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로고
[옛마을 새마을] 한왕(罕王)의 선봉관(先鋒官) 박씨와 그의 마을
조글로미디어(ZOGLO) 2017년4월20일 13시27분    조회:2160
조글로 위챗(微信)전용 전화번호 15567604088을 귀하의 핸드폰에 저장하시면
조글로의 모든 뉴스와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고 친구들과 모멘트(朋友圈)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옛 마을 새 마을,우리네 전설은 이어진다

      (흑룡강신문=하얼빈) 박씨의 선조는 일찍 청나라 군대를 따라 산해관(山海關)을 넘어섰다. 만주 8기(八旗)의 정백기(正白旗) 일원이었으며 또 선봉관을 담임하고 있었다고 전한다. 참고로 정백기는 한왕(罕王) 누르하치가 처음으로 설립, 기(旗)에는 왕이 없었고 병사는 황제의 친병이었다.

  선봉관으로 선견부대의 장령은 험지에서 늘 앞장에 서야 했다. 실제 박씨의 선조는 전장에서 중상을 입은 적 있다고 박동립(朴東立, 80세) 옹이 가족의 전설을 전했다.

  "청나라가 북경에 도읍을 세운 후 선조님은 교구의 향하(香河)에 정착했다고 하지요."

  이때부터 박씨 족보의 첫 머리는 "대청조내무부정백기구갑화호(大淸朝內務部正白旗九甲花戶)"로 되어 후손에게 전하고 있었다. 그로부터 약 100년 후인 옹정(擁正, 1723~1735) 연간 박충문(朴忠文)과 그의 동생 박종문(朴宗文)이 10여명의 가족과 함께 당산(唐山) 동쪽 근교의 야리촌(冶里村)에 이주했다고 박동립 옹이 마을의 향토지에 저술하고 있었다.

당산 야리촌의 마을 입구, 여느 한족마을과 다름이 없는 풍경이다.

  박동립 옹과 그의 형 박동성(朴東成, 89세) 옹을 촌민의 안내로 만났다. 박동립 옹은 야리촌의 전 촌장이었고 박동성 옹은 마을 박씨의 최고의 연장자라고 했다.

  박씨네 두 형제는 야리촌에 정착한 박충문을 하나같이 일곱째 조부(七太爺)라고 부르고 있었다. 야리촌의 박씨는 모두 박충문의 후대이며 여덟째 조부인 박종문은 후손이 없다는 것이다.

  "그분들은 모두 여덟 형제였다고 전하는데요, 다른 여섯 형제는 산해관 북쪽으로 돌아갔다고 합니다.

  박씨 가족에 구전하는데 따르면 박충문 형제의 선조는 요녕성(遼寧省) 지역에서 만주 8기에 편입되었다고 한다. 그러고 보면 여섯 형제가 실은 옛 고향 마을로 돌아갔다는 설이 나올 법 한다. 요녕성의 일부 지역에는 박가구(朴家溝), 박보(朴堡) 등 옛 박씨 마을이 잔존한다. 마침 시기적으로 박충문 형제의 선조가 만주 8기에 편입되었던 그 무렵에 생긴 마을이다. 이런 박씨 마을의 선인은 대개 정묘호란(丁卯胡亂, 1627)과 병자호란(丙子胡亂, 1636)의 조선인 포로로 구성되었으며 내무부 포의(包衣, 노복)로 되었다고 전한다. 그러나 하북성 여러 마을 박씨의 선조가 동일한지는 고증할 길 없다고 1990년대의 《하북성지(河北省志)》가 밝히고 있다. 아무튼 야리촌처럼 하북성의 여러 마을에 집거하거나 잡거하는 박씨의 선조는 모두 청나라 군대를 따라 산해관을 넘어섰다고 유전되고 있다.

  정작 다른 박씨의 마을이 하북성의 북부 지역에 여럿이나 있다는 사실은 1986년에 비로소 알게 되었다고 박동성 옹이 말하고 있었다.

  "지방 신문에서 승덕(承德) 당패진(党壩鎭)의 박가원(朴家院) 마을 이름을 읽고 그들에게 편지로 연락을 했지요."

  박가원은 또 부근 평천현(平泉縣) 칠구진(七溝鎭)의 마을 박장자(朴杖子)에 살고 있는 박씨와 함께 같은 돌림자를 쓰고 있었다. 그들 두 마을의 박씨는 마을 이름이 달라도 동일한 선조를 삼고 있다는 얘기였다. 이때 박동성 옹은 그들에게 대물림으로 전하는 돌림자를 받게 되었다. 이 돌림자는 차례로 "세문천준용/광수청점창/수준방걸서/경흥의옥상(世文天俊勇/廣修淸占昌/樹俊芳傑瑞/景興義玉祥)" 등 20자였다.

마을의 연장자 박동성 옹이 박씨 가족의 돌림자를 글로 적고 있다.

  정말로 박씨의 선조가 그의 후손에게 내린 천운이었을까, 박동성 옹은 박씨의 이 돌림자에서 그들의 뿌리가 실은 평천의 박씨 마을과 같다는 실오리 같은 단서를 찾았다.

  "글자돌림을 보세요. 일곱째 조부 형제의 이름자에 있는 '문(文)'이 두 번째에 놓여 있지 않습니까?"

  비록 20년 세월이 흘렀지만 박동성 옹은 아직도 자못 흥분된 모습이었다. 이 20자 돌림자라면 야리촌의 박동성 옹도 돌림자를 전했던 박가원의 박준창(朴俊昌)과 같은 항렬의 10대손이 된다.

  야리촌의 박씨는 일곱째 조부 박충문을 시조로 삼은 후 5대손까지 글자돌림을 사용했다. 그러나 5대손의 이 다섯 글자의 글자돌림은 박가원에 전하는 20자 돌림자에 있지 않았다. 또 박가원의 박씨 역시 황제기 직접 통솔하던 친병이었지만 야리의 박씨와 달리 양황기(攘黃旗)라고 전하고 있었다. 박충문의 두 형제 이름자는 20자 돌림자의 글월 '문(文)'과 우연히 합치했을 수 있다는 얘기가 된다. 이 글자돌림마저 5대 후 야리촌 박씨의 집안끼리 각각 만들어졌다고 박동성 옹이 말했다.

  그래서일까, 3백년 후 만난 야리촌과 박가원 두 마을의 박씨는 이때 족명(族名)도 서로 달랐다. 박가원의 박씨는 만족이었으며 야리촌의 박씨는 조선족으로 되고 있었다. 박동성 옹은 실은 야리촌의 박씨도 모두 만주 8기에 소속된 선조를 따라 시초에는 족명을 만족으로 썼다고 말했다. "일본이 중국을 강점하던 그 시기에는 또 한족이라고 밝혔지요. 만족이라고 말하면 그 무슨 피해를 입을 지 두려워서 노인들이 족명을 바꿨다고 합니다."

  1986년, 하북성에서 민족 족명을 확인할 때 야리촌의 박씨는 조선족으로 개명되었다.

  "우리의 원적(原籍)은 조선반도 신라의 조선족(인)이지요. 그때 비로소 진실한 족명을 찾은 거지요."

  박동립 옹은 신라의 옛(시조) 국왕의 성씨가 바로 그들의 박씨라는 걸 알고 있다고 거듭 말하고 있었다.

  그렇다고 야리촌의 박씨가 하북성 박씨 마을의 최초의 조선족 박씨는 아니었다. 일찍 공화국의 창립 초기, 청룡현(靑龍縣)의 박씨는 민족을 식별할 때 이미 조선족으로 인정되고 있었다고 《하북성지(河北省志)》가 전하고 있다.

  사실상 박씨의 선조가 야리촌으로 이주할 무렵 하북성 북부의 천진(天津)에서 거부로 있던 안기(安岐, 1683~?)는 그때부터 벌써 조선인(족) 신분으로 세간에 전하고 있었다. 안기는 소금 장사를 하여 돈을 모았으며 중국 최대의 서화 수장가로 되었다. 그가 수장했던 서화에는 '조선인', '안기의 인감' 등이 찍혀있어 그의 족명을 명백하게 알리고 있다. 유감스럽게 안기는 생애 후반에 가문이 기울면서 그의 후손을 세상에 알리지 못하고 있다. 박씨처럼 조선반도 고유의 특이한 성씨가 아닌 연유라고 하겠다. 만일 안기의 후손이 존속하고 있었더라면 그들의 족명도 박씨처럼 조선족이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

  야리촌의 박씨는 정착한 후 지금까지 13대 존속하고 있었다. 현존하는 제일 높은 항렬의 박씨는 8대손이었다. 박동성 옹과 박동립 옹 형제는 그 뒤를 이은 9대손이었다. 야리촌에는 1천여 가구, 3천여 명이 살고 있었다. 와중에 박씨 가족은 106가구, 413명이며 조선족 혈통의 인구는 기타 성씨의 며느리 등을 제외한 300여명이라고 박동립 옹이 밝혔다.

1980년대의 박동성 옹의 가족사진, 아내와 며느리를 제외하고 본인과 아들 그리고 손자손녀는 전부 조선족으로 되어 있다.

  "조선족이라고 예전에는 양점(糧店, 쌀가게)에서 달마다 인당 쌀 몇 근과 콩기름 한두 근을 더 배급했지요." 박동성 옹이 이렇게 동생 박동립 옹의 말을 곁들였다.

  1730년을 전후하여 박충문과 박종문 형제는 가족을 데리고 야리촌에 이주했다. 이에 앞서 에피소드가 하나 있었다. 강희(康熙, 1662~1722) 연간 박씨는 관가의 아속(衙屬)과 말다툼을 벌리다가 부(府)의 행정장관인 지부(知府)를 파직하게 만들었던 것이다.

  어느 가을날, 지부의 부인이 박씨 과수원을 노닐었다고 한다. 그는 황실의 특혜를 받는 박씨를 시샘, 노복을 시켜 일부러 과수를 훼손했다. 부인은 또 과수원의 주인인 박씨를 면전에서 모욕했다. 이 일은 나중에 강희 황제의 귀에 흘러 들어갔다. 황제의 유모가 바로 박씨 가문의 여인이었던 것. 이 유모 훗날 칙지에 의해 '봉성부인(奉聖夫人)'이라고 불린 모모한 인물이다. 결국 그 지부는 강희 황제에게 면직되어 일개 서민으로 되었다고 한다.

  종국적으로 이 사건은 박씨는 지부 등과 암투를 벌이게 된 듯하다. 미구에 박충문 형제는 부득불 도읍인 북경성을 떠나는데, 이는 원수를 피하기 위해서였다고 박씨의 후세에 전하고 있었다.

기자를 배웅하는 박씨 형제, 앞 인물이 박동성 옹이며 뒷 인물이 박동립 옹이다.

  선조가 정착한 야리촌은 산을 등에 두고 강을 끼고 있으며 땅이 기름지다고 박동립 옹이 입 마르게 자랑하고 있었다.

  "옛날에는 양식으로 쓰는 쌀이 많은 마을이라는 의미로 '양미장(糧米庄)'이라고 불렸다고 하지요."

  이에 따르면 야리촌의 이름은 실은 제철업이 아닌 쌀 때문이라는 것이다. 박씨의 시조 박충문 가족은 야리촌 부근에 수백 정보의 땅을 보유한 큰 지주였다. 비록 북경 교구의 향하처럼 벌판에 말을 달려 말뚝을 박고 울타리를 세우지 못했지만, 해가 저물기 전에 길을 다우치려면 박씨네 땅에 있는 우도(牛道)를 재촉해야 했다고 항간에서 전하고 있었다. 야리촌 주변의 "남해연(南海沿)과 북해투(北海套), 주장자(周庄子), 대석교(大石橋), 장업장(張業庄)"의 땅은 전부 박씨 가족의 소유였다고 전한다.

  "일곱째 조부님은 또 해마다 향하에 가서 소유지의 곡물을 챙겨 왔다고 합니다."

  잠깐, 향하로 가는 옛 역마 길에는 고려포(高麗浦)가 있었다. 조선 후기의 연행록(燕行錄) 《열하일기(熱河日記)》에 나오는 그 유명한 마을이다. 당산의 바로 북쪽에 위치하는데 야리촌과 불과 50리 정도 상거한다. 그곳은 "병자호란 후 포로로 잡혀온 (조선) 사람들끼리 한 마을을 이루고 사는 곳"이라고 《열하일기》는 전하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열하일기》의 저자는 조선의 실학자 박지원(朴趾源)으로 역시 박씨 성이다. 박지원의 기록에 따르면 "산해관 동쪽 천여 리에 걸쳐 논이라곤 없더니 홀로 이 땅에만 벼를 심고 있으며 떡과 엿은 본국 조선의 모습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역마 길 부근의 국도에 있는 고려촌 촌민위원회 청사.

  연행록에 특별히 고려포가 등장하는 것은 사행단(使行團)마다 이곳에 숙박을 했기 때문이다. 고려포에는 '고려역참'이 있었는데 "본채에 기둥이 다섯 개요, 동서 곁채에 기둥이 열 개"였으며 또 "사당 한 채, 관공서 한 채"가 있었다고 《풍윤현지(淸•豊潤縣志》가 전하고 있다. 기실 고려포는 명(明)나라 융경(隆慶, 1567~1572) 연간에 벌써 '고려포보(高麗浦堡)'로 정식 명명했다. 이에 앞서 당(唐)나라 태종 이세민(李世民)이 동정(東征)할 때 연도에 역참과 점포를 두었으며 고려포라는 이름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고 전한다. 마을의 지명 유래를 조사했던 풍윤현의 관원 왕덕성(王德成) 씨의 말에 따르면 당나라 조정이 이곳에 구역을 정하고 고구려인이 사용하게 했다는 것이다.

  그럴지라도 당산 근처의 박씨 선조가 고려포거나 고려포의 사행단과 왕래를 했다는 문헌은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고 있다. 박동립 옹과 박동성 옹도 이 이야기가 나오자 하나처럼 머리를 흔들고 있었다.

  "당산 부근의 마을이라서 이름을 자주 들었지요. 하지만 그런 얘기는 처음인데요."

  미상불 조선족이라는 족명도 이처럼 박씨와 서로 다른 시공간을 사이에 두고 있는 듯 했다. 야리촌의 박씨는 언어는 물론 민족문화나 민속, 생활습관이 현지의 한족과 다름이 없다고 한다. 다만 박씨 동성은 결혼하지 못한다는 불문율이 있을 뿐이었다.

  1791년 사행단에 나섰던 남연(南燕) 김정중(金正中)이 그의 《연행록》의 글줄에 남긴 애달픈 감회가 가슴에 물큰 젖어 오른다.

"…아아, 너희 조상들이 포로로 잡혀 이곳으로 들어온 환란이 없었던들 너희의 관대(冠帶)도 내내 우리들 일행과 같았을 것이다. 한번 잡혀온 뒤로부터는 후손이 전부 호인(胡人)의 말이요, 얼굴이니 슬프다. 그러나 한 마을을 이뤄 옛 나라의 이름을 잃지 않았으니 기이하다."

김호림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72
  • 더불어민주당 여성위, '류석춘 교수 파면하라'(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류석춘 연세대 교수는 지난 9월 '발전사회학' 강의에서 일본군 위안부가 '매춘의 일종'이라고 발언했다. (서울=연합뉴스) 권선미 기자 = 수업 도중 일본군 위안부를 성매매에 비유하고, 이에 항의하는 여학생에게 성희롱...
  • 2019-12-27
  •   모안영 순국기념일인 11월 25일, 30여명 심양시 조선족 로인들이 항미원조렬사릉원을 단체로 참배했다.   이들은 또한 민간단체 항미원조렬사감은퇀 제2퇀의 성원들이다. 심양시 화평구 서탑가두 주민구역써비스센터 손열(孙悦) 주임을 단장으로 하는 항미원조렬사감은퇀은 중국공산당 창건 100주년과 항...
  • 2019-11-26
  • [연변]모주석이 리종률에 총을 장려하다 지난 10월 1일, 집에서 수도 북경에서 거행된 새 중국 창건 70돐 맞이 열병식 생중계를 관람하는 룡정시 로투구진 로서촌의 로민병 리종률의 눈가에는 눈물이 맺혔다. 보무당당 천안문광장을 지나는 열병대오를 보면서 리종률은 천천히 70년전의 기억을 떠올렸다.    196...
  • 2019-10-18
  • [70년 기억속의 연변]    이 오래된 흑백사진은 1962년 6월 22일에 촬영한 것으로 변강인민들에 대한 주은래총리의 사랑을 기록했다.   당시 연변에서 시찰중이던 주총리는 주당위 뒤 울안에서 전 주 간부사업회의를 마친 뒤 연변호텔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총리가 연길에 오셨다는 소문을 듣고 수천명...
  • 2019-10-16
  • 9월18일 "9.18"사변 88돐을 맞아 장춘시 각계 인사들은 장춘위만황궁박물원 동북함락사진렬관에서 선서, 서명 등 다양한 기념활동들을 펼치였다./중신넷 
  • 2019-09-19
  • [머니투데이 김성은 기자] [2차 대전 후 '하켄크로이츠' 사용 불법으로 금지한 獨과 달리 日에선 해상자위대 등 군기로 여전히 사용] /사진=AFP"IOC(국제올림픽위원회)는 이 논의(경기장 내 욱일기 허용)의 초기부터 경기장은 어떠한 정치적 주장의 자리가 돼서는 안된다고 말해왔다. 대회 기간 중 문제가 생겼을 경...
  • 2019-09-14
  •     (흑룡강신문=서울) 우리민족 기원 연구에 대한 국제학술회의(Korean Origins Research International Symposium)가 지난 8월 30일(금)에 한국국제교류재단(이사장 이시형, 이하 KF) 글로벌센터세미나실(서울 중구 수하동)에서 개최되었다. 회의에는 한국과 중국 일본 미국 호주 등 지역의 ...
  • 2019-09-10
  • 日 강제동원 피해자 영상 세계가 호응 / 4분 분량 ‘당신 탓이 아닙니다’ / 일주일 만에 조회 13만건 달해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담은 영상의 한 장면.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일본의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입장과 목소리를 담은 해외 홍보 영상 ‘당신 탓이 아닙니다(It’s not your&...
  • 2019-09-05
  • 민주당 이석현 의원 "동포사회 영향력 키우려 무리한 해석" 김좌진 장군[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오수진 기자 = 초등학교 교과서에 윤동주 시인이 '재외동포'로 기술된 것을 두고 논란이 발생한 가운데 이를 추진한 재외동포재단(이하 재단)이 윤동주 시인 외에도 김좌진, 홍범도 장군 등 다른 독립운동...
  • 2019-08-22
  • 합니하, 삼원포에서 신흥의 흔적을 찾다(하)          김창영 이제, 일행은 신흥무관학교의 전신인 경학사 옛터를 답사할 차례다. 신흥무관학교는 널리 알려졌으나 "경학사" 하면 머리를 갸우뚱 할 사람이 있음직 하여 먼저 "만주 벌판에 뿌린 조국 광복의 씨앗"(박도)이란 글에 소개된 경학사의...
  • 2019-08-06
  • 소녀상 출품된 나고야 아이치트리엔날레 기획전, 사흘만에 중단 소녀상, 2012년 도쿄도립미술관 이어 두번째 철거 日 정부, 전방위 압력…작가·큐레이터들 "일방 통보" 반발 일본 '아이치 트리엔날레 2019' 출품된 `평화의 소녀상'(서울=연합뉴스) 다음달 1일 일본 아이치(愛知)현 나고야(名古屋)...
  • 2019-08-03
  • 한국 대전시교육청은 교원 및 교육전문직원 29명을 조직해 23일부터 28일까지 5박 6일간 ‘2019년 교원 력사, 통일 력량강화 연수'를 실시했다.     이번 연수는 '3·1 독립운동' 및 '한국 림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추진되였다. 두만강과 압록강을 따라 독립운동...
  • 2019-07-31
  • 료녕성조선족련의회가 임기교체 후 첫 스타트로 공화국 창립 70주년을 계기로 우리 민족의 발전력사와 예술경지를 보여주는 작품전을 기획해 성내 여러 도시에서 순회전을 할 예정이다.  7월 18일, 중화인민공화국 창립 70주년 경축 테마의 '료녕성조선족...
  • 2019-07-19
  • 중국항일투쟁 연고자가족들이 9일 조선 국제친선전람관을 참관하였다.   그들은 전람관에 모신 김일성동지, 김정일동지, 항일녀성영웅 김정숙동지의 랍상을 우러러 인사를 드렸다.   연고자가족들은 세계 수많은 나라의 당 및 국가, 정부수반들과 저명한 인사들이 보낸 선물들을 감동속에서 돌아보았다. 중국항...
  • 2019-07-16
  • 평화의 소녀상. /연합뉴스 평화의 소녀상에 침을 뱉는 등 모욕적 행위를 했던 한국인 청년 4명 중 일부가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에 대한 사과를 끝내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그동안 고소장 제출을 미뤄왔던 나눔의 집은 지난 10일 경찰에 고소장을 제출했다.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보호시설 ‘나눔의 집&rsquo...
  • 2019-07-12
  • 제1편 동북항일련군 장교 동북항일련군 제1군―위급 군관 최일현(崔一贤, 1906―1939): 동북항일련군 제1로군 제2방면군 제7퇀 제4련 련장 1906년 8월 17일, 조선 함경북도 명천군에서 출생했고 1932년에 유격대에 입대했으며 1939년 봄에 동북항일련군 제1로군 제2방면군 제7퇀 제4련 련장이 되였다. 같은 해 12월 17일, ...
  • 2019-07-11
  •    ‘일대일로’ 건설과 변강민족지구 및 과경민족발전을 주제로 한 중국조선민족사학회 2019년 학술년회가 7월 2일부터 3일까지 이틀간 장춘에 있는 길림건축대학교에서 열렸다. 사학회 정신철&nbs...
  • 2019-07-03
  • 칭다오 조선족단체 팸투어 처음으로 신비의 태항산 답사   칭다오 조선족단체 팸투어 처음으로 신비의 태항산 답사     (흑룡강신문=칭다오)이계옥 특약기자=황산, 태산, 장가계, 화산, 장백산 등 이미 널리 알려진 중국 명산을 다녀온 조선족은 많아도 요즘 새로 부상하는 태항산을 찾는 사람은 별로 많지 않...
  • 2019-06-24
  • 동북항일련군 투쟁형세도 ―500명 조선인 장병이 주력인 동북항일련군 2군 6사의 로흑하밀영유적지 “12일, 장백산 지남구에서 동북항일련군의 유일한 밀영 성보를 발견했다”고 17일, 길림성인민정부 뉴스판공실에서 전했다. 12일, 장백산보호개발구 지남구 만강촌 촌민 3명은 산에서 들나물을 캐던중, 지남구 ...
  • 2019-06-18
  • 항일유적지 답사 실기(4)   그 산 그 강은 기억하네 최윤구, 80년만에 고향에 돌아오다                         김창영      리홍광의 석상이 모셔져 있는 신빈현 남산의 렬사릉원에서 주차장까지 내려와보니 시침은 벌써 12시를 넘어서...
  • 2019-06-13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