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도 겨울잠 잔다? “미니 빙하기 올 것”
조글로미디어(ZOGLO) 2014년1월20일 09시17분    조회:2458
태양의 활동이 100년 이래 가장 저조해 지구에 빙하기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해외 전문가들이 경고했다.

영국 천문학자들은 1645년부터 1715년까지 흑점수가 확연하게 결핍된 시기를 뜻하는 ‘극소기간’(Maunder Minimun)와 매우 유사한 태양활동이 관측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태양활동이 지난 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방점을 찍은 뒤 급격히 줄어들면서 지구는 ‘미니 빙하기’를 맞을 수 있다는 것.

영국 옥스퍼드셔 러더퍼드애플톤연구소(RAL:Rutherford Appleton Laboratory) 소속의 리차드 해리슨 박사는 “태양 활동양은 분명 줄어든다”면서 “지난 30년간 태양의 활동을 관찰해왔지만, 지금 같은 상황은 단 한 번도 없었다”고 경고했다.

그는 지금의 현상이 1600년대 ‘극소기간’ 때처럼 극단적으로 추운 겨울을 야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니버시티칼리지 런던(UCL)의 루시 그린 박사 역시 “지난 400년 간 쌓아온 데이터를 분석해보면, 현재 ‘극소기간’과 매우 유사한 시기에 있다”면서 “전 세계는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것과 전혀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영국 레딩대학교의 마이크 락우드 박사는 낮은 온도가 전 세계 기류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기상시스템 전반이 무너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우리가 40년 이내에 ‘극소시기’에 들어갈 확률은 10~20% 정도”라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 해 미국항공우주국(이하 NASA)역시 “태양이 예상치 못한 활동을 보인다”고 전한 바 있다. NASA가 2013년 2월 28일 공개한 태양 표면의 이미지는 2011년보다 태양흑점이 현저히 줄어든 모습을 담고 있지만, NASA 측은 빙하기와 관련된 언급은 하지 않았다.

최근 전 세계가 이상기온으로 들끓는 가운데, 이와 관련한 학계의 논란은 당분간 끊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신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528
  • ▲NASA가 공개한 영상 중 아이손 혜성이 태양으로 돌진한 후 사라진 장면. 동그란 하얀선은 태양의 크기이고 불투명한 원형은 태양의 빛을 가리고 촬영하기 위해 덧댄 가림막이다. [아시아경제 노미란 기자] 아이손 혜성이 태양과 가장 가까운 점(근일점)을 통과하다가 소멸된 것으로 보인다. '금세기 최고 밝기'로...
  • 2013-11-29
  • ▲제공 : 칼 테이트 , SPACE.com contributorThe . 화면 오른쪽 아래 아이손 혜성이 꼬리를 그리며 이 태양을 향해 돌진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노미란 기자]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27일(현지시간) 아이손 혜성이 태양에 근접하고 있는 모습을 담은 짧은 영상을 공개했다. 26일(현지시간) 밤 12시쯤부터 27일(현지시간)오...
  • 2013-11-29
  • [서울신문 나우뉴스]별이 수명을 다하면 엄청난 에너지와 빛을 뿜어내는데, 이때 발생한 잔해들은 수백년이 지나 관측된다. 바로 ‘초신성 잔해물’이 그것이다. 하지만 이같은 초신성 잔해물이 오랜 시간이 흐른 뒤에 지구에까지 도달해 관측되는 원인은 지금까지 미스터리였다. 그런데 최근 하버드-스미소니언...
  • 2013-11-28
  • 2009년 GE의 엔지니어였던 제이슨 디산토(39)는 수영장에서 다이빙을 하다 목이 부러져 사지가 마비됐다. 하지만 그는 비장애인처럼 자유롭게 이동하고 컴퓨터 게임까지 할 수 있게 됐다. 한국인이 주도해 개발한 '혀 구동 시스템' 덕분이다. 미국 조지아공대 전자컴퓨터공학부 메이삼 고반루 교수와 김정희 연구원...
  • 2013-11-28
  • 유엔유네스코는 25일, 중국과학가 리상익이 2013년유엔유네스코의 “칼링가상(卡林加奖)”을 획득하여 그의 과학령역의 성과를 표창한다고 선포하였다. 이는 칼링가상이 설립이래 중국인이 최초로 상을 탄것으로 된다. 유네스코는 리상익이 학술과 보급전문가라고 찬양하였다. 그는 중국과학기술관의 창건인중의...
  • 2013-11-27
  • [서울신문 나우뉴스]우리 머리 위 수백 km 상공에 신선한 토마토가 떠있다면 믿을 수 있을까? 마치 인공위성처럼 지구를 돌고있는 ‘위대한’(?) 토마토가 사진으로 공개돼 화제가 되고 있다. 합성 논란을 일으킨 이 사진은 최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머물고 있는 일본인 와카타 코이치가 촬영해 트위터에 공개...
  • 2013-11-27
  •     한국 서울성모병원 의료진과 포스텍연구진이 처음으로 3차원(3D) 프린터로 만든 인체기관을 안면 기형환자에게 이식하는데 성공했다. 서울성모병원은 이 병원 연구진이 3D 프린트기술로 기도지지대를 개발해 이를 몽골소년 네르구이 바람사이(6살)에게 최근 이식했다고 22일 밝혔다. 네르구이는 기도와 코가...
  • 2013-11-27
  •     최근 한국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첨단 스텔스(隐形) 성능과 전자전 능력을 갖춘 차기 전투기로 미국의 F-35A 40대를 오는 2018년부터 우선 구매키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향후 스텔스 기술을 압도할수 있는 반스텔스기술개발 등을 고려하며 차기 전투기 도입을 둘러싼 의혹의 눈길은 ...
  • 2013-11-27
  • [서울신문 나우뉴스]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우주폭발이 관측돼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미 항공우주국 나사(NASA)측은 우주 망원경으로 관측한 역대 최대 규모·최대 밝기의 초대형 우주폭발 현상의 연구결과를 과학저널 ‘사이언스’ 최신호에 발표했다.  지구에서 약 37억 광년 떨어진 곳에...
  • 2013-11-24
  • 아이스큐브 연구팀, 남극서 초고에너지 중성미자 포착 남극 얼음 깊이 설치된 연구장치에서 우주로부터 날아온 초고에너지 중성미자가 최초로 포착됐다. 세계 11개국 39개 기관 200여명의 연구자로 구성된 `아이스큐브' 국제공동 연구팀은 남극 얼음층에서 우주로부터 날아온 초고에너지 중성미자의 흔적을 최초로 포착...
  • 2013-11-24
‹처음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