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든 블러드’(
golden blood), 이른바 ‘황금의 피’라는 혈액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가. 전 세계인의 0.01% 미만(국제적십자 조사)밖에 없다는 희귀 혈액형의 통칭이다.
영국의 과학잡지 모자이크 매거진과 미국
ABC뉴스가 최근 보도한 바에 따르면 영국에 있는 ‘국제혈액형표준실험실’(
International Blood Group Reference Laboratory,
IBGRL)이라는 연구소에는 ‘황금의 피’라는 세계적으로 귀한 혈액이 보관돼있다.
혈액형은 흔히 A형, B형, O형,
AB형으로 나뉘는
ABO식과
Rh(알에이치)인자의 반응이 +(양성)인지 -(음성)인지로 구분하는
Rh식 등 다양한 분류 방법이 존재한다. 그중 수백 가지에 달하는 혈액형 중에서도 세계적으로 희귀해 1만 명 중 1명 미만의 확률로 나타나는 것이 바로 ‘
Rh null’(알에이치 널)형이라는 ‘황금의 피’이다.
인간의 적혈구 표면에는 최대 342종의 항원이 존재하는데 이에 반응하면 체내에 항체라는 특수한 단백질이 생성된다. 따라서 적혈구 표면에 어떤 항원이 존재하는지가 인간의 혈액형을 결정하는 중요 요소가 되는 것이다. 이런 항원 중 약 160개의 혈액형 항원이 대부분의 인간 혈액 내에 존재한다. 만약 이 중 한 개라도 빠진다면 지구상에 존재하는 99%의 사람과 다른 혈액형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항원이 전혀 없는 ‘
Rh null’ 혈액형은 세계적으로도 극히 드물며 이런 혈액은 모든 혈액에 수혈할 수 있어 의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혈액이라는 것이다.
스위스에 사는 토마스 역시 이런 황금의 피를 보유한 이 중 한 명이다. 그는 지금으로부터 40년 전인 10살 소년이었을 당시 제네바대학병원에서 혈액 검사 결과 항원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로 342종의 혈액형 항원이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대다수의 항원을 하나의 그룹으로 정리하고 있어
Rh식 혈액형은 이런 항원을 61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하지만 토마스의 혈액에는 모든
Rh 항원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당시 병원의 마리-호세 스텔링 박사는 이런 결과를 믿지 못해 암스테르담과 파리에 있는 연구소에 토마스의 혈액 분석을 의뢰하기도 했으나 그는 모든 항원이 없는
Rh null인 것으로 판명됐다.
‘
Rh null’이라는 이런 혈액은 2010년 당시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단 43명만이 확인되고 있다. 당시 연구진은 이런 혈액형도 유전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해 토마스의 친적들을 대상으로 혈액형을 조사했지만, 토마스의 혈액형은 완전한 변이로 출현한 것으로 드러났다.
항원이 없어 모든 혈액형의 환자에게 수혈할 수 있는 ‘
Rh null’의 혈액은 “황금의 피”라고 프랑스 파리에 있는 국립면역혈액학연구소의 티에리 페이라드 소장은 말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
Rh null’을 가진 사람은 40명이 넘지만, 그중에서도 수혈에 응하고 있는 사람은 스위스의 토마스를 포함한 브라질과 일본, 중국, 미국, 아일랜드에 사는 단 6명이라고 한다.
한편 국제혈액형표준실험실에 보관 중인 황금의 피는 다른 혈액형과 따로 처리 및 보관되고 있다. 이 연구소는 영국 내 병원 수혈팩을 제공할 때 혈액형에 관계 없이 한 팩당 200달러를 받고 있지만, 해외 운송에는 그 과정에 따라 가격이 달라진다고 한다.
사진=그렉 화이트
외신
이미지를 클릭하면 다음이미지가 보여집니다.
1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