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에서 생명체 존재 가능성 가장 높은 4곳
조글로미디어(ZOGLO) 2014년8월20일 09시51분    조회:3671
토성의 최대 위성 타이탄의 표면은 탄화수소로 가득차고, 습하다. NASA의 토성 탐사선 카시니가 촬영한 타이탄의 호수 모습 (사진=NASA 홈페이지)
검은 아스팔트 거품으로 가득 찬 카리브해의 호수는 지구상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수 없는 대표적인 지역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지난 8일 이 호수에서 생명체가 발견됐다는 사실이 과학전문지 사이언스에 실렸다. 타르로 가득 찬 트리니다드 지역의 피치 호수에서 미생물들이 작은 물방울 속에 살고 있는 사실이 밝혀진 것.

이번 발견은 생명체가 살기에 부적절할 것으로 여겨졌던 다른 행성에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의 과학전문 뉴스 사이트인 라이버 사이언스는 이번 발견을 계기로 태양계에서 외계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이 가장 높아진 지역으로 타이탄 등 4곳을 꼽았다.

◈ 토성의 최대 위성 '타이탄'



트리니다드의 피치 호수에 생명체가 발견된 사실은 타이탄에서 생명체의 흔적을 찾는 과학자들에게 매우 흥미로는 일이다. 타이탄은 토성의 가장 큰 위성으로 태양계의 다른 어떤 천체보다 지구와 닮은 점이 많다. 다만 지구에 있는 바다 대신 탄화수소로 가득 찬 거대한 호수를 갖고 있다.

피치 호수에서 생명체를 발견한 미 워싱턴 주립대 더크 슐츠 마크흐 천문생물학자는 타이탄의 기름으로 덮인 호수 속에는 피치 호수에서 발견된 물방울과 비슷한 물과 암모니아 혼합물이 생성될 가능성이 높다고 사이언스지에서 분석했다.

그리고 기름에 갇힌 물에서 어떻게 생명체가 살아갈 수 있는지를 알아낸다면 탄화수소로 가득 찬 타이탄에도 생명체가 존재할 경우 그들이 탄화수소에 어떻게 적응해 살아갈 수 있는지에 대한 보다 진전된 지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 화성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에 걸쳐 천문학자 퍼시벌 로웰은 화성에서 관찰되는 수로 모양의 지형이 화성인들의 인공구조물이라는 인식을 일반인들 사이에 확산시켰다. 물론 이는 1960~70년대 NASA(미항공우주국)의 우주선 마리너 호와 바이킹 호가 보내온 사진을 통해 공상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나 과학자들이 화성에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증거를 발견하진 못했지만 물 얼음이 남극과 북극을 뒤덮고 있으며, 화성 토양에는 2%의 물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알고 있다.

모든 지구생명체는 물을 필요로 하고, 과학자들이 화성에서 물을 찾는 데 집중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만큼 화성에서의 물의 존재는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을 높여주는 것이다.

NASA의 화성탐사 로봇 큐리오시티가 화성에서 채취한 토양 샘플을 분석한 결과 적어도 10억 년 이전에는 화성에 미생물이 생존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당시 화성은 지금보다 더 습하고, 따듯했다.

◈ 목성의 위성 유로파



우리가 아는 것처럼 물이 생명체 존재의 핵심 요소라면 유로파는 외계 생명체가 살고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천체이다. 타이탄은 표면의 두꺼운 얼음 아래에 거대한 양의 물을 액체 상태로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최근 과학자들은 극단적 환경의 지구 바다 속에서 미생물체를 발견했다. 이는 유로파와 같은 곳에 이상한 형태의 생명체가 살고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지난해 과학자들은 남극의 빙하 속 깊이 묻혀 있던 호수에서 미생물을 발견했다.

NASA는 유로파 탐사선을 개발 중이다. 새로운 탐사선은 유로파의 남극에서 지난달 발생한 수증기 폭발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생명체의 흔적을 찾게 된다.

◈ 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서



유로파처럼 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서는 지표 아래 깊숙한 곳에 대양이 있고, 이를 뒤덮고 있는 어마어마한 규모의 얼음층을 갖고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이 얼음층은 적어도 슈피어리어 호수 만큼 큰 호수를 덮고 있다.

일부 연구원들은 40㎞에 이르는 이 거대한 얼음 층을 직접 뚫지 않아도 숨겨진 호수의 물을 연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과학자들은 지난달 NASA의 토성 탐사우주선 카시니가 남극 주변에서 수증기와 얼음을 뿜어내고 있는 101개의 간헐천을 찾아냈다고 발표했다.

머지않아 NASA의 탐사선들은 토성 지표를 뚫고 들어갈 필요 없이 이 간헐천 속을 비행하며 엔셀라두서의 깊은 바닷속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연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노컷뉴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528
  • 2016년 11월 1일, 장쑤성(江蘇省) 타이창시(太倉市)는 추수가 본격적으로 개시됐다. 콤바인이 논밭에서 벼 수확작업을 하고 있다. 금추시절, 장수성 타이창시의 광막한 대지에는 노랗게 무르익은 벼가 “황금들판”을 이루었다. [촬영/지하이신(計海新)] 원문 출처:신화사
  • 2016-11-03
  • 10월27일, 인촨(銀川)에 첫 눈이 내리면서 온도가 급격히 떨어졌다. 도심과 서쪽에 위치한 허란(賀蘭)산 곳곳에는 눈발이 흩날렸다. 해발 약3000미터의 허란산 정상은 수목화를 방불케 하는 운치를 연출했다.  원문 출처:신화망
  • 2016-11-03
  • 아얼산(阿爾山)은 네이멍구(內蒙古) 다싱안링(大興安嶺) 남쪽 기슭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곳의 동쪽으로는 자란툰(紮蘭屯)이 인접해 있고, 북쪽으로는 후룬베이얼(呼倫貝爾)초원이 이어져 있으며, 서쪽은 몽골과 접해 있다. 화산 용암 지형으로 독특한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무성한 원시림까지 끊임없이 이어지고 사계...
  • 2016-11-01
  • 10월 가을비가 내리면서 산둥(山東)과학기술대학 캠퍼스에 낙엽이 지기 시작했고 바닥에 떨어진 황금빛 낙엽들의 모습은 장관을 이뤘다. 캠퍼스 안의 버즘나무, 은행나무, 오구나무 등은 화려한 색을 자랑했고 학생들은 수업 전후로 한 폭의 그림 속을 걸어 다니는 듯한 황홀한 느낌을 받았다.   산둥과학기술대학 칭...
  • 2016-10-20
  • 중국의 사진명소 100개 중 가장 아름다운 기타 명소 황룡(黃龍)은 선인들이 농사를 짓는 채색의 밭이다. 황룡은 세계적으로 석회암이 녹아내리면서 다양한 바닥을 형성한 최대의 칼슘화 명소이다.    황룡의 석회암 바닥은 종류가 많고 구조가 기이하며 색채가 풍부해 중국의 절묘한 경관으로 손꼽힌다. 높은 산...
  • 2016-09-14
  • 영국 메트로 보도, 최근 62세 사진작가 Lewis Kemper가 미국 레이크 클라크 국립공원(Lake Clark National Park)을 배경으로 재미난 사진을 찍어 공개했다. 그는 새끼 곰 두 마리가 어미 곰이 물고기를 잡아 올 때까지 등을 돌린 채 손을 잡고 기다리는 모습을 포착했다.   Lewis Kemper는 얼마 전 다른 사진작가들과...
  • 2016-09-13
  • 7월 18일 소식에 의하면 2016년 4월부터 현재까지 “중국 첫 긴 동굴”, “세계 가장 긴 바이윈옌(白云岩) 동굴”, “세계 가장 큰 톈칭스(天青石) 동굴”등 이름으로 불리는 구이저우(贵州) 숴이양(绥阳) 쐉허둥(双河洞) 동굴이 있다. 기자가 중-불 동굴전문가를 따라 15번째 연합과학 고찰...
  • 2016-07-20
  • 엄청난 크기다. 옆에 있는 사람이 소인처럼 보인다. 이 거대한 생명체는 바로 고래상어다. 한 네티즌이 인터넷 포럼에 공개한 사진을 보면, 고래상어가 얼마나 큰 동물인지 실감할 수 있다. 인간을 아주 작은 존재로 보이게 만드는 고래 상어는 20톤 이상까지 자란다고 한다. 이 놀라운 사진은 필리핀 세부에서 촬영했다는...
  • 2016-06-28
  • 호랑이는 킬러다. 즉 살아 있는 생명체를 잡아먹는다. 사자도 그렇다. 이들 맹수의 킬러 본능은 사라지지 않는다. 불쑥불쑥 살아난다. 특히 상대가 등을 보이면 그 본능이 부활한다.  간단한 실험이 미국 템파에 있는 ‘플로리다 대형 고양이과 동물 보호소’에서 진행되었다. 한 직원이 사자 호랑이 표범 ...
  • 2016-06-10
  • 예측보다 빠른 해수면 상승 속도[연합뉴스TV 자료사진] 대처 않으면 2100년까지 2m 상승…"지구지도 다시 그릴 판"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 = 지구 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 속도가 기존 예측보다 훨씬 빨라 당장 이번 세기말에 저지대 해안도시가 침수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30일(현지시간) 일간...
  • 2016-03-31
‹처음  이전 4 5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