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발생 유전자 세계 최초 규명...위암 정복 청신호
조글로미디어(ZOGLO) 2014년4월16일 10시31분    조회:1991


유전자 돌연변이가 위암 발생의 직접 원인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국내 연구팀에 의해 세계최초로 발표됐다.

국립암센터 연구소장 이승훈 박사팀은 지난 1일 '유전체 생물학(Genome Biology)' 온라인판에 '미만형 위암의 게놈 특성 분석(genomic profile analysis of diffuse-type gastric cancers)'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유전체 생물학'은 과학분야 저널의 영향력을 나타내는 임팩트 팩터 10.3으로 생물학 분야 최고 수준의 학회지다.

연구팀은 미만형(diffuse-type) 위암의 전체 게놈(유전체)과 해당 엑솜(Exome)을 분석했다. 게놈(Genome, 유전체)은 한 개체의 유전자의 총 염기서열이며 엑솜이란 전체 게놈 중 단백질 합성에 직접 관여하는 의미있는 염기서열(exon)의 집합체를 말한다. 미만형 위암은 장형 위암과 함께 위암을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젊은 층에서 많이 발생한다.

미만형 위암 환자 14명, 장형(Intestinal) 위암 환자 5명으로부터 종양 부위와 정상 부위를 채취해 분석해 미만형 위암에서 발견되는 체세포 변이를 장형 위암 변이, 기존에 알려진 변이와 비교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두가지 형태의 위암의 체세포 변이율 평균치를 도출했다.

암이 암인 상태를 유지하려면 활성화 유전자(Driver gene)가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위암이 유지되고 자라날 수 있도록 해주는 활성화 유전자를 찾아냈다.

또한 CDH1유전자에서 7개의 새로운 체세포 돌연변이를 발견해 냈다. CDH1 유전자는 단백질 상피 카데린(E-cadherin)을 합성하는 유전자로 단백질 상피 카데린은 암 세포들을 함께 붙어있게 해 이 세포들이 흩어져서 전이되는 것을 막는 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암세포가 확산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는 유전자에 이상이 생겨 암이 확산된다는 것을 위암을 예로 밝혀낸 것이다.

돌연변이된 단백질 상피 카데린을 3차원 분석한 결과, 이번에 새롭게 발견된 체세포 돌연변이는 이 단백질의 'EC1-2 접합부'이라는 부분에서 칼슘 부착기능을 심각하게 교란시켜 기능이상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염색체 불안정성 분석을 통해 MDM2 유전자가 정상보다 많아졌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MDM2 는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하는 것을 억제하는 p53 유전자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암을 억제하는 p53 유전자을 없애버리는 역할을 해 암에 대한 저항능력을 낮추는 치명적인 유전자다.

연구팀은 또한 TSC2-RNF216이라는 융합 유전자도 발견해 냈다. 이 유전자는 종양을 억제하는 경로를 파괴하고 암세포의 확산을 돕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위암은 전세계적으로 3대 암에 꼽힐 정도로 치명적인 암이다. 장형 위암은 줄어드는 추세에 있지만 미만형 위암은 현재도 증가하고 있으며 전이과정 또한 매우 공격적이어서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현재까지는 미만형 위암의 게놈 변형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았다"며 "미만형 위암의 경우 암세포가 정상세포와 섞여 있어 게놈을 분석하기 어려웠었다"고 말했다.

이번 논문 저자는 이승훈 소장을 포함해 이연수, 이건국, 김영우, 홍승현, 황정아, 홍동완, 최일주, 김영주, 김경욱, 이진수 박사 등이다.

조선일보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528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그래픽 뉴스로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조선닷컴 1. 족보 논란 몸길이 12m, 백악기 살았지만 쥐라기 때 2m짜리가 조상? 2. 친자 논란 발굴된 지층서 나온 공룡은 "친자식이다" "아니다" 맞서 3. 외모 논란 "다른 공룡처럼 털 있을 것" 피부화석 못 찾아 확정 안돼 4. 팔의 용도 논란 크기 작아 초기엔...
  • 2013-11-14
  • 국내 연구진이 '쌍둥이 블랙홀'을 찾아냈습니다. 쌍둥이 블랙홀이라는 건, 블랙홀 자체가 그렇지만, 참 신비로운 현상입니다. 가까운 두 곳에서 빛을 포함한 모든 물질을 빨아들인다니요, 눈으로 볼 수 없으니 상상도 안 됩니다. 블랙홀 2개가 닮았다는 뜻의 쌍둥이는 아닙니다. 이번에 발견한 건 서로 2,600광년 떨...
  • 2013-11-13
  • [서울신문 나우뉴스]역대 발견된 것 중 가장 오래된 빅 캣(big cat·대형 고양이과 동물)의 두개골이 발견됐다. 최근 미국 자연사 박물관 잭 쳉 박사는 지난 2010년 티벳 고원에서 발견한 두개골의 화석을 연구한 결과를 영국 왕립학회보(journal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최신호에 발표했다.  이번에 ...
  • 2013-11-13
  • 11월 11일, 복단(復旦)대학의 역사학과와 인류학과가 공동으로 조직한 연구팀은 ‘조조(曹操) 가족의 DNA 연구’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현대 유전자 추리 및 고대 DNA 검측이라는 두 가지 검증을 거쳐 조조 가족의 DNA 중 Y 염색체의 SNP가 돌연변이 유형인 O2*-M268인 것으로 100% 확정하...
  • 2013-11-13
  • [서울신문 나우뉴스]신비의 행성 토성의 수많은 위성 중 5개가 한 카메라 안에 포착됐다. 최근 미 항공우주국 나사(NASA)는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가 촬영한 환상적인 토성 위성의 모습을 뒤늦게 공개했다. 지난 2011년 7월 촬영된 이 사진 속에서 토성의 모습은 고리 이외에는 보이지 않는다. 사진 속 맨 우측에 가장 크게...
  • 2013-11-12
  • (AP=연합뉴스DB) 미국 학자, 원시 지구 `퍼즐 맞추기' (서울=연합뉴스) 이영임 기자 = 약 45억년 전 화성만한 우주 물체가 지구에 충돌할 때 튀어나간 파편으로 달이 생겼으며 이때의 충격으로 지구는 들끓는 마그마 바다가 됐을 것이라는 연구가 나왔다고 스페이스 닷컴이 10일 보도했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의 노먼 ...
  • 2013-11-12
  • 쌍둥이 블랙홀을 소유한 것으로 유명한 NGC 6240의 엑스선 관측 사진© News1 우종학 서울대 교수팀 참여한 국제공동연구진, 첨단 분광기 이용 포착 (서울=뉴스1) 지봉철 기자 = 우리나라 연구팀이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진이 45억 광년 떨어진 은하의 중심부에서 쌍둥이 블랙홀을 찾아냈다. 두 은하가 충돌한 후 병합과...
  • 2013-11-12
  • [서울신문 나우뉴스]최근 미국에 거대한 유성이 나타나 주민들이 불안감에 휩싸였다. 이는 올해 초 러시아에서 유성 폭발로 1000여 명이 다친 전례가 있었기 때문. 미국 인터넷매체 허핑턴포스트 등 외신에 따르면 현지시간으로 지난 6일 오후 8시쯤 캘리포니아주(州)내 산타바바라부터 샌디에이고까지 남서부 일대에서 거...
  • 2013-11-12
  • 과학기술부와 교육부, 중국과학원, 호남성인민정부에서 주최한 2013년 중국 장사 과학기술 성과 응용 교역회가 10일 장사에서 개막되였다. 이번 교역회에서 7천여가지 최신 과학기술 응용성과와 천여가지 과학기술 성과 실물이 전시되였다. 이번 교역회는, 자주혁신과 성과응용, 산업주도와 개방 공유 정신을 돌출히 하였다...
  • 2013-11-12
  • 11일 오전 9시 기준의 위성의 위치. 파란색 궤적은 오전 8시40분 ~ 오전 9시. 붉은색 궤적은 오전 9시부터 오전 9시30분까지 위성의 궤적을 나타냄. (서울·모스크바=연합뉴스) 최인영 기자·유철종 특파원 = 수명을 다한 유럽우주청(ESA) 인공위성 '고체'(GOCE)가 11일 오전 9시께 호주 서쪽 인도양과...
  • 2013-11-11
‹처음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