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연변에서 사육중인 ‘연변소’(왼쪽)와 ‘연변황우’(오른쪽). 이들 소는 한우와 유전자는 물론 외형이 비슷해 만일 한국·중국간 협정으로 중국산 쇠고기 수입이 허용될 경우 국내 한우산업을 위협할 잠재적 위험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연변지역에 한우와 구분이 어려울 만큼 외형이 비슷한 소가 대량 사육되고 있다는 증언이 중국의 축산 전문가로부터 나와 국내 축산업계가 비상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최근 서울 중구 농협중앙회에서 열린 한우사업조합장협의회(회장 윤철수·경기 양평축협 조합장)에 초빙강사로 나온 엄창국 중국 연변대학 농학원장은 이 같은 사실을 밝히고 관련 사진을 공개했다.
엄 원장 등에 따르면 문제의 소는 중국 조선족 자치주인 연변지역에서 사육 중인 <연변소>로, 털 색깔은 물론 몸집 등 외형이 한우와 거의 흡사해 전문가가 아니면 쉽게 구분하지 못할 정도다. <연변소>는 현지에서 <조선소>로 불리기도 한다. 현재 <연변소>는 연변지역에서만 100만마리 정도가 사육되고 있는데, 한우와 유전자 근접도가 87%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엄 원장은 설명했다.
엄 원장은 “1820년대 함경도에서 중국 연변지역으로 조선인이 대거 이주하면서 상당 마릿수의 한우를 몰고 갔고, 이 한우를 현지의 <만주소> 등과 교잡해 <연변소>라고 하고 있지만 유전적으로는 한우쪽에 가깝다”고 밝혔다. 32개월령 된 <연변소>의 생체중은 400~450㎏ 정도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연변소>를 서양의 <리무진> <시멘탈> 품종 등과 교잡해 만든 <연변황우>도 머리에 있는 흰색 반점(백반)만 제외하면 외형이 한우와 비슷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특히 <연변황우>는 중국 정부가 20여년 전부터 고기소로 개량에 나서 32~36개월령의 목표 체중이 750㎏에 이른다. 보통 30개월령에 출하하는 한우의 평균 체중은 690㎏ 정도다.
중국에는 쇠고기 육질등급제가 도입되지 않아 <연변황우>와 한우의 육질을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연변황우> 가운데는 한우의 육질 1등급(1++와 1+는 아직 없음)에 해당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엄 원장은 “중국은 아직 소에게 옥수수를 급여하지 않고 있고, 근내지방도(마블링) 위주의 사양관리법도 도입하지 않아 한우보다 품질이 떨어지는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국내 축산업계에서는 만약 우리 정부가 시장개방 확대 차원에서 중국산 쇠고기 수입을 허용할 경우 중국이 한우와 비슷한 <연변소> <연변황우>의 대량 증식과 품질 고급화 작업을 통해 한국 쇠고기시장을 공략할 수도 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내다보고 있다.
중국산 쇠고기는 현재 국내 수입이 금지돼 있다. 구제역 상시 발생국이어서다. 하지만 중국은 우리 정부와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진행하면서 구제역 등 전염병이 발생해도 해당 지역의 축산물만 수입을 금지하는 이른바 검역의 ‘지역화’개념을 도입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축산단체 한 관계자는 “일부에서는 한·중 FTA와 관련한 축산분야 대책을 논의하면서 한우고기의 중국 수출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지만, 중국산 쇠고기가 한국시장에 얼마든지 밀려 들어올 수도 있다는 점을 결코 가볍게 여겨서는 안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국농민신문
최근 서울 중구 농협중앙회에서 열린 한우사업조합장협의회(회장 윤철수·경기 양평축협 조합장)에 초빙강사로 나온 엄창국 중국 연변대학 농학원장은 이 같은 사실을 밝히고 관련 사진을 공개했다.
엄 원장 등에 따르면 문제의 소는 중국 조선족 자치주인 연변지역에서 사육 중인 <연변소>로, 털 색깔은 물론 몸집 등 외형이 한우와 거의 흡사해 전문가가 아니면 쉽게 구분하지 못할 정도다. <연변소>는 현지에서 <조선소>로 불리기도 한다. 현재 <연변소>는 연변지역에서만 100만마리 정도가 사육되고 있는데, 한우와 유전자 근접도가 87%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엄 원장은 설명했다.
엄 원장은 “1820년대 함경도에서 중국 연변지역으로 조선인이 대거 이주하면서 상당 마릿수의 한우를 몰고 갔고, 이 한우를 현지의 <만주소> 등과 교잡해 <연변소>라고 하고 있지만 유전적으로는 한우쪽에 가깝다”고 밝혔다. 32개월령 된 <연변소>의 생체중은 400~450㎏ 정도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연변소>를 서양의 <리무진> <시멘탈> 품종 등과 교잡해 만든 <연변황우>도 머리에 있는 흰색 반점(백반)만 제외하면 외형이 한우와 비슷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특히 <연변황우>는 중국 정부가 20여년 전부터 고기소로 개량에 나서 32~36개월령의 목표 체중이 750㎏에 이른다. 보통 30개월령에 출하하는 한우의 평균 체중은 690㎏ 정도다.
중국에는 쇠고기 육질등급제가 도입되지 않아 <연변황우>와 한우의 육질을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연변황우> 가운데는 한우의 육질 1등급(1++와 1+는 아직 없음)에 해당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엄 원장은 “중국은 아직 소에게 옥수수를 급여하지 않고 있고, 근내지방도(마블링) 위주의 사양관리법도 도입하지 않아 한우보다 품질이 떨어지는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국내 축산업계에서는 만약 우리 정부가 시장개방 확대 차원에서 중국산 쇠고기 수입을 허용할 경우 중국이 한우와 비슷한 <연변소> <연변황우>의 대량 증식과 품질 고급화 작업을 통해 한국 쇠고기시장을 공략할 수도 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내다보고 있다.
중국산 쇠고기는 현재 국내 수입이 금지돼 있다. 구제역 상시 발생국이어서다. 하지만 중국은 우리 정부와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진행하면서 구제역 등 전염병이 발생해도 해당 지역의 축산물만 수입을 금지하는 이른바 검역의 ‘지역화’개념을 도입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축산단체 한 관계자는 “일부에서는 한·중 FTA와 관련한 축산분야 대책을 논의하면서 한우고기의 중국 수출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지만, 중국산 쇠고기가 한국시장에 얼마든지 밀려 들어올 수도 있다는 점을 결코 가볍게 여겨서는 안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국농민신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