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차례 온난화 때마다 포유동물 왜소화"
조글로미디어(ZOGLO) 2013년11월5일 11시32분    조회:2812
(서울=연합뉴스) 이영임 기자 = 고대에 일어났던 두 차례의 온난화 사건 때 포유동물들의 몸 크기가 매번 대폭 줄어드는 왜소화 현상이 일어난 것으로 밝혀졌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4일 보도했다.

미국 과학자들은 약 5천500만년 전 팔레오세-에오세 최고온기(PETM)에 영장류와 말·사슴 등 유제류(有蹄類)에 일어난 이런 변화가 오늘날에도 기후변화로 인해 다시 일어날 수 있다고 최근 열린 척추고생물학회에서 전망했다.

PETM 당시 이들 동물에 왜소화가 일어났다는 사실은 학자들 사이에 이미 알려진 것이지만 연구진은 이로부터 약 200만년 후인 5천300만년 전에도 이보다 작은 폭의 온난화가 일어났으며 이때 포유동물들이 또 한 번 `왜소화'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들은 "이런 현상이 두 번 일어났다는 사실은 온난화와 왜소화의 인과관계에 대한 확신을 더 굳혀 준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최고온기'로 알려진 극단적인 온난화 사건에 반응해 포유동물들의 몸 크기가 줄어드는 것은 "일반적인 진화 반응으로 보인다"면서 "따라서 장차 지구 온난화에 대해 일부 종들이 자연적으로 이런 반응을 보이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약 16만년간 지속된 PETM의 절정기에 지구 기온은 5~8℃ 상승했고 그로부터 약 200만년 후에 8만~10만년간 지속된 ETM2 사건 때는 약 3℃ 상승했다.

연구진은 와이오밍주 빅혼 분지에서 채집한 초기 유제류와 영장류의 치아 및 턱뼈 화석을 토대로 전체적인 몸 크기를 추정한 결과 ETM2 때 일어난 몸 크기 축소폭은 PETM 때에 비해서는 작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예를 들어 작은 개 만했던 말의 조상 히라코테리움의 몸 크기는 PETM 때 30% 줄어들었으며 ETM2 때는 19% 줄었다. 히라코테리움은 두 사건 후 온난화 이전의 크기로 되돌아갔다.

연구진은 "흥미로운 것은 포유동물의 왜소화 폭이 온난화 규모와 상관관계가 있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디아코덱시스'(영양 비슷한 신생대 초기 동물)라는 또 하나의 유제류는 ETM2 당시 몸 크기가 약 20% 줄어들었고 `칸티우스'라는 영장류는 8% 작아졌다.

학자들은 고대의 온난화 원인이 해저 메탄 방출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연구를 이끈 미시간 주립대의 필립 진저리치교수는 지난 2006년 포유동물의 왜소화가 이산화탄소 증가로 식물의 양분 함유량이 줄어든데 대한 반응일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를 발표했다.

그는 이런 식물을 먹은 동물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작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ETM2 당시의 화석은 이런 가정과 들어맞는다고 밝혔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528
  • ▲허블망원경이 촬영한 원숭이 머리 성운. 거대한 가스층과 차가운 수소 등으로 구성돼 있다.[사진제공=NASA, ESA, and the Hubble Heritage Team] 2018년 제임스웹우주망원경 발사 예정 이 세상의 노래와 시 중에서 가장 많은 소재 중의 하나는 '별(Star)'이지 않을까. 별을 보며 노래하고, 별을 보며 시를 쓰고,...
  • 2014-03-18
  • 외신보도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유명한 여행가이드지 ‘Bradt Travel Guides’는 최근 을 출간했다. 이 책에서 영국의 (The Daily Telegraph)가 선정한 15종의 희귀동물은 다음과 같다.  광명넷
  • 2014-03-17
  •   일정한 지능과 운동능력을 지닌 인조인간을 연구 개발하는 것은 과학기술계가 지속적으로 추구해온 목표였다. 2014년 독일 하노버 IT전시회에서는 각국 참여 기업들이 각양각색의 인조인간을 등장 시켜 전시회의 하이라이트로 만들었다.   신화사
  • 2014-03-13
  • 미국항공우주국이 최근 사진 공유 사이트에 우주 사진 갤러리를 새롭게 꾸며 공개했다. 그 중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위의 ‘검은 구슬 지구’이다.  파란 모습의 지구 모습은 흔하지만 검은색을 띠면서도 아름다운 지구 사진은 보기 어렵다. 게다가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주변의 야경을 촬영한 것이라 더욱 ...
  • 2014-03-12
  • [서울신문 나우뉴스]태양계에 과연 목성보다 크다는 ‘행성X’(Planet X)가 존재할까? 한동안 세계 천문학계를 떠들썩하게 만든 ‘행성X’의 존재에 대한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최근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팀은 “적어도 26,000 AU(1AU는 약 1억 4960만 km로 태양과 지구와의 거리)안...
  • 2014-03-11
  • 깜짝 놀랄 사진이다. 외계의 우주선이 지구에 착륙한 것일까. 아니면 지구의 비밀 우주선이 외계 행성에 도달한 걸까. 둘 다 아니다. 지구인이 만든 우주선이 지구 위에서 날고 있다.  현지 일자 6일 미국 케네디 우주 센터의 우주 왕복선 착륙 시설에서 있었던 테스트 비행 및 착륙 시험이 있었다. 미국 항공우주국이...
  • 2014-03-10
  • 지구가 붉은 별?  우리가 아는 지구는 청색,적색,녹색 빛이 결합한 자연색의 푸른 빛이었다. 하지만 美항공우주국(NASA·나사)이 7일(현지시간) 공개한 사진은 붉은 색이었다.  수성탐사선 메신저가 촬영한 이 사진은 적외선카메라 촬영을 통해 메말라 보이는 붉은 색 적외선사진(false-col...
  • 2014-03-10
  • 목성의 달 ‘이오’(Io)의 화산이 폭발하며 생긴 거대한 ‘연기 기둥’이 우주로 솟구치는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다. 최근 미 항공우주국 나사(NASA)는 명왕성 탐사선 ‘뉴 호라이즌스’(New Horizons)가 촬영한 이오의 최근접 사진을 공개했다. 이 사진은 지난 2007년 3월 촬영된 것으로 ...
  • 2014-03-10
  • 산산이 조각나며 최후를 맞이하는 ‘소행성’의 생생한 모습이 포착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은 NASA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소행성 ‘P/2013 R3’의 마지막 모습을 6일(현지시간) 공개했다.  ‘P/2013 R3’가 최초 포착된 것은 작년 9월로 혜성·소행성...
  • 2014-03-10
  • [서울신문 나우뉴스]작은 크기지만 믿기힘들 정도로 강력한 블랙홀이 확인돼 학계의 주목을 받고있다. 최근 미국과 호주의 천문학 공동연구팀은 “지구로 부터 약 15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블랙홀 MQ1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나선은하인 M83 속에 위치한 블랙홀 MQ1은 넓이가 약 100km에 불과한 매우...
  • 2014-03-03
‹처음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