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로고
이제 우리 모두가 조선족입니다
조글로미디어(ZOGLO) 2015년12월2일 10시14분    조회:3706
조글로 위챗(微信)전용 전화번호 15567604088을 귀하의 핸드폰에 저장하시면
조글로의 모든 뉴스와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고 친구들과 모멘트(朋友圈)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 박동찬/동포문학3호 시부문 대상 수상자, 연세대학교 학생, 동포모니터랑단 단원
















[서울=동북아신문]

조선족 부모에게서 태어나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조선족 학교를 떠난 적 없었던 저는, 그야말로 전형적인 조선족입니다. 신분을 확인하는 증명들에는 늘 ‘조선족’이라는 석 자가 따라다녔고 삶 자체가 ‘주’가 아닌 ‘객’이 되는 것에 더 익숙했습니다. ‘조선족’은 저를 구속하는 하나의 울타리처럼 느껴졌고 뛰쳐나가고 싶은 충동, 모르게 밀려오는 소외감도 없지 않아 있었습니다. 그래서 지난 20년간 저의 삶은 ‘너는 조선족이다’였습니다. 하지만 오늘 저의 이야기는 ‘나는 조선족이다’로부터 시작하고자 합니다.

제가 조선족의 손을 맞잡았던 것은 우리 문학에 남다른 흥미를 느낀 때로부터 시작됩니다. 수업 시간에 문학 작품을 훔쳐보았고 시험지 뒷면에 시를 적었던 고등학교 시절이 눈에 선합니다. 문학 동아리를 시작으로 심양조선족청년문학회를 만들었고 여세를 몰아 장춘조선족청년문학협회, 훈춘조선족청년문학회 결성도 최선을 다해 지원했습니다. 그리고 우리말이 너무 좋은 나머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했습니다.

저는 문학을 통하여 조선족을 다시 찾았습니다. 이 모든 과정 속에서 제가 느낀 것은 하나입니다. 조선족이란 막연한 것이 아니라 은연중에 우리와 한 몸이 되었다는 사실입니다. 김치 없는 밥상이 허전하고, 우리말이 아닌 대화는 무미건조하다 느껴집니다. 사투리 모음을 읽으면서 박장대소하고, 연변축구의 승승장구에 열광합니다. 고향 소식을 틈틈이 체크하고, 고향 사진 몇 장에 향수에 젖어버리는 우리였다는 것입니다.

우리 조선족에게는 역사에 길이 남을 항일 명장, 중앙정치에 진출한 거목, 명문대에서 교편 잡은 교수, 민족사업을 후원하는 기업가, 문화를 선도하는 예술인들을 비롯한 수많은 걸출한 리더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민족의 훌륭함은 단지 그분들 때문만은 아닙니다. 명문대학교에 입학한 대학생들이 있고, 대도시에 진출한 젊은 화이트칼라들이 있습니다. 유망 직업을 포기하고 조선족 학교에 뛰어든 청년교사들이 있고, 우리 민족 알리기에 힘쓰는 청년기자들이 있습니다. ‘코리안 드림’을 안고 한국에 정착한 청년들이 있고, 나라 사이의 가교가 되어주는 차세대 무역인들이 있으며, 조선족 학교에서 꿈을 다지는 청소년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문학도로 살고 있는 저도 있습니다. 바로 이들 모두가 조선족의 미래, 조선족의 가능성입니다.

미래가 찾을 수 있는 조선족 사회를 만듭시다.

지난 시간 동안 조선족은 우리 문화의 불모지에서 우리의 것을 지켜내고 빛을 발하도록 하였습니다. 한국, 대도시 진출을 통하여 물질적 부를 축적했습니다. 이 모든 것은 바로 기성세대의 결단과 희생으로 가능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늘 감사의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기득권을 두고 서로 다투는 사이에 정작 우리가 세워야 할 청년들은 조선족 사회 밖으로 쫓겨나고 있습니다.

기성세대가 자랑스러운 조선족이라는 큰 기와집을 지었다면 이제는 그 기와지붕 아래 둥지 틀려는 새들을 반겨야 합니다. 청년세대가 발붙이고 정 줄 수 있는 조선족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제 저는 과감히 조선족의 세대교체를 말하고자 합니다. 세대교체는 조선족 사회의 당면한 요구이자 과제입니다. 조선족 사회를 이끌어 갈 리더들을 의식적으로 만들고, 이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줄곧 홀로 달리셨다면 이제는 청년세대와 함께 조선족 사회를 이끄는 쌍두마차로 거듭나자는 것입니다.
새로운 시선으로 현실을 냉정히 진단해야 합니다. 우리 민족의 타고남도 인정해야 하지만 저열한 근성에 대해서는 더는 포장이 아니라 과감히 부정해야 합니다. 절박한 마음이 저의 펜을 움직였습니다. 젊고 선명한 리더십을 가진 것만으로도 우리 사회는 긍정적인 한발을 내딛는 것입니다. 지금 우리로부터 내려놓기가 시작되지 않는다면 다음세대에게는 조선족에 대한 희망, 아니 조선족 사회는 없을 것입니다.

청년 스스로 새로운 대안이 되어야 할 때입니다.

이제는 청년세대가 조선족 사회를 이끌어 가는 전면에 나서야 할 때입니다. 다른 대안을 강구하는 것보다 깨어있는 청년들의 참여 자체가 조선족 사회에 있어서 크나큰 뒷심입니다. 오늘날 수많은 청년들이 조선족 사회에 거리를 두고 심지어 등을 돌리는 가슴 아픈 현실입니다. 하지만 외면하면 외면할수록, 부정하면 부정할수록 더 괴로워지는 것은 분명 우리라는 것입니다.

청년세대에게는 미래를 향해 도전하는 열정과 패기, 지혜와 능력이 있습니다. 그리고 시행착오를 범하여도 다시 돌이킬 수 있는 젊음이라는 밑천이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것은 조선족 사회 발전에 있어서 소중한 보배와 같습니다. 무엇보다 우리에게는 기성세대로부터 물려받은, 잘 개간된 ‘조선족’이라는 땅 한 뙈기가 있습니다. 이제 그곳에 어떤 씨앗을 뿌려, 무엇을 결실할 것인지는 우리의 몫입니다.

조선족 학교를 거치면서 우리는 인재가 되기에 앞서 민족이 되었습니다. 스승님의 가르침 속에는 장차 조선족 사회를 위하라는 간절한 기대가 분명 있었을 것입니다. 이제는 그 기대에 부응할 때입니다. 우리가 물려받는 사회상은 선택할 수 없다지만 앞으로 우리 후대에 물려줄 조선족 사회는 우리에 의해 결정되는 것입니다.
조선족의 이름으로 나아갑시다, 새로워집시다

이제는 조선족 사회의 미래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 당장의 현안도 더없이 중요하겠지만 보다 나은 앞으로의 10년, 20년을 우리는 준비해야 합니다. 조선족은 단지 한 세대를 비추고 종적을 감추는 혜성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조선족 마을의 해체, 조선족 학교들의 폐교를 두고 수십 년 전의 그런 사회를 그리워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회귀가 아닌 나아가기를 해야 하고 그것은 결국 탈태환골과 같은 조선족의 새로 나기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기성세대가 백의종군의 자세로 새롭게 출발한다면 청년세대는 그 진척이 끊이지 않도록 부단히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드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지난날, 저를 포함한 우리에게 ‘조선족’이란 반갑지만은 않은 꼬리표였다는 것을 고백합니다. 하지만 ‘조선족’은 분명 우리가 이제껏 발견하지 못했던 노다지였습니다. ‘조선족’은 우리의 또 다른 자랑스러운 이름, 이제 우리 모두가 조선족이 되어야 할 차례입니다.

밝고 환할 때 우리는 불을 켜지 않습니다. 희망도 환희의 순간보다 절망의 낭떠러지에서 외치는 것입니다. 조선족이 잘되는 것이 곧 우리가 당당해질 수 있는 지름길임을 깨달아야 합니다. 나뭇잎이 다 떨어져 낙엽이 되어버린 11월입니다. 하지만 조선족의 희망은 결코 조락하지 않을 것을 저는 믿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5838
  • “집안의 물품이 망가져 급히 수리해야 할때에는 편리하지지만 시가보다 훨씬 높은 값을 받거나 제대로 수리하지 않고 도망가는 경우도 있으므로 편민봉사일군이 지정된 점포는 있는지, 령수증은 발급할수 있는지, 수리보장 기한은 얼마인지를 잘 확인해봐야 한다.” 얼마전, 홀로 사는 연길시 하남가두 백신사회...
  • 2015-12-22
  • '정신 및 신체 감정서' 검토 이유로 재판 연기 돼 (서울=포커스뉴스) 동거녀를 살해하고 시신을 훼손·유기한 혐의(살인·사체손괴·사체유기 등)로 1심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은 박춘풍(56·중국동포)의 네 번 째 재판이 오늘 열린다. 서울고법 형사5부(부장판사 김상준)는 22일 오전 10...
  • 2015-12-22
  • 아래 댓글란에 당신의 새해 소망을 적어보세요~ 꿈은 함께 공유하면 정기로 충만됩니다~. 아래의 댓글은 조글로위챗 공중계정에 올라온 모음입니다.위챗공중계정에 댓글을 올리시려면 微信号:ichaoxianzu를 팔로우하시거나 아래의 QR코드를 스캔한후 댓글을 달면 됩니다.  
  • 2015-12-21
  • 2015年延边州州直事业单位面向社会公开招聘高层次人才工作,经过面试、体检、考察等程序,确定以下人员为2015年延边州州直事业单位公开招聘工作人员(高层次人才)拟聘用人员(详见附件),现面向社会进行公示。 公示期为7天,自2015年12月18日至12月24日。 监督举报电话:0433-2879039 本篇文章来源于:中公事业单位考试网 详细...
  • 2015-12-21
  • 女子称丈夫就职韩法务部能办出国 诈骗数十万 新文化延边讯 电焊工丈夫摇身变成“韩国法务部工作人员”,妻子则充当宣传员,夫妻声称可以消除非法入境记录,并办理出国手续。然而,在收取数十万元手续费后销声匿迹。日前,龙井市安民派出所接到群众报警后,立即介入调查此事。目前,犯罪嫌疑人崔某、朱某因涉嫌诈骗...
  • 2015-12-21
  • 진짜 차이나타운이 펼쳐지는 그곳,서울 대림중앙시장   거리를 걷는 내내 중국 특유의 향신료 냄새가 코끝을 맴돈다. 대화에서 오가는 언어는 한국말이 아닌 중국말이다.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던 거대한 크기의 찐빵, 돼지 코와 오리 발, 중국에선 유명하다는데 한국에선 들어본 적도 없는 생선이 가판대에 널려 있다...
  • 2015-12-21
  • 교육 통한 인식 개선이 중요…"동료의식 강화해야" (서울=연합뉴스) 고현실 기자 = 반다문화 정서가 확산하면서 사회 갈등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다문화에 대한 반감이 극단적인 혐오로 흐르지 않기 위해서는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편견을 부채질하는 정보를 바로잡아야 ...
  • 2015-12-21
  • 온라인 중심으로 확산…"표현 수위, 우려할 만한 수준" (서울=연합뉴스) 고현실 기자 = #1. 경기도 수원에 사는 주부 A(61·여) 씨는 '외국인 며느리는 믿을 수 없다'는 이야기를 입에 달고 산다. 같은 동네에 살던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이 도망갔다는 이야기를 들은 뒤부터다. 37세의 미혼 아들...
  • 2015-12-21
  • 사회 내부의 불만을 이주민에 표출…선심성 사업도 반감 자극 (서울=연합뉴스) 고현실 기자 = 반다문화 정서의 배경에는 민족우월주의부터 타인종에 대한 편견까지 다양한 요인이 자리하고 있다. 저임금 노동력이 유입돼 우리나라 고용시장이 나빠졌다는 주장도 대중의 공감을 사고 있다. 전문가들은 반다문화 정서의...
  • 2015-12-21
  • 옌볜과학기술대 곽승지 교수 인터뷰 조선족 전문가인 중국 옌볜과학기술대 곽승지 교수는 한국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내 조선족 마을의 소멸속도가 “역사상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라며 한국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근 중국의 조선족 사회에서 민족 정체성이 옅어지고 있다는 지...
  • 2015-12-20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