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의 폭발서 ‘생명의 기원’ 우주먼지 대량 발견
조글로미디어(ZOGLO) 2014년7월11일 09시17분    조회:2756

[서울신문 나우뉴스]천문학자들이 우주 대부분을 구성하는 먼지가 어디서 오는지 알아낼 수 있는 특별한 초신성을 주시하고 있다.

이런 우주 먼지는 별은 물론 지구와 같은 행성이 태어나는데 필수적이며 생명 탄생에 대한 근본적인 재료를 제공하지만, 그 기원은 지금까지도 잘 알려지지 않았다.

많은 천문학자는 우주 먼지가 크고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은 별이 죽음을 맞이 하는 초신성 폭발로 확산했다고 추측하고 있지만, 우리 은하에 있는 초신성이 폭발할 때 생성하는 먼지의 양은 우주를 구성하기에는 너무나 미미하다.

하지만 이런 수수께끼는 천문학자들의 최신 연구로 풀렸다. 이는 초신성 폭발 과정을 단 몇 주가 아닌 무려 2년반 동안 추적 관측했기 때문이다.

이 연구로 우주 먼지 중에는 초신성 폭발하는 별의 충격을 견딜 수 있는 대형 입자가 형성되는 것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런 먼지의 형성 과정은 초기에 천천히 진행되지만 추후에는 가속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과거 허셜 망원경으로 관측한 SN 1987A와 같은 초신성에 관한 연구 대부분은 짧은 기간에 관측했으므로, 초신성에서 얼마나 많은 먼지가 형성되는지 알 수 없었던 것이라고 연구에 참여한 텐마크 오르후스대학 천문학자 크리스타 갈 박사는 말했다.

연구팀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지난 2010년 관측된 우리 은하 근처에 있는 초신성 SN 2010jl을 추적 관측했다.

이들은 칠레 세로파라날에 있는 유럽남방천문대(ESO) 초거대망원경(VLT)의 분광기를 사용해 먼지 입자에 의해 흡수되는 가시광선과 그 입자 스스로 발하는 적외선의 양을 측정했다.


연구팀의 이런 데이터는 초신성 폭발 뒤 수년간 다양한 파장을 동시에 관측했으므로 확실히 설득력이 있다고 영국 벨파스트 퀸스대학의 천문학자 루비나 코탁 박사는 설명했다.

이는 먼지 입자의 크기와 구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가장 가깝고 밝은 초신성 폭발에서는 모두 얻기 어려운 것이라고 루비나 코탁 박사는 말했다.

연구팀은 데이터를 분석, 우주 먼지가 별이 초신성 폭발을 일으키기 전 형성한 물질이 폭발 뒤 40~240일간 확산한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이는 폭발로 응결하기에는 너무 뜨거운 상태라고 한다.

초신성 폭발 뒤 충격파로 인해 먼지가 확산하면서 점차 뭉치고 성장할 수 있는 완벽한 환경에 놓일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한편 이번 연구성과는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9일자로 실렸다.

사진=초신성 SN 2010jl

윤태희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528
  • 미국 항공우주국의 ‘오늘의 천문학 사진’ 사이트가 최근 공개한 이미지다.  미국의 천문학자 칼 세이퍼트가 발견한 이 은하 집단은 뱀자리에 위치하고 세이퍼트 6중주단(Seyfert's Sextet)이라 불린다. 그런데 이름은 오해를 불러일으킨다. 은하가 6개인 것은 아니다. 두 개는 다른 은하의 부분이거나...
  • 2013-12-27
  • 과학기술위성3호가 촬영한 안드로메다은하의 적외선 우주관측 영상(왼쪽)과 한국천문연구원이 촬영한 안드로메다은하의 광학 지상관측 영상(오른쪽) 국내 최초 근적외선 위성카메라 시험영상 (서울=연합뉴스) 최인영 기자 = 미래창조과학부는 과학기술위성 3호가 국내 최초의 근적외선 위성카메라를 활용해 찍은 안드로메다...
  • 2013-12-26
  • 사진출처: 사이언티픽 아메리카 달을 거느리고 먼 우주를 홀로 떠도는 외부행성이 처음으로 발견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닷컴과 네이처 뉴스가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노터데임 대학의 데이비드 베넷 교수가 이끄는 미국 연구진은 지난 2011년 뉴질랜드와 태즈메이니아의 망원경을 이용해 궁수자리에...
  • 2013-12-26
  • 토성 탐사선 카시니가 촬영한 '토성 표면' [아시아경제 노미란 기자]미항공우주국(NASA,나사)의 토성탐사선인 카시니가 촬영한 토성과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 엔셀라두스의 사진이 공개됐다.  겨울을 맞은 토성 남반구의 모습. 푸른색을 띄고 있다. 23일(현지시간) 나사는 크리스마스 연휴를 앞두고 토성과 토...
  • 2013-12-25
  • [서울신문 나우뉴스]실제 블랙홀을 카메라 렌즈에 담는 200억 규모 대형 프로젝트가 유럽에서 착수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 온라인 매체 허핑턴 포스트는 유럽 천체물리학자 팀이 유럽연구위원회로부터 1400만유로(한화 약 201억 원)를 지원받아 실제 블랙홀을 촬영하는 ‘블랙홀 캠(BlackHoleCam)’ 계획...
  • 2013-12-25
  •   [해외망(海外網)] 현재 창어(嫦娥) 3호가 달에 도착한 후부터 ‘창어’와 ‘옥토끼’는 달에서 상호 촬영을 진행 중이지만, 인류는 언제쯤 달에서 장기간 생활할 수 있을까?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사실이지만, 중국은 현재 이를 위해 막 ‘웨궁(月宮) 1호’ 건설을 마치고 전대미문의...
  • 2013-12-23
  • [서울신문 나우뉴스]기기 하나로 영화, 인터넷, TV,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고(高) 스펙 스마트폰’도 좋지만 투박하더라도 세상에 하나 밖에 없는 나만의 ‘휴대전화’가 더 매력적이지 않을까?  영국 일간지 데일리 메일은 아두이노(Arduino) 보드 기술을 활용한 ‘DIY(Do it yourself&mi...
  • 2013-12-23
  • 개의 뇌파를 읽어 인간 언어로 바꾸는 기기가 곧 출시될 예정이다. 아직 단순한 감정을 전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동물과 인간 사이의 소통방법을 좀 더 깊은 단계로 이끌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어 보인다.  미국 씨넷은 18일(현지시간) '업'(UP)이라는 애니메이...
  • 2013-12-23
  • 최근 허블망원경이 목성의 위성 유로파에서 수증기 분출 기둥을 발견해 지구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 이미 목성의 위성 이오에서는 화산분출 현상이 발견된 바 있다. 목성 탐사가 시작된 지 어느 새 40년이 지났다. 하지만 목성과 주변 위성은 여전히 신비롭다. 미항공우주국(NASA·나사)이 최초로 목성에 도달해 ...
  • 2013-12-17
  • 북아메리카에서 수천만년 전에 널리 서식했던 오리주둥이공룡이 수탉처럼 머리 위에 붉은 볏을 갖고 있었던 사실이 최초로 밝혀졌다고 인터넷 과학 전문사이트 사이언스 데일리가 최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호주 뉴잉글랜드대학교 필 벨 교수팀은 오리주둥이공룡의 미이라화된 표본을 조사 연구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
  • 2013-12-16
‹처음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