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로고
정강산 중대장 진룡학 발자취(2)
조글로미디어(ZOGLO) 2016년4월13일 09시51분    조회:2051
조글로 위챗(微信)전용 전화번호 15567604088을 귀하의 핸드폰에 저장하시면
조글로의 모든 뉴스와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고 친구들과 모멘트(朋友圈)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특별기고-겨레홍군 장정 발자취 따라(3)

■ 리 함

2013년 8월 27일 오전, 영신현성을 떠난 택시는 룡원구다리를 거쳐 계속 삼만개편 현지로 달린다. 삼만개편 현지를 이룬 삼만촌은 영신현서부의 구롱산 북쪽(九陇山北麓), 영신-정강산-련화(莲花)-호남 차릉(茶陵 )4개 현, 시의 교차지에 위치하고있었다. 현성과의 거리가 39키로메터일 때 룡원구진과의 거리는 더욱 가까워 큰길 따라 나아가는 택시로는 한식경이면 달릴수 있는 거리였다.

삼만촌은 룡원진과 정강산회사 지점인 룡시(龙市)사이에 위치하면서 큰길에서 내려 오른쪽으로 굽어드는 산간에 자리하고있었다. 삼만촌에 이르니 옛 삼만 전체가 홍색관광지로 꾸며져 삼만을 찾는이들을 맞이해주었다. 삼만에서 첫 발목을 잡은 유적지-관광지는 천지만엽을 자랑하며 소소리 솟아오른 세그루 거대한 옛 단풍나무라 하겠다.

삼만촌의 세그루 옛 단풍나무 유적지-풍수평(枫树坪), 모택동 반신 동상이 자리하고있다.

우산모양으로 펼쳐지는 세그루 옛 단풍나무 유적지를 “풍수평”(枫树坪)이라고 부른다.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된 단풍나무아래에는 모택동 반신동상이 자리하고 단풍나무 관광안내비에는 “1927년 10월 3일 이른 아침, 개편후의 부대는 여기에 모이여 모택동이 중요강화를 하고 행군기률을 선포, 다음 부대를 거느리고 정강산으로 진군.”이라고 소개되여있었다. 이는 또 황포생 진룡학도 단풍나무아래서 모택동의 중요강화를 들은 추수봉기 참가자중의 한 사람임을 알리고있었다.

세그루 옛 단풍나무 뒤산 언덕에는 붉은기를 떠인 삼만개편기념비가 안겨들었다. 좁은 평지를 이룬 풍수평 왼쪽은 “삼만개편기념관”이 일어서고 오른쪽 퇀부자리는 워낙 민국 초년에 지은 종씨종사-종가사(钟家祠)였는데 이들 종씨는 진씨(陈氏), 리씨 등 50여호로 이루어진 성씨중의 한갈래였다. 그러던 종가사를 추수봉기 부대가 거쳐간 자리라고 국민당부대가 1929년 8월에 불태워버렸다고 하니 지금 볼수 있는 옛집은 1967년에 지은 집으로서 집내부를 한창 정리하며 페인트칠을 하고있었다.

앞에서도 언급하다싶이 추수봉기 부대는 워낙 5000여명의 부대였다지만 영신현 삼만에 이르렀을 때는 1000명에도 이르지 못했다. 삼만개편을 거치면서 원래의 사는 한개 퇀으로 축소편성되고 퇀아래에 1영과 3영 두개 영을 두었다. 제1영은 1련, 2련, 3련 세개련, 제3영은 7련, 8련, 9련 세개련으로 무어졌다. 제1퇀은 또 산하에 특무련, 군관대, 위생대, 치중대(辎重队,즉 군수품대)를 더 설치하였다.

제1퇀을 다시 련으로 보면 군관대, 위생대, 치중대를 제외하고 특무련까지 모두 7개 련이다. 패로 말하면 21개 패라는 말이 되는데 진룡학은 이 21개 패가운데의 제1영 산하 제1련 1패로 나타난다. 지금으로 보아 패장이라 하면 급별이 낮아보이지만 그 시절 모택동의 로농혁명군 근 1000명중 퇀부 간부와 련부 간부 도합 29명이고 패장이 21명이라 할 때 이들 50명 장관들속에 끼이는 조선인 진룡학의 지위나 급별은 결코 낮다고 볼수가 없다.

2

삼만개편 시절의 진룡학은 바로 이같은 사람이다. 그런 사람이 제1퇀의 퇀부자리를 거니는것만 같다. 퇀부자리옆에는 삼만촌에 머무르는 5일 기간 전적위원회 서기 모택동이 혁명군장병들과 함께 우물을 수건하였다는 “홍쌍정”(红双井)이 보이는데 홍쌍정에서도 마을사람들과 함께 시원한 샘물을 마시는 진룡학이 보이는것만 같아 마음이 울렁인다.

삼만개편기념관, 오른쪽 뒤켠으로 삼만개편기념비가 보인다.

마음이 보다 울렁거림은 삼만개편 유적지 답사를 마친후 “삼만개편기념관”에서였다. 2층으로 이루어진 기념관은 1층이 삼만개편 진렬실과 영상청, 휴식실, 2층은 하자진과 영신출신 장군 전시, 문물창고, 사무실로 나타났다. 1층 진렬실의 한 구간에 이르러 발길이 멈추어졌다. 여기 구간 벽에는 “로농혁명군 제1군 제1사 제1퇀 조직기구표”와 “삼만개편에 참가한 황포생 명단”이 전시되여있는데 상상외로 황포생 18명 명단에서 진룡학의 이름이 열두번째에 밝혀져있었다. 그러니 마음이 울렁일수 밖에 없는가부다.

조선인 진룡학이 중국혁명에 합류하여 황포군관학교 제4기생이 되고 1927년 추수봉기에 참가하고 중국인민해방군 건군사의 리정표로 되는 저명한 “삼만개편”에 참가하였다는것은 정말 쉬운 일이 아니다. 위대한 추수봉기에도 우리 조선인이 참가하였다는 말이 되니 그 느낌은 모택동과 주덕의 회사지점으로 되는 정강산시 룡시진에 이르러 보다 깊어진다.

정강산시 룡시진은 영신현성에서 서남으로 60키로메터, 정강산중심지 차평에서 서북으로 50키로메터 되는 곳에 위치하고있다. 원래는 녕강현(宁冈县)의 소재지로 되는 룡시진이였는데 2000년 5월에 정강산시와 합병하면서 룡시진은 현급시-정강산시 소속으로 넘게 되였다. 비록 현들 가운데서도 그닥 크지 않은 현이지만 필경은 현소재지이고 진의 규모나 경제력이 월등하다보니 2004년에 전국 82개 중점진의 하나로 치솟고 10년후 2014년 7월에 재차 전국중점진으로 선정되면서 정강산 3대 도시 진 가운데의 하나로 떠올랐다.

이같은 모습에다 당년 정강산 북부 상감변계(湘赣边界)의 라소산맥 중부에 위치한데서 오늘의 룡시땅에는 중외에 이름난 회사교(会师桥), 회사광장(会师广场), 회사기념비와 회사기념관, 홍군교도대 옛터, 홍4군군부 옛터, 모택동-주덕-진의 등 류숙지, 정강산근거지렬사릉원 등등 홍색관광지들이 많기도 하다.

룡시진에서 처음 현지답사를 시작한 곳은 룡시진 룡강하(龙江河) 강반에 위치하여 룡강하를 가로지른 회사교와 회사광장이다. 회사교는 워낙 나무로 된 목교였다가 해방후 돌다리로 바뀌였다고 한다. 1928년 4월 28일, 주덕-진의가 이끄는 상남기의(湘南起义)부대와 하룡이 이끄는 남창봉기 부분 부대가 모택동이 이끄는 추수봉기 부대와 이곳 다리를 거치며 서로 만났고 회사승리로 들끓었다고 전해진다. 그들속에는 우리 겨레 진룡학도 있었다.

회사교곁에는 정강산회사기념비와 부지면적이 만 8000평방메터에 달하는 널다란 회사광장이 펼쳐져있었다. 회사광장을 일명 홍4군건군광장이라고도 부른다. 광장의 중심부에는 모택동과 주덕이 서로 손을 잡은 주모회사(朱毛会师) 립체동상이 일떠서 숙연한 기분속에 잠기게 한다. 그 숙연함속에서 여기가 당년 주덕-진의 부대와 모택동의 부대가 회사한 정강산회사자리라는 강한 느낌을 받아안게 된다.

3

주모회사(朱毛会师) 립체동상, 높이가 5.8메터이다.

관련자료에 따르면 1928년 5월 4일, 정강산근거지 군민 2만여명이 당년 룡강하반의 이곳에 모이여 주모부대 승리적 회사와 중국로농홍군 제4군 설립대회를 가졌다고 한다. 2008년 10월 7일 오후, 정강산시에서는 이곳에서 주모회사 80돐 기념대회와 신회사 광장락성식을 성대하게 가졌고 대형 주모립체동상이 그때 광장중심부에 모셔진것으로 알려진다. 주모립체동상은 무게가 5.4톤이고 높이가 5.8메터에 이르며 심양 로신미술학원 홍도(洪涛)교수가 설계, 제작하였다고 한다.

회사광장 부근 룡강로(龙江路) 북쪽구간에는 주모회사를 알리는 또 다른 하나의 회사원(会师园)이 있다. 회사원내에는 “정강산회사기념관”과 모택동-주덕 회견지-“룡강서원”(龙江书院) 등 기념건물들이 자리하여 다시 숙연한 기분에로 끌어간다.

룡강서원은 청 도광년간인 1840년에 지어진 옛 건물로서 상감변계 즉 강서, 호남 변계의 차릉(茶陵),령현(酃县), 녕강(宁冈) 3개 현의 유지인사들이 세운 당지 최고학부로 알려진다. 룡강서원 뒤면은 오호령으로, 앞면은 유유히 흐르는 룡강하라 지리풍수 또한 으뜸이다. 강남풍격의 서원은 당(堂)이요, 각(阁)이요, 재(斋)요 하는 9정(井) 18정(厅)으로 되여 각가지 칸이 100여칸, 현존하는 칸만 해도 40여칸으로 헤아려진다. 정강산에 진출한후 모택동은 룡강서원에 로농혁명군 제1기 군관교도대를 꾸리면서 소문이 났다. 1928년 4월 하순에는 모택동과 주덕의 두 부대 지도자들이 룡강서원의 문성각(文星阁)에서 친절한 회견을 가졌으니 룡강서원은 말그대로 “우리 군 군정학교의 요람”으로, “주모회사성지”로 널리 알려졌다.

모택동과 주덕의 회견지-룡강서원(龙江书院), “우리 군 군정학교의 요람”으로도 널리 알려졌다.

정강산시절 진룡학은 어떠했을가? 황포군관학교 4기생인 진룡학은 더 말치 않아도 제1기 군관교도대 교관으로 나섰을테고 모택동의 수하장관으로 활동하면서 룡강서원을 들락했을 것이다. 룡강서원 이모저모를 답사하면서 진룡학을 그리노라니 정강산 패장, 정강산 중대장으로 활약한 진룡학의 형상이 우렷이 떠오른다.

정강산시 룡시진을 계기로 8월 27일 현지답사는 순조로이 풀렸다. 영신현성, 룡원구, 삼만개편, 정강산회사 등지 답사는 반날밖에 걸리지 않았다. 택시가 아니면 여러날 걸려야 하는 현지답사를 마치니 가슴이 후련하다. 정강산시에 이어 류숙지는 정강산의 중심을 이루는 차평, 룡시진과 차평과의 거리는 50키로메터란다.

룡시진을 떠난 택시는 룡시와 차평 사이 늘찬 산길에 들어섰다. 라소산맥의 한 산령을 이룬 산길은 굽이굽이 돌며 산령으로 산령으로 치달아오른다. 지지리 늘찬 근 100리 산길은 한 구간에 이르러 왼쪽 산아래가 확 틔여온다. 망망림해가 눈앞에 펼쳐진다. 택시에서 내리니 어딜 보나 정강산의 특유한 대나무림으로 설레인다. 택시운전사는 차평으로 이어진 늘찬 산길에서 이 구간 대나무림이 최대가관이라며 황양계를 이룬 산령 정상부가 멀지 않다고 동을 단다.

4

택시는 미구하여 황양계 정상아래에 이른다. 다시 택시에서 내리니 정상아래 산과 산사이를 이룬 좁은 지대로 신작로가 빠지며 웅장한 “U”자를 이루어 그야말로 장관이다. 머리 들면 황양계 정상이 바로 눈앞이다. 300리 길을 달리며 여러곳을 거친 현지답사길 반나절 피로가 일시에 가뭇없이 사라진다.

황양계 현지답사는 래일의 몫, 택시는 잠간사이에 17키로메터 산길을 내렸다. 산길이 끝나는 곳은 정강산의 중심지 차평. 차평은 해발이 800메터가 넘는 산우 산속의 도시라 그지없이 아름다웠다. 도시 중심부에는 무릉도원인가 아름다운 호수-읍취호(挹翠湖)가 펼쳐지고 모든 건물들은 수림속에 일어서 이채를 풍기고있었다. 황홀경이 펼쳐지고있었다.

정강산 중심지 차평에 펼쳐진 아름다운 호수ㅡ읍취호(挹翠湖)

관련자료를 들추니 마음의 의혹이 와르르 풀렸다. 라소산맥의 중부에 위치한 차평은 워낙 정강산시의 소재지였다. 력사를 헤아리면 1950년에 정강산특별구가 설립되고 1959년에 성에 귀속되는 정강산관리국이 설립되였었다. 1981년에 관리국을 철소하고 현을 설립했다가 3년후 1984년에는 시로 탈바꿈한다. 그러다가 2000년 5월에 이르러 원 정강산시와 원 녕강현이 합병하여 새로운 정강산시를 이룬다. 2005년 4월이후 새로운 정강산 시위와 시정부 그리고 행정부문들이 새 구역인 산아래 하평(厦坪)진으로 옮겨가면서 대부분 사무청사들은 접대장소로 변하고 호텔, 려관, 판점 등 관광시설들이 보다 구전해졌다.

정강산 시위와 시정부가 옮겨가자 이해 2005년 7월에 정강산관리국이 고고성을 터치였다. 정강산관리국은 지구급시인 길안시위와 시정부의 파출기구로서 급별이 현급시 정강산시를 초월하는 부청급으로 부상하고 관리국의 기관들이 차평을 소재지로 하였다. 차평은 말그대로 정강산의 중심을 이루는 국가급 풍경명승지로 거듭났다. 그러니 차평은 보다 아름답고 보다 발전한 황홀경을 이룬다. 이같은 산우 산속의 차평에 조선인 진룡학이 겨레의 첫발을 들여놓았으니 감개가 무량하기만 하다.

그런 진룡학을 “정강산혁명박물관”에서 찾을순 없을가? 무릉도원을 방불케 하는 그림같은 호수가의 한 음식점에서 늦은 점심을 치르고 곧추 찾은 곳은 산과 호수사이에 앉은, 정강산의 웅장함을 그대로 비껴담은 “정강산혁명박물관”. 그러나 정강산혁명박물관의 구석구석에서도 진룡학의 흔적을 찾아볼수가 없었다. 모택동을 따라 정강산에 오른, 정강산투쟁에 나선 그 시절 유일한 외국인인데 진룡학은 어디에서도 나타나주질 않는다.

차평은 정강산혁명유적지가 가장 집중된 곳으로 알려진다. 1927년 10월 하순, 모택동이 이끄는 추수봉기부대가 정강산 차평에 이르면서 첫 농촌혁명근거지가 건립되였다. 근거지에는 상감변계 당 전적위원회, 특위 상감변계로농병정부, 방무위원회, 중국로농혁명군 제4군군부, 군관교도대, 군계처 등 근거지 당, 정, 군의 지도기관과 후방기관들이 자리하면서 명실공히 정강산혁명근거지의 중심으로 떠올랐다.

이같은 차평이다보니 차평의 혁명유적지 군체와 차평 모택동의 옛집은 읍취호너머 동산자락에 자리하고있었다. 동산자락에서 멀지 않은 곳 산중턱에는 정강산혁명렬사릉원이 있어 차평 전경을 한눈에 굽어볼수 있었다. 정강산투쟁시기 4.8만에 달하는 혁명지사들이 희생되였다고 하는데 그중 만 5744명의 렬사들이 명부가 렬사릉원내 추모대청에 새겨져있었다.

유감스럽게도 그 어디에서도 진룡학의 이름 세글자를 보아내지 못했다. 혹여 무명렬사로 3만여명 무명렬사들속에 섞였을가, 아니면 정강산 희생자가 아니여서 정강산 렬사명부에 속하지 못하였을가? 정강산 중대장 진룡학의 발자취를 따라 정강산 현지답사길에 오른 필자로는 마음이 서운하기만 하다.

길림신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72
  •         조선반도의 삼국승려와 대륙고찰 이야기       (흑룡강신문=하얼빈) 옛날 옛적의 이야기이다. 해상 교통로를 따라 산동(山東)반도에 상륙한 신라인들은 다시 육상 교통로를 따라 내륙으로 향했다. 바닷가부터 두발로 날마다 백 리 지어 몇백 리를 이어지는 여로에서...
  • 2016-05-10
  •       (흑룡강신문=하얼빈) 정강산(井岡山)의 이름은 강서성 서남부의 산골마을에서 시작된다. 시초에는 마을 주변에 산이 둘린 지세가 우물을 방불케 하고 또 마을에 강이 흐른다고 해서 우물과 강을 합쳐 '정강산촌(井江山村)'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그런데 현지인들의 발음에서 물 이름 '강...
  • 2016-04-25
  • 1999년 교수 집서 강탈한 문화재 강도·장물취득 시효 만료됐지만 은닉죄는 경매 출품때 시효 시작   1999년 1월 25일, 대전의 한 대학 한문학 교수 조모씨의 집에 30대로 추정되는 괴한 둘이 들이닥쳤다. 이들은 문화재 13점을 훔쳐 달아났다. 도난품 중에는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기이(紀異)편 1책(한 ...
  • 2016-04-22
  •      조선반도의 삼국승려와 대륙고찰 이야기         (흑룡강신문=하얼빈) 서호(西湖)의 기슭에 이른 후 제일 먼저 만난 건 실은 시인이었다. 호수를 다리처럼 가로타고 남북으로 길게 누운 언제, 그 언제 어귀에 시인 소식(蘇軾)의 조각상이 그 무슨 표지석처럼 우두커니 서있었다. ...
  • 2016-04-21
  • 특별기고-겨레홍군 장정 발자취 따라(3) ■ 리 함 2013년 8월 27일 오전, 영신현성을 떠난 택시는 룡원구다리를 거쳐 계속 삼만개편 현지로 달린다. 삼만개편 현지를 이룬 삼만촌은 영신현서부의 구롱산 북쪽(九陇山北麓), 영신-정강산-련화(莲花)-호남 차릉(茶陵 )4개 현, 시의 교차지에 위치하고있었다. 현성과의 거리가...
  • 2016-04-13
  •        조선반도의 삼국승려와 대륙고찰 이야기         (흑룡강신문=하얼빈) 산에는 '나무꾼과 선녀'의 설화가 있다. 옛날 옛적에 나무꾼이 사슴의 보은으로 선녀와 부부를 맺게 되었다고 하는 천상 연분의 이야기이다.   그러나 보타산(普陀山)의 산길에는 나무꾼이 ...
  • 2016-03-17
  • (사진설명: 젊은 시절의 전병균) (사진설명: 황포군관학교 옛터) 1926년, 중국에는 대륙을 돌풍처럼 휩쓴 전쟁이 일어난다. 광동의 국민정부가 국민혁명군을 주력으로 삼아 진행한 통일전쟁이었다. 훗날 이 전쟁은 일명 '북벌(北伐) 전쟁'으로 사책의 한 페이지를 기록한다. 북벌전쟁에는 여타의 전사(戰史)처럼 많...
  • 2016-03-12
  • (흑룡강신문=하얼빈) 솔직히 행선지에 가면서 제일 먼저 눈앞에 떠올린 건 원숭이였다. 자칫 '붉은 원숭이의 해' 즉 2016년 병신년(丙申年)에 시작한 첫 답사 때문이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행선지에는 삼척동자도 다 알고 있는 손오공(孫悟空)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었다. 손오공은 신괴(神怪) 소설 《서유기(西...
  • 2016-03-04
  •        조선반도의 삼국승려와 대륙고찰 이야기        (흑룡강신문=하얼빈) 솔직히 뭔가 빗나가는 것 같다. 산이 아니라 식탁에서 시작되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야채 가지(茄子)를 경상도에서 궁중에 진상하였다는 내용은 《춘관통고(春官通考)》(1788) 등 문헌에 기록되어 있...
  • 2016-02-18
  • 실무 주역 서학동 市 부국장 "일본의 '安=테러리스트' 주장, 역사적 자료로 누르고 싶었어요"    안중근기념관 설립을 주도한 조선족 3세인 서학동 하얼빈시 문화국 부국장이 안중근 의사 초상화 앞에서 기념관 내부를 설명하고 있다. /손진석 기자 1909년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저격...
  • 2016-01-27
  •   (흑룡강신문=하얼빈) 윤운걸 길림성 특파원=연길시에서 국내외 예술단체들이 공연할때면 어김없이 '연변예술극장'(후에 로동자문화궁으로 개칭,이하 극장으로 약칭)을 리용한다. 그런데 이 극장터가 바로 일제시기에 악명높았던 연길감옥옛터라는것을 기억하고 있는 사람이 많지 않다.   이 극장 남쪽에는 &...
  • 2016-01-22
  • 중국에서 활동한 항일투사들의 유적 답사기 '역사를 따라 걷다' 2권을 발간한 독립기념관 김주용 선임연구위원. 김주용(46) 독립기념관 선임연구위원이 중국 일대 답사를 통해 발굴한 무명 독립운동가의 활동상과 유적지를 소개한 ‘역사를 따라 걷다’2권을 18일 출간했다. 일제강점기 해외독립운동사 ...
  • 2016-01-19
  • 항저우임정청사 0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11기 독립정신답사단이 21일 중국 항저우(杭州)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항저우 청사를 둘러보고 있다. / 사진 = 손지은 기자 @sson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11기 독립정신답사단] 중국 내 임시정부 초기 발자취 찾아나선 2400km의 대장정 상하이-자싱-항저우-난징까지 이...
  • 2015-12-30
  • 최고 지도부 참석, 대일 메시지 전달 예정 (난징=연합뉴스) 정주호 특파원 = 중국이 78년 전 중국 난징(南京)대학살 희생자를 기리는 국가 차원의 추모행사를 올해 두 번째로 거행한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처음으로 제정된 난징대학살 희생자 국가추모일을 맞아 13일 대학살의 현장인 장쑤(江蘇)성 난징 시내 '난징대...
  • 2015-12-13
  • 국정교과서에 당시 열악한 경제 상황도 설명 교육부, 편찬기준 새누리 보고 정부와 새누리당은 2017년부터 중·고교에서 쓰일 국정 역사 교과서에 ‘5·16 군사정변’이란 용어를 현행처럼 사용하되 당시 경제 상황이 좋지 않았다는 부분을 함께 서술하기로 했다. 또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등 ...
  • 2015-12-11
  • 지난 11월 10일, 서울시 영등포구청에서 공무원들을 상대로 조선족이해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재한중국동포사회문제연구소 김정룡소장.   재한중국동포사회문제연구소 김정룡소장   (흑룡강신문=하얼빈)나춘봉 서울특파원= “조선족들은 죽기살기로 항일에 나섰다. 그래서 연변에 가면 ‘산마다 진달래요. 마...
  • 2015-12-07
  • (서울=연합뉴스) 이영재 기자 = 국가보훈처는 일제강점기 만주와 중국에서 항일 독립운동을 한 애국지사 우당 이회영 선생의 83주기 추모식이 오는 17일 오후 2시 서울 상동교회에서 열린다고 15일 밝혔다. 우당 이회영 선생 기념사업회 주관으로 열리는 이번 추모식에는 이경근 서울보훈지방청장을 비롯한 200여 명이 참석...
  • 2015-11-16
  • 홍범도 장군 항일투쟁사 새롭게 조명…국제적 평가 위한 자리로 마련 “홍범도 장군이 지휘한 봉오동전투와 청산리대첩은 중국 조선민족사에 휘황찬란한 한 페이지를 기록했을 뿐만 아니라 동북지역의 반일 무장투쟁에도 빛나는 한 페이지를 남겼다.” (사)여천홍범도장군기념사업회(이사장 이종찬)가 지난...
  • 2015-10-27
  • 민족출판사 조선어 편집실과 중앙인민방송국 조선어부가 공동 주최한 《중국조선족 항일지사 100인》 항전승리 70주년 기념도서 발간식이 2015년10월23일 오후 북경 민족출판사에서 열렸다. 발간식은 중국인민해방군 공군 리광남대좌, 중앙민족대학 강기주교수, 민족출판사 조선어 편집실 박문봉주임, 중앙인민방송국 조선...
  • 2015-10-26
  • [하얼빈 민족운동사학회 학술회의] 中동북지역 항일 투쟁을 주제로 "일본 제국주의가 중국을 침략했을 때 재중(在中) 한인(韓人) 2만1000명이 항일투쟁에 참가했고, 그중 상당수가 목숨을 잃었다. 이들은 한국의 독립과 민족해방을 위해 싸우는 동시에 중국에서 일본을 몰아내기 위해 투쟁했다." 1909년 안중근 의사가 하얼...
  • 2015-10-26
‹처음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