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바꾸는 변신로봇, 상상이 현실 되나
조글로미디어(ZOGLO) 2013년10월10일 13시36분    조회:4181

[한겨레] 올라타고 뛰어오르고 구르는 엠블록 선봬

위기상황 특수임무 수행하는 해결사 기대


영화 <터미네이터2>나 <트랜스포머>에서 봤던 것처럼, 상황에 맞게 자유자재로 변신하는 로봇이 과연 실현 가능할까.

아직 제대로 된 인간형 로봇마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현재로선 영화에서나 볼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미 MIT 컴퓨터과학·인공지능연구소(CSAIL)의 연구과학자 존 로마니신이 최근 만들어낸 자가조립(Self-Assembling) 로봇은, 이런 상상이 현실이 될 수도 있겠다는 기대감을 갖게 한다.

로마니신이 만든 것은 아무런 이동장치를 달지 않고서도 움직이는 엠블록(M-Blocks)이다. 그가 만든 작은 엠블록들은 서로 올라타거나 공중으로 뛰어오르고 바닥을 구르면서 여러 모양을 만들어낸다. 블록들은 심지어 금속 표면 밑에 거꾸로 매달려 움직일 수도 있다.

변신의 비밀은 플라이휠, 그리고 자석


어떻게 이런 움직임이 가능할까. 비밀은 1분당 2만 회전을 할 수 있는 플라이휠(관성바퀴)에 있다. 큐브(정육면체) 모양의 블록 안에 있는 플라이휠에 브레이크가 걸리면, 큐브에 각운동량(angular momentum, 회전하는 물체의 운동량)이 전달돼, 엠블록의 각 모서리와 면에 있는 영구자석이 2개의 큐브가 서로 달라붙도록 해준다.

또 큐브의 각 모서리에는 밀방망이(밀가루 반죽을 만들 때 쓰는 방망이)처럼 회전하는 2개의 원통형 자석이 있다. 이 자석들은 2개의 큐브가 서로 접근할 때 N극과 S극이 맞도록 자연스럽게 회전한다. 그래서 큐브의 어떤 면도 다른 큐브의 면에 달라붙을 수 있다.

정육면체의 각 면에는 좀 더 작은 자석쌍 4개가 대칭으로 박혀 있는데, 이것은 다른 큐브 위에 올라탄 큐브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찰칵 잠가주는 역할을 한다.

이런 자가조립 로봇 연구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모듈을 최대한 소형화해서 자기조립할 수 있는 변신 마이크로봇 군단을 만드는 것이다.

예컨대 움직이는 큐브 로봇들은 비상시에 다리나 빌딩을 임시로 응급수리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선 가구나 중장비 등 다른 모양으로 바꿀 수 있다. 나아가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환경에 뛰어들어 문제를 진단하고 스스로 몸체를 재조립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카메라나 조명장치, 배터리팩 등을 갖추고 특수임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런 상황들은 아직까지는 먼 이야기이지만 연구자들은 시스템을 조금만 개선하면 지금과 같은 크기에서도 뭔가 쓸모가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MIT 연구자들은 현재 어떤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는 큐브 100개를 만들고, 이들을 움직이는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있다. 로마니신은 “바닥에 흩어져 있는 수백개의 큐브들이 서로를 알아차리고 스스로 결합해 의자나 사다리, 책상 등으로 모양을 바꿀 수 있도록 하는 게 목표”라고 말한다.


로마니신과 로봇공학 교수 다니엘라 러스, 박사후연구원 카일 길핀은 11월 일본에서 열리는 ‘IEEE/RSJ 지능형 로봇 시스템 국제회의’에서 그들의 새로운 로봇 기술 논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하이테크에만 의존하던 방식서 벗어나 발상 전환

원래 이 계획은 2011년 MIT 4학년생이던 로마니신이 제안한 것인데 당시 러스 교수는 그에게 불가능한 일이라고 말했었다. 과거 자신이 슬라이딩 큐브 모델을 만드는 데 무려 18개의 모터가 필요했다는 점을 아는 그로선 눈으로 확인하기 전엔 동의하기 어려운 방식이었다.

2년 후 러스는 코넬대 로봇 연구자인 핫 립슨 교수에게 로마니신의 디자인에 기반해 만든 로봇 프로토타입이 작동하는 장면을 담은 비디오를 보냈다. 립슨 역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현재 MIT 연구과학자로 활동하고 있는 로마니신은 11월에 마지막으로 한번 더 이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줄 계획이다.

립슨은 로마니신의 성과에 대해 “그동안 매우 높은 수준의 하이테크(high-tech)로 해결하려던 문제에 대한 로테크(low-tech)적 접근법”이라고 말했다.

로마니신의 방법은 특별한 첨단기술을 굳이 총동원하지 않아도 된다니, 앞으로 기술 개선 속도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곽노필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528
  • 우주과학자들이 우리 태양계 밖에서 지구와 크기 및 질량이 유사한 바위 행성을 최초로 찾아냈다.  美항공우주국(NASA·나사)는 30일(현지시간) 하와이대와 제네바 연구팀이 이같은 특징을 지닌 케플러78-b로 명명된 태양계외 행성을 처음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나사는 "그동안 지구와 비슷...
  • 2013-10-31
  • [서울신문 나우뉴스]‘우주택시’ 드림 체이서(Dream Chaser)가 처음으로 실시된 활공 비행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으나 착륙은 매끄럽지 못했다. 지난 2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에드워즈 공군기지에서 민간기업인 시에라 네바다(Sierra Nevada Corp’s)가 제작한 드림 체이서가 헬기에 매달려 ...
  • 2013-10-30
  • 우리 나라 과학자들이 26일 항주에서 H7N9조류인풀루엔자 백신을 개발했다고 선포했다. 세계보건기구 독감연구협력쎈터 주임이며 중국 국가독감쎈터 주임인 서약룡은 이 연구성과는 우리 나라가 외국에서 인플루엔자 백신을 구매하던 력사를 종말짓고 신형 독감 예방치료에 유력한 기술적담보를 제공하였다고 하면서 이는 ...
  • 2013-10-30
  • 얼마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전문성과 창조성 그리고 상호작용 및 증거 등 4가지 축을 중심으로 약 33개의 방법을 적용해 미래에 유망할 첨단기술 10가지를 조사, 선정했다. 1.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원인 모르게 뇌의 특정부위의 신경세포가 사멸되면서 기능을 잃으면서 발생하는 퇴행성...
  • 2013-10-30
  • 29일 오전 중국은 태원 위성발사센터에서 장정2호 병(丙)형 운반로켓으로 원격탐지 위성 18호를 성공적으로 발사, 위성은 순조롭게 예정궤도에 진입했다. 원격탐지 위성 18호는 주요하게 과학실험과 국토자원 전면조사, 농작물의 소출평가, 재해감소와 방지 등 영역에 사용된다. 장정계렬의 운반로켓은 이번까지 183차 발사...
  • 2013-10-29
  • [서울신문 나우뉴스]미 항공우주국 나사(NASA)가 최근 국내외의 큰 화제를 일으킨 3단계 태양흑점 폭발 현상의 이미지를 공개했다. 지난 2010년 발사한 위성인 ‘태양활동관측위성’(solar dynamics observatory)이 촬영한 이 이미지는 지난 25일(현지시간) 오전 4시 1분 태양의 2번째 폭발을 포착한 것. 나사 측...
  • 2013-10-28
  • 조립PC처럼 스마트폰도 원하는 부품을 조립하는 시대다. 마치 장난감 레고처럼 원하는 색상과 모양의 블록을 끼워 맞춘다는 뜻으로 ‘폰블럭(Phoneblock)’이라고 불린다. 27일(현지시각) 영국 씨넷은 BBC 보도를 인용, 폰블럭이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BBC 보도에 따르면, 폰블럭은 데이브...
  • 2013-10-28
  • 중국 과학자들이 올 들어 중국 전역을 긴장케 한 신종 조류인플루엔자(AI)의 백신을 개발했다. 중국질병예방통제센터 산하 국가인플루엔자센터 수웨룽(舒跃龙) 주임은 최근 중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에서 H7N9형 신종 AI 백신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수 주임은 "이 백신은 H7N9 바이러스와 맞서 싸울...
  • 2013-10-28
  • 기자가 27일 중국 국방과학공업국에서 입수한데 따르면 달탐사공정 상아3호 과업을 집행하는 장정3호 을요(乙遙) 23 운반로켓이 연말 발사준비를 위해 이날 베이징에서 전용열차로 서창(西昌)위성발사센터로 향발했습니다. 장정3호 을요 23 운반로켓은 결박식 3급 액체운반로켓으로 중국항천과학기술그룹 소속의 중국운반로...
  • 2013-10-28
  • 25일(현지 시간)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공개한 사진. NASA는 태양활동관측위성을 통해 이날 3번의 태양플레어(태양 표면에서 발생하는 폭발 현상)를 관측했다. 사진 상의 폭발은 그 중 2번째며 X2.1 등급으로 분류됐다. /NASA/Handout via Reuters ⓒ로이터
  • 2013-10-27
‹처음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