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로고
[김호림기획련재-9] 인도의 '왕자'가 왜서 곤륜산에 나타났을까
조글로미디어(ZOGLO) 2016년2월18일 08시45분    조회:2385
조글로 위챗(微信)전용 전화번호 15567604088을 귀하의 핸드폰에 저장하시면
조글로의 모든 뉴스와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고 친구들과 모멘트(朋友圈)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조선반도의 삼국승려와 대륙고찰 이야기

       (흑룡강신문=하얼빈) 솔직히 뭔가 빗나가는 것 같다. 산이 아니라 식탁에서 시작되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야채 가지(茄子)를 경상도에서 궁중에 진상하였다는 내용은 《춘관통고(春官通考)》(1788) 등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의 궁중 진상품이었던 이 가지는 훗날 중국 연변의 이민들에게 '조선가지'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반도의 몽톡한 '조선가지'는 확실히 대륙의 길쭉한 '중국가지'와는 다른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연변에서 '조선가지'라고 불리는 야채, '신라가지'도 이런 모양일까.

  기실 반도에서 재배된 가지의 최초의 이름은 '조선가지'가 아니었다. 일찍부터 일명 '신라가지'라는 이름으로 대륙에 파다히 알려지고 있었다. 중국의 의서인 《본초연의(本草衍義)》(1116)에 따르면 "신라에는 1종의 가지가 나는데, 모양이 계란 비슷하고 엷은 자줏빛에 광택이 있으며 꼭지가 길고 맛이 달다. 이미 중국 (대륙의) 채소밭에 널리 퍼져 있다." 이에 앞서 '가지'를 "당(唐)나라 이전부터 곤륜자과(崑崙紫瓜)라고 했다"는 기록이 의서 《본초십유(本草拾遺)》(741)에 남아 있었다. 일설에 곤륜자과는 수양제(隋煬帝)가 야채 가지를 애용하면서 특별히 지은 이름이라고 전한다.

  "'곤륜자과'는 '곤륜의 검은 오이라는 의미이니, '곤륜'을 거쳐서 유입된 채소라고 해서 불린 이름이 아닐까요?"

  이맘쯤이면 누구라도 물을 법한 '가지'의 이역 여행 이야기이다. 가지의 원산지가 인도요, 또 곤륜은 인도와 중국의 접경 지역에 있는 산이니, 정말이지 누군가 일부러 박아놓은 듯 아귀가 딱 들어맞는 것 같다.

  옛 곤륜은 '만산(萬山)의 조종(祖宗)'이요, '용맥(龍脈)의 조종(祖宗)'이며 중국의 명산대천에서 제일 신비한 곳이다. 이토록 신기한 곳은 당연히 여러 신들의 주처(住處)로 되고 있었다. 중국의 신화는 대체로 네 개의 축으로 이뤄지는데, 동방의 봉래(蓬萊) 신화와 남방의 초(楚) 신화, 중원의 신화 그리고 서왕모(西王母), 반고(盤古), 여와(女娲)를 대표로 하는 서방의 곤륜신화가 바로 그것이다. 와중에 서왕모는 모든 여신들의 수령이고 반고와 여와는 세상을 창조한 신이니, 서방의 곤륜신화는 단연 신화 중의 으뜸으로 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곤륜산은 대륙 서쪽 청장고원 북부의 변두리에 동서로 길게 융기된 산맥을 지칭한다. 고대 육상 실크로드는 곤륜산 북쪽에 있는 타클리마칸 사막의 남북 가장자리를 지나고 있었다.

  정말이지 '곤륜자과'라는 이름의 유래에 머리가 갸우뚱하게 되는 부분이다. 가지를 곤륜과 한데 잇기에는 원산지는 물론 경유지 역시 동떨어진 곳이기 때문이다. '곤륜'이 실은 지금의 말레이시아를 지칭하는 말이라고 하면서 가지가 인도로부터 말레이시아를 통해 대륙에 전파되었다고 하는 설이 나올 법 한다.

  기실 곤륜산은 바닷길에 떠도는 배처럼 한곳에만 머물러 있지 않다. 곤륜산은 대륙의 동북부 연해에도 나타난다. 곤륜산은 산동성(山東省) 동북부에서 제일 큰 산으로 장장 백여 리를 이어지고 있다. 북위(北魏) 시기의 사서 《16국 춘추(春秋)》는 곤륜산을 '해상 여러 산의 조종'이라고 칭했다. 곤륜산은 한․당(漢․唐) 시기부터 불교와 도교 수행자들의 수련의 도장으로 되고 있었다. 금․원(金․元) 시기에는 도교 전진파의 개산조사 왕중양(王重陽)이 전진교(全眞敎)를 설립한 '동천복지(洞天福地)'였다. '곤륜'이라는 산동성의 이 지명도 전진교 때문에 사서에 또 한 번 등장한다. "(왕중양의 수제자) 구처기(丘處機)는 등주(登州)의 서하(栖霞) 사람으로… 나이 19세 때 녕해(寧海)의 곤륜산에서 전진교를 수도했다"고 《원사(元史)》가 기록하고 있다.

  상기 기록에 나오는 지명들은 모두 산동성 동북부에 가지런히 모여 있는 것으로, 곤륜산이 바로 이 고장에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 오히려 또 고여산(姑余山), 곤유산(崑兪山) 등 지명으로 불렸으며 곤륜산이라는 이름은 와전된 것이라고 주장하는 현지인들도 있다.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 유학 학파의 창시자인 공자도 이 곤륜산에 이름자를 내밀고 있다. 공자가문의 족보에 따르면 "장백산에서 날아온 두루미가 곤륜산에서 노닐던 암사슴과 만나니, 그 사이에서 나온 사람이 공자이다." 공자는 춘추(春秋) 시기 노(魯)나라 추읍(陬邑) 즉 지금의 곡부(曲阜)에서 출생했으니, 장백산은 물론 곤륜산의 위치를 산동성에 비정할 수 있다는 얘기이다. 실제로 산동성의 수부 제남(濟南) 부근에 장백산이 있으며 곤륜산과 동서로 고작 300여㎞ 상거한다. 두루미가 날개짓 한번으로 날아가거나 암사슴이 뜀박질 한달음에 달려가서 서로 만날 수 있는 위치. 족보에 나오는 장백산은 연변에 있는 동명의 장백산이 아니며, 곤륜산 역시 청장고원에 있는 동명의 곤륜산이 아니라는 것이다.

  '암사슴'이 노닐던 곤륜산은 반도와 대륙 최단 거리의 바다기슭에 위치한다. 수․당(隋․唐) 시기, 곤륜산 기슭의 적산포(赤山浦)라고 불렸던 석도(石島) 등에는 해상무역 항구가 있었다. 대륙 저쪽의 반도와 섬의 사절, 상인, 유학생, 승려들은 이 항구를 이용하여 산동반도 동북부에 상륙한 후 다시 육로를 통해 내륙의 오지에로 발길을 옮겼다.

  훗날의 이야기이지만, 명(明)나라 때에는 일명 '왜구(倭寇)'라고 불리는 일본 해적들이 이 일대에 자주 침노했다. 홍무(洪武) 31년(1398) 해상 방위시설을 세우고 "위엄이 동해를 진동한다"는 의미에서 지명을 따오니, 위해(威海)라는 이 대륙 동부의 항구 이름이 생겨난 것이다.

  각설하고, 곤륜산은 바로 반도와 통하는 최단의 바닷길 한쪽 끝에 등탑처럼 서있다. 사실상 '곤륜자과'는 또 '신라가지'라는 이름과 함께 맞물려 바닷길을 통한 대륙의 유입 경로를 밝혀주고 있는 것이다.

  대륙과 반도를 잇는 바닷길에 있던 여타의 항구와 마찬가지로 옛날 곤륜산 기슭에는 신라인들이 웅기중기 모였으며 신라방(新羅坊), 신라촌(新羅村)을 형성하고 있었다. 수․당(隋․唐) 시기 성읍 중심을 방(坊)이라고 했다. 또 성읍의 여러 골목을 방이라고 통칭하기도 했다. 대체적으로 신라방은 도시에서 신라인이 집단으로 거주하는 지역을 이르며 성읍의 바깥에 형성된 신라인의 집단 거주지는 신라촌이라고 불렸다. 이역에 와서 삶의 새 터를 잡은 신라인들에게 사찰은 일종의 구심적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래서 신라인들이 집거한 곳에서는 거의 그림자처럼 신라사찰이 등장하고 있다. 신라사찰이 없는 경우에는 십상팔구 현지에서 아주 이름이 있는 사찰이 따로 있었다. 옛날 곤륜산 부근에도 명찰(名刹)이 있었다면 적산포에 살던 신라인들이 이 사찰에 가서 향불을 태웠을 법한 대목이다.

  정말로 곤륜산에는 천년 전의 유명한 고찰이 하나 있었다. 그러나 안내를 맡은 왕씨 성의 기사는 현재로선 옛터뿐이라고 하면서 사찰 행을 접으라고 권고하는 것이었다. "무염사(無染寺)도 성경산(聖經山)처럼 풍경구에 있지만 거기에는 구경거리라곤 바위밖에 없어요."

  성경산은 전진교가 흥성한 곤륜산의 지맥으로, 도교의 경전인 《도덕경(道德經)》을 성물로 추앙하여 지은 이름이다. 우연인지 필연인지 불교와 도교는 이곳에서도 함께 만나고 있었다. 무염사는 성경산과 서로 이웃, 불과 15㎞를 상거하고 있었다.


곤륜산의 지맥인 성경산에 도교의 창시자 노자가 좌정하고 있다.

  왕씨의 권고를 귀담아 들어야 했을지 모른다. 무염사는 결국 풍경구의 입구에 간판으로 적힌 이름밖에 만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관리소 직원은 겨울 산행이 위험하다면서 기어이 일행의 진입 자체를 가로막았던 것이다.

  무염사는 동한(東漢) 때 설립되었는데 이 지역의 제일 오랜 사찰로 한때 아주 흥성했다고 전한다. 《녕해주지(寧海州志)》의 기록에 따르면 "(이곳에) 거주하는 자는 육근이(六根)이 청정(淸淨)하고 큰 해탈을 얻는다"고 하는 의미에서 '무염사'라고 불렸다고 한다. 제(齊)나라 왕과 왕후의 무덤도 부근에 있었다고 하니 과연 소문난 곳이렷다.


차단봉이 내린 무염사 입구.


무염사의 바위에 있는 감실,어느 관광객이 블로그에 남긴 사진이다.

 

  이런저런 아쉬움을 길가에 털어내기도 전에 우리가 탑승한 차량은 벌써 산을 내렸고 또 현성을 지나 위해시 해변의 옛 적산포로 달리고 있었다.

  '적산'은 석도(石島)의 바위가 적색을 나타낸다고 해서 지은 이름이라고 전한다. 이 지명은 일본 승려 엔닌(圓仁)의 기행문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의 기록에 아주 자세하게 기록된다. 엔닌은 또 이 기행문에서 적산에 사찰이 있으니 그 이름을 '적산 법화원'이라고 부른다고 적고 있다.

  적산포에 신라인들의 사찰이 설립된 건 당나라 문종(文宗, 827~840) 연간이었다. 그 무렵 신라인 장보고(張保皐, ~846) 출자하여 사찰을 세우는데, 천태종(天台宗)을 신봉했기 때문에 '법화원(法華院)'이라고 작명했다고 한다. 장보고는 통일신라 후기에 활약했던 무장이자 무역상이었다.

  법화원은 본국인 신라와 연락하는 거점이었으며 또 산동반도를 통하는 신라와 일본의 구법승들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했다. 승려 엔닌이 법화원에 들리고 여기에 8개월 동안이나 머물게 된 것도 이 같은 이유가 있었기 때문이다.

  잠깐, 민간 내왕에 대한 기록은 고대 문헌에서 아주 적게 출현한다. 옛 바닷길에 대한 상황은 상당 부분 승려들의 구법기록에 의거할 수밖에 없다. 아이러니하게도 적산포의 장보고에 대한 기록을 포함, 신라인의 대륙 생활에 대한 기록은 또 중국이나 한국보다 일본측 문헌에 적지 않게 남아있다.

  어찌됐거나 장보고와 적산의 남다른 인연 때문에 훗날 신라에는 2개의 '적산원(赤山院)'이 나타나며, 승려 엔닌도 귀국한 후 교토에 '적산선원(赤山禪院)'을 세우고 적산 명신(明神)을 만든다. 장보고로 추정되는 이 적산 명신은 현재 적산의 서쪽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좌정하여 현지인들과 신도들의 추앙을 받고 있다.

  적산 법화원은 당나라와 신라, 일본 교류 역사의 옛 바닷길을 견증하는 유적으로 되고 있는 것이다.

  법화원은 당나라 무종(武宗, 840~846)이 도교를 숭상하고 멸불(滅佛) 정책을 실행하던 시기에 훼손되었으며, 그로부터 천년 후인 1990년 옛터에서 새로운 '적산 법화원'으로 거듭났고 현지의 일대 명소로 되고 있다.

  법화원에 부랴부랴 도착했을 때는 서녘하늘이 벌써 노을로 붉게 물들고 있었다. 휑뎅그렁한 마당에는 인적이 드물었다. 매표구의 예쁘장한 도우미는 곧 폐관한다면서 인제 입장한들 별 의미가 없다고 말한다. 아닐세라, 사진촬영을 하면서 보려니 관리원들이 벌써 하나 둘씩 퇴장을 하고 있었다.


법화원의 폐관시간이 박두, 나오는 사람만 보인다.

  정작 이날 저녁의 식탁에 오른 화젯거리는 이게 아니었다. 하얀 접시에 담겨 '진상'된 파릇파릇한 상추가 겨울의 한기와 서운함을 함께 몰아내고 있었던 것이다. 상추는 고어(古語) 그대로 '부루'라고 하는데, 연변의 방언으로는 '불기'라고 부른다. 원산지가 지중해 연안과 서아시아라고 하는 상추는 일찍 고려에서 전래되었다고 청나라의 문헌 《천록지여(天祿識餘)》가 기록한다. 그때 고려에서 들여오는 상추(종자)가 너무 비싸서 '천금채(千金菜)'라고 불렸다는 것이다. 일부 학자들은 또 같은 내용을 기록한 조선시대의 역사서 《해동역사(海東歷史)》 등의 글귀를 빌어 이 고려가 실은 삼국 시대의 '고구려'의 약칭이라고 해석한다.


적산에 좌정한 명신, 성경산에 좌정한 도교의 창시자 노자를 방불케 한다.

  이러니저러니 상추 역시 가지처럼 먼저 서토(西土)에서 반도로 유입된 후 다시 대륙으로 전래했던 것이다. 다만 그때 그 시절 가지처럼 바닷길을 따라 왔는지 아니면 육로를 걸었는지를 정확하게 알 수 없을 뿐이다. 상추쌈은 우리말에 "복을 싸서 먹는다"고 일컫는다. 사실상 상추쌈에는 이처럼 천년이 넘는 '실크로드'의 천금 같은 역사가 담겨있다.

  그러고 보면 반도와 대륙을 잇던 옛 실크로드는 야채의 상긋한 내음을 타고 동화 속의 '왕자'처럼 하나의 전설을 전하고 있는 것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72
  • '하나의 역사관 vs 다양한 역사관' 지난 12일 교육부는 한국사 국정 교과서 추진 계획을 확정·발표했다. 11월 중 집필진을 구성하고 2017년 3월 일선 학교에 국정 교과서를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논란은 거세다. ‘균형 잡히고 통일된 역사관에 입각한 국정 교과서가 필요하다는 입장’과 &lsquo...
  • 2015-10-21
  •      조선반도의 삼국승려와 대륙고찰 이야기        (흑룡강신문=하얼빈) '실크로드'는 약 기원전 2세기부터 고대 중국에서 시작되어 아시아와 아프리카 유럽을 연결한 옛 상업무역 노선으로 16세기까지 계속 보류, 사용되면서 동방과 서방의 경제와 정치, 문화...
  • 2015-10-16
  • 추석전날 연변인민방송 애청자협회 30명 애청자대표들은 주덕해동지기념비를 찾아 추모제를 올렸다.  해마다 선조들을 기리는 청명과 추석이면 이들은 어김없이 찾아가군 한다. 9년째 이렇게 찾아온 로인뢰봉반 맹인반장 김봉숙로인은 주덕해로주장에게 제술을 부어 올리면서 《로주장님 뵈러 찾아왔습...
  • 2015-09-29
  • 취궈홍 주한 중국대사 등 16일 개막식 참석   새까맣게 탄 중국군 시체를 바라보고 있는 일본군(천안=연합뉴스) 김용윤 기자= 독립기념관이 16일부터 10월말까지 중국 난징대학살 특별기획전을 진행한다. 사진은 불에 타 죽은 중국군 사체들을 내려다보고 있는 일본군. 2015.9.15 난징으로 입성하는 일제(천안=연합뉴...
  • 2015-09-16
  • 1979년에 국무원으로부터 로혁명근거지로 확정된 도문시가 항일전쟁 및 세계반파쇼전쟁승리 70돐을 맞이해 “로혁명근거지-도문”기념비를 세운 가운데 기념비 락성식이 2일, 도문시 수원광장에서 있었다. 료해에 따르면 1930년 3월 중공 동만특별지부는 하석광을 파견, 월청 석건평에 도문의 첫 당지부를 ...
  • 2015-09-08
  •  항일전쟁 승리 70주년(9월3일)을 앞두고 발표한 '항일영웅렬사' 명단에 일제시기 한국에서 중국으로 건너가 항일전에 참가했던 조선족 항일투사들도 일부 포함됐다.  국무원 비준을 거쳐 지난 25일 발표한 '저명한 항일영웅렬사 600명' 명단에는 중국공산당에 가입해 일제와 처절하게 싸왔던 박...
  • 2015-08-27
  • 중국인민항일전생 및 세계반파쑈전쟁 승리 70주년을 성대하게 기념하기 위해 국무원이 당중앙과 국무원의 비준을 거쳐 제2진 국가급 항일전쟁 기념시설, 유적지 100곳 명록과 제2진 유명 항일영웅렬사, 영웅군체 600명 명록을 공포했다. 1931년 9.18사변과 함께 항일 국지전쟁이 서막을 열어서부터 1945년 전면 승리를 거두...
  • 2015-08-26
  • 독립운동가 윤낙세에 대한 고찰 (흑룡강신문=하얼빈) 윤낙세(1877 ~ 1929)는 조선의 독립을 위해 1910년대와 1920년대에 간도와 로씨야를 무대로 반일투쟁에 일생을 바친 독립운동가이다. 1910년대초에는 권업회, 기독교우회 등 단체를 통해 군자금 모집 및 반일선전활동을 하였고 1910년대말에는 무장독립운동 단체인 신민...
  • 2015-08-17
  • 중국 문인 징메이주가 1941년 한국광복군 기관지에 기고한 '의사행' 1~3편 징메이주, 1941년 한국광복군 기관지에 한인애국단 헌시 기고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의사는 아무 일 없는 듯 폭탄을 가슴에 안고 인파 사이를 헤쳐 나가/…/의사는 손을 들어 폭탄을 투척하네/…/중화의 건아들아 부...
  • 2015-08-10
  • 본사소식 7월 31일, 주심양한국총령사관 대련출장소에서 주최하고 대련시한국인(상)회, (한)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대련지회에서 협찬한 "안중근의사 유해 발굴을 위한 방안 모색" 세미나가 중한 량국의 교수, 대련 소재 부분 기업인들과 대련국제학교 학생들이 참석한 가운데 대련부려화호텔에서 진행됐다.   ...
  • 2015-08-06
  • 동북항일련군 박물관 기본 전시로 “항전 14년-동북항일련군 력사진렬”이 다년간의 준비단계를 거쳐 8월 1일 공식 개방되였다. 전시는 9.18사변 폭발로부터 구쏘련 홍군의 동북 진입기간까지 동북항일련군 전사들이 중국공산당의 령도아래 침략군과 생사박투를 벌이고 민족 울타리를 지켜낸 력사적 증거물들이다...
  • 2015-08-03
  • (선양=연합뉴스) 홍창진 특파원 = 조선족의 파란만장한 중국 이민사를 한눈에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가 올해 안에 완간된다. 명말청초인 17세기 초 중국에 정착하기 시작한 조선족은 1952년 연변자치주 설립까지 400년에 걸쳐 험난한 근현대사를 온몸으로 겪어낸 역사를 갖고 있다. 항일무장독립투쟁과 국공내전 과정에서는...
  • 2015-07-21
  •            조선족 항일로전사 리민 '푸틴훈장' 수여받아       "중러인민이 희생으로 바꾼 승리 후대들은 잊지말아야"   (흑룡강신문=하얼빈) "2013년 12월 21일 러시아 대통령 푸틴의 명령에 따라 '1941년-1945년 위대한 위국전쟁...
  • 2015-06-10
  • 만세묘지에 묻혀있는 백년의 함성 연변의 항일운동은 언제 어디서 시작되는가   이 이야기는 한 시골노인의 어릴 때의 기억으로부터 시작된다. 7,8살 때 소를 몰고 산을 오르내리던 소년은 늘 비탈의 무명의 무덤을 지났다. 아니, 이 무덤은 주인의 이름이 밝혀지지 않았을 뿐이지 실은 무명의 무덤이 아니었다. 방창화...
  • 2015-06-01
  • 중국조선민족사학회 연변지역 리사확대회의 연변대학서   더 많은 이들이 우리 조선민족의 력사와 문화에 관심을 갖게 하고 조선족의 력사를 발굴, 선양하기 위해 중국조선민족사학회(회장 정신철)에서는 5월 22일, 연변대학에서 리사확대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우리 민족 력사연구분야의 관계자 십여명이 참...
  • 2015-05-22
  • [원제목]'애족장' 수훈자 윤낙세 후손, '2015 호국영령 위패봉안식'에 참가 항일 독립유공자 중국에서의 활동 재조명 계기 마련   ▲ 독립유공자 수훈 애족장 윤낙세 후손인 윤운걸(흑룡강신문 길림성 특파원)씨와 그의 부인 박진숙씨 [서울=동북아신문]'2015년 제2회 한국 호국영령 합동 위패봉안...
  • 2015-05-21
  • [항일전쟁은 몇년인가?] 노구교의 돌사자에 깃든 옛 이야기   원상대로 보존되여 있는 노구교  옛 다리바닥부분 기실 노구교(盧溝橋)의 이 이야기는 황당한 일로부터 시작된다. 노구교의 저쪽에서 일본군이 훈련을 마치고 귀영하던 도중 병사 한명이 뒤를 보러 가면서 그만 낙오를 했다. 나중에 일본군은 이 병사...
  • 2015-04-09
  • 료녕신문소식: 항일의사 안중근 순국 105주년 도편순회전시회가 3월 31일 신빈만족자치현 조선족중학교에서 열렸다. 료녕성 동북항일련군 항일전쟁사연구회, 료녕동북아 경제문화추진회, 심양시9.18력사박물관, 한중교류문화원, 심양시조선족 제1중학교, 료녕대학 동북아연구중심에서 주최하고 료녕성 조선족로인촬영가협회...
  • 2015-04-02
  • 《3.13》반일집회 유적지에서 열심히 필기하고있는 룡정중학교 학생들. 3월 14일 오전, 룡정《3.13》기념사업회는 《3.13》반일운동 96주년, 항일전쟁 승리 70주년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룡정시조선족녀성민족무용협회 회원 30여명과 룡정중학교 사생 30명이 참가한 《3.13》반일시위 유적지와 로정 답사활동을 조직하였다....
  • 2015-03-16
  • 룡정《3.13》기념사업회 리광평회장에 따르면 룡정시에서는 《3.13반일운동》 96주년을 맞으며 추모제, 기념좌담회, 《3.13》반일운동유적지답사 등 기념계렬활동을 조직하게 된다. 3월 13일 오전 10시부터 룡정시 《3.13》반일의사릉에서 진행되는 추모제 행사에는 룡정시 당위와 정부, 심양한국총령사관, 룡정《3.13》기...
  • 2015-03-11
‹처음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