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로고
익혀 먹기前에도… 인간, 요리 덕분에 진화했다
조글로미디어(ZOGLO) 2016년3월17일 08시23분    조회:1697
조글로 위챗(微信)전용 전화번호 15567604088을 귀하의 핸드폰에 저장하시면
조글로의 모든 뉴스와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고 친구들과 모멘트(朋友圈)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사이언스]

날고기 그냥 씹어 먹기 힘들어 썰거나 두들기는 요리부터 시작

먹는 시간 크게 줄어들어 다른 활동할 시간 늘어나

턱 작아져 뇌 커질 공간 생기고 침팬지와 달리 말할 수 있게 돼

火食하기 100만년 전부터 호모 에렉투스 뇌용량 커져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고.

다양한 음식을 통해 얻는 기쁨은 지구상에서 인간만이 누릴 수 있는 전유물이다. '살기 위해 먹느냐, 먹기 위해 사느냐'는 말이 있을 정도다. 이는 모든 동물 중에서 오직 인간만이 불을 사용하고 도구로 요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최초의 요리는 어떤 형태였을까. 지금까지는 불에 음식을 구워 먹는 '화식(火食)'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하지만 인류의 조상은 화식보다 먼저 잘라 먹거나 다져 먹는 형태의 요리를 시작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구운 고기보다 자른 고기가 먼저였다는 것이다.

요리는 진화의 원동력

미국 하버드대 진화인류학과 대니얼 리버만 박사는 최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게재한 논문에서 "인류의 조상은 불에 굽는 요리법을 배우기 훨씬 전부터, 석기(石器)를 이용해 고기나 채소를 썰거나 두들겨 먹는 요리법을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요리는 단순한 즐거움 이전에 인간이 원숭이와 갈라져 진화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기도 하다. 인간은 수렵이나 사냥을 통해 얻은 고기와 채소를 좀 더 먹기 쉬운 형태로 만들어 섭취하면서 영양분을 얻을 수 있었다. 인간의 사촌인 침팬지의 경우 주식인 과일을 먹는 데만, 매일 6시간을 투자한다.



간단한 석기를 이용해 잡아온 고기를 잘게 썰거나 다지는 인류의 조상들을 그린 상상도. 요리법을 개발하면서 인류는 급격히 진화했다. 오른쪽 사진은 침팬지의 머리(위쪽부터)와 인류의 조상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턱뼈, 인간의 턱뼈.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침팬지와 큰 차이가 없지만, 인간은 턱과 이가 훨씬 작아졌다. 요리가 이런 급격한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추정된다. /Getty images·사이언스 제공

하지만 인간은 훨씬 더 많은 영양분이 농축된 고기를 요리해 짧은 시간에 섭취할 수 있다. 씹고 먹는 데 투자하는 시간이 줄어들면서 다른 활동을 할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났다. 또 음식의 형태가 변하면서 턱뼈와 구강 구조도 그에 맞게 변했고, 뇌가 커질 공간이 생겼다. 원숭이나 침팬지와 달리 말을 할 수 있게 된 것도 이런 변화 덕분으로 추정된다.

1990년대 하버드대 리처드 랭엄 교수는 이런 진화의 배경에 음식을 불에 구워 먹는 '화식'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인간의 조상인 호모 에렉투스의 뇌는 약 160만~180만년 전에 갑자기 커지기 시작했는데, 이는 그들이 고기와 덩이뿌리 채소를 불에 굽는 방법을 터득한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랭엄 교수는 쥐와 뱀 등을 이용한 실험에서 동물이 날고기 대신 익힌 고기를 먹을 때 훨씬 빠르고 크게 성장한다는 사실도 입증했다.

하지만 랭엄 교수의 이론에는 결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인류의 조상 거주지를 통해 분석한 결과 화식이 광범위하게 사용된 것은 50만년 전부터다. 호모 에렉투스의 뇌가 커진 시점과 무려 100만년 이상의 차이가 있다. 리버만 박사는 "화식 이외에 음식을 섭취하는 다른 방법을 개발했다는 것 이외에는 설명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석기 등장과 진화 시기 일치

리버만 박사는 어떤 종류의 요리법이 씹는 시간을 줄이는지 실험했다. 먼저 고기와 채소를 '날것 덩어리' '간단히 저미거나 두들긴 것' '익힌 것' 등 세 가지로 만들었다. 고기는 육질을 부드럽게 개량한 현재의 소가 아니라 수백만년 전의 형태에서 거의 진화하지 않은 염소를 사용했다. 그다음엔 수십 명의 실험자 얼굴에 전극(電極)을 부착하고 각 음식을 먹는 데 필요한 시간과 힘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인간은 물론 침팬지라고 해도 질긴 날고기를 씹어 먹는 것은 거의 불가능했다. 실제로 침팬지는 고기를 아주 예외적인 경우에만 먹는다.

간단히 저미거나 두들긴 고기의 경우에는 날고기보다 17% 이상 씹는 횟수가 줄어들었다. 횟수로만 따지면 1년에 250만번은 덜 씹을 수 있는 수치이다. 연구팀은 씹는 횟수가 줄어드는 것만으로 인류의 조상은 이와 턱의 크기를 줄여 뇌가 자랄 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기를 저미거나 두들기는 것은 석기로 쉽게 할 수 있다. 석기가 광범위하게 사용된 시기는 호모 에렉투스의 뇌가 갑자기 커지기 시작한 시기와 일치한다. 리버만 박사는 "화식이 인류를 급격히 진화하도록 했다는 기존 이론보다는, 저민 고기를 먹으면서 진화를 시작하고 화식으로 진화가 마무리됐다는 쪽이 훨씬 설득력이 있다"고 말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5
  • 原标题:战火熔铸的光辉人生 【英模小传】毛岸英,湖南韶山人,毛泽东长子,生前系中国人民志愿军司令部俄语翻译和秘书。1946年,毛岸英参加苏联卫国战争后回到延安,同年加入中国共产党。在解放区搞过土改,做过宣传工作,当过秘书。1950年,毛岸英主动请求奔赴抗美援朝战场。11月25日,美军轰炸机突然飞临志愿军司令部上...
  • 2015-07-14
  •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사람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다. 하지만 콜럼버스보다 2800년 앞서 미 대륙을 탐험한 중국인들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콜럼버스가 1492년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것보다 2800년 앞서 중국인들이 먼저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했다는 증거라고 존 러스캠프가 제시한 그림. 사진=데일리메일....
  • 2015-07-12
  • [수교 50년, 교류 2000년 한일, 새로운 이웃을 향해]수성(水城)과 다자이후 다자이후 뒷산에 있는 대야성 흔적. 산허리를 따라 돌을 쌓아 성벽을 만든 전형적인 백제식 산성이다. 지금은 다 허물어지고 몇백 m 구간만 흔적이 남아 있다.   663년 백강전투에서 치명적 피해를 입은 왜(倭)는 이후 나당연합군의 공격에 ...
  • 2015-07-06
  •  "무제한 무력 사용"…미국의 한국전 1급 비밀 보니 한국전쟁이 발발했을 때 해리 트루먼 미국 대통령이 미국 극동사령부에 북한에 대한 무제한 무력 사용을 승인하는 내용의 전문이 공개됐다.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은 27일(현지시간) 웹사이트의 ‘오늘의 문서’ 항목에 6·25전쟁이 벌어진...
  • 2015-06-30
  •  “이승만 정부, 한국전쟁 발발 직후 일 망명 타진”   6.25 전쟁 당시 이승만 정부의 대처에 대해 역사적 논란이 적지 않은데요. 그 가운데 하나가 '일본 망명 정부 요청설'입니다. 이승만 정부가 실제로, 당시 일본 정부에 '6만 명 망명 의사'를 타진했고, 일본이 '한국인 피난...
  • 2015-06-24
  •     지난해 이란 테헤란에서 발견된 7000년 전 인류의 유골을 바탕으로 실제 얼굴이 복원돼 관심이 모이고 있다.   19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현지 전문가들은 3D 컴퓨터 모델을 이용해 테헤란의 한 거리에서 발굴한 7000년 전 유골을 분석하고 실제 얼굴로 추정되는 모습을 이미지로 재현하...
  • 2015-06-20
  • 100년전 우리조상들의 삶의 모습 기록물          김개남(1894) 전봉준과 함께 동학농민을 이끌고  봉기했다  경인선 기차(1910) 기차를 타보기 위해 승객들이  객차에 오르느라 소란을 빚고 있다. 기차를 처음타본 승객들은 기차가 정지하기 전 뛰어내려 사고가 많았다.   ...
  • 2015-04-28
  • 대한제국 붕괴 후 임정 수립 때까지 대일투쟁 본부…역사 현장 발굴, 복원 시급   안중근 의사의 흔적이 담겨 있는 연추창의소 자리를 찾아냈다고 설명하는 오명환 두만강개발유한공사 회장.    광복 70주년이다. 우리는 무엇을 어디서부터 기려야 하는가. 기자는 일본에게 당한 36년을 ‘일제강...
  • 2015-04-20
  • '흘긴 눈'으로 독립된 조국을 꿈꾸다! '까만 선글라스' 사실은 음독 기도의 후유증 부친부터 외손녀까지 4대에 걸친 민족 운동 독립 무산되자 정부!정부! 외치며 43살 절명 [충북일보] 신규식(申圭植, 1880~1922)은 1911년 상하이로 건너가 쑨원 등 중국혁명인사들과 함께 신해혁명에 가담하고 그곳에 한국...
  • 2015-04-20
  •  "위안부 時限, 앞으로 5년… 할머니들 살아계실 때 해결해야"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 인터뷰] 위안부, 식민지 시대 벌어진 가장 잔혹한 일… 이 문제 풀지 못한다면 韓·日 갈등 사라지지 않아 아베, 위안부 부정해왔지만 총리로서 해결 나서야 .par:after{display:block; clear:both; con...
  • 2015-04-17
  • 히로히토 일왕이 1984년 9월 전두환 대통령의 방일 당시 공식만찬에서 한·일 과거사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는 만찬사를 읽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외교부, 30년 지난 외교문서 26만쪽 공개 전두환정권이 동서냉전 시절 세계 양강이던 미국과 소련(러시아의 옛 명칭)을 제치고 중국과 일본이 먼저 남북한을 교차 승인하...
  • 2015-03-31
  • 안중근 의사 추도사하는 서청원 의원 (다롄=연합뉴스) 신민재 특파원 = 26일 안중근 의사 순국 105주기를 맞아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 뤼순구에 있는 뤼순감옥박물관에서 열린 안 의사 추모식에서 새누리당 서청원 의원이 추도사를 하고 있다. 2015.3.26 smj@yna.co.kr (다롄=연합뉴스) 신민재 특파원 = 안중근 의사 순국 1...
  • 2015-03-28
  • 21일 오후 서울 용산구 효창원 안중근 의사 묘역에서 안중근 의사 순국 105주년 추모식이 열렸다. 안 의사의 가묘 비석에 "이곳은 안중근 의사의 유해가 봉환되면 모셔질 자리로 1946년에 조성된 가묘입니다"라고 적혀있다. 국가보훈처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중국 뤼순감옥 묘지 터에서 안중근 의사 유해 탐지 작업을 벌일...
  • 2015-03-26
  • [부산·하얼빈·모스크바 거쳐 베를린 올림픽 출전] 손기정기념재단 공개 /*기사 본문 유형별 포토 팝업 탭 div*/ a.pop_btn_mov { width:90px; height:90px; display:block; position:absolute; top:50%; left:50%; margin-top:-45px; margin-left:-45px; background: url(http://image.chosun.com/cs/articl...
  • 2015-03-13
  • 280만 년 전 아래턱뼈 화석 발견 미국 네바다대 팀, 에티오피아서 학계 "교과서 바꿀 놀라운 사건" 약 280만 년 전 살았던 초기 인류(사람속·genus Homo)의 화석이 발견됐다. 지금까지 발견된 것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전문가들은 “인류학 교과서를 바꿔야 할 만큼 놀라운 발견”이라고 평가했다....
  • 2015-03-05
  • 오스트리아에서 독일 나치 정권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핵폭탄 등 무기개발에 활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지하 공간이 70여년 만에 모습을 드러냈다. 28일(현지시간) 영국 선데이타임스에 따르면 지난주 오스트리아 남부 도시인 성 게오르겐 안 데르 구센 인근에서 나치가 2차 대전 막바지쯤 운영한 지하 공간(사진)이 지표면...
  • 2014-12-28
  • 중국 중앙TV방송(CCTV), 강소성 라디오TV방송국이 공동제작한 5부작 스페셜다큐 "1937 남경기억"이 CCTV1, CCTV10 채널, 외국어채널, 강소TV, 중국인터넷방송(CNTV)에서 방영된다. 첫 남경대학살 희생자 국가추모일(12월 13일)을 맞아 제작한 이 다큐는 역사적 사실에 기초해 남경대학살에 대한 중국, 일본, 서방세계의 기...
  • 2014-12-15
  • (베이징=연합뉴스) 이준삼 특파원 = 중국이 올해 처음으로 맞는 난징(南京)대학살 희생자 국가추모일(12월13일)을 앞두고 대학살의 참상을 회상하고 일제만행을 고발하는 TV 시리즈물 방영에 돌입했다. 중국언론들은 관영 신화통신을 인용해 난징광전(光電)집단이 제작한 난징대학살에 관한 TV 시리즈물 '청상'(城...
  • 2014-11-26
  • 11월22일 강서성 서창시 마두지 량공촌에서 옛무덤이 발견되였는데 당지 문물보호부문은 지금으로부터 1700년전의 륙조시기 옛무덤이라고 초보적으로 단정했다. 23일 당지문물보호부문은 옛무덤을 발굴하면서 14건의 진귀한 문물들을 발굴했다./중신넷
  • 2014-11-25
  •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핑팡구에 있는 일제 731부대 유적 내 보일러동의 모습. 일제는 1945년 2차 대전 패전 직후 생체 실험 관련 문서 등 731부대 기록들을 이곳에서 소각했다.(연합뉴스 자료사진) (베이징=연합뉴스) 이준삼 특파원 = '항일전쟁승리 70주년'(2015년)을 1년 앞둔 올해 전방위적인 '일제만행...
  • 2014-11-17
‹처음  이전 2 3 4 5 6 7 8 9 10 11 1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