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로고
뒤늦게야 밝혀진 반일독립운동가 윤낙세
조글로미디어(ZOGLO) 2015년8월17일 08시34분    조회:2487
조글로 위챗(微信)전용 전화번호 15567604088을 귀하의 핸드폰에 저장하시면
조글로의 모든 뉴스와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고 친구들과 모멘트(朋友圈)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독립운동가 윤낙세에 대한 고찰

(흑룡강신문=하얼빈) 윤낙세(1877 ~ 1929)는 조선의 독립을 위해 1910년대와 1920년대에 간도와 로씨야를 무대로 반일투쟁에 일생을 바친 독립운동가이다. 1910년대초에는 권업회, 기독교우회 등 단체를 통해 군자금 모집 및 반일선전활동을 하였고 1910년대말에는 무장독립운동 단체인 신민단에서 련락부장으로 활약하였다. 1920년 《경신년대토벌》이후에는 로씨야 수이푼(秋豊)일대에서 한족공산당 위생부장, 고려혁명군 외교부장에 선임되여 활동하면서 반일운동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이에 한국정부는 2013년 윤낙세의 공훈을 기려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윤낙세 독립운동가

자료의 부족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 윤낙세의 공적은 지금까지 세인들에게 널리 알려지지 못하고있으며 력사의 뒤안길에 가리여있다. 필자는 광복 70주년에 즈음하여 종래 주목받지 못했던 독립운동가 윤낙세를 통해 1910년대와 20년대 간도 및 로씨야 지역의 독립운동에 대해 고찰하려 한다.

1. 간도로의 이주 및 반일활동

윤낙세는 1876년 일본에 의해 《강화조약》이 체결된 이듬해인 1877년 조선 함경북도 회령에서 출생하였다. 일제의 침략으로 날로 국운이 기울어지는 조선에서 동년과 청년시절을 보내면서 민족과 나라를 구하려는 큰 뜻을 지니게 되였으며 반일운동의 터전으로 되고있었던 간도(1)로 이주하였다.

오늘날 연변지역의 대부분을 일컫는 간도는 두만강을 사이두고 조선반도의 북부와 이어져 있으며 1860년대에 이미 조선인의 집단적인 이주가 시작되였다. 조선인들의 수전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중국 당국은 이에 대해 별다른 간섭을 하지 않았고 조선에서는 간도를 조선민족이 이주할만한 복지(福地)라고 하였는바 1910년 조선이 일제에 의해 합병되면서 많은 조선인들이 새로운 생활의 근거지를 찾아 간도로 이주하였다. 1908년 간도에 거주한 조선인은 9만 1000명에 불과했으나 1911년에는 12만 7500명, 1912년에는 16만 3000명으로 증가하여 급속한 증가세를 보였다.(2)간도의 개발 및 조선인 집거구역의 형성은 윤낙세를 포함한 많은 반일운동가들이 간도를 활동무대로 선택한 주요 원인으로 되였다.

1910년대에 간도에서는 여러 단체들이 활동했는데 특히 권업회(勸業會)(3)는 각지에서 토지를 구입하여 농장을 설립하는것을 통해 반일정서를 가지고있는 조선인들을 모았고 교육을 통해 이들의 애국심을 불러일으켰으며 경제적 실력을 배양함으로써 추후 국권회복을 위한 실제적인 일들을 하였다.

상술한 배경에서 윤낙세는 간도에 이주한후, 1912년 권업회의 명의로 당시의 연길현(延吉縣) 토문자(土門子-훈춘에서 동쪽으로 22-23리 떨어져 있음) 당시 로씨야 화페 1500원에 달하는 121경(耕)의 토지를 구입하여 농장을 설립하였고 이를 통해 조선인들을 규합하고 반일사상을 고취하였다.(4)

당시 간도에서는 기독교 등 여러 종교단체들도 종교활동을 통해 반일사상을 고취하였는데 훈춘선인기독교우회(琿春鮮人基督敎友會)가 바로 그중의 하나이다. 훈춘선인기독교우회는 1913년에 설립되였고 종교의 전파 및 계몽을 표방하였지만 실제 목적은 반일정신을 고취하는데 있었으며 1916년에는 회원수가 2000명에 달하는 큰 규모의 단체로 되였다. 윤낙세는 1913년 혹은 1914년에 기독교우회에 가입한것으로 보이며 1915년 12월 15일까지 과원(課員)으로 활동하였고 당시의 직업은 약업(藥業)으로 표기되였는바 농장을 경영하는외에도 여러 가지 직업을 가지고있었던것으로 보인다.(5)

윤낙세는 상술한 단체들을 통해 반일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였으며 1918년경에는 훈춘현 왕팔발《파》자(王八脖《把》子)에 거주하면서 흑룡강성 애훈현(愛琿縣)의 조선인 반일 비밀결사조직과도 련락을 취해 공동으로 반일활동을 도모하였다. 윤낙세는 주로 훈춘지역 반일단체와 애훈현 비밀결사조직과의 련락 및 반일인사들의 규합 등 역할을 하였으며 이르크츠크로부터 총기 수백정을 밀수하여 앞으로의 반일무장투쟁을 위한 준비를 하였다. (6)

2. 항일무장투쟁에 투신 - 신민단 및 국민단에서의 활동

1919년 3월 1일 조선에서 거국적인 3.1운동이 폭발한후 간도의 룡정에서 3월 13일 독립선언서를 발표하고 조선 독립을 요구하는 집회가 열렸으며 이는 화룡, 훈춘, 왕청 등 간도 전역에 파급되였다.

간도의 조선족집거지역에서 온양되고있던 반일운동은 조선의 3.1 운동의 영향하에 폭발하였는바 룡정의 3.13 반일군중집회가 그 발단으로 되였다. 당시 간도는 조선족이 약 76%를 차지하는 집거지역으로 이미 반일투쟁의 중심으로 되였다. 비록 3.13 운동이 군경찰의 탄압으로 인해 실패하였지만 같은 해 5월 1일까지 간도의 30여개 곳에서 반일군중집회가 50여차 열렸고 8만 1000여명이 참가하였다.(7)

윤낙세의 후손인 윤운걸씨(우 세번째)가 한국에서 열린 《2015년 제2회 호국영령 합동 위패봉안식》에 참가했다

하지만 1919년 3-4월 사이에 간도를 중심으로 한 반일운동은 일제의 탄압에 의해 실패하게 되며 반일단체들은 무력으로 일제에 대항하게 되는바 많은 반일무장대오가 조직되였다.

1919년 당시 훈춘현내에는 여러 단체들이 활동하였는데 대한국민회와 대한신민단이 가장 대표적인 단체였다. 국민회는 동구 대륙도(東溝大六道) 아래의 훈춘 평야 및 황구(黃溝) 지역에 근거지를 두고있었고 신민단은 흑정자(黑頂子) 일대 대판령(大盤嶺)의 동쪽 부락 및 라자구(羅子溝)와 동구 초모정자(東溝草帽頂子)에 두개 곳에 나뉘여 있었다.

대한 신민단은 구한말의 신민회를 계승한 단체로서 기독교 장로교파 목사이며 신민회 회원이였던 김규면(金圭冕)을 중심으로 주로 대한기독교(일명 성리교-聖理敎) 신도들이 1919년 3.1운동 직후 간도와 로씨야 연해주에서 결성한 독립운동 단체이다.(8)1920년에 단원이 200명이 달하는 단체(9)로 발전하였는바 비록 규모는 크지 않았으나 훈춘지역의 주요 반일운동단체로 일제와 무장투쟁을 벌였다.

상술한 단체들은 단체 구성원들이 반일무장투쟁에서 활약하는외에도 당시 간도에서 류학하고있는 학생들을 통해 반일 선전 및 정찰 등 활동을 하기도 하였는바 반일시위 운동이 고조되였던 1919년경부터 윤낙세, 한경서 등은 일제에 의해 반일운동의 거두로 지목되였으며 이들의 거처는 반일단체의 련락과 정찰 또는 반일활동을 위한 거점으로 리용되고있었다. 당시 윤낙세는 윤룡서(尹龍瑞)·윤인송(尹仁松) 등과 함께 주로 훈춘경내의 동구 초모정자(東溝草帽頂子)의 춘화향(春化鄕) 왕팔발《파》자(王八脖'把'子)에서 대한 신민단(大韓新民團)의 련락부장, 국민단의 총찰로 활동하였다.(10)왕청현 및 로씨야에 왕래한 행적도 뚜렷한것으로 나타나 있다.(11)

3. 로씨야 한족(韓族)공산당, 고려혁명군에서의 활동

1919년 하반기부터 반일시위운동이 간도 및 간도와 조선 국경지대에서의 반일무장투쟁으로 표출되면서 간도를 포함한 해외무장투쟁이 독립운동의 주력으로 부상하게 되였다. 이에 일제는 대규모의 토벌을 계획하였고 이른바 《훈춘사건》을 조작하였으며 이를 빌미로 간도에 출병하여 훈춘지역을 중심으로 한 간도지역에 대한 《경신년대토벌》을 감행하였다. 《간도대토벌》이라고 불리는 《경신년토벌》로 인해 독립군이 토벌되여 반일운동은 저조기에 들어가게 되였으며 학살된 조선인은 3만명에 달했다.(12)

《간도대토벌》로 인해 간도지역에서 활동하던 독립운동가들이 속속 당시 조선 독립운동의 주요 근거지가운데 하나였던 로씨야로 이동하였다. 윤낙세 역시 토벌을 피해 로씨야 수이푼(秋豊)으로 이동하였으며 로씨야를 무대로 한족공산당과 고려혁명군에서 활동하였다. 1921년 토문자(土門子) 오지인 바라바시 북쪽지역에는 반일사상을 가지고있는자들이 왕래하고있어 인심이 동요되고있으며 반일사상을 가진자들의 선전 및 모금은 일본군의 연해주 철병의 시작과 더불어 점차 조직적으로 이루어져 인심이 악화되고있으면서 일본과 중국 관헌의 신경을 건드리고있었다.

1921년 노령 수이푼(秋豊) 송전관(松田關, 일명 솔밭관)에서 한족(韓族)공산당이 조직되였는데 총사령 부장(部長)에 함경북도 온성군 출신인 최문세(崔文瑞)가 선임되었다. 한족공산당은 군부와 행정부로 나뉘어져 있었느데 군부(軍部) 병졸(兵卒) 150여명, 행정부(行政部) 병졸 약 60명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매주 1회 반일 사상을 고취하는 경고문을 살포하여 반일사상을 고취하였고 한족공산당 경무부(警務部)에서는 통행권(通行券)을 발부한후 통행권을 휴대하지 않은 경우, 소재 지역에서의 려행을 금지시키기도 하였다. 한족공산당은 공산주의를 표방하는 로씨야 과격파들과 련합하여 반일활동을 진행하고있었으며 윤낙세는 한족공산당에 가입하여 위생부장으로 선임되여 활동하였다.(13)로씨야에 간후에도 윤낙세는 로씨야와 중국경내를 넘나들면서 반일활동을 하였는바 1922년 훈춘현 마적달(馬滴達) 지방에 잠입하여 독립운동 자금 모집과 선전 활동을 전개하였다.(14)

1923년 포조(浦潮)공산당 고려부는 훈춘지역에서 당세(黨勢)를 확장하기 위해 한경서(韓京瑞)를 지부장(支部長)으로 지명하여 선전서의 배포 및 련락 등 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윤낙세는 주병칠(朱丙七) 등과 함께 훈춘의 왕팔발《파》자(王八脖'把'子)에 래왕하면서 소총 수십자루와 탄약을 마차에 실어 로씨야 중국 국경을 거쳐 수이푼 지역의 반일단체에 수송해주고 정보를 수집해주었으며 선전활동을 하였다.(15)

그 이후, 1924년 12월 로씨야 수이푼과 스찬(蘇城) 부근에 있던 반일단체는 고려혁명군(高麗革命軍)으로 개칭되였는데 고려혁명군은 공산주의 리념을 표방함과 동시에 항일독립전쟁을 수행하는 독립군 부대였다. 고려혁명군내의 정치활동은 이르크츠크파 고려공산당이 지도하였고 윤낙세는 외교부장(外交部長)에 선임되여 활동하였다.

1924년 윤낙세는 한경서 등과 더불어 군자금(軍資金)을 모집하였으며 로씨야와 중국경내를 넘나들면서 변경 및 기타 지역에서 금품을 모아 총기를 사들이는 등 활동을 전개하였다.(16)이 시기 윤낙세는 훈춘에 체류하면서 반일활동을 전개하였다. 같은 해 윤낙세, 한경서 등 19명이 일제에 의해 소환하여 조사를 받은 기록이 남아있다.(17)

참고문헌:

  (1) 현재의 룡정, 화룡, 훈춘, 왕청 지역을 가리킨다.

  (2) 《東北地區朝鮮族革命鬪爭資料彙編》(楊昭全, 李鐵環, 1990년),293면.

  (3) 1911년 5월 리종호(李鍾浩)·김익용(金翼鎔)·강택희·엄인섭 등이 주축이 되여 울라디보스또크 신한촌에서 조직한 항일독립운동 단체이다. 권업회는 주로 조선인 지위의 향상과 반일투쟁을 위한 경제적 실력배양에 힘썼으며 조선인에게 민족의식을 고취했다.

  (4)韓國獨立運動史資料(國史編纂委員會, 2003) 제39권 117면,獨立運動史料(국가보훈처) 중국편⑨ 70면.

  (5)韓國獨立運動史資料(國史編纂委員會, 2003), 제40권 112면,獨立運動史料(국가보훈처) 중국편⑨ 70면,琿春鮮人基督敎友會役員名簿에關한件(1916. 3. 13)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部-在滿洲의部 5.

  (6)排日鮮人의動靜에關한件(1918. 5. 6)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部-在滿洲의部 6

  (7) 《朝鮮族革命鬪爭史》(黃龍國编, 1988), 39면.

  (8) 《现代史资料》(姜德相编) 26,“朝鲜” 2, 177면. <독립운동에 관한 건>(國外日報제104호)

  《韓國獨立運動史》(國史編纂委員會, 2003) 제41권 197~198면에는 김규만(金圭晩)으로 기록되어 있다.

  (9) 《東北地區朝鮮族革命鬪爭資料彙編》(楊昭全, 李鐵環, 1990년),454면.

  (10)韓國獨立運動史資料(國史編纂委員會, 2003) 198면.

  自決運動團隊및 運動者의件(1919. 5. 8)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部-在滿洲의部 10

  琿春縣東溝지방의情況에關한件(1924. 11. 22),不逞鮮人行動其他에關한件(1924. 12. 4)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部-在滿洲의部 40

  (11) 《朝鮮獨立運動》(金正明, 1967) 제5권 270면.

  (12) 《일본제국주의의 동북침략사》(김기봉, 방영춘, 권립编, 1987), 73면.

  (13)沿海州韓族共産黨의行動에 관한件(1922.5.12)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部-鮮人과過激派3

  (14) 《朝鮮獨立運動》(金正明, 1967) 제5권 247면.

  (15) 《朝鮮獨立運動》(金正明, 1967) 제5권 256-257면

  (16)琿春縣東溝지방의情況에關한件(1924. 11. 22),不逞鮮人行動其他에關한件(1924. 12. 4)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部-在滿洲의部 40

  (17)琿春縣東溝지방의情況에關한件(1924. 11. 22),不逞鮮人行動其他에關한件(1924. 12. 4)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部-在滿洲의部 40

  [윤낙세 독립운동가 후손:장손 윤운일 연변총공회에서 근무,현재 퇴직,차손 윤운걸 흑룡강신문사 기자,차녀 윤운실 연변방직공장 기술원.]

  /산동연태대학 외국어학원 우영란 교수 정리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72
  • 4월 3일, 왕청현혁명렬사릉원에서 렬사들의 위훈을 기리고있는 왕청현교통관리국 민경들. 올 청명절전야 왕쳥현의 여러 기관과 사회가두의 공무원과 학교 학생 도합 3000여명이 혁명전통교양기지인 왕청현혁명렬사릉원에서 혁명선렬들을 추모하는 행사를 대거 진행하였다. 추모제에서 왕청현새일대관심사업위원회 최금철부...
  • 2014-04-08
  • 4월 4일, 청명을 하루 앞두고 길림시조선족차세대관심위원회와 길림조중, 길림시조선족실험소학교의 조직하에 길림시조선족중소학교 사생 100여명이 화피창렬사릉원을 찾아 영령들을 추모했다. 오전 8시, 세대의 뻐스를 내세워 길림조중 학생처 고춘영주임이 인솔한 30여명 조중학생들과, 길림시조선족실험소학교의 전성민...
  • 2014-04-07
  •  당년 일본군의 또치까잔해물들. 훈춘시 춘화진 초평(草坪)촌 동쪽 이도관(二道关)산속에 중국을 침략한 일본군이 남긴 매우 큰 규모의 군사요새지유적이 발견되였다. 초평촌의 촌민 마련파, 장본용 및 장고봉사건기념관 관장 류충지, 춘화변방파출소 류군부소장 등 인원들이 유적지를 답사하여 초보적으로 중국...
  • 2014-04-07
  • 고성마을 입구에 세워진 온특혁부성과 조금 떨어진 곳에 세워진 비우성 비석.  훈춘시구역에서 서남으로 8킬로메터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삼가자향 고성촌, 지난 3월 4일 이곳을 찾았을 때 논에서 밭에서 봄을 맞으며 농사준비를 하는 농민들이 간간히 보였다. 력사적으로 고성촌은 19세기때 청정부가 이곳에 통상분국...
  • 2014-04-04
  •  4월 2일 청두(成都)시 고고연구소와 량산(凉山)주 박물관은 쓰촨(四川)성 량산주 진양(金陽)현 문물 관리소 측과 마이쭈샹무나거우(馬依足鄕木納溝)촌 주민이 집 건설 시 발견한 문물에 대해 감정을 진행한 결과, 발견된 문물 4개 중, 동단검 1개, 동칼집 1개가 전국시대 문물이고, 철삽은 한나라 시대 문물로 밝혀졌...
  • 2014-04-03
  • 간도특설대가 창립된 초기의 지휘부. (사진=서해문집 제공) ◈ 혼돈의 만주벌판…일본군, 조선청년 모아 독립군 토벌에 나서다 조선인 청년들이 일본군이 준 무기를 들고 조선 독립군에게 총을 쏘는 일이 있을 수 있을까? 이 소설 같은 장면이 1930~1940년대에 만주벌판에서 실제 펼쳐졌다. 1931년 만주를 점령한 일...
  • 2014-04-03
  • , 책자 발행식이 오늘 오전에 있었습니다.   170만자로 된 은 지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자치주 제9기위원회 집정기간 종합실력이 가장 빨리 제고되고 도시와 농촌 면모가 일신됐으며 군중들이 실제혜택을 가장 많이 본 5년 력사를 담았습니다. 주당위당사연구실 주임 변군입니다. 《이 책은 우리 주에서 각항...
  • 2014-04-02
  • ▣ 경성의 새벽을 뒤흔든 격렬한 총격전 의열단원 김상옥(사진=생각정원 제공) "탕~탕~탕" 3.1운동의 열기가 채 식지 않은 1923년 1월 27일 새벽. 조용한 삼판통(현 용산구 후암동) 주택가에서 총소리가 밤하늘을 갈랐다. 이 곳에 은신한 의열단원 김상옥은 20여명의 종로경찰서 무장경찰들이 포위하자 양손에 든 쌍권총을 ...
  • 2014-04-01
  • 남북 및 해외 녀성민간단체들 심양서 “일본군성노예문제해결을 위한 토론회” 개최   본사소식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와 조선민주녀성동맹 등 남과 북 및 해외의 20여개 녀성. 종교 단체가 3월 29일 심양 칠보산호텔에서 “일본군 성노예문제해결을 위한 토론회”를 열고 군위안부를 비롯한 일...
  • 2014-03-31
  • ◈ 경찰서를 빠져나와 감쪽같이 사라진 거물급 공산주의자 '이재유' 일제가 만주를 석권한 1934년 4월 13일 밤. 조용하던 서대문경찰서에 한가닥 호루라기 소리가 울렸다. 이어 "이재유가 달아났다"는 고함소리와 함께 당직경찰들이 이리저리 뛰어다녔다. 경성과 경기도 경찰부 모든 병력이 총동원되어 시내를 뒤졌...
  • 2014-03-31
  • 심양 3월 28일발 인민넷: 이번에 한국측에서 중국에 귀환한 항미원조지원군렬사 유해의 안장지는 심양항미원조렬사릉원으로서 중한 량국이 2월에 북경에서 진행된 사업회의에서 토론하여 결정한것이다. 료해한데 의하면 이번의 렬사 유해들을 심양항미원조렬사릉원 부근의 따로 건설한 묘지에 안장할것이라고 했다. 3...
  • 2014-03-31
  • 비공식 협의 병행, 규모도 확대…20일 결과 발표 북한과 일본이 19일 오후 중국 랴오닝성 선양(瀋陽)에서 적십자 실무회담과 외무성 과장 간 비공식 협의를 재개했다. 수석대표인 리호림 북한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 서기장과 다사카 오사무(田坂治) 일본적십자사 국제부장 등 양측 대표단은 이날 정오(현지시간)께...
  • 2014-03-20
  •  항일의사 안중근 순국 104주년(3월 26일)을 맞으며 안중근사적 보고 및 사진전시회가 지난 주말 심양시조선족문화예술관에서 있었다.   료녕성조선족경제문화교류협회와 중국조선족사학회서 공동 주최하고 료녕성조선족로인련의회에서 주관, 중국조선족기업가협회회장단, 료녕성조선족기업가협회, 료녕성조선족애심...
  • 2014-03-19
  • 남경시문화광전신문출판국은 남경 리제항(利濟巷)에 위치한 10년 가까이 방치되였던 중국침략 일본군위안소 유적지를 “문물보호단위”로 지정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전문가는 이곳이 위안부들이 지목한 아시아 현존 최대 규모의 일본군 “위안소” 유적지라며 현재 7동의 건물이 남아있다고 소개했다...
  • 2014-03-18
  • 중국침략 일본군 731부대 죄증진렬관에서 입수한데 따르면 할빈시는 3.2억원을 투자해 731유적지핵심구 및 731전쟁유적지공원건설용지내의 여러개 비문물건축물을 허물고 환경을 다스리는 사업을 본격적으로 벌리고 있다.   731유적지는 전국 중점문물보호단위이며 전국 애국주의교육시범기지, 전국 홍색관광풍경구 및 국...
  • 2014-03-17
  • 3월 14일 오전, 룡정시《3.13기념사업회》에서는 사업회 회장단과 룡정시통신협회 회원들 그리고 룡정로인대학 등산대 성원들이 참가한 3.13반일집회 유적지답사활동을 조직하였다. 이날 참가자들은 《3.13》반일집회장소였던 제1유치원에서 시작하여 반일시위행진로선을 따라 류혈사건발생지(번영로와 건설가 교차 십자거...
  • 2014-03-17
  •         (흑룡강신문=하얼빈) 윤운걸 길림성특파원 = 일본이 침략력사를 왜곡하고 있는 오늘, “룡정3.13반일운동 95주년 추모제”가 룡정3.13기념사업회, 룡정시노인대학,해란강합창단,연변력사연구회,룡정시정부 등 15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룡정 3.13반일의사릉에서 있었다.   이번 추모제...
  • 2014-03-14
  • 안중근의사가 순국전인 1910년 3월 려순감옥에서 쓴 글씨가 경매에 나온다. 미술품 경매사 서울옥션은 안중근의사 순국일(3월 26일) 다음날인 오는 27일 오후 5시, 평창동 서울옥션스페이스에서 제131회 경매를 열고 안중근의사 유묵 《경천》(敬天)을 비롯한 157점을 출품한다고 10일 밝혔다. 《경천》은 하늘의 리치...
  • 2014-03-13
  • 2월 26일, 진시황릉 박물관 측은 발굴학자들이 진시황 병마용 1호갱에서 3차 발굴을 진행하던 중 비교적 완전한 형태의 활과 화살이 출토되었다고 밝혔다. 이는 진시황 병마용 발굴작업에서 최초로 발견된 비교적 완전한 형태의 활과 화살이며, 2009년부터 시작된 진시황 병마용 1호갱 3차 발굴작업에서는 고고학적 성과가 ...
  • 2014-02-27
  • 1945년 9월 9일, 허잉친(何應欽, 좌측)은 난징에서 중국 정부 대표로 중국침략 일본군 고바야시 센사부로(小林淺三郞) 총참모장이 제출한 오카무라 야스지(岡村寧次) 중국침략 일본군 사령관의 항목문서를 받았다.   12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임위원회 제7차 회의는 25일 오후에 전국인민대표대회 상임위의 중국인민 ...
  • 2014-02-26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