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생활습관 교정과 의료용 압박스타킹 착용만으로도 개선이 가능하다. 하지만 일상생활이 어렵거나 혈액이 역류하면 시술이나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하지정맥류란 만성 정맥질환 중 하나로 정맥이 3mm 이상 비정상적으로 부풀어, 기능이 발휘되지 못하고 꼬불꼬불해진 상태를 말한다. 하지정맥류로 병원을 찾는 환자는 2018년 18만4239명에서 2022년 25만5033명으로 5년 새 약 40% 가까이 늘었다.
하지정맥은 발목부터 사타구니를 거쳐 심장으로 혈액을 보내는 혈관이다. 정맥 혈관벽에는 판막이 있어 다리 혈액이 위쪽으로만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양한 위험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이 판막에 이상이 생기면 하지정맥류가 생긴다.
하지정맥류의 증상으로는 다리가 무거운 느낌 외에도 △다리가 저리고 후끈거리는 증상 △발바닥 통증 △발이 차가워짐 등이 있다. 이때 증상이 있음에도 치료를 받지않고 방치하게 되면 발목 부위가 착색되기도 하고 궤양 등의 합병증이 생기기도 한다.
하지정맥류는 여러 위험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가족력 △임신이나 출산 △복부비만 △복압을 높이는 만성질환 △하루 6시간 이상 서 있는 직업 △의자에 오래 앉아있는 직업 △습관적으로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 등이다.
하지정맥류는 혈관 초음파를 시행한 뒤 판막의 기능을 확인해 진단한다. 혈관 초음파는 금식이나조영제 투여 등 특별한 전처치 없이 쉽게 진단할 수 있는 확실한 진단법이다. 판막이 망가져 혈액의 역류가 생기는지의 여부, 발생 위치, 역류 시간과 속도로 하지정맥류를 진단하게 된다.
그 외에도 외상 때문에 하지정맥류가 발생했거나 혈관 기형이 있을 때는 CT 촬영을 통해 혈관의 해부학적 구조를 확인할 수도 있다.
하지정맥류는 응급질환은 아니기에 진단을 받았다고 해서 당장 치료가 필요하진 않다.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생활습관 교정을 통해 개선할 수 있다.
오래 서 있거나 앉아 있는 것을 삼가고, 직업 특성상 서거나 앉은 자세를 오래 유지해야 한다면 스트레칭을 자주 해주는 것이 좋다. 저녁에 증상이 심해져 귀가 시 15cm 이상의 쿠션에 다리를 올리고 충분히 휴식을 취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외에도 의료용 압박스타킹 사용이 있다. 이 스타킹은 단순히 다리를 조이는 것이 아닌 발목부터 사타구니까지 점차 압력을 늘려줘, 정맥 순환에 도움이 된다.
증상개선이 되지 않는다면 약물치료나 수술 혹은 시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약물치료는 혈관의 투과도를 낮춰주는 약을 복용함으로써 혈관기능을 개선해 관련 증상을 완화하는 방법이다. 이미 문제가 생긴 혈관을 되돌릴수 있는 근본적인 치료는 아니지만 증상완화에 도움이 된다.
이외 고전적인 수술법으로는 피부를 절개해 문제를 일으키는 혈관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혈관을 제거하기에 재발률은 적지만, 신경손상과 통증 등의 합병증이 있을 수 있다. 최근에는 작은 구멍을 뚫고 문제 되는 혈관에 도관을 삽입해 혈관를 폐쇄하는 혈관내 치료가 많이 시행된다.
혈관내 치료는 혈관 내에 열이나 본드 혹은 경화제를 주입해 폐쇄한다. 혈관을 폐쇄하면 하지에 정체되는 혈액이 없어지면서 혈액은 다른 혈관으로 우회해 흐르게 돼 하지정맥류가 일으킨 증상들은 사라진다.
열을 이용한 시술로 하지정맥폐색술이 있다. 레이저나 열로 혈관을 태워 폐쇄하는 방법이다. 주변 근육이나 신경에 열이 가해지며 통증을 일으킬 수 있어 혈관 주변으로의 마취가 필요하다. 하지만 최소 절개로 이뤄지는만큼 통증이나 멍 등의 부작용도 적고 일상 복귀도 빠르다.
강동경희대병원 혈관외과 조성신 교수는 “하지정맥류는 환자의 증상과 질환 정도를 먼저 고려한 후에, 미용과 비용적 측면을 고려해 결정한다”며 “정맥 기능 저하 방치를 위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장시간 서있는 것은 피해야 한다. 오래 서 있어야 할 시 종아리 근육을 움직여주며 꽉 끼는 옷이나 굽 높은 하이힐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파일 [ 1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