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 서울 구로구 가리봉동에 가면 거리를 빼곡히 채운 중국어 간판 가운데 '북경전화국'(北京電話局)이란 큼지막한 다섯 글자가 한눈에 들어온다.
겉으로는 평범한 휴대폰 매장이지만 알고 보면 중국동포(조선족)들이 수시로 찾아와 정보를 얻어가는 '사랑방' 같은 곳이다.
올해로 10년째 매장을 운영 중인 김애란(45) 대표는 지난 23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처음에 막무가내로 휴대폰 사업에 뛰어들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인생을 바꾼 도전이었던 것 같다"고 당시를 회고했다.
중국 훈춘 출신인 그는 1999년 한국에 와 한국인 남편과 가정을 꾸렸고, 그때까지 부업으로 식당이나 식료품점에서 일해본 게 전부였다.
예상은 적중했다. 가리봉동에 정착하는 중국 동포가 폭발적으로 늘기 시작했고, 이들에겐 휴대폰이 필수품이 될 것이란 김 대표의 '촉'이 정확히 맞아떨어졌다. '북경전화국에 가면 여사장이 있는데, 중국 동포라서 말이 잘 통한다'는 입소문이 빠르게 퍼졌다.
마케팅도 확 바꿨다. 이전 한국인 사장과는 다르게 경품 증정, 무료 배송 등 파격적인 서비스를 도입하면서 단골손님이 늘었다. 하지만 그만큼 위험 부담도 컸다.
"낯선 땅에 온 중국 동포들이 가장 먼저 하는 게 휴대폰 개통이거든요. 외국인 등록증이 없거나, 여윳돈이 부족한데도 무턱대고 매장으로 찾아오는 사람들도 많았죠. 휴대폰 개통까지 걸리는 시간이 1인당 2∼3시간이 될 때도 있어요. 제 사비를 보태줬다가 돌려받지 못한 돈도 꽤 되고요.(웃음) 그래도 어렵사리 휴대폰을 개통하자마자 중국으로 전화해 가족들과 통화하는 모습을 보면 뿌듯한 마음이 크죠."
김 대표는 여세를 몰아 신규 시장 공략에도 박차를 가했다. '조선족 1번지'인 대림동에 진출해 4개 매장을 연 것을 포함해 한때 10호점까지 늘렸다가 지금은 6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북경전화국'으로 주식회사를 설립해 대표이사에 올랐고, 신규 가입을 포함해 연간 1만 명 정도의 고객을 유지하고 있다.
김 대표는 "아직도 만나지 못한 중국 동포들이 99%나 남아 있다"며 일 욕심을 거두지 않는다. 특히 한국에 정착해 3대가 모여 사는 조선족 가정이 급증하면서 60대를 겨냥한 '효도폰', 자녀를 위한 '알뜰폰' 등으로 틈새시장을 발굴 중이다.
성공 비결을 묻자 의외의 대답이 돌아왔다. "매출 목표를 최대한 낮게 잡았다"는 것.
"목표를 지나치게 높게 잡으면 돈을 얻는 대신 사람을 잃는다고 봐요. 고객이나 직원들과 더불어 사는 게 좋지 않을까요? 당장 눈앞의 이익을 많이 남기기보단 '내 몫으로 월급을 타간다'는 마음가짐을 가지려고 노력하죠. 사장인 제 입장에서도 심리적 부담이 덜하고 스트레스도 적어서 좋더라고요."
북경전화국 한쪽에는 김 대표가 받은 상패가 나란히 놓여있다. '판매왕'으로 받은 'LG 유플러스 우수판매점' 트로피부터 국제언론인클럽(GJCNEWS)이 수여한 '글로벌 기부문화 공헌' 대상 표창장까지 분야도 다양하다.
실제로 그는 남편 차재봉(56) 씨와 함께 중국 동포의 국내 정착을 돕는 일에도 힘쓰고 있다. 2014년 400여 만 원을 기부해 대림동에 외국인자율방범연합회 초소를 지었고, '북경전화국배 장기대회' 등도 개최하고 있다.
김 대표에게는 올겨울이 유독 설렌다. 중국 동포뿐만 아니라 어려운 처지의 한국인 이웃을 돕는 일을 시작한 것이 올해로 2년째를 맞았기 때문이다.
그는 "2015년부터 영등포구청의 '푸드마켓'을 통해 저소득층 주민을 위한 식료품 나눔에 동참하고 있다"면서 "식료품이 전달되는 매년 12월이 되면 따스한 겨울을 만드는 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됐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북경전화국이 1년 중 문을 닫는 날은 설과 추석 이틀뿐이라고 한다. 크리스마스가 이틀 앞으로 다가왔지만 김 대표는 "오히려 통화량이 늘어나 바쁠 것 같다"며 담담해 했다. 인터뷰를 마치고 대림역으로 돌아오는 길목에서 구세군의 종소리가 들려왔다.
파일 [ 1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