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습지 보호 성과 두드러져
1월 20일 해남에서 ‘M01’표시 한국 가락지를 부착한 저어새가 포착됐다. /신화사
1월 14일 해남성 담주시에서 철새를 관찰하고 있는 조사팀. /신화사
겨울철 해남성의 기온은 대체로 섭씨 20도 이상을 유지한다. 따뜻한 날씨와 더불어 풍부한 습지 자원을 보유한 이곳은 겨울을 나기 위해 찾아오는 철새들의 안식처가 되고 있다.
해남 창강 해미습지공원 관리쎈터 부주임 설미려는 1월 하순 해남성 저어새 동시조사 기간 동안 다리에 ‘가락지’(표식)를 단 저어새(黑脸琵鹭)를 또다시 포착했다. 인식표에는 ‘M01’ 글자가 분명하게 보였다. ‘M01’ 저어새는 2021년 6월 한국에서 가락지를 부착한 후 날려 보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설미려가 ‘M01’ 가락지를 부착한 저어새를 포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22년에도 월동하러 해남을 찾은 철새를 발견한 적이 있다. 설미려는 “다리에 부착한 가락지에 모두 기록돼있다”면서 “이들 데이터를 통해 저어새의 이동경로를 알 수 있어 저어새 연구에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된다”고 설명했다.
해남은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에 위치해있다. 해당 경로는 로씨야 극동지방․미국 알라스카에서 오스트랄리아․뉴질랜드까지 이어지는 철새이동경로로 총 22개국을 지난다. 철새가 가장 많이 이동하는 경로중 하나다.
2006년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세계정상회의’에서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지역 동반자 관계 협정(EAAFP)이 출범했다. EAAFP 회원국으로는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로씨야, 중국, 타이 등이 있으며 상설 사무국은 한국 인천에, 과학부는 중국 북경에 설립됐다.
습지는 물새의 중요한 서식지다. 수년간 세계 수많은 사람이 철새와 서식지 보호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 얼마전 사흘간 진행된 ‘2024년 해남성 겨울 철새 동시조사’에서 10개 조사팀이 해남 각지에서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9팀 팀장 라리상은 고중생, 동물보호단체 회원, 박사생, 산림보호원, 대학 교수로 이뤄진 자원봉사자를 이끌고 해남성 소재 7개 관찰지점에서 겨울 철새를 조사했다.
라리상은 해남 신잉 홍수림(红树林)국가습지공원의 순시원이다. 평소 조류 모니터링과 홍수림 숲을 순찰하는 일을 해온 덕에 언제 어디서 어떤 조류를 만날 수 있는지 잘 알고 있다.
조사 마지막 날, 민간보호단체인 ‘중국 넓적부리도요’(勺嘴鹬在中国)의 운영총감 리정 일행 3명이 관측에 합류했다. 이동성 물새와 서식지 보호 경험이 풍부한 리정은 앞서 라리상의 카메라에 포착됐던 세계 멸종위기 동물인 넓적부리도요를 찾기 위해 상해에서 달려왔다.
넓적부리도요는 로씨야 극동지방에서 번식하는 철새로 전세계 수백마리 밖에 남지 않았다. 그런 넓적부리도요가 5년 련속 해남에서 월동한 것으로 전해졌다.
리정은 “철새 이동 거리가 무척 길어 중간에 수많은 나라를 경유하면서 다수의 서식지에서 쉬어간다”면서 “철새가 월동지에 안전하게 도착하기 위해서는 이동 경로에 있는 국가들의 협력과 보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단 한곳의 서식지에서 문제가 생겨도 그 철새의 생존과 번식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해구우 답담(畓榃)습지연구소는 올해 해남 겨울 철새 조사를 맡은 기관중 하나다. 프로젝트 책임자 채정은 이번 조사에 총 61개 동시 모니터링 지점을 선정하고 10개 조사팀, 총 91명이 조사에 참여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수년간 해안 습지에 대해 생태 복원 사업을 대대적으로 전개했다면서 이를 통해 해남의 주요 물새 서식지 생태환경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고 밝혔다.
매년 2월 2일은 세계 습지의 날로 올해의 주제는 ‘습지와 인간 복지’다. 채정은 갯벌 청소, 홍수림 심기 등 습지 생태계 보호 공익 활동에 대중이 참여할 것을 독려하면서 허가받지 않은 수생생물 방류를 지양하고 썰물 시 갯벌에 로출된 저서생물을 잡는 대신 눈으로 관찰할 것을 호소했다.
/신화사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