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자 가문의 귀환'…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 당선
조글로미디어(ZOGLO) 2022년5월10일 03시16분 조회:932
조글로 위챗(微信)전용 전화번호 15567604088 을 귀하의 핸드폰에 저장하시면 조글로의 모든 뉴스와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고 친구들과 모멘트(朋友圈)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73.9 % 개표 상황서 2천407 만표 획득…로브레도 1천144 만표에 그쳐
선친 하야 후 36 년만에 대권…'두테르테와 원팀·소셜미디어 마케팅' 주효
필리핀 대선 마지막 유세에 나선 마르코스 전 상원의원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하노이=연합뉴스) 김범수 특파원 = 필리핀을 철권통치한 독재자의 아들인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64 ) 전 상원의원이 차기 대통령에 사실상 당선됐다.
현지 ABS-CBN 방송은 9일 오후 10 시 32 분(현지시간) 현재 대선 후보인 마르코스 전 상원의원이 2천 407 만표를 얻어 경쟁자인 레니 로브레도 부통령(1천 144 만표)을 크게 앞선 것으로 비공식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개표율이 73.9 %인 상황에서 두 후보의 득표 격차가 배가 넘게 벌어진 것이어서 마르코스의 당선이 사실상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필리핀은 이날 대통령과 부통령 외에도 상원의원 13 명, 하원의원 300 명을 비롯해 1만8천명의 지방 정부 공직자를 뽑는 선거를 치렀다.
마르코스 후보는 독재자인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전 대통령의 아들로 아버지의 이름을 그대로 물려받았다.
마르코스 전 대통령은 1965 년부터 1986 년까지 장기집권했다.
특히 정권을 잡은 뒤 7년이 지난 1972 년부터 1981 년까지 계엄령을 선포해 수천명의 반대파를 체포해 고문하고 살해하면서 독재자로서 악명을 떨쳤다.
이에 시민들이 1986 년 '피플 파워'를 일으켜 항거하자 하야한 뒤 하와이로 망명해 3년후 사망했다.
이후 아들 마르코스는 1990 년대에 필리핀으로 돌아와 가문의 정치적 고향인 북부 일로코스노르테주에서 주지사와 상원의원에 선출됐다.
또 지난 2016 년에는 부통령 선거에 나왔다가 이번 대선에서 맞붙은 로브레도( 57 ) 현 부통령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한 바 았다.
마르코스는 현지 조사기관인 펄스 아시아가 지난달 16 ∼ 21 일 2천 400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선 후보 여론조사에서 56 %의 지지율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면서 당선이 유력시됐다.
지난 7일 열린 마지막 유세에 등장한 사라 두테르테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부통령 선거는 마르코스와 러닝 메이트를 이룬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의 딸 사라( 43 ) 다바오 시장의 당선이 확실시된다.
사라 후보는 2천 388 만표를 얻어 721 만표를 획득한 프란시스 팡길리난 상원의원을 3배가 넘는 차이로 앞서고 있다.
필리핀 정계는 마르코스의 대선 승리의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로 사라와의 러닝메이트 구성을 꼽고 있다.
마스코스는 사라와 '원팀'을 이루면서 집권당인 PDP 라반의 리더이자 현직 대통령인 두테르테의 정치적 영향력과 기반을 토대로 지지층을 넓히는데 성공한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지난해 10 월 후보 등록이 시작되기 전에 실시된 각종 여론조사에서 마르코스는 사라에 이어 대선 후보 지지율 2위를 달렸다.
그러나 대선 후보 등록을 마치고 부통령 후보인 사라와 러닝 메이트를 이룬 뒤 지지율이 급격히 올라가면서 한때 펄스 아시아가 실시한 여론 조사에서 지지율이 60 %를 기록하기도 했다.
마르코스 독재 정권 치하에서 자행된 고문과 살해 등 암울한 과거에 대한 기억이 잊혀지고 있는 점도 마르코스 당선 배경 중 하나다.
필리핀국립대 정치학부 교수인 하이메 나발은 "마르코스를 지지하는 30 대 이하의 젊은층은 그의 선친 치하에서 부패와 인권탄압을 겪지 않았다"면서 "따라서 이들은 과거의 상황을 제대로 알지 못할 뿐 아니라 미화되고 왜곡된 이야기에 노출돼왔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저비용·고효율의 선거 마케팅 전략을 비롯해 자신의 애칭인 '봉봉'을 이용한 ' BBM '(봉봉 마르코스)이라는 부르기 쉬운 선거용 호칭을 만들어 젊은 유권자들을 공략한게 주효했다고 나발 교수는 전했다.
마르코스의 대통령 당선으로 필리핀의 독재자 가문이 시민들에 의해 쫓겨난 뒤 36 년만에 다시 정권을 잡게 된 셈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아울러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심화하는 가운데 군사전략적 요충지인 필리핀의 차기 지도자가 양국 사이에서 어떤 외교 행보를 취할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다음이미지가 보여집니다.
1 /
파일 [ 1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