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로고
[김호림기획련재-9] 인도의 '왕자'가 왜서 곤륜산에 나타났을까
조글로미디어(ZOGLO) 2016년2월18일 08시45분    조회:2394
조글로 위챗(微信)전용 전화번호 15567604088을 귀하의 핸드폰에 저장하시면
조글로의 모든 뉴스와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고 친구들과 모멘트(朋友圈)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조선반도의 삼국승려와 대륙고찰 이야기

       (흑룡강신문=하얼빈) 솔직히 뭔가 빗나가는 것 같다. 산이 아니라 식탁에서 시작되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야채 가지(茄子)를 경상도에서 궁중에 진상하였다는 내용은 《춘관통고(春官通考)》(1788) 등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의 궁중 진상품이었던 이 가지는 훗날 중국 연변의 이민들에게 '조선가지'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반도의 몽톡한 '조선가지'는 확실히 대륙의 길쭉한 '중국가지'와는 다른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연변에서 '조선가지'라고 불리는 야채, '신라가지'도 이런 모양일까.

  기실 반도에서 재배된 가지의 최초의 이름은 '조선가지'가 아니었다. 일찍부터 일명 '신라가지'라는 이름으로 대륙에 파다히 알려지고 있었다. 중국의 의서인 《본초연의(本草衍義)》(1116)에 따르면 "신라에는 1종의 가지가 나는데, 모양이 계란 비슷하고 엷은 자줏빛에 광택이 있으며 꼭지가 길고 맛이 달다. 이미 중국 (대륙의) 채소밭에 널리 퍼져 있다." 이에 앞서 '가지'를 "당(唐)나라 이전부터 곤륜자과(崑崙紫瓜)라고 했다"는 기록이 의서 《본초십유(本草拾遺)》(741)에 남아 있었다. 일설에 곤륜자과는 수양제(隋煬帝)가 야채 가지를 애용하면서 특별히 지은 이름이라고 전한다.

  "'곤륜자과'는 '곤륜의 검은 오이라는 의미이니, '곤륜'을 거쳐서 유입된 채소라고 해서 불린 이름이 아닐까요?"

  이맘쯤이면 누구라도 물을 법한 '가지'의 이역 여행 이야기이다. 가지의 원산지가 인도요, 또 곤륜은 인도와 중국의 접경 지역에 있는 산이니, 정말이지 누군가 일부러 박아놓은 듯 아귀가 딱 들어맞는 것 같다.

  옛 곤륜은 '만산(萬山)의 조종(祖宗)'이요, '용맥(龍脈)의 조종(祖宗)'이며 중국의 명산대천에서 제일 신비한 곳이다. 이토록 신기한 곳은 당연히 여러 신들의 주처(住處)로 되고 있었다. 중국의 신화는 대체로 네 개의 축으로 이뤄지는데, 동방의 봉래(蓬萊) 신화와 남방의 초(楚) 신화, 중원의 신화 그리고 서왕모(西王母), 반고(盤古), 여와(女娲)를 대표로 하는 서방의 곤륜신화가 바로 그것이다. 와중에 서왕모는 모든 여신들의 수령이고 반고와 여와는 세상을 창조한 신이니, 서방의 곤륜신화는 단연 신화 중의 으뜸으로 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곤륜산은 대륙 서쪽 청장고원 북부의 변두리에 동서로 길게 융기된 산맥을 지칭한다. 고대 육상 실크로드는 곤륜산 북쪽에 있는 타클리마칸 사막의 남북 가장자리를 지나고 있었다.

  정말이지 '곤륜자과'라는 이름의 유래에 머리가 갸우뚱하게 되는 부분이다. 가지를 곤륜과 한데 잇기에는 원산지는 물론 경유지 역시 동떨어진 곳이기 때문이다. '곤륜'이 실은 지금의 말레이시아를 지칭하는 말이라고 하면서 가지가 인도로부터 말레이시아를 통해 대륙에 전파되었다고 하는 설이 나올 법 한다.

  기실 곤륜산은 바닷길에 떠도는 배처럼 한곳에만 머물러 있지 않다. 곤륜산은 대륙의 동북부 연해에도 나타난다. 곤륜산은 산동성(山東省) 동북부에서 제일 큰 산으로 장장 백여 리를 이어지고 있다. 북위(北魏) 시기의 사서 《16국 춘추(春秋)》는 곤륜산을 '해상 여러 산의 조종'이라고 칭했다. 곤륜산은 한․당(漢․唐) 시기부터 불교와 도교 수행자들의 수련의 도장으로 되고 있었다. 금․원(金․元) 시기에는 도교 전진파의 개산조사 왕중양(王重陽)이 전진교(全眞敎)를 설립한 '동천복지(洞天福地)'였다. '곤륜'이라는 산동성의 이 지명도 전진교 때문에 사서에 또 한 번 등장한다. "(왕중양의 수제자) 구처기(丘處機)는 등주(登州)의 서하(栖霞) 사람으로… 나이 19세 때 녕해(寧海)의 곤륜산에서 전진교를 수도했다"고 《원사(元史)》가 기록하고 있다.

  상기 기록에 나오는 지명들은 모두 산동성 동북부에 가지런히 모여 있는 것으로, 곤륜산이 바로 이 고장에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 오히려 또 고여산(姑余山), 곤유산(崑兪山) 등 지명으로 불렸으며 곤륜산이라는 이름은 와전된 것이라고 주장하는 현지인들도 있다.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 유학 학파의 창시자인 공자도 이 곤륜산에 이름자를 내밀고 있다. 공자가문의 족보에 따르면 "장백산에서 날아온 두루미가 곤륜산에서 노닐던 암사슴과 만나니, 그 사이에서 나온 사람이 공자이다." 공자는 춘추(春秋) 시기 노(魯)나라 추읍(陬邑) 즉 지금의 곡부(曲阜)에서 출생했으니, 장백산은 물론 곤륜산의 위치를 산동성에 비정할 수 있다는 얘기이다. 실제로 산동성의 수부 제남(濟南) 부근에 장백산이 있으며 곤륜산과 동서로 고작 300여㎞ 상거한다. 두루미가 날개짓 한번으로 날아가거나 암사슴이 뜀박질 한달음에 달려가서 서로 만날 수 있는 위치. 족보에 나오는 장백산은 연변에 있는 동명의 장백산이 아니며, 곤륜산 역시 청장고원에 있는 동명의 곤륜산이 아니라는 것이다.

  '암사슴'이 노닐던 곤륜산은 반도와 대륙 최단 거리의 바다기슭에 위치한다. 수․당(隋․唐) 시기, 곤륜산 기슭의 적산포(赤山浦)라고 불렸던 석도(石島) 등에는 해상무역 항구가 있었다. 대륙 저쪽의 반도와 섬의 사절, 상인, 유학생, 승려들은 이 항구를 이용하여 산동반도 동북부에 상륙한 후 다시 육로를 통해 내륙의 오지에로 발길을 옮겼다.

  훗날의 이야기이지만, 명(明)나라 때에는 일명 '왜구(倭寇)'라고 불리는 일본 해적들이 이 일대에 자주 침노했다. 홍무(洪武) 31년(1398) 해상 방위시설을 세우고 "위엄이 동해를 진동한다"는 의미에서 지명을 따오니, 위해(威海)라는 이 대륙 동부의 항구 이름이 생겨난 것이다.

  각설하고, 곤륜산은 바로 반도와 통하는 최단의 바닷길 한쪽 끝에 등탑처럼 서있다. 사실상 '곤륜자과'는 또 '신라가지'라는 이름과 함께 맞물려 바닷길을 통한 대륙의 유입 경로를 밝혀주고 있는 것이다.

  대륙과 반도를 잇는 바닷길에 있던 여타의 항구와 마찬가지로 옛날 곤륜산 기슭에는 신라인들이 웅기중기 모였으며 신라방(新羅坊), 신라촌(新羅村)을 형성하고 있었다. 수․당(隋․唐) 시기 성읍 중심을 방(坊)이라고 했다. 또 성읍의 여러 골목을 방이라고 통칭하기도 했다. 대체적으로 신라방은 도시에서 신라인이 집단으로 거주하는 지역을 이르며 성읍의 바깥에 형성된 신라인의 집단 거주지는 신라촌이라고 불렸다. 이역에 와서 삶의 새 터를 잡은 신라인들에게 사찰은 일종의 구심적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래서 신라인들이 집거한 곳에서는 거의 그림자처럼 신라사찰이 등장하고 있다. 신라사찰이 없는 경우에는 십상팔구 현지에서 아주 이름이 있는 사찰이 따로 있었다. 옛날 곤륜산 부근에도 명찰(名刹)이 있었다면 적산포에 살던 신라인들이 이 사찰에 가서 향불을 태웠을 법한 대목이다.

  정말로 곤륜산에는 천년 전의 유명한 고찰이 하나 있었다. 그러나 안내를 맡은 왕씨 성의 기사는 현재로선 옛터뿐이라고 하면서 사찰 행을 접으라고 권고하는 것이었다. "무염사(無染寺)도 성경산(聖經山)처럼 풍경구에 있지만 거기에는 구경거리라곤 바위밖에 없어요."

  성경산은 전진교가 흥성한 곤륜산의 지맥으로, 도교의 경전인 《도덕경(道德經)》을 성물로 추앙하여 지은 이름이다. 우연인지 필연인지 불교와 도교는 이곳에서도 함께 만나고 있었다. 무염사는 성경산과 서로 이웃, 불과 15㎞를 상거하고 있었다.


곤륜산의 지맥인 성경산에 도교의 창시자 노자가 좌정하고 있다.

  왕씨의 권고를 귀담아 들어야 했을지 모른다. 무염사는 결국 풍경구의 입구에 간판으로 적힌 이름밖에 만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관리소 직원은 겨울 산행이 위험하다면서 기어이 일행의 진입 자체를 가로막았던 것이다.

  무염사는 동한(東漢) 때 설립되었는데 이 지역의 제일 오랜 사찰로 한때 아주 흥성했다고 전한다. 《녕해주지(寧海州志)》의 기록에 따르면 "(이곳에) 거주하는 자는 육근이(六根)이 청정(淸淨)하고 큰 해탈을 얻는다"고 하는 의미에서 '무염사'라고 불렸다고 한다. 제(齊)나라 왕과 왕후의 무덤도 부근에 있었다고 하니 과연 소문난 곳이렷다.


차단봉이 내린 무염사 입구.


무염사의 바위에 있는 감실,어느 관광객이 블로그에 남긴 사진이다.

 

  이런저런 아쉬움을 길가에 털어내기도 전에 우리가 탑승한 차량은 벌써 산을 내렸고 또 현성을 지나 위해시 해변의 옛 적산포로 달리고 있었다.

  '적산'은 석도(石島)의 바위가 적색을 나타낸다고 해서 지은 이름이라고 전한다. 이 지명은 일본 승려 엔닌(圓仁)의 기행문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의 기록에 아주 자세하게 기록된다. 엔닌은 또 이 기행문에서 적산에 사찰이 있으니 그 이름을 '적산 법화원'이라고 부른다고 적고 있다.

  적산포에 신라인들의 사찰이 설립된 건 당나라 문종(文宗, 827~840) 연간이었다. 그 무렵 신라인 장보고(張保皐, ~846) 출자하여 사찰을 세우는데, 천태종(天台宗)을 신봉했기 때문에 '법화원(法華院)'이라고 작명했다고 한다. 장보고는 통일신라 후기에 활약했던 무장이자 무역상이었다.

  법화원은 본국인 신라와 연락하는 거점이었으며 또 산동반도를 통하는 신라와 일본의 구법승들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했다. 승려 엔닌이 법화원에 들리고 여기에 8개월 동안이나 머물게 된 것도 이 같은 이유가 있었기 때문이다.

  잠깐, 민간 내왕에 대한 기록은 고대 문헌에서 아주 적게 출현한다. 옛 바닷길에 대한 상황은 상당 부분 승려들의 구법기록에 의거할 수밖에 없다. 아이러니하게도 적산포의 장보고에 대한 기록을 포함, 신라인의 대륙 생활에 대한 기록은 또 중국이나 한국보다 일본측 문헌에 적지 않게 남아있다.

  어찌됐거나 장보고와 적산의 남다른 인연 때문에 훗날 신라에는 2개의 '적산원(赤山院)'이 나타나며, 승려 엔닌도 귀국한 후 교토에 '적산선원(赤山禪院)'을 세우고 적산 명신(明神)을 만든다. 장보고로 추정되는 이 적산 명신은 현재 적산의 서쪽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좌정하여 현지인들과 신도들의 추앙을 받고 있다.

  적산 법화원은 당나라와 신라, 일본 교류 역사의 옛 바닷길을 견증하는 유적으로 되고 있는 것이다.

  법화원은 당나라 무종(武宗, 840~846)이 도교를 숭상하고 멸불(滅佛) 정책을 실행하던 시기에 훼손되었으며, 그로부터 천년 후인 1990년 옛터에서 새로운 '적산 법화원'으로 거듭났고 현지의 일대 명소로 되고 있다.

  법화원에 부랴부랴 도착했을 때는 서녘하늘이 벌써 노을로 붉게 물들고 있었다. 휑뎅그렁한 마당에는 인적이 드물었다. 매표구의 예쁘장한 도우미는 곧 폐관한다면서 인제 입장한들 별 의미가 없다고 말한다. 아닐세라, 사진촬영을 하면서 보려니 관리원들이 벌써 하나 둘씩 퇴장을 하고 있었다.


법화원의 폐관시간이 박두, 나오는 사람만 보인다.

  정작 이날 저녁의 식탁에 오른 화젯거리는 이게 아니었다. 하얀 접시에 담겨 '진상'된 파릇파릇한 상추가 겨울의 한기와 서운함을 함께 몰아내고 있었던 것이다. 상추는 고어(古語) 그대로 '부루'라고 하는데, 연변의 방언으로는 '불기'라고 부른다. 원산지가 지중해 연안과 서아시아라고 하는 상추는 일찍 고려에서 전래되었다고 청나라의 문헌 《천록지여(天祿識餘)》가 기록한다. 그때 고려에서 들여오는 상추(종자)가 너무 비싸서 '천금채(千金菜)'라고 불렸다는 것이다. 일부 학자들은 또 같은 내용을 기록한 조선시대의 역사서 《해동역사(海東歷史)》 등의 글귀를 빌어 이 고려가 실은 삼국 시대의 '고구려'의 약칭이라고 해석한다.


적산에 좌정한 명신, 성경산에 좌정한 도교의 창시자 노자를 방불케 한다.

  이러니저러니 상추 역시 가지처럼 먼저 서토(西土)에서 반도로 유입된 후 다시 대륙으로 전래했던 것이다. 다만 그때 그 시절 가지처럼 바닷길을 따라 왔는지 아니면 육로를 걸었는지를 정확하게 알 수 없을 뿐이다. 상추쌈은 우리말에 "복을 싸서 먹는다"고 일컫는다. 사실상 상추쌈에는 이처럼 천년이 넘는 '실크로드'의 천금 같은 역사가 담겨있다.

  그러고 보면 반도와 대륙을 잇던 옛 실크로드는 야채의 상긋한 내음을 타고 동화 속의 '왕자'처럼 하나의 전설을 전하고 있는 것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72
  • [서울신문 나우뉴스]폴란드와 페루, 콜롬비아 대학의 고고학자로 이루어진 국제 조사단이 칠레 북부 아타카마사막에서 150구의 미라를 발견했다. 특히 이들 미라는 잉카 문명은 물론 티와나쿠 문명(볼리비아 라파스 주에 있는 先 히스패닉 고대문명·AD 600~1100년)보다 거의 500년 앞선 알 수 없는 고대 문명에 속한...
  • 2014-07-07
  • [서울신문 나우뉴스]118년이라는 긴 시간동안 거의 부패되지 않고 완벽 보존된 채 발견된 샌드위치가 온라인에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영국 일간 익스프레스는 잉글랜드 랭커셔카운티의 한 교회 오르간 속에서 발견된 최고(最古) 샌드위치의 사연을 1일(현지시각) 소개했다. 샌드위치가 발견된 곳은 랭커셔카운티 번리 소재...
  • 2014-07-04
  • "지난 1941년 안후이성(安徽省) 차오현(巢县)에 위안소를 설치하고 20명의 중국•조선 부녀자를 유괴해 위안부로 삼았다", "일본 침략기간 최소 5천명이 넘는 중국인을 살해했다", "농민 235명을 죽이는 과정에서 임산부 배를 갈랐다", "안후이성의 한 가옥에 숨어 있던 항일군인 50명을 독가스로 죽였다"… 중국...
  • 2014-07-04
  • 중국은 집단자위권 추진 등 일본의 일련의 우경화 움직임에 맞서 제2차 세계대전 시기 일본 전범들이 작성한 “전쟁범죄 서면자백서” 45편을 인터넷에 공개하기로 했다. 중국 중앙당안국 리명화부관장은 기자회견에서 “일본전범의 중국침략죄행 서면자백서를 오늘부터 45일 동안 한편씩 홈페이지에 공개하...
  • 2014-07-03
  • "바닷물을 끌어들여 소금 생산 추정" [CBS노컷뉴스 안윤석 대기자] {IMG:2}평안남도 온천군에서 고구려시기의 소금 생산유적을 처음으로 조사발굴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일 보도했다. 통신은 "김일성종합대학 역사학부와 인류진화발전사연구실, 평안남도 온천군 원읍고급중학교 교원, 연구사, 학생들이 2012년 초부터 여러...
  • 2014-07-03
  • 6월 28일 저녁 8시 20분경 국보 명방루(皿方罍)의 몸체와 덮개 부분이 후난(湖南) 창사(長沙)에서 ‘일체’가 되었다. 이 명방루는 거의 100년간의 타향살이를 마치고 결국 조국의 품으로 돌아왔다.‘명천전방루(皿天全方罍)’는 상나라(商代) 말기 술그릇 용기로 전체 높이가 84.8센티미터, 몸체 부분...
  • 2014-07-01
  •   일본 “广辞苑”은 “위안부”에 대해 “군인들을 따라 전지부대에 가서 관병들을 위로했던 녀인”이라고 해석했다.   하지만 더 많은 학자들은 “위안부”에 대해 제2차세계대전시기 핍박에 의해 일본군인들에게 성복무를 했고 성노예로 살았던 부녀, 일본군인들...
  • 2014-06-30
  • 겸재 정선이 66세에 그린 ‘압구정’(31.0×20.0㎝). 압구정동·옥수동 일대의 18세기 모습이 담겼다(사진 왼쪽), 전시작 중 가장 오래된 ‘계미명금동삼존불입상’(6세기 중반, 국보 제72호·오른쪽). [사진 간송미술문화재단] 언제봐도 고혹적인 신윤복의 여인, ‘미인도&rsq...
  • 2014-06-30
  • 1951∼1953년 6·25전쟁 당시 한 육군 헌병이 쓴 6권의 일기 원본. 손바닥만 한 노트에 만년필, 볼펜, 연필 등 다양한 필기구로 꼼꼼히 써내려간 이 일기에는 전쟁을 치르는 군인이자 인간으로서 겪었던 고뇌가 가득했다. 신원건 기자 laputa@donga.com   “어두운 하늘엔 별빛이 떨고 있다. 내 넋 머무...
  • 2014-06-25
  • 지난 13일 쓰촨성(四川省)문물고고학연구원으로부터 접한 소식에 따르면 2013년 12월에 광위안시(廣元市) 자오화(昭化)고성에서 대평자(大坪子) 묘지가 발견되었으며, 연구 논증을 거쳐 이는 지금까지 쓰촨 지역에서 발굴된 가장 중요한 한대 묘지군(群) 중의 하나로 밝혀졌다. 이 토방목곽묘와 출토된 문물은 ‘진멸파...
  • 2014-06-17
  • “량세봉장군탄신 120주년, 순국 80주년 및 조문기교수 량세봉장군 항일투쟁사 연구성과 기념좌담회”가 6월 13일 오전, 심양시 “9.18사변”력사박물관 회의실에서 개최되였다. 이번 좌담회는 중앙인민방송국 조선어부, 료녕대학 동북아관계사연구중심, 료녕성동북항일련군및항전사연구회, 료녕동북아...
  • 2014-06-17
  • 영국 ‘데일리 메일’ 6월 5일 보도에 따르면, 미국 하버드대학 과학자는 하버드대 도서관에 19세기 소장책 한 권이 사람 피부로 장정됐다고 밝혔다. 이 책은 아젠느 우세(Arsène Houssaye)의 ‘영혼의 귀착점(Des destinees de l'ame)’으로, 주로 인간의 사후 영혼과 생명에 관한 고찰을 ...
  • 2014-06-10
  • [서울신문 나우뉴스]"일그러진 발이 보여주는 오랜 역사" 홍콩의 한 사진작가가 이제는 얼마 남지 않은 중국 전족 여성들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아 이를 공개했다. 전족은 과거 중국 여성들의 '미의 상징'이자 남성들의 성적 판타지를 충족시키는 중요한 조건이었다. 송나라 시기인 10세기에 처음 탄생한 이 전통은 ...
  • 2014-06-09
  • [서울신문 나우뉴스]현생 파충류의 조상인 익룡의 알 화석이 최초로 발견돼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중국 신장에서 발견한 이 화석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신종 익룡의 것으로 추정된다. 일명 'Hamipterus Tianshanensis'라 이름 붙여진 이 익룡은 지구상에 서식하던 척추동물 중 육지에서 하늘로 서식지를 ...
  • 2014-06-06
  • 중국의 목소리 ‘신문종횡(新聞縱橫)’에서는 역사문헌 기록에 근거해 일본군이 중국을 침략했던 당시에 규모가 있는 5개 세균부대 하얼빈(哈爾濱) 731부대, 창춘(長春) 제100부대, 난징(南京)의 룽쯔(榮字) 1644부대, 베이핑자쯔(北平甲字) 1855부대와 광저우(廣州)의 보쯔(波字) 8604부대에서 페스트, 콜레라, ...
  • 2014-06-06
  • 1983년부터 후베이(湖北)성 바오캉(保康)현은 징산(荊山)산맥과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지질검사를 30여 년간 진행해 온 결과 금옥(金玉), 징산 녹옥(荊山綠寶), 잔궈홍옥(戰國紅), 목문옥(木紋玉) 등 징산옥(荊山玉) 8종을 발굴해냈는데 그 중 진위는 역사문헌에 기록된 징산위의 특징과 일치한다. 전문가들의 감정을 통해 진...
  • 2014-06-05
  •   6월 2일, 일본 도꾜에서 “위안부”를 성원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중국, 일본, 한국, 필리핀 등 국가와 지구의 성원단체가 일본 도꾜에서 시위를 진행, 일본정부가 력사를 정시하고 ...
  • 2014-06-04
  •  일본군 중국침략 당시 북경천단세균부대시절의 모습이 담긴 사진재료들이 공개됐다.  이번에 공개된 사진은 총 165장으로 이미 대부분은 누렇게 빛이 바래져있었지만 사진화면속 인물의 표정이거나 복장들은 선명하게 보일 정도로 보존이 잘돼있었다고 한다.   시나넷
  • 2014-05-29
  • [서울신문 나우뉴스]스페인 까스떼욘 지역의 한 동굴에서 무려 7000년 전 인류가 그린 벽화가 발견돼 관심을 끌고있다. 최근 바르셀로나 대학 등 공동연구팀은 탐사 과정 중 한 작은 동굴에서 발견한 벽화의 모습을 공개했다. 약 6m 크기의 이 벽화는 당시의 사냥 모습을 그린 것으로 화살을 들고있는 인간과 안콜소로 불리...
  • 2014-05-27
  • 아이신줴뤄셴치가 26일 베이징에서 사망했다. 사진출처 텐센트. ©뉴스1   (서울=뉴스1) 정은지 기자 = 중국 청나라의 마지막 공주인 아이신줴뤄셴치가 26일(현지시간) 새벽 베이징의 한 병원에서 9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고 교도통신이 중일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그는 '마지막 황제' 푸이의 조카딸...
  • 2014-05-27
‹처음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