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로고
시조를 중국문단에 알리는 사람, 번역가 심승철씨
조글로미디어(ZOGLO) 2013년1월15일 08시59분    조회:5364
조글로 위챗(微信)전용 전화번호 15567604088을 귀하의 핸드폰에 저장하시면
조글로의 모든 뉴스와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고 친구들과 모멘트(朋友圈)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인물이름 : 심승철

조선족번역가 심승철

우리민족 전통시 - 시조를 중국어로 번역해 중국문단에 소개해온 조선족 번역가가 있다. 그의 꿈은 시조를 세계에 알린다는 것.

제10기 《준마상》을 수상한 조선족번역가 심승철은 다년간 시조를 중국어로 번역해 중국의 대표적인 시문학지《시가월간(诗词月刊)》에 발표했다.

심승철이 시조번역에 종사한것은 중국시가학회의 위탁을 받고 2007년 《제2회 중한시인대회》에서 한국 작품을 중국어로 번역한것이 계기가 되였다. 그후부터 그는 짬시간을 내여 시조의 중국어번역에 골몰하면서 연구를 거듭했다.

전문가에 따르면 우리 민족 전통시가-시조는 토가 많고 시구의 뜻이 유연하게 표현되는것이 특징이다. 조선어와 한어는 언어계통이 달라 조선어 정형시, 특히 시조를 한어로 번역하기가 쉽지 않다고 한다.

문학평론가인 연변대학 조문학부 학부장 우상렬교수는 심승철의 시조번역작품을 두고 《시조와 한어정형시의 형식적특색을 잘 조화시킨 성공적인 작품, 시조의 신운(神韵)을 잘 살리면서 한어정형시의 매력인 대구적특색을 살린 작품들》이라고 높이 평가하고있다.

심승철은 우리 민족 문학유산인 시조를 세계에 알리는 사업에 함께 동조해 추진할것을 조선족 청년학자들에게 희망하고있다.

심승철은 우리글로 된 《불멸의 영렬-최채》를 중국어로 번역해 2012년에 중국소수민족문학 최고상인 준마상을 수상했었다.

심승철은 우리글 소설의 중국어 번역으로 유명하다. 2008년 7월, 그가 중국어로 번역한 한국소설 《어머니와 함께한 900일 려행(和妈妈一起度过的900天旅行)》은 대만중학생들이 읽어야할 60가지 책가운데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다.

아래것은 심승철이 우리 시조 원작을 중국어로 번역한 일부 번역작품들이다.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혼자 올라

큰 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는차에

어디서 일성호가는 애간장을 하는가

-원작 리순신

闲山岛 明月正当头,要塞边 独坐戍楼。

大刀 紧佩腰间,为国深虑 思绪悠悠。

知何处 一声胡笳曲,激起胸中断肠愁。

-심승철

 

십년 가온 칼이 갑리에 우노매라

관산을 바라보며 때때로 만져보니

장부의 위국공훈을 어느때에 드리올고

-리순신

十年 磨刀霍霍,锦鞘中 宝刀泪落。

望关山 心急如焚,时时将鞘身抚摩。

大丈夫 何时为吾君,舍身建功 尽忠报国。

 

잘 가노라 닫지 말며 못 가노라 쉬지 말라

부디 긋지 말고 촌음을 아껴쓰라

가다가 중지곳하면 아니 감만 못하니라.

-김천택

路愈平坦 愈勿长驱,途越崎岖 越勿歇息。

切记 不可放弃,寸寸光阴 皆爱惜。

如若是 半途便终止,莫如当初 不屑奋起。

 

영욕이 병행하니 부귀도 불관터라

제일 강산에 내 혼자 임자되여

석양에 낚시대 둘러메고 오명가명하리라

-김천택

荣辱并行乃天道,富贵与此亦无关。

第一 美江山,做主人 惟我独占。

夕阳下 只身肩背钓鱼竿,独往独来大自然。

 

어가 목적 소리 곡풍에 섞여불제

오수를 갓 깨 취안을 열어보니

재너머 혀나믄 벗이 와 휴호 관비 하노매

-김천택

渔歌 牧笛 回响,山谷间随风悠扬。

午睡罢 梦初醒,睁醉眼 四处张望。

岭对过 众好友 捧酒罐,声声紧叩柴门响。

 

엊그제 덜 괸 술을 질동이에 가득 붓고

설데친 무우나물 청국장 끼쳐내니

세상에 육식자들이 이 맛을 어이 알리요

-김천택

酿造至今 几多天,未熟米酒 倒满瓦罐。

轻轻焯得 萝卜菜,清麴酱 慢慢搅拌。

人世间 朱门食肉者,如何知 此味是这般。

 

한 손에 막대 잡고 또 한 손에 가시 쥐고

늙는 길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 막대로 치려더니

백발이 제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우탁

一只手 紧握棍棒, 一只手里 高举荆棘。

举荆棘 欲拦衰老去, 白发来临 欲期待 棍棒猛击。

看白发 早已先知觉, 挑选捷径 来路急。

 

반중 조홍감이 고와도 보이나다

유자이 아니라도 품엄 즉도 하다마는

품어가 반기리 업슬세 글로 설워하나이다.

-박인로

盘中 早熟红柿, 果鲜美 击掌称奇。

虽可叹 红柿非橘,愿仿陆郎 怀橘袖里。

藏袖归 亲不在 无人悦, 拳拳吾心 无限悲惜。

 

동기로 세 몸되여 한몸같이 지내다가

두 아운 어디가서 돌아올줄 모르는가

날마다 석양 문외에 한숨겨워 하노라.

-박인로

一奶同胞三兄弟, 亲如一人 长久相依。

离家出门两胞弟, 身在何方 不知归期。

夕阳下 日日守门外,抬望眼 喟然叹息。

 

추강에 밤이 드니 물결이 차노매라.

낚시 드리치니 고기 아니 무노매라

무심한 달빛만 싣고 빈 배 저어오노라.

-월산대군

秋江上 夜幕蹒跚,波光粼粼水流寒。

投下 长线钓杆,无鱼食饵 始终依然。

慢摇桨 满船无心月,桂兔清辉伴我还。

 

흥망이 유수하니 만월대도 추초로다.

오백년 왕업이 목적에 부쳐시니

석양에 지나는 객이 눈물겨워하노라.

-원천석

凭天命 兴亡盛衰,秋草深深 盖满月台。

五百年 王朝业,惟有牧笛寄忧怀。

夕阳下 过客忆往昔,怎奈惆怅滚滚来。




길림신문

파일 [ 1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624
  • 허상림선생의 연변사랑 연변자랑 연변대학 공학원 제1임원장 허상림선생을 만나 지난 5월 1일, 기자는 연변대학공학원 제 1임원장을 지냈던 허상림선생을(78세)을 인터뷰하였다. 허상림선생은 말초신경염으로 몸을 움직이지 못하다보니 바깥세상과 담을 쌓고 집에서 컴퓨터와 마주하고 사이버공간에서 세계를 주유한단다. ...
  • 2012-05-13
  • 연변체육관 관장 연변체육복권관리센터 박성웅주임 인터뷰 연변체육복권관리센터 박성웅주임. 사람들은 체육복권에 대해 익숙하지만 연변의 체육복권 관리사업을 책임진 박성웅씨에 대해서는 그다지 잘 알지 못하고있을것이다. 연변에 첫 체육복권이 나타나고 이어 체육복권관리센터가 세워져 지금에 이르기까지 10여년간 ...
  • 2012-05-11
  •     연변제2인민병원 베테랑 간호장 한길숙씨 이야기 해맑은 미소, 상냥한 문안, 열정적인 봉사…사랑이 듬뿍 담긴 그녀의 일거수일투족은 환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 21년간 그녀는 고상한 의덕과 숙련된 업무, 앞선 사유로 매 한명의 환자들의 생명과 건강을 지켜왔다. 그녀의 간호를 받은 환자들치...
  • 2012-05-10
  • 야외 극한 도전자 “대지의 타향인”- 리근호   -   “중국오토바이려행 1인자” 를 적다     아리랑주간  취재사진 박군걸   글 륙삼   출중한 사람은 늘 평범하게 보인다. 그들은 항상 평범한 사람들 사이에서 극도로 평범하게 살면서 출중하다는 성분...
  • 2012-05-09
  • 사 교육이 비교적 체계화되여 교육의 한부분으로 간주되는 한국이나 일본에 비해 우리 나라는 아직 사교육을 향한 시선이 그리 곱지만은 않 다. 이런 현황에서 학부모, 학생들과 희로애락을 함께 하며 주위의 삐딱한 시선을 돌려세운 한 경영인이 있다. 바로 연길시지능양성학 교 교장 최향란씨(36세)이다.   최향란 ...
  • 2012-05-08
  • 중앙민족대학 민족리론 및 민족정책 연구학자 지난 2월, 북경출장길에 우연히 대학시절의 스승이였던 김병호교수를 만나게 되여 옛 스승을 잠간 인터뷰할 기회가 생겼다.           흑룡강성 연수현태생인 김병호교수는 1974년 중앙민족대학을 졸업한 뒤 모교에 남아 오늘까지...
  • 2012-05-08
  •   최근 중국공산당탄생 90돐 맞이 기념선집《새시기 중국공산당인 우수격언선집》에 연변의 원로작곡가 동희철옹(85세)의 4수의 격언이 등재되였고 편집부로부터 우수격언증서와 메달이 전달되였다. 《명곡앞에서는 총을 든 적들도 무력해진다.》 《총탄은 사람의 육체는 해칠수 있어도 인간의 령혼은 정복할수 없다....
  • 2012-05-08
  •   조선족이 낳은 당대의 저명한 시인 김철선생이 문단에 발을 들여놓던 20세기 50년대 초반, 그가 조선전선에서 돌아와 신문기자로 일할 때였다.서정시 《앵두 네알》을 써서 문단과 독자들의 이목을 끌었고 단시 《지경돌》과 노래 《귀환병과 처녀》(동희철 작곡)가 신춘문예에 입선되여 한창 주목을 받고있을 때였...
  • 2012-05-08
  • 칭다오야베스상무회사 김대수 사장 이야기 신라원 아파트단지 정문에서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있는 김대수 사장.         (흑룡강신문=칭다오) 박영만기자= 칭다오시에서 6년동안 한국의 아파트문화보급을 위해 꾸준히 한 우물을 판 한국인이 화제가 되고 있다. 주인공인 칭다오야베스상...
  • 2012-05-07
  • 성공 가도 달리는 조선족 3세 이야기   (흑룡강신문=하얼빈) 리수봉기자 = "재한조선족들의 생활실태를 비교적 전면적이고도 현실적으로 기록해 중국과 한국에 알리려는 목적에서 대림동,가리봉,안산 등 중국인(주로 조선족)집거지역을 답사하게 되였습니다.코리안드림이 시작되여서부터 오늘까지의 전반 과정 역시 우리 ...
  • 2012-05-04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