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가운 바람이 부는 겨울, 많은 중로년들은 추위와 보온을 위해 옷깃이 높은 옷을 즐겨입는다. 밖에 나갈 때 외투의 옷깃의 지퍼를 꼭 잠그기도 한다.
그러나 옷깃이 너무 높거나 딱딱하거나 목도리를 꽉 조여매면 시간이 지날 수록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례하면 일부 사람들은 두통, 현기증, 가슴 답답함, 구토 등의 증상과 심지어 넘어지거나 실신할 수도 있다.
경동맥동증후군이란 무엇인가?
옷깃증후군이라고도 하는 경동맥동증후군은 외부 압력의 자극으로 경동맥동이 과도하게 흥분하여 현기증, 심박수 둔화, 혈압 저하 심지어 실신까지 일으키는 림상증후군이다.
질병 발생후 지속시간은 일반적으로 1~4분으로 짧고 의식상실이 있는 경우 최대 20분까지 달한다.
흔한 유발요인으로는 목의 갑작스러운 회전이나 올려다보기, 기립과 기타 급격한 체위 변화, 옷깃이 너무 높고 너무 꽉 끼거나 격해지는 감정 등이 포함된다.
갑자기 고개를 돌리거나 갑자기 일어설 때 눈앞이 캄캄해지면서 똑바로 서지 못하다가 시간이 조금 지나면 괜찮아지는 현상을 겪은후부터 동작을 느리게 하도록 주의하시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옷깃이 너무 높고 너무 꽉 조이는 상황은 소홀히하기 쉽다.
옷깃이 너무 높고 꽉 끼거나 딱딱하거나 혹은 지퍼를 꽉 잠그면 경동맥동의 압력수용체가 갑자기 눌려 신경반사를 통해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고 심박수가 느려져 뇌혈액 공급이 감소하며 장기간 유도인자를 제거하지 않으면 현기증과 혼수상태에 이르게 된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