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로고
[재한조선족 성공시대] (32) 이림빈 신강양꼬치 대표
조글로미디어(ZOGLO) 2017년1월23일 09시53분    조회:15307
조글로 위챗(微信)전용 전화번호 15567604088을 귀하의 핸드폰에 저장하시면
조글로의 모든 뉴스와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고 친구들과 모멘트(朋友圈)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인물이름 : 이림빈
인터뷰하는 이림빈 신강양꼬치 대표
인터뷰하는 이림빈 신강양꼬치 대표(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 조선족 출신 사업가인 이림빈 신강양꼬치 대표(47)가 23일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신강양꼬치 선릉역점에서 연합뉴스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17.1.23 newglass@yna.co.kr
 
흑룡강성 교사 출신, 한국온 지 사흘 만에 공장서 오른손 잃는 불운
노숙자 거쳐 식당업 시작…마포·강남 진출하며 '코리안 드림' 이뤄
"한국은 빠르게 변화하는 기회의 땅…동포청년들 과감하게 도전하길"

(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 27살 중국동포(조선족) 청년의 '코리안 드림'은 한순간에 산산이 깨지는 듯했다.

경기도 안산의 한 공장에서 일하다 차디찬 기계에 눌려 오른손을 잃었다. 교사직을 뒤로하고 한국으로 건너온 지 불과 사흘 만에 일어난 끔찍한 사고였다.

하지만 청년에게 시련은 새로운 시작의 출발점이었다. 절망과 원망이 뒤섞인 암흑기를 견뎌내고 결국 왼손 하나로 다시 일어섰다. 20년이 흐른 지금은 서울 곳곳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사업가로 거듭났다.

그는 지난 20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지금이야 웃으며 얘기할 수 있지만 지나온 길을 돌아보면 고난의 연속이었다"면서 "이제 와 되짚어보니 오히려 힘든 시절을 겪으면서 삶의 새로운 돌파구를 찾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중국 흑룡강성 출신인 그는 길림사범대를 나와 교사로 일했다. 빠듯한 살림살이 탓에 해외 이민을 고민하던 중 "그래도 한국에 가면 언어가 통하고, 기회가 많이 생긴다"는 소문에 1997년 한국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처음으로 밟은 한국 땅은 너무나 가혹했다. 경기도 안산의 공장에서 일한 지 사흘 만에 프레스 기계에 오른손을 잃으면서 그의 삶은 나락으로 곤두박질쳤다.

"한마디로 제정신이 아니었죠. 병원에 누워있는데 만사가 귀찮고, 원망스럽고…. 옆 침대 환자가 저하고 비슷한 부상을 당했는데, 하루는 창문 밖으로 뛰어내리려고 하더라고요. 남의 일 같지 않았죠. 그나마 가족을 떠올리며 가까스로 버텼습니다. 결국 몇 달 만에 한 손을 잃은 채로 중국으로 돌아가야 했죠."

이 대표가 다시 한국으로 온 건 3년 뒤인 2000년이다. 주변의 도움으로 병원에 다니며 다친 손목을 2차로 치료했다. 그제야 막연하게나마 "한국에서 살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오른손이 의수(義手)인 중국 동포에겐 작은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았다.

"당시엔 중국 동포들이 공사장 막노동이나 목수 일을 많이 했거든요. 그마저도 제겐 불가능한 일이었죠. 하다못해 전단을 돌리는 일도 어렵더라고요. 당장 잠잘 곳이 없어서 노숙자 생활도 했습니다. 그래도 일자리 찾는 걸 멈추지 않았어요. 나쁘게 말하면 무식했고, 좋게 말하면 용감했죠."

간신히 붙잡은 기회가 인생 역전의 발판이 된 것은 오로지 땀방울 덕택이었다. 2000년 금천구 독산동에서 10평짜리 식당에 테이블 4개를 놓고 '아침 10시에 출근해 밤새 장사를 하고 다음 날 아침 8시에 퇴근하는' 치열한 나날들을 보냈다.

인터뷰하는 이림빈 신강양꼬치 대표(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 조선족 출신 사업가인 이림빈 신강양꼬치 대표(47)가 23일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신강양꼬치 선릉역점에서 연합뉴스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17.1.23 newglass@yna.co.kr

"식당은 비좁았지만 목표는 크게 갖자는 생각에 가게 간판을 '동북아 식당'으로 달았죠. 낮에는 중국 요리를 팔고, 밤에는 술과 안주를 내놨어요. 손님이 단 한 명 뿐이라도 절대 문을 닫지 않았습니다. 그러다 보니 빚도 갚고, 밥벌이도 되고…. 무엇보다 경험이 쌓이더라고요. 그때 배운 노하우가 지금까지도 제겐 가장 소중한 자산이죠."

사업을 점차 확장해가다가 2007년 지금의 '신강 양꼬치'를 차렸다. 주 고객층인 중국동포를 따라 대림동에 터를 잡은 것이 주효했고, 2년 후엔 근처에 중국식 샤부샤부 가게도 열었다.

중국동포를 대표하는 청년 사업가로서 한국 사회와의 접점을 넓히는 데도 앞장섰다. 2008년 '중국동포한마음협회'를 출범시키고 초대 회장을 맡아 영등포구 자율 방범대, 이웃돕기 바자회, 요양원 봉사단 등을 이끌었다.

그런 와중에도 마음 속에서는 여전히 승부 근성이 꿈틀댔다. 고심 끝에 조선족 밀집지를 벗어나 서울을 대표하는 '맛집 1번지'인 마포에 '신강 양꼬치' 2호점을 냈다. 2012년의 일이다.

"중국 동포는 70만 명이고, 한국인은 4천만 명이잖아요? 그럼 한국인 입맛을 겨냥해 큰물로 나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죠. 막상 처음 1년은 고생 좀 했어요. 대림동과 마포는 손님들 입맛이 확연히 달랐거든요. 주기적으로 조리법이나 밑반찬 구성을 바꿨더니 넥타이족 단골손님도 생겼고, 가게도 자리를 잡았습니다."

주변에서 충분히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 지금도 그의 승부는 멈추지 않는다. 지난해에 강남구 테헤란로 한복판에 '신강 양꼬치' 선릉역점을 차리고 비즈니스맨의 입맛 공략에 나선 것이다.

물론 모든 것이 자신의 뜻대로 풀리는 것만은 아니다. 동료들과 함께 야심차게 뛰어든 프렌차이즈 사업은 여러가지 상황을 감안해 일단 잠정 보류하고 있다.

한국에 온 것을 후회한 적은 없었는지 묻자 "큰 고생을 겪었지만 오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고 '쿨'하게 답했다.

"한국은 변화 속도가 빠른 만큼 기회가 많은 시장이라고 생각해요. 상권도, 소비자 취향도, 유동 인구 흐름도 시시각각 달라지죠. 요즘은 해외에서 'K-뷰티'가 뜨고 있잖아요? 중국 동포는 이중언어를 구사할 수 있어 화장품 무역업 등에서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죠. 대학생인 첫째 딸에게 입버릇처럼 말해요. 어떤 일이든 과감히 도전하라고. 중국 동포 청년들에게도 마찬가지 당부를 전하고 싶습니다."

이 대표는 인터뷰를 마치면서 두 손을 내밀어 인사를 건넸다. 그의 두 손은 똑같이 따스했다.

파일 [ 1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624
  • 4일 서울 서초구 외교센터 회의실에서 주철기 신임 재외동포재단 이사장이 취임사를 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강성철 기자 = 주철기 신임 재외동포재단 이사장은 4일 "글로벌한민족네트워크를 통해 동포사회가 동북아의 안정과 평화통일에 기여하도록 재단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주 이사장은 이날 오전 서울 서초...
  • 2016-07-06
  • (흑룡강신문=하얼빈) 박해연 리수봉 기자 = 불혹을 훌쩍 넘긴 나이에도 링에서 맹활약하고 있는 강룡운(48)씨는 자신보다 훨씬 어린 선수들을 상대로 연속 항복시키거나 KO를 이어가면서 최근 중국 종합격투기 무대의 역사를 새롭게 써가고 있다.   지난 5월 21일 저녁, 하얼빈에서 열린 국제급 종합격투기 대회'Supe...
  • 2016-07-06
  •   밀산시조선족소학교 김계순교사   (흑룡강신문=하얼빈) 류대식 기자= 모진 설한풍을 억세게 이겨내며 봄마다 산야에 화사한 꽃을 만개하는 흥개호반의 진달래처럼 하나하나의 역경을 억척스레 헤쳐나가며 29년간 교단을 굳건히 지켜온 훌륭한 교원이 있다. 바로 흥개호반에 자리잡고있는 밀산시조선족소학교(교...
  • 2016-07-01
  • 직영점 6개, 가맹점 15개 '미각' 대표…직영점만 연 매출 60억원 "현지화 메뉴로 한국인 입맛 공략 성공, 3년 내 200호점 낼 것" 한중창업경영협회 회장…창업 노하우·경험 전수하며 '성공 나눔' (서울=연합뉴스) 강성철 기자 = TV 예능프로에 출연한 배우가 "양꼬치엔 칭따오"라고 한...
  • 2016-06-27
  •    꿈이 있는 사람들    90년대 중반 봉제공장 관리자로 사이판에 정착    실패를 이겨내고 다시 일어나 홀로서기에 성공   (흑룡강신문=하얼빈) 윤운걸 길림성특파원=사이판에서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는 한 조선족 녀성기업가인 “록색생명”회사 김옥희사장을 만난 것은 5월2...
  • 2016-06-20
  • 베이징대·도쿄대서 학위받고 2011년 서울대 교수 임용된 '빈농의 아들' "조선족 3세, 한민족 DNA·중국인 기질 겸비…각계에서 눈부신 성취" "한국, 제국의 경험 없다…조선족과 공존은 다문화·글로벌국가 디딤돌" (서울=연합뉴스) 이희용 기자 = 서울대 법학관 연구실에서 연합뉴...
  • 2016-06-20
  • 원문 제목 “全能记者”马宪杰 他是一位朝鲜族监狱警察,能够说一口流利的朝鲜语。他还是监狱里的宣传干事,从警多年,笔和相机从未离身,如今已经是监狱里的“全能记者”。他就是抚顺第二监狱宣传科干事马宪杰。   受影响爱上写作   马宪杰是一名监狱警察,30多年来,始终坚持新闻写作与摄...
  • 2016-06-06
  • 직원들로부터 배송정황을 회보받고있는 허철호.   물류업에 인생을 건 사나이 청도-연길 물류하게 되면 떠오르는 사람이 있다. 바로 물류업에 종사한 20년래 곁눈 한번 팔지 않고 물류업에 인생을 건 사나이 허철호( 69)이다. 고향이 연길인 허철호는 1995년 학교졸업후 어머니가 마련해준 단돈 3천원으로 상점을 차렸...
  • 2016-06-05
  • 국가 1급 작곡가 김창근(54세)의 35년 음악생애를 회고하는 작품음악회 “사랑의 고개”가 지난 5월 27일 연변라지오텔레비죤방송국 공개홀에서 열렸다. 연변라지오텔레비죤방송국의 주최로 진행된 이번 음악회는 지금까지 김창근작곡가가 창작한 천여수의 작품들가운데서 15수를 엄선하여 무대에 올렸으며 그중...
  • 2016-06-04
  •      하얼빈의과대학부속 제4병원 호흡과 김수덕 주임            (흑룡강신문=하얼빈) 이수봉 기자=하얼빈의과대학부속 제4병원 호흡과 김수덕(여,50) 주임은 호흡과학과 선두주자로서 호흡계통 신기술개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김수덕 의사는 1989년 하얼빈...
  • 2016-05-31
‹처음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