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 되면 왜 단풍이 들까? 과학으로 본 단풍
조글로미디어(ZOGLO) 2014년10월16일 13시35분    조회:5313
(이미지비트 제공)본격적인 단풍철을 맞았다. 전국의 산들이 울긋불긋한 단풍으로 물들어가고, 많은 사람들이 자연이 선사하는 가을 잔치를 만끽하기 위해 산을 찾고 있다.

계절마다 변화를 느끼게 하는 것들이 있고, 가을은 단연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한 단풍이 그것이다. 늘 그래 온 대로 단풍이 물들어 가면 가을이 왔다고 생각하지만 정작 가을이 되면 왜 나뭇잎이 색깔을 바꾸는지 생각해 보는 일은 많지 않다.

화려한 단풍의 이면에는 나름대로 복잡한 과학이 숨어있고, 첨단 과학으로도 아직 풀지 못한 의문도 있다. .

단풍은 차가운 기온과 일조량이 짧아지는데 대한 나무의 반응으로, 나뭇잎이 초록색의 엽록소 생산을 중단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엽록소는 햇빛을 이용해 나무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만드는 기능을 하는데 추위에 민감하다. 기온이 낮아지면 엽록소 생산이 중단되고, 이 때문에 나뭇잎은 초록색이 사라지고 대신 카로티노이드로 불리는 색소에 의한 노란색 단풍이 든다. 카로티노이드는 오렌지나 당근 등에도 들어 있다.

카로티노이드는 여름에도 나뭇잎에 포함돼 있었지만 엽록소의 훨씬 강한 초록색에 가려 보이지 않았을 뿐이다.

이처럼 노란색 단풍은 과학적으로 그 원인이 상당부분 규명됐지만 단풍나무를 비롯한 붉은색 단풍은 아직 과학적으로 풀리지 않은 미스터리가 있다.

붉은색 단풍은 나뭇잎에 들어있는 안토시아닌 색소의 색깔 때문이다. 안토시아닌은 딸기나 붉은 사과 등에도 함유돼 있어 붉은 색을 내게 한다.

그런데 안토시아닌은 카로티노이드와는 달리 여름에는 생산되지 않있다가 가을에 단풍이 들 때만 만들어 진다.

이 붉은 색소는 나뭇잎이 햇빛에 과도하게 노출되는 것을 막아주고, 나무에 해로운 태양 빛으로부터 나무를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나무의 세포가 추위에 쉽게 얼지 않도록 하면서, 항산화 기능도 하는 나무 입장에서는 매우 유익한 성분이다.

기온이 떨어져 엽록소가 감소하면 나뭇잎이 빛을 다 감당할 수 없게 되고, 과도한 빛은 식물의 광합성을 방해하며 활성산소를 발생시켜 나무가 손상될 수 있다. 안토시아닌은 이런 위험으로 부터 나무를 보호해주는 것이다.

그동안의 연구에 의하면 나무가 안토시아닌 색소를 만드는 것은 추위나 자외선, 가뭄, 각종 세균 등의 환경 스트레스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이런 점에서 붉은색 나뭇잎은 나무가 어떤 요인에 의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신호가 되기도 한다. 만약 나무가 철도 되기 전에 붉은색 단풍으로 물든다면 균에 감염됐거나 아니면 부주의한 운전자의 차에 부딪혔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왜 나무는 하필 낙엽이 되어 떨어지려 할 때 에너지를 쏟아부처 안토시아닌을 만드는지는 아직도 그 이유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여러 이론이 있지만 나뭇잎들이 스트레스와 싸우기 위한 것이란 분석이 현재로서는 가장 설득력을 얻고 있다. 나뭇잎이 안토시아닌을 만듦으로써 좀 더 오래 나무에 붙어 있을 수 있고, 이는 나무가 영양분을 보다 많이 흡수할 수 있도록 해 다음해 봄 생장 시기에 사용할 수 있게 해 준다고 보고 있다.

이런 점에서는 가을 단풍이 사람의 눈에는 아름답게만 보이지만 나무 입장에서는 생존의 문제와 관련된 셈이다.

과학자들은 이점에 착안해 안토시아닌을 통해 나무가 받고 있는 스트레스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이 연구가 성과를 거둔다면 환경문제 파악 등에 응용할 수 있다.

다른 이론들도 있다. 단풍의 선명한 색깔은 진딧물 등의 곤충들이 알을 낳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진딧물은 선명한 색상의 단풍나무에는 알을 낳지 않는다.

지구온난화로 기온이 계속 높아진다면 한반도 남부는 고산 지대를 제외하고 단풍이 없어질 수도 있다. 단풍이 드는 온대성 낙엽수가 사라지고 동남아 등에서 볼 수 있는 아열대성 사철나무가 그 자리를 대신할 것이기 때문이다.

국립생물자원관은 현재와 같은 추세로 온난화가 진행된다면 그 시기가 2050년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단풍이 곱게 들기 위해서는 광합성을 많이 할 수 있도록 맑은 날씨가 계속돼야 한다. 즉 나무가 강한 햇빛으로 스트레스를 받게 돼 안토시아닌의 생산이 많아진다.

일교차가 커 밤에 기온이 많이 떨어지는 것도 중요하다. 깊은 산의 단풍이 더 화려한 것도 이 때문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528
  • 중국 자체의 기술로 개발한 류행성 B형 뇌염 백신이 9일 세계위생기구(WHO)의 인증을 거쳤다. 이는 중국이 세계위생기구의 인증을 받은 첫 백신제품으로 앞으로 유엔 구매약품 목록에 수록된다. 이 백신은 다른 국가에서 개발한 뇌염 백신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단 한번의 접종으로 인체에 항체가 생기고 또한 영아에게도 사...
  • 2013-10-11
  • 뇌세포 파괴를 막는 화학물질이 처음 발견됐다. 비록 초기 단계이긴 하지만 알츠하이머형 치매 같은 뇌질환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영국 레스터대 의학연구소(MRC)의 독성학연구팀은 신물질로 만든 시험약인 ‘GSK2606414’를 프리온 질환(크로이츠펠트야코프병 등) 쥐에게 투약...
  • 2013-10-11
  • 별(항성)의 주변을 도는 일반적인 행성과 달리 우주를 제 맘대로 떠돌고 있는 이른 바 '깡패행성(Rogue planet)'이 처음 발견됐다. 하와이대 마노아천문연구소는 10일(현지시간) 지구로부터 80광년 떨어진 염소성좌(constellation of Capricornus)에서 자기 스스로 방향을 정해 자유로이 ...
  • 2013-10-11
  • [서울신문 나우뉴스]토성과 목성 대기에 수많은 다이아몬드가 떠다니고 있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마디로 이들 행성에서 꿈같은 ‘다이아몬드 비’도 맞을 수 있다는 결론이다. 지난 9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스페셜티 엔지니어링’ 행성과학자 모나 델리스티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 2013-10-10
  • [한겨레] 올라타고 뛰어오르고 구르는 엠블록 선봬 위기상황 특수임무 수행하는 해결사 기대 영화 나 에서 봤던 것처럼, 상황에 맞게 자유자재로 변신하는 로봇이 과연 실현 가능할까. 아직 제대로 된 인간형 로봇마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현재로선 영화에서나 볼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미 MIT 컴퓨터과학·인공...
  • 2013-10-10
  • 용해 소금 에너지 저장 기술을 이용하는 태양광 발전소 솔라나가 미국 애리조나주 남부 지역에 건립돼 가동 `용해 소금 에너지 저장(Molten Salt Energy Storage)` 기술을 이용한 미국 최초의 대규모 상업용 태양광 발전소 `솔라나`가 애리조나주 남부 지역에 건립돼 가동을 앞뒀다고 기가옴이 10일 보도했다.용해 소금 에...
  • 2013-10-10
  • 돌아오는 12월에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있는 우리 나라 《상아》 3호 달탐측기가 발사하게 된다고 일전 북경일보가 보도했다. 《상아》3호 달탐측기구는 우리 나라에서 처음으로 지구밖에 탐측기를 착륙하는것으로 되며 이는 역시 미국의 《아폴로》계획이 종결된후 세계에서 처음으로 재차 달나라에 착륙하는 탐측기로 된다...
  • 2013-10-10
  • 2011년 미국 월가에서 펼쳐진 ‘점거하라’ 시위 현장. 디지털화가 일자리 감소를 야기해 오큐파이 시위를 다시 부를 것이라고 가트너는 내다본다. 그린비/한겨레신문 [한겨레] 컨설팅 업체 가트너 10년후 ‘10대 전망’ 발표 디지털 혁명, 일자리 줄여 `오큐파이‘ 부른다 ▶ 곽노필 기자의 &ls...
  • 2013-10-10
  • [서울신문 나우뉴스]약 2800만년 전 혜성이 지구에서 폭발한 첫번째 증거가 발견됐다. 최근 남아프리카공화국 윗워터즈랜드 대학 연구팀은 “과거 사하라 사막에서 발견된 돌이 혜성 물질로 만들어진 것으로 확인됐으며 지구상에서 발견된 것은 최초”라고 밝혔다. 연구팀의 이같은 결과는 지난 1996년 이집트 지...
  • 2013-10-10
  • 국가해양국(國家海洋局)은 ‘하이양(海洋) 6호’가 얼마 전에 호놀룰루 항구를 떠나 동태평양의 중국 해양 29번째 제3 운항 구간에서 과학 탐사 임무를 수행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제3 운항 구간에서는 중국이 자체 연구개발한 6000m 자율 무인잠수정(AUV, 연결 줄 없이 단독으로 탐사 가능)인 ‘첸룽(潛...
  • 2013-10-09
‹처음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