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69년 프랑스에서 자동차가 처음 발명된 이후, 인류에게 자동차는 늘 ‘복잡한 연장’이었다. 액셀러레이터를 밟으면 차가 앞으로 나갔고, 브레이크를 밟으면 차가 멈췄다. 핸들을 돌리면 차는 그 방향대로 움직였다. 10년 전만 해도 스스로 운전하는 자동차란 공상과학(SF) 영화에서나 등장하던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 자동차·정보기술(IT) 업계를 관통하는 공통의 주요 화두(話頭)는 ‘무인차(無人車)’다. 자동차가 인간의 조작 없이 달리고 장애물을 피하며 목적지에 멈춰 선다. 사실 여기까지는 너무 복잡한 길만 아니라면 현재 기술로도 그리 어렵지 않다.
핸들에서 손을 뗀 채 달리는 차 안에서 뒤로 누워 편하게 이동하는 모습. 일론 머스크 테슬르 CEO는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는 거의 끝났다"며 "앞으로는 졸음운전이란 단어가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테슬라 제공)
자동차 업계가 궁극적으로 목표로 삼는 무인차 시대는 이런 것이다. 자동차가 인간이 부르면 혼자 달려오고, 냉장고와 정보를 주고 받으면서 생수나 고양이 사료가 떨어졌다는 것을 알려준다. 자동차에 타고 있는 인간을 무사히 목적지까지 데려다주는 것은 물론이고, 이메일을 읽어주며 일정을 알려준다. 즉, 자동차가 주체가 되는 세상이다. 자동차 속 인간은 차가 운전하는 동안 기차에서처럼 낮잠을 잘 수도 있다. 자동차가 조작하는 ‘연장’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하며 달리는 ‘로봇’이 된 것이다.
그래서 무인자동차 연구의 끝은 ‘로봇’ 분야로 통한다.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컴퓨터·인공지능연구소(CSAIL)의 첫 여성 소장인 다니엘라 러스(Rus)는 세계 최고의 로봇 전문가다. 지난해 다보스 포럼에서 ‘로봇의 시대’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기도 했다. 그는 세계 최고의 무인차 전문가이기도 하다.
러스 교수는 CSAIL 사상 첫 여성 소장이기도 하다. 53년의 역사를 가진 CSAIL는 소프트웨어를 공유한다는 ‘오픈 소스’라는 개념을 처음 발명한 곳이기도 하다. 미국국립과학재단(NSF)이 젊고 뛰어난 과학자에게 시상하는 ‘커리어 어워드’ 수상자이기도 한 러스 교수는 최근 일본 자동차 그룹 도요타의 인공지능 기반 자동차 프로젝트에도 참여하고 있다.
무인차 시대에는 차에서 노트북으로 업무를 처리할 수도 있다. (테슬라 제공)
조선비즈 주최 ‘스마트 클라우드쇼’ 참석을 위해 방한한 그를 16일 오후 서울 종로구 그랑서울 인터뷰룸에서 만났다. 곱슬머리에 세련된 치마 정장을 입은 그는 기자의 네일케어에 관심을 보이는 ‘천생 여자’였다. ‘로봇이란 주제와 잘 안 어울린다’고 말하자, 러스 교수는 “두 아이를 키우는 워킹맘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로봇”이라며 웃었다.
러스 소장은 “이미 우리는 무인차의 시대에 접어들었다”고 말한다. 무인차에 필요한 레이더, 센서, 카메라, 인공지능 등 30여 가지 기술은 이미 수십년 전부터 개발된 것이며 지금은 이 기술들을 자동차라는 하나의 틀에 집어넣는 단계라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 출시되는 자동차에 탑재된 ‘위급 시 자동 제동 장치’ ‘주행 자동 거리 유지 장치’ 등은 무인차 기술의 한 부분이다.
무인차 안에서 화상 화면을 켜놓고 운전은 잊어버린 채 동료들과 회의를 할 수도 있다. (테슬라 제공)
- 현재 로봇과 무인차 기술 발달 단계는 어느 정도인가요.
“로봇이라는 것이 TV에 나오는 인간 형태의 특이한 로봇만이 전부가 아닙니다. 우리는 생활 속에서 로봇을 접하고 있습니다. 최근 등장한 로봇 청소기도 하나의 로봇이죠. 일본에서 유행 중인 애완 로봇도 그렇습니다. 우리가 생각지도 못한 사이에 이미 로봇은 우리 삶 속에 들어와 있고, 그런 식으로 자신의 활동 영역을 넓힐 것입니다. 무인차도 마찬가지입니다. 무인차 자체로만 보면 초기 단계입니다. 미국 교통안전국은 무인차의 발전 단계를 4단계로 나눴는데, 현재는 아직 운전자가 센서의 도움을 받아 운전하는 1단계입니다. 하지만 최종 4단계에 이르기 위한 수십 가지의 기술은 이미 개발돼 있습니다. 앞으로 필요한 것은 비상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인공지능, 더욱 정확한 지도 등입니다. 지금은 여러 가지 기술들을 ‘융합’하는 단계입니다. 10년 전만 해도 무인차는 상상하기 어려웠지 않았나요. 테슬라나 닛산 같은 완성차 업계도 2020년이면 무인차의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장담합니다. 앞으로 5년도 안 남았다는 얘기입니다.”
- 그렇다면 무인차와 비슷한 로봇도 곧 대중화된다는 말이겠군요.
“1963년 우리 연구소가 문을 열 당시엔 컴퓨터가 딱 한 대 있었습니다. 개인이 컴퓨터를 소유하는 건 꿈도 못 꿀 일이었죠. 당시 우리의 목표는 단 하나였습니다. 저 컴퓨터를 모두가 공유하는 것. 당시 ‘오픈 소스’라는 개념을 만들어낸 것도 사실 그런 궁핍이 때문이나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1인 1 컴퓨터 시대에서 한발 더 나아가 휴대폰이 컴퓨터가 되는 시대가 왔습니다. 가까운 주변만 해도 컴퓨터 역할을 하는 기기가 휴대폰, 태블릿, 노트북 1인당 3~4가지는 될 것입니다. 이제는 로봇의 기술 개발뿐 아니라 로봇이 할 수 있는 역할을 늘리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내 고양이와 놀아주는 ‘장난감 로봇’ 같은 것 말입니다. 최근 개발된 체스 로봇은 100%까진 아니지만 거의 스스로 판단하고 즉각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지금 개발된 것만 봐도 로봇이 청소해주고, 로봇이 애완동물과 놀아주며, 심심할 때 나와 체스를 둘 수 있습니다. 이런 속도라면 조만간 1인 1 로봇 시대는 그리 멀지 않았습니다.”
- 인간과 같은 일을 하는 로봇과 무인차로 인류의 삶은 어떻게 바뀔까요.
“인류의 가장 큰 발명품 중 하나가 무엇인 줄 아세요? 바로 ‘세탁기’입니다. 세탁기 발명으로 여성들은 빨랫감과 씨름하던 시간에서 해방돼 그 시간에 자기 개발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저 역시 세탁기가 대신 빨래를 해주는 시간 동안 책을 읽고 연구를 합니다. 내가 해야 하는 일 중 단순하고 의미 없는 노동의 일을 로봇이 대신해준다고 생각해봅시다. 그 시간 동안 얼마나 우리는 많은 것을 할 수 있을까요. 무인차도 마찬가지입니다. 지금 미국인은 1년에 총 470억시간을 운전하는 데 사용합니다. 그 시간 동안 운전을 하지 않고 다른 무언가를 한다고 생각해보세요. 시간을 벌어준다는 것은 아주 큰 ‘혁명’입니다. 무인차가 개발되면 졸음 운전이라는 단어도 사라질 것입니다. 자동차가 컴퓨터처럼 각종 데이터를 모아 교통 체증을 피해간다면, 길에서 버리는 연료와 시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경제적인 관점에서도 마찬가집니다. 미국에서는 5초마다 한 번씩 교통사고가 발생하는데, 이 교통사고의 95%가 인간의 작동 실수입니다. 교통사고로 미국에서 매년 124만명이 목숨을 잃습니다. 이로 인한 경제적인 피해가 연간 2770억달러(약 326조7000억원)입니다. 교통사고는 세계 8위의 사망 원인으로 고혈압성 심장병보다 높습니다. 무인차의 개발은 인류 생존에서 심장병 특효약을 개발한 것보다 효능을 발휘하는 셈입니다.”
조선일보
파일 [ 1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