아들인 진운강(陈云岗)선생이 직접 제작, 증정한 것이다. 현재 진운강선생은 국가화원(国家画院) 조각원의 집행원장이며, 키질석굴 고고발굴에 참여한 한락연, 진천, 조보기(赵宝琦),번국강(樊国强),손필동(孙必栋) 등 다섯분의 조각상을 제작하고 있다.
 
2018년 11월, 중국조선민족사학회 한락연연구전업위원회(2017년 5월 설립)는 한락연선생의 모교인 남경예술학원(전신은 상해미술전문학교)을 방문하여 자료 발굴, 교류 협력에 관하여 의논하였다. 남경예술학원 학보 《미술과 설계》 2018년 제6기는 본 호의 명가로서 한락연선생을 전문 소개하였으며 민국초기 현대 미술교육제도의 보급자, 시험사라고 높게 평가하였다. 방문기간 연구회 일행은 대학 캠퍼스내에서 선서 모습을 하고 있는 한락연선생의 동상을 발견하였다. 이렇게 되여 한락연선생의 동상은 룡정 락연공원, 신강 키질석굴과 남경예술학원까지 합쳐 세 곳에 모셔져있다.
 
특히 고향인 룡정에는 한락연연구회가 설립되여있으며, 락연공원, 한락연동상과 락연정이 만들어져 룡정시의 중요한 애국주의교육기지와 관광명소로 되고 있다. 2018년 9월에 연변주당위 선전부, 룡정시 당위와 인민정부는 ‘한락연탄신 120주년 기념 심포지엄’을 룡정에서 성황리에 개최하였으며, 새로 건축한 룡정시당안관 1층에 한락연전시청을 전문 설치하였다.
 
이외에 룡정실헙소학교에는 한락연예술단, 한락연장학금, 룡정고급중학교에는 한락연서화실과 화극 <한락연>이 만들어졌으며, ‘락연컵’ 미술시합도 룡정에서 여러차례 개최되였다. 다년간의 노력으로 인하여 한락연선생은 중국조선족의 첫 당원으로서 중국인민해방군군가의 작곡가 정률성선생, ‘영화황제’로 불리웠던 김염선생 등 조선족 문화거장들과 함께 우리 민족의 문화브랜드로 자리잡고 있다.
 
2021년은 중국공산당 창당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현재 중공당사인물연구회는 《중공당사중요인물사전》을 집필중인데 여기에 한락연선생이 들어간다고 한다. 또한 작가 김혁선생도 《한락연평전》을 래년에 출간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전해왔다. 이외에 지난해에 만들어진 한락연 다큐멘터리에 이어 여러가지 예술작품들이나 작품전시회도 기획중에 있다고 한다. 특히 한락연선생의 따님인 한건립녀사는 중국조선민족사학회 한락연연구전업위원회와 함께 선생에 관한 업적과 자료 수집, 발굴 및 선전에 모든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한건립녀사는 자신의 아버지의 혁명업적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 조선족들의 력사와 민족적 긍지를 고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수차 강조하였다.
 
한락연선생의 혁명생애와 예술업적에 대한 칭송은 오늘날에도 계속 널리 전파되고 있으며 세월이 흐를수록 더욱 빛을 발하고 있다. 우리 민족에게는 한락연선생과 같이 매우 많은 혁명선렬들이 있으며 그들의 생명과 선혈로 인하여 오늘의 평화와 행복이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이제 다가오는 당창건 100주년을 맞이하면서 국가와 민족의 독립과 해방을 위하여 헌신한 혁명선렬들의 업적을 기리고 널리 알려 후대들을 교육하는 사업이 시급히 전개되여야 할 것이다.

인민넷 조문판 

리성일 략력
 
성명: 리성일(李成日)
 
성별: 남
 
출생년월: 1971.3
 
소속: 중국사회과학원 아시아태평양&글로벌전략연구원
 
전공: 동북아국제관계
 
학력: 일본 게이오대학 법학박사
북경대학 국제관계학원 법학석사
북경대학 정치학&행정관리학부(현 정부관리학원) 법학학사
 
경력: 중국사회과학원 아시아태평양&글로벌전략연구원 조리연구원(2013.1 – 현재)
한국 동서대학교 국제학부 조교수(2008.9-2012.9)
일본 게이오대학 법학부 방문연구원(2008.3-2008.9)
 
주요 론저:
저서로는 《중국의 조선반도정책》(2010, 일본, 게이오대학출판사), 공저로는 《조선반도의 질서 변혁》(2013, 일본, 게이오대학출판사), 《조선반도와 국제정치》(2005, 일본, 게이오대학출판사), 《조선족 3세들의 서울이야기》(2011, 서울, 백산서당), 역서로는 《일본의 미들파워외교》(2015, 사회과학문헌출판사) 등.
 
“中日关系:转型中的博弈与磨合”(2015), “中韩建交与中国—朝鲜半岛关系的结构变革”(2014), “日本解禁集体自卫权的举措与影响”(2014), “朝鲜族研究的现状及课题-中日韩三国为中心”(2014), “东亚地区合作:中国的视角”(2014), “中国朝鲜族在中韩关系发展过程中的作用”(2013) 등 20 여편 론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2 연변주 부련회 제1임 주임 김찬해의 생애사를 통해 본 조선족 녀성해방 려정 2021-01-26 0 1180
141 왜 우리는 병 보이러 대도시로 떠나야만 하는가 2021-01-13 1 1198
140 조선족사회에 남성학(男性学)이 필요한 시점 2020-12-11 2 1250
139 녀성사회조직에서 녀성의 발전을 보다 2020-11-18 2 1221
138 방언과 지역문화 전승 2020-10-28 0 1199
137 글로벌 백신전쟁과 국제사회의 협력 2020-10-19 0 1299
136 신종코로나페염이 전하는 메시지(권진홍) 2020-08-24 1 1944
135 혁명화가 한락연선생을 기리며 2020-08-07 1 1668
134 중국의 농촌진흥전략정책에 대한 소고 2020-07-23 0 1621
133 전염병과 함께 발전해온 우리의 력사 2020-07-07 1 2056
132 산책자의 즐거움 전월매(천진사범대학교) 2020-06-26 2 1492
131 주문빈렬사를 기리며 리성일(중국사회과학원) 2020-06-15 0 743
130 포스트코로나시대를 맞이하는 우리는 무엇을 갖추어야 하는가 2020-06-15 0 1424
129 신종코로나페염과 함께 나타난 ‘자숙경찰’ 2020-05-22 0 1531
128 전염병류행기간, 우리네 삶의 이야기(리화) 2020-05-07 0 1773
127 아침엽서에서 나를 만나다(김화선) 2020-05-04 0 1648
126 신종코로나페염 전염병상황과 속죄양(안성호) 2020-03-31 0 1850
125 바이러스와 대국이 벌리는 21세기형 인민전쟁(박광성) 2020-03-03 1 2031
124 2020년 중국경제 전망(김부용) 2020-02-03 0 1655
123 중한 량국의 경제 신협력에 대한 소고(김욱 ) 2019-12-24 3 2201
‹처음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