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스쿠니(靖國) 신사 참배 등으로 외교적으로 고립된 일본이 ‘북한 카드’를 꺼내 들었다.
도쿄(東京)신문은 28일 “북한의 송일호 북일국교정상화교섭 담당대사와 일본의 이하라 준이치(伊原純一)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 등 양측 고위 당국자가 지난 25~26일 베트남 수도 하노이에서 극비리에 접촉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일본 측은 이 자리에서 요코타 메구미 등 일본인 납치 피해자의 안부에 관한 재조사를 제기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에 대해 북한은 최대 과제로서 중시하고 있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둘러싼 ‘과거 청산’을 요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아사히(朝日)신문도 “일본 측 참석자는 이하라 국장 등 3명이며, 북한에서는 2012년 8월 북·일 외무성 과장급 협의에 참석했던 유성일 외무성 일본과장 등이 당시 하노이에 머물렀던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일 언론의 보도가 사실일 경우 북·일 간의 접촉은 2012년 11월 이후 1년2개월 만으로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 출범 이후로는 처음이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28일 기자회견에서 “그런 보도를 듣고 있지만 그런 사실은 일절 없다”고 부인했다. 하지만 그는 “아베 정권은 스스로 납치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아베 총리의 굳은 결의 아래 온갖 가능성을 모색하면서 현재 전력을 기울여 대응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해 북한과의 접촉이 진행 중임을 시사했다. “외무성 관리들이 (25~26일) 하노이에 간 사실이 없느냐”는 질문에도 “알지 못한다”고 확답을 피했다.
이와 관련해 한 외교 소식통은 “이미 북·일 간에는 일본인 납치 피해자 문제에서 접점을 찾으려는 물밑 교섭이 이뤄져 온 것으로 안다”며 “협상을 앞둔 이달 중순부터 일 외무성은 초긴장 상태에 들어갔으며 양측은 회동 자체를 서로 부인하는 데 합의한 상태였다”고 전했다. 또 다른 일본 측 관계자는 “일본은 이번 북한과의 회담 사실을 한국은 물론 미국에도 사전에 알리지 않고 진행했다”며 “(중국 하얼빈의) 안중근 기념관 개관으로 상징되는 최근 한국과 중국의 밀착에 일본으로서도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야스쿠니 참배 등 과거사를 둘러싼 ‘한·중 대 일본’의 현 구도에 미국과의 관계마저 냉각되면서 코너에 몰린 아베 정권이 북한과의 극적 협상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하려 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와 관련해 지난해 특사 자격으로 북한을 방문했던 이지마 이사오(飯島勳) 내각관방참여(특별보좌관)는 지난주 “북한 측에 (일본인 납치 피해자 중) ‘몇 명이 돌아오면 납치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라는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해 줘야 한다”는 ‘지침’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일 정부가 관계국과 사전 협의 없이 독자적으로 북한과의 접촉에 나섬에 따라 한국 및 미국과의 관계는 더욱 꼬일 전망이다.
중앙일보 도쿄=김현기 특파원
도쿄(東京)신문은 28일 “북한의 송일호 북일국교정상화교섭 담당대사와 일본의 이하라 준이치(伊原純一)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 등 양측 고위 당국자가 지난 25~26일 베트남 수도 하노이에서 극비리에 접촉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일본 측은 이 자리에서 요코타 메구미 등 일본인 납치 피해자의 안부에 관한 재조사를 제기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에 대해 북한은 최대 과제로서 중시하고 있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둘러싼 ‘과거 청산’을 요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아사히(朝日)신문도 “일본 측 참석자는 이하라 국장 등 3명이며, 북한에서는 2012년 8월 북·일 외무성 과장급 협의에 참석했던 유성일 외무성 일본과장 등이 당시 하노이에 머물렀던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일 언론의 보도가 사실일 경우 북·일 간의 접촉은 2012년 11월 이후 1년2개월 만으로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 출범 이후로는 처음이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28일 기자회견에서 “그런 보도를 듣고 있지만 그런 사실은 일절 없다”고 부인했다. 하지만 그는 “아베 정권은 스스로 납치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아베 총리의 굳은 결의 아래 온갖 가능성을 모색하면서 현재 전력을 기울여 대응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해 북한과의 접촉이 진행 중임을 시사했다. “외무성 관리들이 (25~26일) 하노이에 간 사실이 없느냐”는 질문에도 “알지 못한다”고 확답을 피했다.
이와 관련해 한 외교 소식통은 “이미 북·일 간에는 일본인 납치 피해자 문제에서 접점을 찾으려는 물밑 교섭이 이뤄져 온 것으로 안다”며 “협상을 앞둔 이달 중순부터 일 외무성은 초긴장 상태에 들어갔으며 양측은 회동 자체를 서로 부인하는 데 합의한 상태였다”고 전했다. 또 다른 일본 측 관계자는 “일본은 이번 북한과의 회담 사실을 한국은 물론 미국에도 사전에 알리지 않고 진행했다”며 “(중국 하얼빈의) 안중근 기념관 개관으로 상징되는 최근 한국과 중국의 밀착에 일본으로서도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해 특사 자격으로 북한을 방문했던 이지마 이사오(飯島勳) 내각관방참여(특별보좌관)는 지난주 “북한 측에 (일본인 납치 피해자 중) ‘몇 명이 돌아오면 납치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라는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해 줘야 한다”는 ‘지침’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일 정부가 관계국과 사전 협의 없이 독자적으로 북한과의 접촉에 나섬에 따라 한국 및 미국과의 관계는 더욱 꼬일 전망이다.
중앙일보 도쿄=김현기 특파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