ㅡ오에겐자부로의 소설 ‹죽은 자의 사치›를 읽다
소설 《죽은 자의 사치》
문학창작에서의 허구는 작가들의 특권이다. 그 특권의 실질이라고 할 수 있는 문학적 상상은 종종 생활의 현실을 작품 속에 예술적 현실로 승화시켜 독자들의 공명을 일으킨다. 최근 그러한 문학적 상상의 한 보기인 ‘엉뚱한’명작 한편을 인상 깊게 읽은 적이 있다.
바로 일본인으로는 가와바타 야스나리(1899년~1972년,1968년노벨문학상을 수상)에 이어 두 번째로 노벨문학상을 수상(1994년)한 오에겐자부로(1935년~2023년)의 소설 ‹죽은 자의 사치›이다.
오에겐자부로(1935년~2023년)
소설은 대학교 문학부에 다니는 ‘나’와 영문학부에 다니는 녀대생이 아르바이트 중에 겪는 감수를 그리고 있다. 이들이 하는 일은 동 대학 의학부 알콜 욕조 속에 보존된 해부용 시체들을 다른 알콜 욕조로 옮기는 일. 주인공인 ‘나’는 ‘그저’용돈이 필요해서이고 녀대생은 임신중절수술을 받을 병원비가 필요해서이다.
소설은 서두부터 알콜 욕조 속에 가득 찬 시체들의 묘사로 독자들의 간담을 서늘케 한다.
“시체들은 진한 갈색 액체에 잠겨서 팔이 서로 얽혀 있기도 하고 머리를 서로 맞대고 떠올라 있거나 반쯤은 액체 속에 가라앉아 있다. 그들은 흐릿한 갈색의 유연한 피부에 싸여서 딱딱하고 생소한 독립감을 가지고 각기 자신의 내부를 향해 응축하면서도 집요하게 몸을 서로 맞대고 있다. 그들의 몸은 거의 알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부어 있었고 그 부기는 눈을 꽉 감은 그들의 얼굴을 풍만하게 보이도록 만들었다. 휘발성 냄새가 지독하게 나서 밀페된 방안의 공기는 몹시 탁했다. 방안에서 들리는 온갖 소리의 울림은 후덥지근한 공기에 휩싸여서 중후(重厚)한 량감(量感)으로 가득하다.……”
주인공인 ‘나’와 관리인은 운반차의 량 옆에 서서 알콜 욕조에 몸을 굽히고 시체를 하나 건져내면 시체의 어깨와 넓적다리의 뒤부분을 두 손으로 받치고 갈색의 알콜 용액이 뚝뚝 떨어지는 시체를 들어 올린다. 시체는 빳빳해져 있어서 재목처럼 다루기가 쉽다. 시체를 운반차 우에 올려놓으면 녀대생이 엉거주춤 엎드려서 시체의 복사뼈를 꼭 붙잡고 소인(燒印)으로 기호와 수자가 기입된 번호표를 엄지발가락에 묶어 놓는다. 이 일이 끝나면 다른 욕조로 옮겨 시체를 밀어 넣는다.
이 과정에 주인공인 ‘나’는 이 시신들이 죽은 후에 곧바로 화장되는 시신들과는 다르다고 생각한다. 알콜 욕조에 떠있는 시신들은 완전한 ‘물체’의 긴밀감, 독립된 느낌을 가지고 있는바 그것들은 바닥이나 수조나, 창문과 같은 확실하고 안정된 ‘물체’라고 생각한다. 죽음은 ‘물체’이며 ‘물체’로서의 죽음은 의식이 끊어진 후에야 비로소 시작된다고 본다.
이들은 질식할 것 같은 시체처리실에서 하루동안 바삐 돌아치지만 결과 사업일군의 실책으로 모든 일이 수포로 돌아가며 지어는 아르바이트를 한 보수마저 제대로 받을 수 있을지 근심한다. 작가는 주인공인 ‘나’와 녀대생 그리고 해부실에서 30여년간 사업한 관리원이 함께 시체들을 옮기는 과정을 통해 전후(戰後) 일본사회가 겪는 염세주의적인 허무와 독립적인 존재가치를 상실당하고 권력자들한테 운명을 조종당하는 인간들의 생활상 그리고 패전의 그림자가 지배하고 있는 폐쇄된 시대상을 보여주고 있다.
작품무대가 해부용 시체처리실이고 내용 또한 기이하리만큼 충격적이라 소설은 읽는 내내 이름모를불안감에휩싸였다. 헌데 다 읽고 나서 문득 이상한 생각이 들었다.
과연 실습용 시신을 알콜 욕조에 보관해두는 그런시체 처리실이 있었을가? 하는 의문이였다. 마치 요즘 흔히 볼 수 있는, 살아있는 수산물들을 보관해두는 수조관처럼 말이다. 이곳저곳 문의하고 과학서적들을 뒤진 결과 뜻하지 않는 사실에 접근했다. 거대한 욕조를 가득 채울 정도의 알콜에 오래동안 시체들이 담겨있는 밀페된 지하실 공간이라면 들어서자마자 쓰러질 정도로 유독성 물질이 차고 넘친다는 것, 물론 방독면을 쓰고 들어갈 수도 있겠지만 해부용시체실로 말하자면 외부 오염 방지를 위해서라도 그것은 효과적인 일이 아니라는 것…
내괘, 그러고 보니 소설의 주무대인 알콜이 가득 찬 욕조가 있는 ‘해부용시체처리실’은 사실 작자가 만들어낸 허구가 아닌가?! 허탈함을넘어작자의 기막힌 문학적 상상력에 단통 허를 찔린 기분이였고 그런 상상의 소산으로 ‘엉뚱하게’탄생한 소설 ‘죽은 자의 사치’에 다시 눈길이 돌려졌다. 공연히 속을졸이며읽은것 같아 더수기를 긁적거렸고 두근거렸던 가슴을 “어허허!” 너털웃음으로 쓸어내리기까지 했다. 생활과 예술의진실이란무엇이며그차이는어디에있는지잠간생각케 해보는 순간이기도 했다.
사족(蛇足)으로 오에 겐자부로는 문학적 상상 뿐만 아니라 이른바 족집게 도사처럼 차기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들을 정확하게 예언해 장안에 화제를 몰고 오기도했다. 2005년 서울국제문학포럼에 참석했던 오에 겐자부로는 “이 자리에는 노벨상을 이미 받았어야 하는데 못 받은 작가 한 사람과 앞으로 받을 사람이 세 사람이 있다”고 말했다. 그때 ‘못 받은 작가 한 사람’은 프랑스작가 르 클레지오였고 ‘앞으로 받을 사람 세 사람’은 토이기의 오르한 파묵과 중국의 막언 그리고 한국의 황석영 작가였다. 놀라운 것은 르 클레지오는 2008년에, 오르한 파묵은 2006년에, 막언은 2012년에 각각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는 점이다! 이제 남은 한명의 ‘노벨상을 못 받은 작가’황석영, 과연 그에 관한 오에 겐자부로의 예언도 맞아떨어질지 처음 ‹죽은 자의 사치›라는 소설 제목을 대할 때처럼 자못 궁금하기만 하다.
/신철국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