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난화가 바꾼 기막힌 풍경···중국 고비 사막에 풀이 자란다
조글로미디어(ZOGLO) 2019년9월20일 09시11분    조회:3618

파일 [ 1 ]

신라 시대 고승 혜초가 쓴 인도 여행기 ‘왕오천축국전’이 발견된 곳은 중국 간쑤(甘肅)성 둔황(敦煌)의 막고굴(莫高窟)이다. 바람이 불면 모래가 우는 소리를 낸다는 명사산(鳴砂山) 기슭에 벌집처럼 1000여 개의 석굴이 뚫려 있어 ‘천불동(千佛洞)’으로도 불리는 곳이다. 
 


중국 고비 사막에도 긴 풀이 자라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수증기가 중국 서북 지역에 모이며 비가 자주 내려 생긴 변화다. [사진 둔황연구원 쑨즈쥔, 환구망 캡처]

이 세계 최대의 석굴 사원이 1000년 세월을 뛰어넘어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될 수 있었던 이유는 메마르고 건조한 날씨 탓에 보존이 잘 됐기 때문이다. 한데 올해 막고굴은 두 차례나 문을 닫아야 했다. 비 때문이다. 

 

춥고 메마른 날씨의 중국 서북 지역이
기후 변화 탓에 따뜻하고 비도 많아지며
채소와 과일 재배 가능할 정도로 탈바꿈
막고굴은 비 때문에 두 차례나 문 닫기도

중국 신화사(新華社)가 지난 16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간쑤성 등 중국 서북 지역의 기후가 변하고 있다. 춥고 메마른 날씨에서 보다 따뜻하고 습하게 말이다. 천바오푸(陳寶福)는 간쑤성 민항비행장그룹 운전기사로 비행장과 란저우(蘭州)시를 매일 오간다. 
최근 들어 그는 길가의 풍경이 변하고 있다는 걸 느꼈다. “비가 제법 많아지면서 황무지에 불과했던 70km 구간에 점차 푸른빛이 돌고 있어요. 어떤 때는 비가 많이 내려 마치 남방에 있다는 느낌마저 듭니다.” 
춥고 건조한 날씨의 중국 서북 지역이 근년 들어 따뜻하고 습한 지역으로 변하고 있다. [사진 둔황연구원 쑨즈쥔, 환구망 캡처]

춥고 건조한 날씨의 중국 서북 지역이 근년 들어 따뜻하고 습한 지역으로 변하고 있다. [사진 둔황연구원 쑨즈쥔, 환구망 캡처]

중국 기상 부문에 따르면 1961년 이래로 중국 서북 지역의 기온 상승 추세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비 또한 많아졌다. 특히 2000년 이후엔 따뜻하고 습한 추세가 더욱 두드러졌다.   
간쑤성의 예를 들면 61년부터 2015년까지 평균 10년마다 섭씨 0.29도가 올라갔고 강수는 하서주랑(河西走廊)의 경우 10년마다 최대 12mm까지 많아졌다. 지난해 간쑤성의 평균 기온은 평년 대비 0.7도 높았고 강수량도 27.6%나 증가했다. 
중국과학원 등 각 연구기관의 조사 결과 신장(新疆)과 치롄(祁連)산맥, 하서주랑, 칭장(靑藏)고원 등 중국 서북 지역의 강수량이 모두 늘었다. 주요 원인은 글로벌 기후 온난화에 있다는 게 딩이후이(丁一滙) 중국기상국 기후변화 특별고문의 설명이다. 
중국 서북 지역의 수증기는 아랍해와 인도양, 북극 등 세 곳의 영향을 받는 데 지구 온난화에 따라 이들 지역에서의 수증기가 많아지며 서북 지역에 과거보다 많은 비를 내리게 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중국 고비 사막에 풀이 솟는다. 지구 온난화로 아랍해와 인도양, 북극해 수증기가 중국 서북 지역에 모이며 비가 자주 내려 생기고 있는 변화다. [사진 둔황연구원 쑨즈쥔, 환구망 캡처]

중국 고비 사막에 풀이 솟는다. 지구 온난화로 아랍해와 인도양, 북극해 수증기가 중국 서북 지역에 모이며 비가 자주 내려 생기고 있는 변화다. [사진 둔황연구원 쑨즈쥔, 환구망 캡처]

이에 따라 채소와 과일 등 경제 작물의 재배 지역이 점차 북상하고 있다. 과거 시내에서 여관을 경영했던 허자치(何甲奇)는 해발 1500m의 톈수이(天水)시에 농업합작사를 세우고 고지대 농작물을 재배해 계절을 달리한 출시로 적잖은 돈을 벌고 있다고 한다. 
 
문제는 기후 변화가 ‘양날의 칼’이라는 점이다. 최근 들어 서북 지역에 가뭄과 장마가 병존하는 상태가 늘어나면서 2018년 이래 황하 상류 지역은 풍족한 물로 가뭄 걱정을 하지 않게 됐지만 일부 지역은 홍수 걱정을 하게 됐다는 것이다. 
또 갑작스러운 기상 변화로 폭우가 쏟아지거나 산사태가 발생하는 등 자연재해가 늘어나고 있는 점도 골칫거리로 떠올랐다. 막고굴의 석굴 주위 고비 사막에도 긴 풀이 솟아나고 있는 실정이어서 천불동이 또 다른 천년 세월을 견뎌낼 수 있을지 관심사다. 

[출처: 중앙일보]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528
  • [서울신문 나우뉴스]미국항공우주국(이하 NASA)의 케플러 망원경이 지금까지 알려진 태양계외 행성 중 공전주기가 가장 긴 것을 발견했다고 영국 BBC, 스페이스닷컴 등 해외매체가 보도했다. 지구에서 1000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케플러-421b는 공전주기는 무려 704일에 달한다. 1년이 365일 주기인 지구와 비교했을 때 약...
  • 2014-07-23
  • 영국 데일리메일에 의하면 7월 20일은 올들어 영국의 제일 무더운 하루였다. 많은 지역의 최고기온이 30도를 육박했다. 밤장막이 드리운 후 영국과 아일랜드의 부분지역에 갑자기 번개가 몰아쳤다. 하늘에 한가닥 한가닥의 불빛을 휘뿌리는것이 마치 "번개쇼"를 방불케했다./인민넷
  • 2014-07-23
  • [서울신문 나우뉴스]엄마의 따뜻한 모성이 강하게 전해질수록 미래 아이의 지능이 향상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주장이 제기돼 네티즌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 의학전문매체 뉴스 메디컬 넷(News-Medical.net)은 뉴욕 대학교 연구진이 엄마의 정성어린 보살핌과 아기 지능 발달에 상당한 연관성이 있음을 발견했다고...
  • 2014-07-21
  • [서울신문 나우뉴스]붉은 행성 화성에 여전히 생명체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그 어느 때보다 높여줄 증거가 나타나 학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 과학전문매체 레드오빗(redOrbit)은 오리건 대학 연구진이 화성 지역 중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구유사토양을 발견했다고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 2014-07-21
  • 후지산 화산폭발 [서울신문 나우뉴스]일본 후지산이 곧 분화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예측이 나와 불안감이 조성되고 있다. 일본의 상징이자 지난 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도 지정된 후지산을 두고, 일본 뿐 만 아니라 프랑스 등지의 해외 전문가들도 ‘위험한 상태’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매년 지적되는 후...
  • 2014-07-18
  • 소행성 벤누에서 발견된 ‘피라미드 물체’ [서울신문 나우뉴스]광물을 캐는 탐사선을 보낼 소행성에서 피라미드처럼 생긴 형태가 최초로 관측돼 화제가 되고 있다. 인터내셔널비즈니스타임스 인도판에 따르면 최근 인도의 천문학자들이 소행성 벤누에서 검은색 피라미드와 같은 부속물을 발견했다. 지난달 29일...
  • 2014-07-18
  • 在美 서재명박사팀 성과, 생쥐 실험서 부작용 없어 네이처에 논문… 학계 주목 .par:after{display:block; clear:both; content:"";}   재미 한인 과학자가 주도적으로 참여한 미국 연구팀이 주사 한 방으로 이틀 이상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정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했다. 이 물질이 임상시험 검증...
  • 2014-07-17
  • 방위성 기술연구본부가 공개한 ATD-X 심신(心神) 기술실증기 1호기 [서울신문 나우뉴스]1990년대 중반, 우리나라에서는 훤칠한 키와 수려한 외모를 자랑하는 가수 심신이 여성 팬들의 마음을 설레게 하며 가요계를 강타했던 적이 있었다. 20여 년이 지난 2014년, 일본 열도에 등장한 심신이 일본인들을 술렁이게 하고 있다...
  • 2014-07-16
  • [서울신문 나우뉴스]“아빠”, “엄마” 같은 단어를 입으로 실제로 구사하기 몇 달 전부터, 아기들은 스스로 말문을 트기 위한 연습을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학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 의학전문매체 메디컬 엑스프레스는 워싱턴 대학 뇌 과학·학습 연구소가 아기들이 적어도 생후 7개...
  • 2014-07-16
  • [서울신문 나우뉴스]“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블랙” 영국의 한 회사가 “이상하고도 기이한‘ 블랙 나노물질을 개발했다고 밝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영국 일간지 인디펜던트의 14일자 보도에 따르면 ‘서리 나노시스템스’라는 회사가 만든 이 물질은 가시광선의 99.965%를 흡수, 단 0.0...
  • 2014-07-15
‹처음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